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뮬레이션을 통한 창던지기 거리 추정

        류지선 ( Ji Seon Ryu ),이영선 ( Yong Sun Lee )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013 스포츠사이언스 Vol.31 No.1

        본 연구는 실제 지도의 효율성과 훈련 처방의 효과성을 제공하기 위한 일환으로 남자 국가대표 창던지기 선수의 동작을 분석한 릴리즈 각과 공격 각, 창 각속도를 초기 조건으로 고려한 운동방정식을 구축한 시뮬레이션 기법에 의해 창던지기의 궁극적인 목적인 수평 거리를 추정하고자 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실제 던진 수평 거리와 운동 방정식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기법으로 추정한 수평 거리의 편차는 5.9%내에 있었다. 또한 시뮬레이션을 통한 수평거리 추정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초기 조건으로 설정된 릴리즈 각, 공격 각뿐만 아니라 투창 속도에 의해 좌우되었다. 실제 수평 거리를 가장 가깝게 추정한 시뮬레이션에서 릴리즈 속도가 상수로 간주할 때 릴리즈 각과 공격 각의 변화는 수평거리에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선수들이 조절할 수 있는 릴리즈 각의 활용은 경기력 향상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horizontal distance, finally aim of javelin, through a simulation which was set by motion equations that need release angle and attack angle at release for initial conditions. These initial conditions were used experimental data from a male javelin thrower of national team. In conclusions, There were within 5.9% of a deviation between a horizontal distance attained by a thrower and one estimated in a simulation technique. Intial conditions as well as release velocity which was regarded as constant in this simulation effected on the horizontal distances estimated in a simulation technique. When the release velocity set as a constant, the horizontal distance of simulation was as varied as release angle and attack angle. It accordingly suggested that release angle which was controlled by throwers themselves could used in performance.

      • KCI등재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배의식(Bae, Ui-Sik),류지선(Ryu, Ji Sun),박해긍(Park, Hae Geu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13 한국사회복지학 Vol.65 No.1

        본 연구는 생활시설과 이용시설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 이직의도에 대한 영향 요인을 파악하여 시설유형에 따른 적절한 인사관리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생활시설과 이용시설의 직무만족 영향요인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생활시설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 영향 요인은 자격등급, 직무내용, 근무환경, 승진 및 발전으로, 이용시설은 직무내용, 상사 및 감독, 임금, 근무환경, 승진 및 발전, 동료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직의도의 영향요인으로는 생활시설은 직무내용, 근무환경으로 나타났고, 이용시설은 근무환경으로 나타나 근무환경이 이직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설유형에 따른 효과적인 인사관리를 위한 실천적인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by classifying social welfare facility's workers into community facility and using facility to apprehend the standard of their organize causes, job satisfaction, intention of turnover and influence cause by these. As a result, in organize causes, using facility's workers are more satisfied than community facility's workers. By influence causes of working satisfaction's resul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using facility and community facility's working satisfaction influence causes, the working satisfaction deciding causes of community facility's social workers are level of qualification, contents of works and working environment, using facility's workers are contents of works, superior and director, wages, job environment, promotion and improvement and co-workers. Living facility's social workers's influence causes of intention of changing jobs are level of qualification, contents of works and working environment and using facility's workers are only working environment. Finally, based on this study, we suggested various discuss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effective staffing

      • KCI등재

        가족의 부와 지역사회 요소에 의한 아동의 지적기능 예측분석

        김현옥(Kim, Hyun ok),류지선(Ryu, Ji sun),송영지(Song, Young ji) 한국아동복지학회 2020 한국아동복지학 Vol.69 No.4

        본 연구는 가족의 부와 지역사회 요인이 아동의 지적기능을 유의미하게 분류하고 예측할 수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제10차 데이터인 2017년 패널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기술통계, 서포트벡터머신, 랜덤포레스트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서포트벡터머신 분석 결과 가족의 부와 지역사회 요소는 아동의 지적기능에 유의미한 요소로 분류예측되었다. 둘째,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하여 아동의 지적기능을 예측하는 변수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추출한 결과 부동산 변수가 예측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금융자산, 지역시설만족도 등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아동을 둘러싼 가족의 부와 지역사회 요소가 아동의 지적기능을 예측하는 유의미한 요인임을 입증하였다. 이를 통해서 공간 불평등은 지적기능이라는 개인 고유의 형질에 침투하여 결과적으로 발달의 불평등을 야기할 수 있다는 점, 가족의 부에 의해 아동의 지적기능이 예측된다는 점이 가지는 발달격차에 대한 함의와 추후연구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whether family wealth and community factors would significantly classify and predict children’s intellectual functions. For this purpose, the 10th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collected in 2017, was utilized, and descriptive statistics, support vector machine, and random forest analysis were conducted. The finding were as follows. First, the support vector machine analysis showed that family wealth and community factors were significant classification variables for children’s intellectual functions. Second, when the relative importance of variables in predicting children’s intellectual functions was examined, using the random forest analysis, the real estate variable showed the greatest predictive power, followed by financial assets and satisfaction with local facilities. This study showed that family wealth and community factors surrounding children were significant factors in predicting children’s intellectual func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spatial inequality penetrates into individual traits of intellectual functions and consequently leads to developmental inequality. This study also provide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indicated that the developmental gap in children’s intellectual functions was predicted by family wealth.

      • KCI등재

        온종일 돌봄체계 선도사업 지역에 대한 사례연구 : 실무자가 경험한 제도의 분절성을 중심으로

        박해긍(Park, Hae-keung),류지선(Ryu, Ji-sun),배은석(Bae, Eun-seok) 사회복지정책실천회 2021 사회복지정책과 실천 Vol.7 No.3

        본 연구는 현 정부의 온종일 돌봄 생태계 구축 선도사업을 살펴보고, 기존의 초등돌봄의 분절성을 극복하고, 지역사회 내 통합적인 초등돌봄서비스를제공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도사업에 참여한 지역 중 지역의 유형을 고려하여 선정된 실무자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이론적 고찰을 통해 인적요인과환경요인, 운영차별성요인으로 범주화하여 심층면접을 실시한 결과, 설립과운영 과정에서의 성과요인으로 관리책임자의 의지, 돌봄교사의 소속감, 시설의 접근편의성, 초등교사와 돌봄교사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 탄력적 예산 운용 가능, 소득으로 구분하지 않는 이용자, 다양한 마을자원 연계 등의 소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분절성 주체들의 강점과 분절성의 영향, 분절성 극복을 통한 성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온종일돌봄체계의 지역사회내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government s project to build an all-day care system, to overcome the fragmentation of the existing elementary school care, and to suggest an improvement plan to provide integrated elementary care services in the local community.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working-level officials selected by considering the type of region among regions participating. As a result of conducting interviews by categorizing human factors, environmental factors, and operational differentiation factors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the performance factors in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and operation were the will of the manager, the sense of belonging of the caregiver, the convenience of access to the facilities, and the care with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mall categories such as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flexible budget management, users who do not discriminate by income, and connection with various community resources were derived. Based on these results, policy recommendations were made for the success of the all-day care system in the community.

      • KCI등재후보

        지역기반 보건,복지 연계 가능성에 대한 탐색연구 -노인의 생애 말기 돌봄서비스를 중심으로-

        백정원 ( Jeong Won Baik ),류지선 ( Ji Sun Ryu ),김숙남 ( Sook Nam Kim ) 한국민족연구원 2015 민족연구 Vol.0 No.64

        지역사회는 다양한 삶의 양식과 더불어 다양한 욕구가 존재하고 있는 공간이다. 복지환경 및 사회환경의 변화로 인해 다양한 욕구 중, 삶의 마지막인 생애말기 (End-of-life)에 대한 욕구도 존재하며, 이 시기와 밀접하게 관련있는 노인의 경우 복지와 보건의 욕구가 복합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애말기돌봄의 사업을 실행하고 있는 공공형 부산광역시 호스피스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전문가, 보건기관실무자, 복지기관실무자 총 36명을 대상으로 2015년 2월부터 5월까지 초점집단인터뷰(FGI)를 실행하여 지역사회의 보건과 복지의 연계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조사결과 첫째, 지역사회에서 보건복지연계가 필요하고 둘째, 협업과 연계가 되기 위해서는 협업을 위한 합의가 필요하였으며, 셋째, 연계의 핵심은 관계였다. 넷째, 각자의 영역에서 전문성이 있어야 연계가 가능하다는 점을 알 수있었다. 본 연구를 결과를 통해 보건과 복지의 연계 가능성은 있고, 보건과 복지의 영역에서 전문성을 기반으로 하는 접근을 할 경우, 대상자의 복합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좋은 복지·보건모델이 제시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local community that has close ties with our lives is a place where various life styles along with desires coexist. Due to he changes in community welfares and social environment created different desires, including the desire for quality of life at the end-of-life. There has been a complex appearance in desires for welfares and healthcare during the end-of-life quality of living for elderly citizens within local community. For that reason, this research seek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connection for health and welfare within the local community by conducting Focus Group Interview (FGI) with total of 36 experts, healthcare staffs and welfare staffs from February to May 2015. The research result is like the following. First, there``s a huge need for health and welfare connection within local community. There has been an existing complex desire for health and welfare within the local community along with natural associations, and there``s also been overlapping problems about the recipient of health and welfare related care. Second, In order to be associated with cooperative work, there needs to be a partnership agreement. Continuous mutual monitoring, using public systems such as official documents and integrated systems, and specification of main agent are important factors and both parties should compliment one another based on clearly defined roles. Third, main focus of such association is relationship. There is a need for understanding each other``s studies as well as a need for mutual understanding through meaningful conferences and case meetings. Forth, it was clear that in order for such liason to take place, each party must have expertise in their domain. Discussion and implication based on such research result are like the following. Since the local community is a dynamic and organic entity, the main source of successful social welfare implementation is to find areas within the community that falls short on performance and revitalize it. There``s a high expectation that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developing a successful social and health care services model which can resolve complex issues for its recipients by implementing professionalism within social and health care industry.

      • KCI등재

        재난피해 노인의 삶의 질 수준과 영향요인 분석

        송영지(Song, Young-Ji),권혜민(Kwon Hye-Min),류지선(Ryu, Ji-Sun) 한국웰니스학회 2020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5 No.1

        본 연구는 재난피해 노인의 삶의 질 수준이 주요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재난피해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서 구축한 2017년 재난피해자 패널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재난피해 노인 666명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통계프로그램 SPSS 22.0을 활용하였다. 구체적인 자료분석방법으로는 주요 변수에 대한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난피해 경험이 있는 노인들의 삶의 질은 성별, 연령, 학력, 월평균 가구소득, 전반적 건강상태, 우울, PTSD, 회복탄력성, 구호서비스 유용성, 사회적지지 수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났다. 둘째, 재난피해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월평균 가구소득, 건강, 우울, 회복탄력성, 구호서비스의 유용성, 사회적지지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재난 취약계층인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천적 함의를 모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ho have experienced disaster damage an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it. We used the 2017 disaster victim panel survey data, which was constructed by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NDMI)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666 disaster victim elderly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statistical package.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analysis,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ith disaster damage according to gender, age, educational background, monthly average household income, general health status, depression, PTSD, resilience, usefulness of relief service, and social support. Seco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of disaster-affected elderly were monthly average household income, general health status, depression, resilience, usefulness of relief service, and social suppor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victims of disaster were suggested.

      • KCI등재

        아동돌봄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아동전문가 인터뷰를 중심으로

        박해긍(Park, Hae-Keung),류지선(Ryu, Ji-Sun)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021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 No.41

        본 연구는 현재 다양한 정부부처에서 다차원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아동돌봄과 관련한 제도의 문제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돌봄 관련 전문가 22명을 대상으로 전문가인터뷰를 진행하고 내용분석하였다. 내용분석 결과 첫째, 아동돌봄제도의 분절성 둘째, 격차에 취약한 아동돌봄제도 셋째, 공급자 중심 행정으로 인한 서비스 이용자의 불편 넷째, 미흡한 돌봄인력 관리 다섯째, 정보의 양은 많지만 체감도는 낮고 이해하기 어려움 등의 5개의 대범주와 그에 따른 12개의 중범주로 아동돌봄제도의 문제점을 구분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통합적 돌봄체계 구축을 위한 중간지원조직 구축 및 활성화, 돌봄종사자 역량강화를 위한 표준화된 교육과정 개발, 지역별・영역별 격차 해소, 서비스 이용자 중심의 정보전달체계 개선 등 아동돌봄제도의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는 연구대상자의 선정에서 아동돌봄제도의 실수요자가 아닌, 실무자와 연구자들의 관점이 반영되었고, 실수요자의 관점을 담아내지 못했다는 점이다. 향후 본 연구의 한계를 극복한 후속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rdy was to analyze the problems of child care and related policies and systems currently in multi-dimensional process, and to suggest improvement strategies accordingly. For this purpose, expert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2 experts in child care and their content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First, the fragmentation of the child care system; Second, the child care system vulnerable to disparities; Third, the inconvenience of service users due to the provider-centered administration; Fourth, insufficient management for child carer; Fifth, difficulties to understand because of voluminous information, It was divided into five major categories and 12 medium categorie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proposed to establish and activate an intermediary organization for the integrated care system, to develop a standardized curriculum for strengthening the competency of care workers, to reduce the gap by region and area, and to improve the personnel relationship focused on service user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perspectives of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not actual users of the child care system such as parents, are not reflected in this study.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스마트기술의 공사비 산정 및 사례 분석

        양구승(Ku Seung Yang),김용일(Yong Il Kim),지선(Ji Sun Choi),수지(Su Ji Ryu) 대한토목학회 2024 대한토목학회지 Vol.72 No.6

        건설분야의 대표적인 스마트 건설기술 중의 하나인 OSC 기술 가운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법은 현장타설 콘크리트 공법에 비해 품질 확보, 공기 단축, 친환경, 인력 절감 등 다양한 면에서 장점을 확보하고 있어 「품질 확보와 생산성 향상을 양립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기술」로서 향후 활용이 더욱 촉진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정부의 제7차 건설기술진흥 기본계획(2023년 12월)에 따르면, OSC 기반 건설산업 제조화를 위하여 건설 기준, 공사비, 발주 제도, 내화 기준 등에서의 제도 정비, 공공발주 확대, 인센티브 부여. 성장 기반 마련, 인식 개선 등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OSC공법의 공공발주 확대를 위하여 토목분야의 경우 교량상부(바닥판, 거더 등)를 중심으로 적용되는 PC 공법을 교량하부(교각, 교대 등) 및 옹벽·방음벽 등으로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에서 시공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들의 다양한 특징과 더불어 공사비, 공사기간 등을 중심으로 현장타설공법과의 비교 및 사례들에 대해 분석, 정리한 것을 소개함으로써 향후 국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법의 스마트 건설기술로서의 실용화 및 활성화에 참조가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총 190건의 프리캐스트 공법 사례(L형 옹벽 75건, BOX CULVERT 115건)에 대해 공사기간, 노무비, 초기 cost, 계약형태(당초 설계, 설계 변경, 시공 허가) 등에 따른 비교 결과 및 프리캐스트 공법 도입의 목적과 효과 등에 대한 비교 결과를 소개하였다. 또한 대표적인 사례로서 하천 도로 구조물 공사의 BOX CULVERT, L형 옹벽, 교량 하부 교각, 교량 상부공, 터널 INVERT, 철도용 ARCH CULVERT 등에 활용된 PC 구조물에 대한 특징을 현장타설 공법과 비교하여 공사비, 공사 기간 등을 중심으로 소개하였다.

      • 카누 스트로크 동작의 운동학적 요인 분석

        류지선,이정수 韓國體育大學校附屬 體育科學硏究所 1997 韓國體育大學校附屬 體育科學硏究所論文集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ison kayak stroke with canadian stroke from kinematic point of view in Canoe. Cinematography was used to analyed the kinematic variables. The findings were drawn as following; 1. Kayak stroke time from entry to exit was shorter over 2 times than canadian stroke. 2. The canadian stroke was lager in paddle angle recorded on the sagittal planed than kayak stroke. 3. The canadian stroke was larger in the trunk angle recorded in the sagittal planed and the shoulder angle recorded in the horizontal plane than kayak stroke. 4. The canadian stroke was larger in the displacement of the shoulder joint, the elbow joint, paddle tip and boat than kayak stroke, while kayak stoke was faster in their velocity than canadian strok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