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ransglutaminase로 처리한 초고온 살균유 침전물의 전자현미경적 관찰

        문정한(Jeong-Han Moon),홍윤호(Youn-Ho H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3 No.8

        초고온 살균 우유를 이용하여 탈지유와 콜로이드성 인산 칼슘이 제거된 우유에 TGase를 첨가하여 반응시킨 다음 초고속 원심분리를 실시하고 침전된 카제인 입자들을 동결건조하여 조직의 성상에 대해 주사 전자 현미경을 이용해 관찰, 비교하였다. 탈지유는 카제인 입자들이 원심분리 초기(5,000×g)에는 규칙적으로 회합하였으며 원심분리 속도가 증가하면서 홈을 형성하였고(10,000~20,000×g), 40,000×g에서 다시 회합하였다. 그리고, 100,000×g에서는 카제인 입자 수의 증가와 함께 규칙적인 회합층을 이루었다. 탈지유에 TGase를 처리하고 1시간 반응시킨 경우에 카제인 입자들의 성상은 입자들끼리 엉켜져서 회합을 하였으며 초고속 원심분리 속도 증가에 따라 규칙적으로 혹은 불규칙적으로 변형되면서 입자들이 넓어지다가 다시 규칙적으로 카제인 입자들이 회합층을 이루었다. 탈지유에 TGase를 처리하고 8시간 반응시킨 경우 카제인 입자들의 성상은 1시간 반응시킨 경우보다 카제인 입자들이 미세해지면서 규칙적인 층을 형성하였으며, 초고속 원심분리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카제인 입자들의 조직이 홈을 형성하면서 불규칙적으로 회합하여 분산된 형태를 나타내다가 다시 비교적 규칙적으로 회합하였다. 콜로이드성 인산칼슘이 유리된 우유에서는 카제인 입자들이 침전되지 않았다. TGase가 첨가되어 1시간 반응시킨 후 콜로이드성 인산칼슘이 유리된 우유에서는 20,000×g 속도에서부터 카제인 입자들이 침전하였고 그 양상은 작은 낙엽처럼 미세하게 회합층을 형성하였으며, 속도 증가에 따라 카제인 입자들의 조직은 개방되었다. TGase가 첨가된후 8시간 반응시킨 다음 콜로이드성 인산칼슘이 유리된 시료의 경우 카제인 입자들은 대부분 넓게 회합층을 이루고 불규칙적이었으며 원심분리 속도 증가에 따라서도 큰 변화가 없었다. TGase가 첨가된후 1시간 혹은 8시간 반응시킨 다음 콜로이드성 인산칼슘을 제거하고 원심분리한 현탁액 (유청 단백질)을 pH 4.6으로 조정 후 2단계 원심분리한 침전물의 경우 카제인 입자들은 1시간 반응시킨 시료에서는 대부분의 카제인 입자들끼리 엉켜져 불규칙적인 회합층을 이루고 있는 반면에 8시간 반응시킨 시료에서는 입자들이 미세한 형태로 분산되어 규칙적인 층을 형성하였다. Ultra high temperature treated (UHT) skim milk and colloidal calcium phosphate-free skim milk were treated with microbial transglutaminase (TGase), ultracentrifuged at various rates, lyophilized, and observed for morphological properties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UHT skim milk showed small holes of associated micelles at lower centrifugal rates, and became thick and irregular, and fine particles were associated regularly at higher centrifugal rates. When UHT skim milk with TGase was incubated for 1 hour, casein micelles aggregated and broadened as centrifugation rate increased. When UHT skim milk with TGase was incubated for 8 hours, casein micelles were associated irregularly to large aggregates and widened. Colloidal calcium phosphate-free skim milk with TGase incubated for 1 hour and separated by two-step centrifugation showed aggregated lump, while the milk incubated for 8 hours with TGase was associated with broadened, compact, and regular layers as the centrifugation rate increased. Such phenomena were caused by heat treatment, protein crosslinking reaction catalyzed by TGase and conformational changes of casein molecules, and could be dependent on reaction time, temperature and ultracentrifugation rate.

      • KCI등재

        구강편평상피암종에서 상피성장인자 수용체의 과발현과 K-ras 유전자 변이

        병출(Byeong-Chool Moon),한세진(Se-Jin Han),정동준(Dongjun Jeong),김경욱(Kyung-Wook Kim)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2011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Vol.37 No.5

        Introduction: Epidermal growth factor is a single-chain polypeptide consisting of 53 amino acids with potent mitogenic activity that stimulates the proliferation of a range of normal and neoplastic cells through an interaction with its specific receptor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This interaction plays a key role in tumor progression including the induction of tumor cell proliferation. An increased EGFR copy number have been associated with a favorable response to EGFR tyrosine kinase inhibitors therapy. In contrast, K-ras mutations tend to predict a poor response to such therap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linicopathological factors and the up-regulation of EGFR expression and Kras mutations in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examined the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of EGFR, K-ras mutation detection with peptide nucleic acid (PNA)-based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clamping in 20 specimens from 20 patients with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Results: 1. In the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poorly differentiated and invasive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a high level of EGFR staining was observed. The correlation between immunohistochemical EGFR expression and histological differentiation, as well as the tumor size of the specimens was significan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significance [r] >0.5, P<0.05). 2. In PNA-based real-time PCR clamping analysis, a K-ras mutation was not detected in all specimens.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up-regulation of the EGFR may play a role in the progression and invasion of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that is, independent of a K-ras mutation.

      • KCI등재

        함양에서 재배된 여주의 추출조건에 따른 생리활성

        문정한(Jeong-Han Moon),최동원(Dong-Won Choi),김성은(Seong-Eun Kim),서문지훈(Ji-Hoon Seomoon),홍수영(Su-Young Hong),김현규(Hyun-Kyu Kim),조계만(Kye-Man Cho),송진(Jin Song),강상수(Sang-Soo Kang),김강화(Kang-Hwa Kim),권오경(Oh-Kyung Kw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4 No.11

        본 연구에서는 항당뇨 소재로 잘 알려져 있는 여주를 이용한 혈당 개선 건강기능성 원료 개발의 기초 연구로 주정 추출조건에 따른 항산화, 항당뇨, 항비만 효능을 검증하였다. 여주주정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능, 탄수화물과 지방의 흡수 지연능을 평가하는 α-glucosidase 및 pancreatic lipase 저해 활성은 온도 70°C, 주정농도 70% 추출조건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여주의 항산화, 항당뇨, 항비만 효능 등 대사성 질환에 대한 예방 및 개선 효과를 가지는 건강기능식품을 개발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o develop health-functional food ingredients for improvement of diabetes, we examined bi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total contents of polyphenols and flavonoids,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ion of α-glucosidase and pancreatic lipase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unripe fruit of Momordica charantia L. cultivated in Hamyang, Korea. Ethanol extracts were tested using different ethanol concentrations (0%, 30%, 50%, and 70%) and temperatures (50°C and 70°C).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ere achieved concentrations of 7.77 mg/g (tannic acid), 7.66 mg/g (gallic acid), and 10.66 mg/g (rutin). The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BTS cation radical scavenging, and FRAP activities were 82.19%, 42.82%, and 0.19 under the same conditions, respectively. The highest inhibitory activities of α-glucosidase and pancreatic lipase were achieved in the 70% ethanol extract at 70°C. These results will be useful for development of health functional foods for anti-diabetes using 70% ethanol extract from unripe fruit of bitter melon

      • KCI등재

        pH 조정후 트랜스글루타미나제로 처리한 탈지 원유의 전자현미경적 특성

        문정한(Jeong-Han Moon),홍윤호(Youn-Ho H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4 No.10

        원유에서 지방을 제거한 탈지유의 pH를 5.5, 7.0, 8.5로 조정한 다음 TGase를 첨가하여 0, 1, 2, 4, 8시간 반응시킨 후 동결 건조하여 조직의 성상을 주사 전자 현미경을 이용해 관찰, 비교하였다. pH와 TGase를 처리하지 않은 탈지유는 단백질 입자들이 규칙적으로 회합해 있었다. pH 조정 후 TGase를 처리한 다음 반응시간을 달리한 시료에서는 pH를 5.5로 조정한 경우 현저한 변화가 있었는데, 그 변화 양상은 단백질 입자들이 0시간에서 조각을 이루어 회합되어 있다가 1시간 반응시킨 경우 단백질 입자들이 서로 결합하여 넓게 회합하였다. 2시간 반응시킨 경우 단백질 입자들이 다시 뭉쳐서 회합하였으며 4시간 반응시킨 경우 뭉쳐져 있던 단백질 입자들이 조그만 한 구형 성상으로 넓게 회합하였다. 8시간 반응시킨 시료는 구형 성상으로 회합되어 있던 단백질 입자들이 사라지면서 다시 넓게 회합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pH 7.0과 8.5 조건하에서는 단백질 입자들이 조각 형태를 이루고 있었으며 반응시간이 증가할수록 입자들이 넓게 확대되는 현상을 나타냈다. 전반적으로 현미경적 입자의 형태는 pH 5.5로 조정된 시료가 pH 7.0 또는 pH 8.5로 처리된 시료들보다 더 작게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단백질들의 현미경적 변화 양상은 pH, TGase처리 그리고 반응시간에 따라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In order to develop novel food products or additives using transglutaminase (TGase), some physicochemical and morphological understandings are needed. Raw skim milk was adjusted to pH 5.5, 7.0, and 8.5, and each was treated with microbial TGase for 0, 1, 2, 4, and 8 hours, for the protein structure observation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The particles of untreated raw skim milk were small and evenly associated. After adjustment of pH to 5.5 and treatment of TGase for 1-hour, the protein particles aggregated widely in a bigger form than that of control. Under the same condition for 2 hours, the particles associated and clustered. The particles gathered widely and became a number of small spherical forms after 4 hours. After 8 hours, they made larger forms than the result of 1-hour treatment, and the aggregation broadened. Under the pH 7.0 and 8.5 conditions with TGase-treatment, the protein particles fractionated and associated into the bigger masses at 1 hour point, but each piece slowly became smaller and more fractionated until treated time reached 4 hours. After 8 hours, the fragmented protein particles aggregated into larger forms as those on the pH 5.5 condition. In general, the electron microscopical forms of the samples adjusted to pH 5.5 showed smaller than those of pH 7.0 or pH 8.5. It is suggested that the protein particles and textural behavior were influenced by pH, TGase, and reaction time.

      • KCI등재

        다문화 가정 초등학생의 방과 후 스포츠클럽 참여와 또래 관계와의 관계에서 자아 탄력성의 매개 효과

        한식(Moon, Han-Shik),김정완(Kim, Jeong-Wan),이대형(Lee, Dae-Hyung) 한국체육교육학회 2015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방과 후 스포츠클럽참여와 또래관계와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에 2014년 전남지역 중에서 순천, 여수, 광양 지역의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2014년 11월 3일부터 12월 28일까지 군집표집방법을 통해 187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과 AMO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방과 후 스포츠클럽참여는 자아탄력성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탄력성은 또래관계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방과 후 스포츠클럽참여는 또래관계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방과 후 스포츠클럽참여와 또래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부분적으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에게 방과 후 스포츠클럽참여는 자아탄력성과 또래관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수단이 되고 있으며, 자아탄력성은 방과 후 스포츠클럽참여와 또래관계에서 중요한 매개변수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on effects of ego-resilience between after-school sports participation and peer relationship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whose family was multicultural.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f achieving the goal of the study on elementary school student from multicultural family especially living in Suncheon, Yesu and Gwangyang cities in Jeonnam provinces from Nov. 3 thru Dec. 28. 2014. The questionnaires from 187 participants were collected by cluster sampling method. For data processing, SPSS 22.0 Version was used for frequency analysis, explore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AMOS 20.0 Program was used for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Results: First, after-school sports participation positively predicted ego-resilience. Second, ego-resilience positively predicted peer relationship. Third, after-school sports participation positively predicted peer relationship. Fourth, ego-resilience was partially mediated between after-school sports participation and peer relationship. Conclusion: It was learned that after-school sports participation could help elementary school student from multicultural family improve ego-resilience and peer relationship and furthermore, ego-resilience worked for an important mediating role in after-school sports participation and peer relationship.

      • KCI등재후보

        거골하 관절 제동술을 이용한 편평족의 치료 결과

        정석,배우한,서정국,이우천,Moon, Jeong-Seok,Bae, Woo-Han,Seo, Jeong-Gook,Lee, Woo-Chun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08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12 No.2

        Purpose: To determine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results of arthroereisis using the $Kalix^{(R)}$ implant (Newdeal, Lyon, France) for the treatment of flexible flatfoot deformity. Materials and Methods: From February 2005 to February 2007, we performed the subtalar arthroereisis on 8 patients (9 feet) of symptomatic flexible flat feet after more than 6 months of conservative treatment. Average age was 14.5 years ($11{\sim}29$ years) old. We checked the functional status with AOFAS functional score pre-operatively and at final follow-up. Radiologically, we took weight bearing anterior to posterior and lateral view of the feet, and measured the talo-first metatarsal angle, calcaneal pitch angle in pre-operatively and at final follow-up. Results: Mean follow up period was 34.4 months. Average AOFAS score improved from preoperatively 65.6 to postoperatively 94.8. Average lateral talo-first metatarsal angle reduced from $12.8^{\circ}$ preoperatively to $1.6^{\circ}$ at final follow-up. Average anterior to posterior talo-first metatarsal angle was reduced from $15.1^{\circ}$ preoperatively to $8.3^{\circ}$ at final follow-up. Average calcaneal pitch angle was increased from $9.5^{\circ}$ preoperatively to $12.0^{\circ}$ at final follow-up. Conclusions: Subtalar arthroereisis with Kalix$K^{(R)}$ implant can be considered to be one of treatment options symptomatic flatfoot deformity patients.

      • KCI등재

        일부 대학생의 흡연 실태와 구강건강에 관한 인식 및 행태 조사연구

        선정(Seon-Jeong Moon),김한나(Han-na Kim),구인영(In-Young Ku)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11

        본 연구는 일부 대학생들의 흡연행태와 흡연자와 비흡연자 간의 흡연에 대한 인식과 구강건강관리행태를 알아보고자 경상북도, 대구광역시, 강원도에 위치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260명을 대상으로 흡연에 대한 인식과 구강건강관리행태에 대해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흡연자의 하루 평균 흡연량은 반 갑 미만이, 흡연기간은 1년∼3년 미만이 가장 높았으며, 흡연을 시작하게 된 동기는 호기심과 주변 권유가 가장 높았고, 흡연이유는 스트레스 해소, 습관적 순으로 나타났다. 2. 흡연유무에 따른 구강건강관리행태 중 1회 잇솔질 시간, 정기적 치과 내원, 최근 치과 내원시기, 치과 방문 목적, 스켈링 및 구강보건교육 경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흡연유무에 따른 구강건강에 대한 인식 중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흡연유무에 따른 흡연에 대한 인식 중 담배, 한 두 개피 정도의 담배, 식후의 담배 및 간접흡연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해 구강건강관리행태 및 구강건강에 대한 인식, 흡연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므로, 대학생들을 위한 금연교육과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smokers and non-smokers’ oral hygiene and college students‘ smoking awareness. The survey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260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four-year universities located in Kyungbuk, Daegu, Gangwon-do. Collected date used the SPSS 17.0 to perform the frequency and cross-analysis. 1. The daily smoking amounts of less than half pack and the smoking duration of more than 1 year and less than 3 years were to be the highest. The initiation of smoking was triggered by the curiosity and the proximal social environment. The reason of smoking was to relieve stress and habitual smoking respectively.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mokers and non-smokers’ tooth brushing time, regular dentist visit, recent dental admission, the purpose of dental visits, scaling and oral health education. 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mokers and non-smokers’ awareness of oral hygiene in the subjective oral hygiene status. 4.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mokers and non-smokers’ awareness towards the impact of second-hand, after meal and one or two cigarette smoking. Based on the above results, smokers lack the awareness of smoking and oral hygiene compared to non-smokers. Therefore, the activation and the development of programs for the smoking and oral hygiene education targeting college students are considered to be necess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