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수술 중 음악청취가 척수마취 환자의 불안, 진정 및 활력징후에 미치는 효과

        문양희,강인순,황선경 기초간호학회 2009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11 No.2

        수술을 받는 환자는 수술이 익숙하지 않고 불편한 사건이 며,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올지도 모른다는 예상 때문에 불안 을 경험한다(Mok & Wong, 2003). 척수마취로 수술을 받는 환자는 전신마취와는 달리 각성 상태로 마취와 수술을 받게 되므로, 이러한 과정이 환자에게 더욱 불편함과 스트레스를 줄 수 있고, 불안이 증가된다(Martin & Lennox, 2003). 그 러므로 환자의 긴장 완화와 편안함을 위해 진정제 혹은 마약 제제를 투여하여 적절한 진정상태를 유도함으로써, 불안을 감소시키고, 수술 중 일어날 수 있는 수술실의 소음, 의료진 사이의 대화 및 기계음 등에 대한 기억 상실로 환자의 불유쾌 한 기억을 지울 수 있도록 돕는다(Sohn, Lee, & Kim, 2004).

      • KCI등재

        인포그래픽 학습 자료를 활용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문양희(Mun Yang Hee),강동식(Kang Dong Sh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0

        이 연구의 목적은 인포그래픽 학습 자료를 활용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초등학교 5학년 8개 학급을 대상으 로 이질집단 전후검사 설계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1. 온도와 열’ 단원에서 활용할 수 있는 인포그래픽 학습 자료를 개발하여 수업에 활용하였다. 검사도구로는 과학 흥미도 검사지를 사용했으며, 검사 결과는 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실험 집단의 과학 흥미도가 높아졌고, 비교 집단의 과학 흥미도는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 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으며, 독립표본 검정 결과 사후 검사에서 과학 흥미도 의 교외과학영역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각 집단별 사전, 사후 검사의 대응표 본 검정 결과 인포그래픽 학습 자료를 활용한 과학 수업을 받은 집단의 과학 흥미 도가 상승한 것을 볼 수 있으나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그러나 과학 흥 미도의 하위 영역인 과학에 대한 자기 개념, 교외 과학, 미래 과학 참여, 과학의 중 요성 면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인포그래픽 학습 자료 를 활용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흥미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나타낸 것 이다. 따라서 인포그래픽 학습 자료를 활용한 과학 교육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science class that applies infographics learning materials affects elementary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To achieve that, this study applied nonequivalent group pre-test & post-test design method to eight fifth-grade classrooms in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developed infographics learning materials which can be used for the section of 1. Temperature and Heat in the textbook of the 1st semester for fifth-grade elementary students, and used them in class. As a test tool, a science interest questionnaire was used. The test results were analyzed by t-test. According to independent two-sample t-test on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ut-of-school science category of science interest. As for the pre-test and post-test of each group, the paired t-test revealed that although the group that took the science class applying infographics learning materials showed an increase in science intere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b categories of science interest: self-concept of science, out-of-school science, participation into future science, and importance of science. The results present the point that science class applying infographics learning materials affect elementary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o study science education based on infographics learning materials

      • KCI등재

        생리식염수 냉수 거즈와 일반 냉수 거즈의 수술 후 갈증, 구강상태, 타액 산성도에 미치는 효과 비교

        문양희(Yang Hee Moon),이연희(Yeon Hee Lee),정인숙(Ihn Sook Jeong) 기본간호학회 2015 기본간호학회지 Vol.22 No.4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compare the effect between wet gauze with cold normal saline and wet gauze with cold water on thirst, oral cavity condition, and saliva pH among postoperative patients. Methods: This study was a quasi-experimental study with 56 participants.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wet gauze with cold normal saline, and control group received wet gauze with cold water for three times at 15 minute intervals. Data were collected using visual analog scale for thirst, oral assessment guide for oral cavity condition and acidity tape for saliva pH. Measurement were made before applying the gauze and at 15min, 30min, and 45min after applying gauze. Data were analyzed using repeated measured ANOVA. Results: Thirst, oral cavity condition, and saliva pH improved in both groups with increasing number of gauze application. Thirst for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more than for the control group (F=4.29, p=.009), oral cavity condition except saliva, and saliva pH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 This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nurses can apply wet gauze with cold normal saline to reduce thirst and saliva acidity, and to improve the oral cavity condition for postoperative patients.

      • KCI등재후보

        인포그래픽 학습 자료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

        문양희 ( Yang Hee Mun ),강동식 ( Dong Shik Kang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5 科學敎育硏究誌 Vol.39 No.2

        본 연구는 인포그래픽 학습 자료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인포그래픽 인지 여부, 인포그래픽 학습 자료개발의 필요성, 인포그래픽을 활용한 과학 수업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제작하였고, 초등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초등 교사의 대부분은 인포그래픽을 접해본 적이없고, 수업 중에 활용한 적이 없다고 하였다. 활용한 적이 있는 경우에는 주로 사회, 과학 교과에서 활용하였다고 응답하였으며, 수업의 전개 단계에서 사용되었다. 인포그래픽 학습 자료 개발의 필요성 부분에서는 현재 초등학교 수업 자료로 활용 할 수 있는 인포그래픽 양의 많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인포그래픽 학습 자료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인포그래픽 학습 자료가 가장 많이 활용될 수 있는 과목은 사회, 과학 교과이며, 초등학교 3-4학년부터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응답하였다. 인포그래픽 학습 자료를 활용한 과학 수업에서 학습 자료를 제시하기에 가장 적합한 부분은 본 차시 수업 단계이며, 과학적 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다. 또한 인포그래픽 학습 자료를 활용한 교육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인포그래픽 학습 자료를 활용한 교육 자료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다. This study’s purpose is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infographics learning materials. For this, this study made a questionnaire about infographics cognition or not, the need for development of infographics learning materials, science class applied infographics. And then,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300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had the results that mo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d not some experience infographics and had never applied infographics during the class. On the other h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d some experience said that they had used infographics in society subject and science subject. And they said that infographics was used in the development stage of class. In the need for development of infographics learning materials, this study had the results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zed the quantities of infographics which could apply in learning materials of elementary school inadequate.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said that they needed infographics learning materials which could actually apply in class. Also, elementary school teachers said that the subject which could be most applied infographics learning materials was society subject and science subject. And they said that infographics learning materials was a good method which can be applied to third grade and four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In science class applied infographics learning materials, elementary school teachers said that the best class stage to presenting infographics learning materials was full-scale lesson of each chapter in curriculum and they recognized that infographics learning materials must be used for understanding scientific concepts. Add to this,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development of learning materials with the application of infographics learning materials must take precedence in order for education applied infographics learning materials to carry out successfu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