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산 머루주의 품질 특성 및 생리기능성

        이대형,유형은,이종수,Lee, Dae-hyoung,Yu, Hyung-Eun,Lee, Jong-soo 배재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05 自然科學論文集 Vol.15 No.1

        To develop a new functional fruit win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wild grape wine (WGW)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with that of foreign grape wine (FGW). Ethanol contents of WGW was 11.0%, similar to that of FGW(10.6%), but total acidity(0.67%) and total anthocyanin content($A_{520}$: 0.32) of WGW were higher than those of FGW(0.4%, 0.22). Antioxydant activity and SOD-like activity of WGW which is related in anti-aging functionality were 93.6% and 53.0%, respectively, higher than those of FGW(85.9%, 42.5%). from this results, we concluded domestic wild grape wine is very excellent functional fruit wine.

      • SCOPUSKCI등재

        사람의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에서 CD4<sup>+</sup>CD25<sup>+</sup> T세포의 분포와 이식편대숙주병

        이대형,정낙균,정대철,조빈,김학기,Lee, Dae Hyoung,Chung, Nak Gyun,Jeong, Dae Chul,Cho, Bin,Kim, Hack Ki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8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51 No.12

        목 적: 본 연구의 목적은 사람의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에서 공여자의 이식편과 환자의 이식 후 말초혈액에서 $CD4^+CD25^+$ T 세포 분획의 분포를 알아보고 급성 이식편대숙주병(GVHD)과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 받은 17명의 소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공여자의 이식편과 이식 받은 환자의 이식 후 말초혈액으로부터 얻은 검체를 유세포 분석(flow cytometry)하였다. 공여자의 이식편과 이식 후 1개월과 3개월에 환자의 말초혈액 내 $CD4^+CD25^+$ T 세포의 분획과 절대 세포수를 알아보았다. 결 과: 공여자의 이식편 내 $CD4^+CD25^+$ T 세포의 분획은 급성 GVHD 발생군과 비발생군에서 각각 0.90%, 1.06%이었으며 차이가 없었다(P=0.62). 이식편 내 $CD4^+CD25^+$ T세포의 절대수는 급성 GVHD 발생군과 비발생군이 각각 $6.18{\times}10^5/kg$와 $25.85{\times}10^5/kg$으로 급성 GVHD 비발생군이 발생군보다 많은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P=0.09). 급성 GVHD 비발생군의 말초혈액 $CD4^+CD25^+$ T 세포는 이식 후 1개월에 2.11%, 3개월에 1.43%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P=0.028), 급성 GVHD 발생군의 말초혈액 내 $CD4^+CD25^+$ T 세포는 이식 후 1개월과 3개월에 각각 2.47%와 2.30%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0). 결 론: 본 실험을 통하여 저자들은 공여자의 이식편 내 $CD4^+CD25^+$ T세포의 분포와 이식 후 환자의 급성 GVHD의 관계에 대한 유의성은 검증할 수 없었으며 이식 후 환자의 말초혈액 내 $CD4^+CD25^+$ T 세포에는 조절 T세포보다 GVHD와 연관된 활성화된 T세포의 분획이 더 클 것으로 사료되나 추가적인 조절 T세포의 표지자를 이용한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frequencies of $CD4^+CD25^+$ T cells in donor graft and peripheral blood $CD4^+CD25^+$ T cells in recipients after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SCT) and their association with graft-versus-host disease (GVHD). Methods : Seventeen children who underwent HSCT were investigated. $CD4^+CD25^+$ T cells in samples from donor grafts and recipient peripheral blood were assessed by flow cytometry at 1 and 3 months after transplantation. Results : $CD4^+CD25^+$ T cell frequencies in the graf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atients with and without acute GVHD (0.90% vs. 1.06%, P=0.62). Absolute $CD4^+CD25^+$ T cell number in grafts were lower in patients with acute GVHD than in those without acute GVHD ($6.18{\times}10^5/kg$ vs. $25.85{\times}10^5/kg$, P=0.09). Patients without acute GVHD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peripheral blood $CD4^+CD25^+$ T cell percentage at 3 months compared to those at 1 month after HSCT (2.11% vs. 1.43%, P=0.028). However, in patients with acute GVHD, $CD4^+CD25^+$ T cell percentage at 3 months was not different from the corresponding percentage at 1 month after HSCT (2.47% vs. 2.30%, P=0.5). Conclusion : The effect of frequencies of $CD4^+CD25^+$ T cells in donor grafts on acute GVHD after HSCT could not be identified, and the majority of peripheral blood $CD4^+CD25^+$ T cells in patients who underwent HSCT may be activated T cells related to acute GVHD rather than regulatory T cells. Further studies with additional markers for regulatory T cells are needed to validate our results.

      • KCI등재

        에어 버블링을 이용한 침강속도 제어기법 적용 습식워터젯용 연마제 개발

        이대형,김영배,모세웅,김민호,이종무,Lee, Dae-Hyung,Kim, Young-Bea,Mo, Se-Woong,Kim, Min-Ho,Lee, Chong-Mu 한국세라믹학회 2010 한국세라믹학회지 Vol.47 No.3

        In recent years abrasive water jet (AWJ) has received significant attention as a technology used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for cutting materials. In this paper we report the development of a new preparation method of abrasives for water jet by using an air bubbling sedimentation rate control technique. The SiC abrasives prepared by an air bubbling sedimentation rate control technique using latex resin are found to be superior to the conventional abrasives not only in surface roughness uniformity but also in lifetime. The AWJ test results also show that the former has also better impact-resistance and wear-resistance than the latter.

      • KCI등재

        홍길동전에 대한 이보상(李輔相)의 보수적 인식과 개작

        이대형 ( Lee Dae-hyung ) 한국고소설학회 2018 古小說 硏究 Vol.45 No.-

        1926년 『계명』 15호와 16호에 이보상이 한문현토체로 옮긴 <홍길동전>이 연재되었다. 이보상은 경판본 계열을 토대로 표현을 수정하여 제시하면서 기존 홍길동전에 대한 비평을 부가하였으며, 적서차별의 원인이 정도전의 탓이라는 언급을 하고 있다. 『계명』 의 <홍길동전>은 대체로 이전 <홍길동전>과 다르지 않은데, 1939년부터 1940년까지 홍길동전을 장편으로 개작하여 ‘촉규화(蜀葵花)’라는 제명으로 『매일신보』 에 연재할 때는 이전과 사뭇 달라졌다. <촉규화>는 기존 홍길동전을 비판적으로 계승하여 충효를 완성한 인물로 형상화하는 한편 환상적 요소가 많은 장편소설로 개작한 것이다. <촉규화>는 홍길동의 시대를 비정하는 등 역사적 사실에 대한 관심을 보이는데 이는 이보상 소설의 일반적인 양상이다. <촉규화>의 독특한 점은 환상적 존재들과 도술 등이 등장한다는 점인데 이는 <봉신연의>의 영향이라고 저자가 밝혔다. 이보상은 <촉규화>에서 홍길동을 충효의 인물로 형상화하였는데 이는 작자의 보수적 성향에 부합한다. 그런데 홍길동의 행위 중에 잔인하게 가학적인 모습도 보이는데 이는 이념의 폭력성이 은연중에 드러난 것으로 보인다. In 1926 Keimyung(啓明) No. 15 and 16, Lee Bo-sang transferred Hangul edition of Honggildong-jeon to Hangul-suffixed-Chinese -story. Lee Bo-sang's Honggildong-jeon was based largely on the Gyeongpan(京板) edition, and contains criticisms of the existing Honggildon-gjeon. It is unique that Jeong Do-jeon(鄭道傳) is to blame for the discrimination of legitimate children and illegitimate children, caused by the writer's historical consciousness, but the story is no different from the previous Honggildong-jeon. From 1939 on to 1940, Lee Bo-sang translated Honggildong-jeon into a new series, which was published 242 times in Maeilsinbo(每日申報) under the title ‘Chokgyuwha’(蜀葵花) which means hollyhock. Chokgyuwha critically inherited the existing Honggildong-jeon and was adapted into a full-length novel that had many fantastic elements which was influenced by Fengshen-yanyi(封神演義). One way Lee Bo-sang has expanded into a feature novel is to add several episodes. Some of them criticize the powerful in the rural communities, but some of them are significantly weakened by the controversial issue of the ruling order compared to the existing Honggildong-jeon. Lee Bo-sang only carries a critical message to the extent that Hong Gil-dong, the child of a concubine can’t call his gather and that put corrupt persons to shame.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이보상(李輔相)의 신문연재 장회체 한문현토소설 연구

        이대형 ( Dae Hyung Lee ) 한국고소설학회 2015 古小說 硏究 Vol.40 No.-

        ‘조선학’에 대한 사회적 관심의 열풍에 따라 ‘조선학의 거벽’으로 일컬어지는 이보상은 1930년대에 『매일신보』에 한문현토소설을 10년넘게 연재하였다. 그의 소설을 읽은 독자들은 이보상이 주장하는 중세 윤리와 한문에 대해 긍정하는 ‘독자의 소리’를 보내 반응을 보였다. 이보상은 당대 풍속의 개선이 중세 이념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고 여겼으며 그런 이념을 담은 조선의 이야기들을 나름대로 개작하여 신문에 게재하였다. 당대 풍속에 대한 비판은 여러 작품에 등장하는 졸부 형상을 통해 엿볼 수 있다. 도입부 楔詞와 매회 일단락 짓는 收場詩 형식으로 대표되는 그의 장회체 기법은 조선의 소설에서는 구현된 적이 없던 것이다. 그러나 장회체 양식을 그대로 묵수하지는 않았고 이야기 내용에 대한 저자의 평가를 덧붙이는 등 나름의 변화를 꾀하기도 했다. 평가를 붙이는 것은 傳 양식에서 비롯되어 조선시대 한문소설에 보편화되었던 것이므로 내부적 맥락의 계승으로 볼 수 있다. Lee Bosang(李輔相) was reputed to be a best expert in Joseon Studies. Based on social interesting in Joseon Studies, he had written novels serially in the newspaper Maeilsinbo(每日申報) over 10 years(1930-1942). Even though he had translated Chinese enlightenment novel into Hangul-suffixed-Chinese-story, he emphasized on Chinese and insisted that the original novel was written by Chinese so that it needs to be change old Korean novels to original status. His readers contribute to Maeilsinbo to support his medieval ethic and opinion. Like campaign of unofficial historical story(野談) was treated as a new style even it is from mixed Japanese Gangdam(講談) and Chinese Seolseo(說書), his novel style was brought from Chinese Janghoe(章回)-novel style. His Janghoe style is represent seolsa(楔詞) which never had been found in entire Joseon novels before. However he did not adhere to his own style and tried to change his own style by adding historian criticism and so on.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한문현토소설 「쌍미합벽(雙美合璧)」의 근대적 서사 기법과 중세적 관념

        이대형 ( Lee Dae-hyung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1 동방학지 Vol.181 No.-

        1934년 10월부터 6개월 간 『매일신보』에 연재된 한문현토소설 「쌍미합벽」은 기존 고소설이나 야담을 부연하여 개작했던 이보상의 다른 소설과 달리 창작소설이다. 「쌍미합벽」에 영향을 준 작품으로는 김만중의 남정기 와 「구운몽」을 들 수 있다. 작품의 처음과 결말은 「구운몽」과 유사하고, 중간의 우여곡절은 「남정기」와 유사하다. 작품의 주제는 조선시대 기생 출신의 첩이 서치(書癡)인 시아버지의 동조를 이끌어 내어 벌이는 가정 분란이다. 「쌍미합벽」은 독자의 흥미를 유발시키기 위해 사건을 먼저 서술하고 이후에 사건의 원인이나 이유를 서술하는 도치서술 방식을 취한다. 시간순서를 역전하여 원인이나 계획을 나중에 서술함으로써 독자들에게 뜻하지 않은 장면을 맞닥뜨리게 함으로써 궁금증을 자아내게 한다. 「쌍미합벽」에도 신이한 현상이나 우연 같은 전근대적 요소들이 남아있기는 하지만 상반된 입장에서 벌이는 논쟁이 실감나게 묘사되는 데서 오는 핍진한 논리는 시간의 역전서술과 함께 이 작품의 근대적 서사 기법이라 할 만하다. 이보상의 소설들에서 인물구성은 대체로 정·부(正副)의 관계가 정·사(正邪)의 관계로 이어진다. 이는 고소설에서 자주 보이는 인물관계이니, 「남정기」와 「육미당기」 등에서 확인된다. 「쌍미합벽」에서 미모와 재덕을 겸비한 부인에 비해 첩 일지화는 미모도 덜하고 품성도 음란하고 사악하다. 삽화처럼 등장하는 조귀인(趙貴人)과 중궁(中宮)의 관계도 그러하다. 귀신 또는 신이한 현상의 등장 또한 이보상 소설의 공통점에 속하는 것으로 중세적 관념의 지속을 보여주는데 「쌍미합벽」 역시 그러하다. 이보상은 한글보다 한문을 옹호하는 입장에서 한문현토체 소설을 통해 조선의 문화를 보존하고 20세기 독자에게 전하려고 하였는데 그 가운데 「쌍미합벽」은 나름대로 근대적 서사기법을 활용하여 흥미로운 방식으로 조선시대 처첩의 갈등을 소설화하였다. SSangmihapbyeok is a novel by Lee Bosang (李輔相, 1882-1948) that is more original than his other novels. It is related to Namjeonggi (南征記) and Guunmong (九雲夢), as its beginning and ending are similar to Guunmong while its middle is similar to Namjeonggi. Inversion narrative is one of the distinctive features of SSangmihapbyeok. It is a suspenseful technique that involves opening on an incident scene before revealing the cause of the incident. SSangmihapbyeok is considered an old-style novel because it was written by hanmun, and contains many fantastic phenomena like other old novels. However, SSangmihapbyeok also contains many logical dialogues surrounding hostile relationships. With the inversion narrative, the logical dialogues make SSangmihapbyeok stand out from old novels. The main-secondary relationship is connected with the relationship of the right-false in the works of Lee Bosang. This relationship is often present in old novels, such as Namjeonggi and Yukmidangki (六美堂記). It is found in SSangmihapbyeok, as the concubine Iljihwa(一枝花) is less beautiful and more vicious than madam. We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Jo-gwiin (趙貴人) and the Queen.

      • KCI등재

        한문현토소설 「雙美合璧」의 근대적 서사 기법과 중세적 관념

        이대형(Lee, Dae-Hyung)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7 동방학지 Vol.181 No.-

        1934년 10월부터 6개월 간 매일신보에 연재된 한문현토소설 쌍미합벽 은 기존 고소설이나 야담을 부연하여 개작했던 이보상의 다른 소설과 달리 창작소설이다. 쌍미합벽 에 영향을 준 작품으로는 김만중의 남정기 와 구운몽 을 들 수 있다. 작품의 처음과 결말은 구운몽 과 유사하고, 중간의 우여곡절은 남정기와 유사하다. 작품의 주제는 조선시대 기생 출 신의 첩이 서치(書癡)인 시아버지의 동조를 이끌어 내어 벌이는 가정 분란이다. 쌍미합벽 은 독자의 흥미를 유발시키기 위해 사건을 먼저 서술하고 이후에 사건의 원인이나 이유를 서술하는 도치서술 방식을 취한다 시간순서를 역전하여 원인이나 계획을 나중에 서술함으로써 독자들에게 뜻하지 않은 장면을 맞닥뜨리게 함으로써 궁금증을 자아내게 한다. 쌍미합벽 에도 신이한 현상이나 우연 같은 전근대적 요소들이 남아있기는 하지만 상반된 입장에서 벌이는 논쟁이 실감나게 묘사되는 데서 오는 핍진한 논리는 시간의 역전서술과 함께 이작품의 근대적 서사 기법이라 할 만하다. 이보상의 소설들에서 인물구성은 대체로 정․부(正副)의 관계가 정․사(正邪)의 관계로 이어진다. 이는 고소설에서 자주 보이는 인물관계이니, 남정기 와 육미당기 등에서 확인된다. 쌍미합벽 에서 미모와 재덕을 겸비한 부인에 비해 첩 일지화는 미모도 덜하고 품성도 음란하고 사악하다. 삽화처럼 등장하는 조귀인(趙貴人)과 중궁(中宮)의 관계도 그러하다. 귀신 또는 신이한 현상의 등장 또한 이보상 소설의 공통점에 속하는 것으로 중세적 관념의 지속을 보여주는데 쌍미합벽 역시 그러하다 이보상은 한글보다 한문을 옹호하는 입장에서 한문현토체 소설을 통해 조선의 문화를 보존하고 20세기 독자에게 전하려고 하였는데 그 가운데 쌍미합벽 은 나름대로 근대적 서사기법을 활용하여 흥미로운 방식으로 조선시대 처첩의 갈등을 소설화하였다. SSangmihapbyeok is a novel by Lee Bosang (李輔相, 1882-1948) that is more original than his other novels. It is related to Namjeonggi (南征記) and Guunmong(九雲夢), as its beginning and ending are similar to Guunmong while its middle is similar to Namjeonggi. Inversion narrative is one of the distinctive features of SSangmihapbyeok. It is a suspenseful technique that involves opening on an incident scene before revealing the cause of the incident. SSangmihapbyeok is considered an old-style novel because it was written by hanmun, and contains many fantastic phenomena like other old novels. However, SSangmihapbyeok also contains many logical dialogues surrounding hostile relationships. With the inversion narrative, the logical dialogues make SSangmihapbyeok stand out from old novels. The main-secondary relationship is connected with the relationship of the right-false in the works of Lee Bosang. This relationship is often present in old novels, such as Namjeonggi and Yukmidangki (六美堂記). It is found in SSangmihapbyeok, as the concubine Iljihwa(一枝花) is less beautiful and more vicious than madam. We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Jo-gwiin (趙貴人) and the Que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