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여 청소년 상상의 발달적 차이 분석

        전명 ( Myong Nam Jun ),윤정륜 ( Jeong Lyoon Yoon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03 중등교육연구 Vol.51 No.1

        상상에 있어서 연령과 성별에 따른 발달 차이를 조사하였다. 성별의 주 효과는 의미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연령에 의한 주 효과와 연령과 성별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사춘기에 상상이 강해진다는 Vygotsky(1930/1986) 의 제안에 근거한다면 중학교 1학년 시기에는 사춘기에 접어든 청소년과 그렇지 않은 청소년이 혼합되어 있으므로 청소년기의 연령 증가에 따라 상상의 발달을 기대해 볼 수 있었으나, 청소년기 초기인 중학교 1학년 시기나 청소년기 중반 및 청소년기 후기인 대학생 시기의 상상의 수준은 거의 차이가 없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성별에 따른 청소년기 상상의 차이만이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왔다. 이 연구의 결과는 Taylor, Fulcomer와 Taylor(1978)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상상에 대해 조사했을 때, 여자 고등학생들이 남자 고등학생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은 상상 수준을 보였다는 보고와 일치된다. 또한 Rorschach 검사 보고에서 여자들이 M 수준에서 보다 높은 점수를 획득한다는 결과와도 일치된다(Taylor, Fulcomer & Taylor, 1978). 상상의 하위요인인 생동감?긍정의 백일몽, 죄책감?부정적 정서의 백일몽, 정신산만의 백일몽 각 영역 가운데, 생동감?긍정의 백일몽 점수는 여자 청소년이 남자 청소년의 점수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즉, 이러한 결과는 Taylor, Fulcomer와 Taylor(1978)의 연구결과와 비교되는 부분이다. Taylor, Fulcomer와 Taylor(1978)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을 때 여자가 남자에 비해 죄책감?부정적 정서의 백일몽은 낮게 나왔고, 정신산만의 백일몽은 높게 나타난다고 보고한 바 있다. 여자 고등학생이 남자 고등학생보다 정신산만의 백일몽이 높게 나온 결과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집중(concentration) 하는데 어려움을 가진다고 해석하였다. 그러나, 중?고?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이 연구에서 나온 결과는 생동감 긍정의 백일몽만이 여자가 높고 죄책감?부정적 정서의 백일몽, 정신산만의 백일몽은 남?여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선행 연구와 상반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 연구의 결과에 근거하면 여자 청소년이 남자 청소년에 비해 시각적 및 청각적 심상이 있는 보다 생생한 백일몽을 꾸거나 백일몽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과 수용을 보여준다고 말할 수 있다. 이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의 조사방법은 횡단적 연구이기 때문에 실제 발달적 차이는 연령간의 차이보다 집단 간의 차이를 반영했을 가능성이 있다. 둘째, 인간의 상상 능력을 단지 Singer와 Antrobus(1970, 1963)의 상상과정 검사(Imaginal processes inventory)로 측정된 상상 점수를 사용했기 때문에 연구의 일반화 가능성이 제약된다. 또한 Singer와 Antrobus(1970, 1963)는 상상의 주된 과정이 백일몽이라고 가정하고 있다. 건강한 사람의 정상적 특징(normal trait)이 백일몽이지 신경증적인 특성으로 보아서는 안된다고 했다. 이에 반해, Welsh(1956)는 높은 백일몽 빈도는 MMPI(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의 신경증 요소로 간주 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Singer(1961, 1962)는 백일몽 빈도와 Cattell의 불안척도(anxiety scale)와 같은 불안 측정치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고한 바 있다. 이러한 결과에도 불구하고, Singer와 그의 동료들은 빈번한 백일몽은 건강한 정신(healthy nature)의 특징이며, 자아강도(ego strength)의 핵심적 요소라고 간주하고 있다. 따라서, 상상의 본질과 성격에 대한 보다 집중된 논의가 미래 연구에 요구된다. 한편, 이 연구는 중?고?대학생의 청소년기의 피험자에 한정되었다. 따라서, 유아기, 초등학령기, 성인기의 피험자에 확대 표집하여 상상의 발달차를 연구해 볼 필요성을 제기할 수 있다. 보다 대표집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비교하는 연구나 횡단적 연구뿐만 아니라 종단적 접근의 상상 발달 연구가 미래 연구로서 요구된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기 상상의 양적인 차이만을 다루었을 뿐이므로 질적인 변화를 규명해 볼 필요성이 있다. 이외에도 질문지법에 의한 상상의 측정에 머물지 않고 놀이, 실험, 신경심리 및 뇌 측정적 접근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상상을 다루는 접근법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몇 가지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기의 상상에 대해 기술하고 남?녀 청소년의 상상에서의 차이를 보여주는 실증적 자료들을 제공해주고 있다. 현대에 와서 상상은 보편적인 사고현상이라는 생각이 지배적이 되고 있고, 특히 컴퓨터나 영화 및 TV 의 일상화는 인간의 상상에 의한 장면들을 자유롭게 외적 표상으로 나타낼 수 있도록 만들고 있지만, 상상에 대한 연구는 외국은 물론 국내에서 극히 소수 연구자들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을 뿐이다. 전자정보의 발달이 가상현실을 현실화시키고 있는 점을 감안해 볼 때 남?녀 청소년의 상상 발달과 그 상상에서의 차이를 비교해 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mpirically to examine the developmental differences in imagination of male and female adolescence. The self- report instrument was completed by sample of 205 7th, 9th, 11th through university students. Distinct sex differences were found showing more positive-vivid daydreaming for females. By the way,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age in imagination of adolescenc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eraction effect of age with sex were not found.(Yonsei Univ./Kyungpook National Univ.)

      • SCIESCOPUSKCI등재

        남병철의 혼천의 연구 I

        이용삼,김상혁,문현,LEE YONG-SAM,KIM SANG-HYUK,NAM MOON-HYON 한국천문학회 2001 Journal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Vol.34 No.1

        In this paper we have reconstructed an armillary sphere based on the Method of an Armillary Sphere Making described in the Volume 1 of The Collection of Writings on the Scientific Instruments-Uigijipsol (儀器輯說, two volumes) edited in the 1850's by Nam Byong-Chul (南秉哲, 1817-1863) who was a famous Korean states-man-scientist. Nam achieved convenience and accuracy in the measurements of stellar positions in the manner of selective setting the equatorial, ecliptic and horizontal poles by adding a pole axis exchange ring called Jaigeukkwon (載極圈) between the Three Arrangers of Time and Four Displacements. We made use of 3-dimensional graphic software for modelling Nam's armillary sphere which consisted of five layers-eight rings. Results of simulation showed that the pole axis exchange ring functioned properly in setting the equatorial, ecliptic and horizontal coordinates simply by exchange of positions of specified holes on the ring. We ascertained that the invention of Jaigeukkwon solved inherent problems in the conventional Chinese armillary sphere in computation of real ecliptic coordinates. It was revealed that Nam Byong-Chul made great contributions in the East Asian history of armillary sphere making.

      • KCI등재

        각질형성세포에서 ROS로 유도된 염증반응에 대한 능실 추출물 및 그 분획물의 항염 효과

        진주 ( Jin-ju Nam ),김연준 ( Youn Joon Kim ) 대한화장품학회 2015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1 No.1

        자외선은 외부적인 스트레스 자극인자로 작용하여 사람 각질형성세포에서 reactive oxygen species (ROS)와 비활성 코르티손을 활성 코르티솔로 전환시키는 효소인 11β-hydroxysteroid dehydrogenase type 1 (11β-HSD1)의 발현 및 활성을 증가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ROS가 증가된 피부에서는 염증 유발 사이토카인과 염증 매개 인자의 발현이 증가되어 결과적으로 염증반응을 일으키게 되는 원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각질형성세포(HaCaT)에서 11β-HSD1 억제제가 ROS 분해효소인 catalase의 생성을 회복시킴에 착안하여, 11β-HSD1의 발현을 저해함과 동시에 ROS로부터 유도되는 염증 반응을 억제하는 천연물 소재를 발굴하고자 하였다. 그 중 능실 추출물과 그 분획물은 각각 11β-HSD1의 발현과 ROS 생성 증가를 억제하고,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umor necrosis factor (TNF)-α, interleukin (IL)-1α, -1β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또한, 자외선에 의해 유도되는 염증 매개인자인 cyclooxygenase (COX)-2,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prostaglandin E<sub>2</sub> (PGE<sub>2</sub>)의 생성을 저해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로부터 능실 추출물 및 그 분획물은 11β-HSD1의 발현을 억제함과 동시에 ROS에 의해 유발된 피부 염증 반응을 효과적으로 저해함을 확인하였다. Ultraviolet B (UVB) irradiation induces both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glucocorticoids (GCs)-mediated stress responses such as an increase of 11β-hydroxysteroid dehydrogenase type 1 (11β-HSD1) activity in skin. In addition, ROS-induced inflammatory mediators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trigger skin inflammation. In this study, as 11β-HSD1 inhibitor recovered a decrease of catalase expression, we investigated whether Trapa japonica (TJ) extract and its fractions could inhibit 11β-HSD1/ROS-induced skin inflammation in HaCaT keratinocytes. TJ extract and its fractions inhibited expressions of 11β-HSD1 as well as the increase of ROS in UVB-exposed HaCaT keratinocytes. Moreover,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interleukin (IL)-α, -β and tumor necrosis factor (TNF)-α, and cyclooxygenase (COX)-2 and inducible NO synthase (iNOS) as inflammatory mediators were also inhibited in both mRNA and protein levels. Finally, prostaglandin E<sub>2</sub> (PGE<sub>2</sub>) produced by COX-2 was inhibited effectively by TJ extract and its fraction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J extract could be a potential anti-inflammatory ingredient to inhibit UVB-induced inflammation in skin.

      • 가상 완드 스타일의 직관적인 변형을 지원하는 공간 스케치 시스템

        상훈(Sanghun Nam),채영호(Youngho Chai) 한국HCI학회 2009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09 No.2

        공간 스케치에서 그리고자 하는 모델의 종류에 따라 효율적인 입력장치가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 범용적인 공간 스케치 시스템에서 다양한 형태의 완드 형태를 지원하여 그리고자 하는 모델 또는 모델의 특정 부분에 적합한 완드의 형태를 바꾸어 가며 사용함으로써 효율적인 공간 스케치를 수행할 수 있다. 모델을 스케치 하는 중에 완드의 형태를 변형하기 위하여 기존의 메뉴를 사용하지 않고, 완드의 자세 또는 경로를 조절함으로써 완드의 타입과 형태를 바꾸는 완드 스타일을 제안하였으며, 완드의 입력 데이터를 격자 기반의 드로잉 기법을 사용하여 공간 스케치 시스템에 적용하였다. According to the target object for designer to sketch, an effective style or shape of input device can be defined differently. The general spatial sketching system that support various types of wand assist sketching effectively as changing suitable wand shape to the part of a target object. We suggest the idea of changing wand style by altering the posture of a 3D wand. This allows a designer to work in an intuitive way without being interrupted by complicated menus. We implement the various wand styles to the spatial sketching system with cubic-based drawing technique.

      • KCI등재

        중·고령자의 일자리 이동에 관한 연구

        기성(Kiseong Nam) 한국자료분석학회 202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2 No.6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의 고령화연구패널을 이용하여 중·고령층의 일자리 이동에 따른 실태와 일자리 이동 이후의 효과에 관하여 분석한 연구이다. 노후의 복지가 빈약하고, 중·고령자의 경제 활동 참여율이 높은 우리나라의 특수한 상황이지만, 50세 이상의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일자리 이동 현황과 이동 효과에 관한 연구는 없는 상황이다. 연구내용은 일자리 이동 실태를 분석하고, 개인이 일자리 이동으로 얻을 수 있는 효과인 고용 형태, 근로 형태, 월평균 임금 등에 대해서 일자리 이동 이전(6차 조사)과 이동 이후(7차 조사)의 상태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서 일자리 이동의 현황으로 6차에서 7차 사이에 일자리 변동이 없는 동일일자리는 77.3%이고, 일자리 변동은 22.7%(일자리 이동 7.5%, 실직 15.2%)를 차지하고, 직종 대분류 기준에서 동일직종으로의 이동은 40.8%, 다른 직종으로의 이동은 59.2%로 분석되었다. 청년층의 일자리 이동과는 달리 전반적으로 여성, 고연령, 저학력 등에서 동일직종으로의 이동 비율이 높으며, 동일직종으로의 이동이 근로일수, 시간, 월평균 임금 등에서 오히려 부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다만, 중·고령자들 중에서 노후 준비가 잘되어있고, 재정적으로 여유가 있는 경우는 비경제활동상태(은퇴)로 전환되는 현실을 고려하여 분석 결과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연구 결과는 향후 중·고령층의 일자리 연구의 기초를 마련하며, 정책적 결정에 필요한 근거가 되리라 판단된다. This study analyzes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elderly people s job mobility and the effects after job mobility using the KEIS s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KLoSA). Through this, the study looks into the status of job mobility, and analyzes the effects that individuals can obtain from job mobility, such as employment type, work type, and average monthly wage, focusing on the status of before job-shift(6th survey) and after movement(7th survey). As for the current status of job mobility, there was no change in 77.3% of the interviewees between the 6th and 7th survey, and 22.7% have moved their jobs(job mobility 7.5%, unemployment 15.2%). Among the people who have shifted their jobs, 40.8% of respondents moved to the same occupational category and 59.2% moved to different type of occupation. Unlike job-shift among young people, women, the elderly, and the low-educated people had a high overall rate of job mobility to the same occupational category, and this shift had a rather negative effect on the number of working days, working hours, and average monthly wa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lay the foundation for future research on jobs for the elderly, and will serve as the basis for policy decisions.

      • KCI등재
      • 고령보행자의 횡단행태 분석 연구

        승용 ( Nam Seung-yong ) 한국도로교통공단 2019 교통안전연구 Vol.38 No.-

        본 연구에서는 고령보행자의 보행특성 분석을 통한 대책 수립을 위하여 의식조사와 보행실태조사를 수행하였다. 먼저 의식조사 결과 고령자가 비고령자에 비해 고령자 판단기준 연령을 더 높게 생각하고 자신의 신체 상태에 대해 문제가 없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고 위험성도 높지 않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최근 5년간 교통사고 경험에서도 고령자의 보행교통사고 경험 비율이 약 3배 가량 높게 나타나 실제 고령자의 보행 중 교통사고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둘째, 실제 6개 유형의 횡단보도를 횡단하는 고령보행자에 대한 실태분석 결과에서는 고령자는 비고령자에 비해 횡단속도는 느렸고, 녹색신호 후 반응시간 역시 비고령자에 비해 늦었다. 횡단 시 좌측확인과 횡단 중 우측확인의 경우에는 고령자와 비고령자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전반적으로 확인하는 비율은 매우 저조한 것으로 보인다. In this study, a conscious investigation and a walk status survey were conducted to establish countermeasure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walkers. First, the survey found that the elderly considered the age, which was one of the judgment criteria, for the elderly to be high than those for the nonaged. The elderly believed that there was no problem with their physical condition, and the risk of an accident was not high in their case. However, the percentage of elderly people who experienced pedestrian traffic accidents over the past five years is about three times higher, which presents the conclusion that there prevails a high risk of traffic accidents in the case of elderly pedestrians. Second, the analysis of the status of the elderly pedestrians crossing six types of crosswalks revealed that they had slower traversal speeds in comparison with the nonaged, and their reaction time after the green signal was also slower than the nonage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elderly and the nonaged in the case of left- and right-check identifications while crossing; the overall identification rate was very low.

      • 이동최소자승법에 기반한 입자법 시뮬레이션 기술 개발

        정우(J.-W. Nam),정세민(S.-M. Jeong),박종천(J.-C. Park),秋元 博路(Hiromichi Akimoto) 한국전산유체공학회 2012 한국전산유체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2 No.5

        MPS(Moving Particle Simulation) and SPH(Smoothed Particle Hydrodynamics) methods have some serious drawbacks for pressure solution. The pressure field shows spurious high fluctuation both temporally and spatially. One of the reason why the pressure fluctuation is occurred is that free-surface particles are not recognized accurately. The other is the approximation of the partial differential operators. MPS and SPH methods employ a pre-defined kernel function in approximation of the gradient and Laplacian operators. Since the kernel function is constructed artificially, an accurate solution cannot be guaranteed, especially when the distribution of particles is irregular. In this study, we propose a particle simulation method based on the moving least-square technique for solving the partial differential operators by Taylor-series expansion. The developed method was applied to the hydro-static pressure and dam breaking problems for its validation.

      • 복사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노즐 출구에서의 스펙트럼 예측

        현재(H.J. Nam),권오준(O.J. Kwon) 한국전산유체공학회 2011 한국전산유체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11

        Numerical simulations of thermal emission spectra at rocket nozzle exit were performed by using a line-by-line radiation model. In the present study, it was assumed that rocket plume consists of only H<SUB>2</SUB>O and CO<SUB>2</SUB> molecules. The most up-to-date high resolution radiation database, HITEMP2010, was used to obtain the absorption coefficients of the two molecules. The effect of collisional broadening was taken into account so that spectral lines are broadened in the shape of Lorentzian line profile. Spectral emissivity and emissive power were calculated and compared with experimental measurements and other numerical simulation results. Each spectrum of H<SUB>2</SUB>O and CO<SUB>2</SUB> molecules agreed well with other observed spectra and the calculated spectra of the mixture of the two molecules were also agreed well with other numerical results. A spectrum prediction at nozzle exit under a flowing condition was made in the wavelength range of 2 to 10 μm. The result showed good agreement with experimental data but it was slightly underpredicted at the wavelength of 3.5, 4.7 and 5.3 μm. One possible reason for the underprediction at certain wavelengths may be due to the absence of emission of diatomic molecu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