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진행된 난관임신 1 례

        목정은,원혜성,이상범,김암,이인식,나준희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8

        저자들은 본 병원 산부인과에서 15주까지 진행된 난관임신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Advanced tubal pregnancy is very rare condition, being the least common type of advanced ectopic pregnancy. We have experienced one case of advanced tubal pregnancy recently. A case of 15 weeks ruptured tubal gestation is presented with the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 available.

      • KCI등재

        자간전증 및 만성 고혈압 임신부의 혈청 투여가 배양된 인간 제대정맥 혈관내피세포의 interleukin-6 분비에 미치는 영향

        목정은,김암,이인식,이필량,김준태,구자남,오원일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4

        저자 등은 자간전증, 만성 고혈압 임신부 및 정상 임신부 등의 혈청을 배양된 인간 제대정맥 혈관내피세포에 첨가하여 배양함으로써 IL-6의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실험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정상 임신부, 만성 고혈압 임신부 그리고 자간 전증 임신부의 혈청을 투여한 경우, 인간 제대정맥 혈관내피세포에서의 IL-6의 발현양상은 배양시간의 경과에 따라 IL-6의 농도가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 었다. 2. 임신부의 혈청을 투여하여 배양한 군에서 배양 48시간 후의 IL-6의 농도는, 자간전증군에서 가장 높 았으며, 만성 고혈압군, 정상 임신부군의 순이었다. 자 간전증군의 IL-6 농도는 정상 임신부군에 비하여 현저 히 높았으나(p<0.05), 만성 고혈압군과 정상 임신부군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자간전증군과 만성 고혈압군의 비교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음성 대조군에 비하여 정상 임신부의 혈청을 투여하여 배양한 군에서 배양 48시간 후의 IL-6의 농도는 유의하게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만성 고혈압 임신부 혈 청은 인간 제대정맥 혈관내피세포에서 IL-6의 분비 를 활성화 시키는 양상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자간 전증 임신부 혈청은 제대정맥 혈관내피세포에서 IL-6의 분비를 활성화 시키는 양상이 관찰되었다. 이는 만성 고혈압의 병태생리가 자간전증과는 차이가 있음을 시사하며, 자간전증 임신부의 혈청에는 혈관 내피세포에서의 IL-6 분비를 증가시키는 어떤 인자 (들)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s: Our purpose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sera of preeclamptic and chronic hypertensive women activate the interleukin-6 (IL-6) secretion in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 (HUVEC) culture. Materials and Methods: Maternal sera were collected from 10 normal pregnant women, 10 preeclamptic patients, and 7 chronic hypertensive patients. Endothelial cells were isolated from human umbilical vein and cultured until cells were confluent. After the cells were incubated with the above sera for defined periods (0 hour, 6 hours, 12 hours, 24 hours, 48 hours), supernatants were collected for IL-6 assay. Concentration of IL-6 was measured by sensitive ELISA method.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by Kruskal-Wallis ANOVA, Dunn test, Chi-square analysis of contingency tables, and Mann-Whitney U test. Results: IL-6 was not detectable (less than 1 pg/ml) until 12 hour-incubation in all three groups. IL-6 was detected in small proportion of each of three groups only after 24 hour-incubation,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concentration of IL-6 among the groups (normal; median 0 pg/ml with range 0 to 4.3 pg/ml, preeclamptic; median 0 pg/ml with range 0 to 10.2 pg/ml, chronic hypertensive; median 0 pg with range 0 to 13 pg/ml). After 48 hour-incubation, preeclamptic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concentrations of IL-6 than those of normal group (median 29.2 pg/ml with range 19.8 to 46.8 pg/ml vs. median 17.7 pg/ml with range 9.28 to 28.9 pg/ml, p<0.05).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concentrations of IL-6 between chronic hypertensive and normal group (median 19.4 pg/ml with range 0 to 43.6 pg/ml vs. median 17.7 pg/ml with range 9.28 to 28.9 pg/ml).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sera of preeclamptic patients, not those of chronic hypertensive women,can activate the IL-6 secretion in HUVEC culture. This implys that preeclamptic sera may have a certain factor (s) which stimulate (s) cytokine secretion in HUVEC culture.

      • KCI등재

        분만진통 제 2 기에서의 모체의 산소흡입이 제대혈액가스분석 결과에 미치는 영향

        목정은,한지수,김암,이인식,이필량,강은희,박진우,정낙운 대한산부인과학회 199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9 No.6

        1995년 7월 1일부터 1995년 12월 31일까지 서울중앙병원 산부인과에 분만을 위해 입원한 합병증이 없었던 만삭의 단태 미산부를 입원 순서대로 산소흡입을 하지않은 대조군(I군), 분만 제2기에 `pushing`을 시작하는 순간부터 산소를 분당 5리터의 속도로 마스크를 통해 흡입하게 한 군 (II군), 10리터의 속도로 흡입하게 한 군(III군)으로 분류한 후, 질식분만이 이루어진 예에서 제대 동정맥에서 각각 형액을 채취하여 가스분석(pH, pCO2, pO2, base excess, HCO3, CO2 content, O2 saturation) 및 co-oxymetry(total hemoglobin, hemoglobin O2 saturation(%), hemoglobin CO2 saturation(%), volume %O2, methemoglobin)를 시행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총 74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I군이 23예, II군이 27예, III군이 24예 였다. 2. 각 군의 환자의 연령과 분만시 임신주수는 서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27.4±2.5, 27.1±3.1, 26.8±3.4; 39.7±1.2, 39.9±1.3, 39.5±1.3). 3. 분만 진통 제1기 및 2기의 기간은 각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482.6±92.7분, 509.8±106.3분, 487.6±83.7분; 39.3±16.2분, 46.3±18.1분, 34.5±11.3분). 4. I군과 II군의 제대동맥혈 가스 분석 및 co-oxymetry 결과는 모든 지표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 제대 동정맥 모두에서 pH는 I군에 비해 III군에서 높은 결과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동맥; 7.27±0.08, 7.30±0.04, 정맥; 7.30±0.07, 7.33±0.05). 6. III군은 I군에 비해 제대동맥의 경우 pO2(18.5±4.7, 21.5±4.9)가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hemoglobin O2 saturation(64.4±17.3, 42.6±14.0)과 volume %O2(19.2±14.1, 6.2±2.0)는 유의하게 낮은 값을 보였고, 그 이외의 지표들에 대해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7. I군과 II군의 제대정맥혈 가스 분석 및 co-oxymetry 결과에서는 pCO2의 값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42.4±5.6, 39.1±5.2), 그 이외의 모든 지표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8. III군은 I군에 비해 제대 정맥의 경우 pO2(22.8±6.3, 26.4±5.3)과 O2 saturation(35.4±13.8, 43.7±12.4)는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hemoglobin O2 saturation(70.1±13.9, 54.1±12.6)과 volume % O2(14.7±8.7, 9.8±6.2)는 유의하게 낮은 값을 보였고, 그 이외의 지표들에 대해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9. 분만방법, 성비, 출생 체중, 아프가 수치 및 태변 착색으로 본 분만 결과는 세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분만 진통중인 정상적인 임신경과를 보인 임신부에게 마스크를 통해 산소를 흡입하게 하는 방법은 투여속도를 높일 경우에는 (10리터/분) 태아의 산염기 평형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나 추후 더 많은 대상을 통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maternal oxygen inhalation during the second stage of labor on umbilical cord blood gas and co-oxymetry values. Seventy four normal term singleton nulliparous gravidas were randomized into the study and divided into 3 groups. In therapy groups, patients received oxygen by a tight fitting face mask during the second stage of labor until fetal delivery at flow rates of 5 L/min(group II) and 10 L/min(group III). Patients who did not receive oxygen were classified as control group(group I). After delivery, umbilical arterial and arterial and venous blood gas analyses and co-oxymetry were done. The results of group I and II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except venous pCO2(42.4±5.6 vs 39.1±5.2, p$lt;0.04). Group III showed significantly higher arterial pO2 value(21.5±4.9 vs 18.5±4.7, p$lt;0.05) and venous pO2 and O2 saturation values(26.4±5.3 vs 22.8±6.3, 43.7±12.4 vs 35.4±13.8, respectively; p$lt;0.05) than those of Group I. Cord blood hemoglobin O2 saturation and volume %O2 were recorded significantly lower value in group III than in group I. However, cord pH in group III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but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In conclusion, high-flow oxygen therapy(10L/min) to normal term laboring women, may guarantee fetal or neonatal acid-base balance.

      • KCI등재

        임신성 융모성질환 환자에서 혈청 Hman Chorionic Gonadotropin과 이의 이형체인 Free B-subunit 및 Urivary Gonadotropin Fragment의 측정

        목정은,남주현 대한산부인과학회 199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9 No.3

        울산의대 서울중앙병원 외래를 방문하였거나 입원 중인 임신 6주에서 10주사이의 정상임부 15명과 포상기태 환자 16예, 비전이성 임신성 융모성질환자 9예 및 전이성 융모성ㅈㄹ환 환자 11예를 대상으로 혈청 total B-hCG와 free B-subunit및 소변에서의 UGF치를 측정하여 그 분비양상을 분석함으로써 정상임신과 포상기태의 조기감별 및 악성 또는 전이성 융모성지로한으로의 진행을 예견할 수 있는 지표로의 이용 가능성을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B-hCG치는 정상임부에서는 114 IU/ml, 포상기태 환자에서는 354 IU/ml, 비전이성 융모성질환 환자 및 전이성 융모성질환 환자에서는 각각 106,818 IU/ml이었다. 즉 전이성 융모성질환 환자에서 가장 높았으며 정상임부와 비전이성 융모성질환 환자에서 비슷한 수준으로 가장 낮았다. 혈청 free B subunit치도 B-hCG와 마찬가지로 전이성 융모성질환 환자에서 4820 ng/ml로 가장 높았으며 정상임부에서 128 ng/ml로 가장 낮았다. 뇨증 UGF치는 혈청 B-hCG치와는 달리 포상기태 환자에서 3738 pmol/ml로 가장 높았으며 전이성 융모성질환 환자, 비전이성 융모성질환 환자, 정상임부의 순이었다. 2. 정상임신에 비하여는 모든 융모성질환에서 free B/B-hCG의 비(ng free B/IU B-hCG)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특히 융모성질환 중에서도 예후가 나븐 전이성 융모성질환에서 그 비가 높았다. 그러나 B-hCG치에 대한 UGF치의 비(pmol UGF/IU B-hCG)는 정상임부에 비하여 융모성질환 환자군에서 상당히 증가는 되어 있었으나 표ㅈㄴ편차가 너무 큰 관계로 통계적 의의는 없었다. 3. 일부 포상기태 환자에서는 치료전 뿐만아니라 치료중 매주 추적 관찰시에도 혈청 B-hCG치와 free B subunit치를 측정하였는데 포상기태 흡입술후 매주 추적검사시 측정한 free B-subunit/B-hCG의 비는 환자마다 /또 같은 환자에서도 검사시기마다 매우 일정치 않은 결과를 얻었으며 지속성 융모성질환으로 진행된 에와 자연관해된 예와의 사이에 어떠한 특징적 차이점을 발견할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정상임부와 임신성 융모성질환 환자의 혈청에서 b-hCG및 free B-subunit의 측정은 과다한 free B-subunit의 분비를 보이는 경우 정상임신과 양성 융모성질환인 포상기태의 조기감별 및 악성 또는 전이성 융모성질환으로의 진행 가능성의 에견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융모성질환에서 UGF의 측정이나 포상기태 흡인술 후 매주 추적검사시 B-hCG및 free B-subunit측정의 임상적 유용성에 대하여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o evaluate the value of serum hCG, its free B-subunit and urinary gonadotropin gragment(UGF) for early differentiation of gestational trophoblastic disease(GTD) from normal pregnancy and possible prediction for metastatic GTD, serum levels of total B-hCG and its free B-subunit and urine levels of UGF were measured in 15 normal early pregnant women and 36 patients with GTD before treatment and during follow-up. The ratio(R) of free B-subunit to total B-hCG(ng/1000mIU) were compared in each groups-normal pregnancy(NP), molar pregnancy(MP), non-metastatic(NMGTD) and metastatic GTD(MGTD). Compared to NP group(R=1.12), the mean ratio of pretreatment samples of MP(R=3.03), NMGTD(R=2.95) and MGTD(R=6.36)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p$lt;0.001). The mean ratio of MGTD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MP and NMGTD groups(p$lt;0.05). However the ratio of serial samples during treatment follow-up were very inconstant. The ratio of UGF to total B hCG were insignificant because UGF levels were very variable in same group. These data suggest that excessive production of free B-subunit of hCG may discriminate molar pregnancy from normal early pregnancy and predict a high likelihood of developing metastasis in patients with GTD. However, inconstant ratio of free B to total B hCG during treatment follow-up limit its value for the clinical efficac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과배란유도에 대한 난소반응의 예측인자로서 Clomiphene Citrate 부하검사의 임상적 유용성에 관한 연구

        목정은,김정훈,조윤경 대한산부인과학회 199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8 No.12

        1994년5월부터 1995년 7월까지 CC 부하검사를 시행한 후 과배란유도 주기에서 자궁강내 인공수정을 시행받은 3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CC 부하검사소견과 과배란유도에 대한 난소반응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기초 혈중 FSH농도(FSH1),cc 투여후 FSH농도(FSH2), FSH1+FSH2의 값과 과배란유도 후 성숙난포의숫자 및 hCG 투여당일의 혈중 E2 농도 사잉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즉 FSH1, FSH2, 또는 FSH1+FSH2의 값이 증가할수록 성숙난포의 숫자 및 혈중 E2 농도가 감소하는 음의 상관관계(negative correlation)를 나타내었다. 2. CC 부하검사상의 호르몬변수 중 과배란유도에 대한 난소반응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 FSH1+FSH2의 값을 CC 부하검사에 대한 정상치를 설정하는 기준인자로 정하였으며, 이의 기준치는18.5mIU/ml로 설정하는 것이 적절하였다. 3. FSH1+FSH2의 값 18.5mIU/ml를 기준으로 정상군과 비정상군간의 과배란유도에 대한 임상적 반응의 비교는 다음과 같았다. 성선자극호르몬 투여용량은 비정상군의 경우 47.6+or-15.0 앰플, 정상군의 경우 22.5+or-8.4 앰플, 성선자극호르몬의 투여기간은 비정상군의 경우 9.4+or-1.6일, 정상군의 경우 7.2+or-1.9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06, p=0.04),hCG 투여당일의 14mm 이상인 성숙난포의 숫자는 비정상군의 경우 8.1+or-2.4개 정상군의 경우 14.9+or-5.9개, hCG투여 당일의 혈중 estadiol치는 비정상군의 경우 1538.0+or-734.3pg/ml 정상군의 경우 2401.9+or-782.8pg/ml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p=0.01). 시술주기당 임신율은 정상군에서는 37.0%이었으나 비정상군에서는 모두 임신에 실패하였다. 4. FSH1+FSH2의 값 18.5mIU/ml 및 임신여부를 기준으로 FSH1+FSH2가 정상범위(=or18.5 mIU/ml)인 군인 제 III군으로 구분하여 각 군간의 과배란유도에 대한 임상적 반응의 비교는 다음과 같았다. 과배란유도후의 난소반응에 있어 제 I 군과 제 II 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성선자극호르몬 투여용량 및 투여기간은 제 III 군의 경우 제 I 군 및 제 II 군에 비해 유의하게 많은 용량 및 오랜 기간이 소요되었으며(p=0.001, p=0.005), hCG 투여당일의 14mm이상인 난포의 숫자는 제 III군의 경우 제 I군 및 제 II군에 비해 유의하게 작았으며(p=0.003), 혈중 E2 농도 또한 제 III군에서 제 I 군 및 제 II 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p=0.001). 이상의 결과로 볼때, CC 부하검사의 정상과 비정상군을 구분하는 기준치를 기초 혈중 FSH 농도와 CC 투여후 FSH 농도의 합이 18.5mIU/ml로 정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생각되며, CC 부하검사는 과배란유도에 있어 난소반응을 예측하는 지표로서 매우 유용할 것으로 사료되는 바이다.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assess the usefulness of colmiphene citrate challenge test(CCCT) as a predictor of ovarian response to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COH). From May 1994 to July 1995, thirty-nine infertile women who had undergone CCCT before and COH attempts for intrauterine insemination(IUI) were allocated to the study group. Baseline(day 2-3 of the menstrual cycle) and response levels(day 10) of follicle stimulating hormone(FSH), luteinizing hormone(LH)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administration of 100 mg CC on dyas of 5-9 of the menstrual cycle. COH was performed using long protocol of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GnRH) agonist in all patients included in this study. The hormonal parameters obtained during the CCCT were compared to the numbers of follicle($gt;=14mm) and values of estradio(E2) on the day of human chorionic gonadotropin(hCG) administration during subsequent COH cycle. The sum of FSH measured before and after CC intake, is the parameter that correlated best with response to COH. The upper limit of the normal value for this parameter, established by considering the CCCT performed on 10 patients who became pregnant, was 18.5 mIU/ml. Twelve patients who presented a CCCT above the normal value were compared with patients with a normal test result. In these patients, the numbers of follicle($gt;=14mm) and the values of E2 on the day of hCG administration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in patients with a CCCT result within the normal value. COH required more ampulses(75IU) of gonadotropin adminimstered, longer duration of ovarian stimulation, and no pregnancy was obtained in patients with abnormal CCCT. We conclued that CCCT appears to be a reliable method to predict individual ovarian response to CO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