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haracteristics of Plastic Debris Ingested by Sea Turtles: A Comprehensive Review

        문예림,심원준,홍상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23 Ocean science journal Vol.58 No.4

        Sea turtles, an ecologically vital marine species, face the mounting threat of plastic ingestion. To devise effective mitigation strategies, a nuanced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ingested plastics is essential. Previous reviews have predominantly concentrated on the frequency of occurrence (%FO) and quantity of ingested plastics. In this study, we present an update to the literature on %FO and quantity of ingested plastics and also introduce a novel review of the morphology, color, and polymer composition of ingested plastics. This analysis draws upon 110 scholarly articles on plastic ingestion by sea turtles. Additionally, we explore geographical variations in both the quantity and characteristics of ingested plastics. Most of the analyzed studies were conducted in the Americas and Europe. We found that approximately 54% of examined sea turtles had ingested plastic debris. Loggerhead sea turtles ingested more foams than green sea turtles (Wilcoxon rank-sum test, p < 0.05). By contrast, green sea turtles exhibited a higher ingestion on films (Wilcoxon rank-sum test, p > 0.05). Our study also underscored the paucity of data regarding the original usage of ingested plastics. White and transparent plastics were most commonly ingested. Additionally, polymers with a lower density than seawater, such as polyethylene, polypropylene, and their copolymers, were frequently found. We strongly advocate for future studies to furnish more comprehensive data regarding the ingested plastics, including quantities, morphological and chemical properties, and origins. Such detailed information is indispensable for shaping well-informed and effective strategies to combat plastic ingestion in marine life.

      • KCI등재

        초심상담자의 신경증과 심리적 소진 간 관계 -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열의의 이중매개효과 -

        문예림,하문선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

        본 연구는 초심상담자의 신경증과 심리적 소진 간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열의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초심상담자 총 267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한 결과 첫째, 초심상담자의 신경증은 직무스트레스, 심리적 소진 및 직무열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스트레스는 직무열의와 심리적 소진에, 직무열의는 심리적 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신경증과 심리적 소진 간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열의의 단일 매개효과,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열의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심리적 소진을 경험하는 초심상담자에 대한 개입 방안으로 스트레스 대처 또는 직무열의 향상 방법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각막굴절교정 수술 안에 대한 소프트콘택트렌즈착용 시 Masking 효과

        문예림,박형민,추병선 한국안광학회 2016 한국안광학회지 Vol.21 No.2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asking effect of the hydrogel lens and silicone hydrogel lens on the cornea with refractive surgery and without surgery. Methods: 24 university students (means age: 23.48±2.89 years) without refractive surgery (12, control group) and with refractive surgery (LASIK: 8, LASEK: 4,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study. Mean refractive errors of right eyes were −2.73 D for control group and −0.24 D for experimental group. The differences in the refractive power and corneal topography map between pre- and post-wearing the −3.00 D lenses were compared, and 2 kinds of hydrogel contact lenses (0.89 Mpa, 0.49 Mpa) and 2 kinds of silicone hydrogel lenses (1.5 Mpa, 0.8 Mpa) were used for −3.00 D lenses. NVision-K5001 (Shin nippon, Japan) was used to measure the refractive power and Keratograph 5M (Oculus, Germany) to measure the corneal topography map change. Results: Variations in the refractive power increased to the plus direc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wearing soft contact lenses. The corneal topography map showed significant changes on the both groups after wearing soft contact lenses (p<0.05).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fractive power and corneal topography map variations by lens materials. Conclusions: Wearing soft contact lenses showed corneal topography map changes. Especially wearing soft contact lenses on the flat cornea after corneal refractive surgery showed greater corneal power changes. Therefore, it should pay attention to refractive change in case of prescribing soft contact lenses to patients with corneal refractive surgery. 목적: 본 연구는 각막굴절교정 수술 후 각막과 수술을 한적이 없는 각막 형상에 따른 하이드로겔 렌즈와 실리콘하이드로겔 렌즈 착용시 Masking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실험에 참여한 2 대상군은 평균 나이가 23.48± 2.89세인 정상적인 각막 형상그룹(12명, 통제그룹)과 각막굴절교정 수술로 인한 편평한 각막 형상그룹(LASIK-8명, LASEK-4명, 실험그룹)으로 구성된 24명의 대학생 이였으며, 오른쪽 눈의 평균 굴절이상은 각각 통제그룹(정상 각막형상)RE: −2.73 D, 실험그룹(편평한 각막형상)RE: −0.24 D이었다. 두 그룹에서 −3.00 D렌즈의 2가지의 하이드로겔 렌즈(0.89 Mpa, 0.49 Mpa)와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1.5 Mpa, 0.8 Mpa)를 사용하여 착용 전후의 굴절력 및 각막지형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측정에 사용된 장비로는 NVision-K5001(Shin-nippon, Japan)로 굴절력을 측정하였으며, 각막지형도 측정을 위하여 Keratograph 5M(Oculus, Germany)을 사용하였다. 결과: 굴절력 변화는 실험그룹에서 + 방향으로 증가하였고, 각막지형도의 변화는 소프트콘택트렌즈 착용 후 두 그룹 모두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p<0.05). 그러나 렌즈 재질별 굴절력 및 각막지형도 변화에서 렌즈 착용 전 후, 두 그룹 모두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소프트콘택트렌즈 착용은 각막지형도의 차이는 있었으며, 특히 각막굴절교정 수술 후 편평한 각막은 소프트콘택트렌즈 착용 시 굴절력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각막굴절교정 수술자에게 소프트콘택트렌즈 처방을 할 경우 굴절력 변화에 주의하여야 한다.

      • 한국 연안 서식 바다거북의 플라스틱 섭식

        문예림,홍상희,한기명,심원준,김일훈,김민섭,최성준,이혜림 한국양서·파충류학회 2020 한국양서·파충류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07

        플라스틱 쓰레기는 해양 환경에서 가장 빈번히 발견되는 해양쓰레기로서 해양 생물에 섭식, 얽힘, 서식처 훼손 등의 다양한 피해를 입히고 있다. 바다거북의 모든 종에서 플라스틱 섭식이 보고되고 있으며, 전체 개체 중 50% 이상이 플라스틱 쓰레기를 섭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동아시아에서 해양으로 유입되는 플라스틱의 양이 전세계 유입량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 나, 이 지역의 바다거북의 플라스틱 섭식 연구는 희소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연안에 출현한 바다 거북의 플라스틱 섭식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2012년부터 2018년에 한국 연안에 좌초되거나 혼획된 바다거북 34마리(붉은바다거북 21, 푸른바다거북 9, 올리브바다거북 2, 장수거북 2) 폐사체의 소화 관 내용물을 채취하여 1mm 이상의 플라스틱을 분석하였다. 플라스틱이 발견된 개체는 푸른바다거 북 중 100%, 붉은바다거북 77%, 올리브바다거북 50%, 장수거북 50%였다. 플라스틱 쓰레기는 개체 당 3.48 ± 4.50 g (0-15.60 g), 37.7 ± 60.5개(0-229개)가 발견되었다. 2018년 8월 29일에 제주 에서 방류되어 9월 9일에 부산에서 좌초된 붉은바다거북 1개체에서 10.24 g의 플라스틱이 발견되으 며, 이는 매일 평균적으로 0.93 g을 섭식한 양에 해당한다. 종별로 비교하면 플라스틱이 푸른바다거 북(6.6 ± 4.8 g/turtle)에서 붉은바다거북(2.8 ± 4.1 g/turtle)에서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많 이 발견되었다. 모든 개체를 통틀어 플라스틱은 비닐과 포장재 등에서 기인한 필름형(42%), 노끈과 밧줄 등 섬유형(39%) 형태가 많았다. 푸른바다거북은 섬유형을, 붉은바다거북은 필름형을 가장 많이 섭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연안에 서식하는 바다거북의 플라스틱 섭식 양과 특징을 규명 하고, 바다거북이 해양환경 내 플라스틱 쓰레기 오염현황을 반영할 수 있는 유용한 생물지표종임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Realtime PCR법에 의한 청소년의 치아우식 유발세균 감염률 조사

        문예림 ( Ye-rim Mun ),박지현 ( Ji-hyeon Park ),조자원 ( Ja-won Cho ),김우람 ( Woo-ram Kim )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2020 大韓口腔保健學會誌 Vol.44 No.2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ection rates of bacteria associated with dental caries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in Korea. Methods: Oral examinations were conducted in 146 students. The numbers of bacteria associated with dental caries, such as Streptococcus mitis, Streptococcus mutans, Streptococcus sobrinus, and Lactobacillus casei, in the subjects’ oral cavity were counted by real-time PCR, and infection rates for those bacteria were additionally investigated. Results: The infection rate of Streptococcus mitis, Streptococcus mutans, Streptococcus sobrinus, and Lactobacillus casei was 99.3% (145/146), 63.0% (92/146), 1.4% (2/146), and 25.3% (37/146), respectively. The amounts of Streptococcus sobrinus and Lactobacillus casei did not differ with the participants’ age. However, the number of Streptococcus mutans was 537.6 for primary school students, 5698.2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19037.5 for high school students. The mean number of oral bacteria increased with age (P<0.05). The mean bacterial numbers of the infected subjects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mbers of Streptococcus mitis and Streptococcus mutans (P<0.05). Conclusions: The infection rates of Streptococcus mitis and Streptococcus mutans were distinct in children and adolescents. Efforts to control the bacteria associated with dental caries are needed to prevent dental caries.

      • 아동 친화적인 놀이 특성을 고려한 ‘서울형 키즈카페’ 사례 연구

        문예림(Mun, Ye-Rim),노신웅(Noh, Shin-Woong),박소희(Park, So-Hee),황연숙(Hwang, Yeon-Sook)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24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6 No.1

        As women’s opportunities for economic activities expand and the number of nuclear families increases, the burden of caring for children also grows. Consequently, there is a rising demand for indoor play spaces where children are able to develop in a safe and healthy environment, while their parents are at work. In response,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nitiated the operation and support of the ‘City-Run Kids Cafe’ in 2022 to ensure that children’s fundamental ‘right to play’ is protected. However, there are no standards for the kids cafe created by Seoul City, and so this study aims to present insightful data and direction for improving public indoor play spaces. The method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our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between private and public types of play spaces using academic literature on indoor play spaces.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child-friendly indoor play spaces were derived through theoretical analysis of children’s play environments. Finally, a conclusion was drawn by presenting the space-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City-Run Kids Cafe’ through field research.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among the five characteristics, ‘Amenity’, ‘Safety’, and ‘Playfulness’ were the most evident. However, ‘Diversity’ with play considering the age of children and ‘Physicality’, necessary for free movement, were found to be lacking, suggesting that improvements are needed.

      • KCI등재

        염화세틸피리디늄 및 아세트산 아연을 함유한 구강 양치액의 효과

        문예림 ( Ye-rim Mun ),최길복 ( Gil-bok Choi ),김다희 ( Da-hui Kim ),조자원 ( Ja-won Cho ),예재승 ( Jae-seung Yea )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2023 大韓口腔保健學會誌 Vol.47 No.2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outhwashes containing cetylpyridinium chloride and zinc acetate on oral health. Methods: A total of 60 participan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Fifty-three participants (27 and 26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respectively) were retained, excluding seven candidates who dropped out. The mouthwash used for the study was spat out after 10-15 ml of mouth-washing for 3 s in the oral cavity after breakfast, lunch, and dinner. Oral examination indices included the gingival (gingival index, PMA index), the patient hygiene performance (PHP index, Turesky plaque index), and the bad breath (BB checker, Oral chroma) indices. Five measurements were taken after 2, 4, 6, 8, and 12 weeks and compared. Results: Measurements of the gingival index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after 4 weeks, and the PMA index from eight weeks (P<0.05). Measurements of the PHP and Turesky plaque indic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fter 4 weeks (P<0.05). Compared to the PHP index before the experiment, that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dex decrease after 2 weeks (P<0.05). Results of measuring bad breath through a BB checker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fter 4 weeks (P<0.05). Conclusions: Oral mouthwash products containing cetylpyridinium chloride and zinc acetate relieves gingivitis, removes bacterial plaque, and reduces bad breath.

      • KCI등재

        각막교정수술안에 대한 소프트렌즈 렌즈 착용시 Masking 효과

        문예림,박형민,추병선 대한시과학회 2015 대한시과학회지 학술대회 Vol.2015 No.10

        목적: 실리콘 하이드로겔의 출시이후 처방빈도가 꾸준히 증가추세에 있다. 하지만 기존의 실리 콘의 함유로 인하여 하이드로겔렌즈에 비해 모듈러스가 높게 형성되어 있다. 이는 모듈러스는 착용감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높은 모듈러스의 렌즈를 착용 시 기존의 하이드로겔렌즈에 비해서 각막과의 밀착도가 떨어지게 될 수 있으며, 밀착정도에 따라 렌즈와 각막사이에 눈물이 형성될 수 있게 되어 굴절교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는 특히나 각막교정수술을 받은 경 우 각막이 편평하게 되어 이론적으로 이런 현상이 더 심화될 것이다. 기존 연구에서는 구면소 프트렌즈를 착용시 불규칙한 각막난시에 대한 Masking 효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 바 있지만, 각막교정수술을 받은 경우에 대한 Masking 효과에 이해는 미흡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 서는 정상적인 범위의 각막형상을 가진 그룹과 각막교정수술을 받은 그룹을 대상으로 서로 다 른 모듈러스를 가진 하이드로겔렌즈와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를 착용 시, 굴절교정 상태의 변 화 여부와 각막지형도의 변화에 대한 비교 연구를 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에는 정상적인 각막형상을 가진 그룹(12명)과 각막교정수술을 받은 적이 있는 그 룹(12명, LASIK - 8명, LASEK - 4명)가 연구에 동의하여 실험에 참여를 하였다. 각 참여자에 게는 4가지의 소프트렌즈 (-3.00D, 하이드로겔렌즈 2종(0.89Mpa, 0.49Map), 실리콘 하이드로 겔렌즈 2종(1.5Mpa, 0.8Mpa)을 무작위 순서로 우안에 착용을 하도록 하였다. 렌즈를 착용한 후 양안개방형 자동굴절검사기(shin-nippon)와 Keratograph 5M(oculus)을 이용하여 굴절력과 각막지형도를 측정하였다. 굴절력의 변화에 대한 비교에서는 우안 나안과 우안 각각의 렌즈 (-3.00D)를 착용하였을 때, 굴절교정상태의 변화정도를 비교하였다. 각막지형도의 변화에 대한 비교에서는 우안 나안과 우안 각각 렌즈(-3.00D)를 착용하였을 때 각 2회씩 촬영하였다. 연구 를 통하여 얻어진 데이터는 나안의 상태와 그리고 4가지 렌즈에 대한 ANOVA 통계를 이용하여 비교를 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참여자의 평균나이는 23.48±2.89이며, 각막교정수술을 받은 그룹의 수술 후 평균 경과 기간은 31개월이다. 모듈러스가 다른 렌즈들을 착용 시 +쪽으로 굴절력의 변화를 보여 +Tear lens effect를 보였지만굴절력에 대한 masking 효과에서 수술자와 비수술자 간의 변화량 비교(p=0.177)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각막지형도 변화에서는 수술자 비술자 모두에서 나안에서의 각막지형도 보다 각각의 렌즈를 착용한후 각막지형도 변화가 더 완만하 게 이루어졌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p=0.00) 수술자, 비수술자 모두 렌즈차 이에 따른 각막지형도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59), (p=0.415). 결론: 본 연구의 결과 모듈러스가 다른 렌즈별 굴절교정상태 변화와 각막지형도의 변화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현재 출시되는 실리콘하이드로겔렌즈의 경우 모듈러스가 기존 하이드로겔렌즈 렌즈보다 더 낮게 형성되는 경우도 있어 실리콘하이드로겔렌즈과 하이드 로겔렌즈, 모듈러스 차이등으로 인한 렌즈간의 뚜렷한 차이는 볼 수 없었다. 하지만 나안 각막 지형도와 각각의 렌즈 착용후 각막지형도의 변화 비교를 통해 구면소프트렌즈의 Masking 효과 는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경사 하강 기계학습 기법을 이용한 2D 실내 전파 방향 및 위치 측위 시스템

        강혜원(Hyewon Kang),문예림(Yerim Mun),박수민(Soomin Park),김상길(Sangkil Kim) 한국전자파학회 2021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32 No.3

        본 논문은 경사 하강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실내에서 전파 도래 방향과 전파 발생 장치의 위치를 2차원 공간상에서 탐지하는 안테나 시스템을 제안한다. 4개의 접힌 다이폴 안테나와 SP4T PIN 다이오드 스위치를 활용하여 안테나를 구성하였으며, SP4T 스위치는 아두이노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디지털 출력핀 4개로 제어된다. 제안된 안테나는 USRP N200 SDR에 연결되어 LabView 플랫폼을 통해서 수신 무선 전력 신호의 크기를 측정하였으며, Matlab과 연동되어 경사하강 기계학습 알고리즘에 따라서 2차원 실내 공간 안에서 전파의 입사 방향과 거리를 측정한다. 제안한 시스템의 정확도는 약 97 %로 측정되었다. In this paper, a 2D indoor direction and location finding system using a gradient descent machine learning algorithm is presented. The proposed antenna consists of four folded dipole antennas and an SP4T PIN diode switch. The SP4T switch was controlled by four digital output pins of the Arduino microcontroller. The antenna was connected to the USRP N200 SDR and controlled by the LabView platform. LabView transfers the magnitude of the received RF power to MATLAB to calculate the incident angle and distance of an electromagnetic wave source. The measured accuracy of the proposed 2D indoor direction and location finding system was approximately 97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