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異国遍歴小説における異国

        金?淳 한국일본문화학회 2014 日本文化學報 Vol.0 No.62

        Contrary to what people might think, Edo people were absolutely curious about foreign culture, and that is part of the reason why imaginary travel stories, including Wasobyoe, and Huryusidokenden, Chinsetsuyumiharizuki were enormously popular. Images of foreign countries in Edo period, offered as wonderful and amusing shows, testify people’s innocent curiosity for the strange and marvelous. But the problem is, the innocent curiosity for the strange can sometimes be separated from the desire to conquer the ‘Other.’ In Wakansansaizue, the foreign lands, or Ikoku, are divided into two groups: actual foreign countries and imaginary lands of Barbarians, or Gai-I, Actual foreign countries include China, Korea and Ryukyu. Lands of Barbarians are full of strange and wonderful monsters. Land where only women lives, or Nyoninkoku(Nogogasima). Women in Nyoninkoku are said to become pregnant by south wind or wind. Nyoninkoku is placed west to China, south east to Europe, or Ko-Mo Koku. There are no land or sea routes to Nyoninkoku. In this country, residents are all women. They are courageous and warlike. The country law dictates that men from foreign countries are to be invited to Nyoninkoku in spring.

      • KCI등재

        호서 지명고(湖西 地名攷) - 상징 지명의 의미와 영역 정체성 -

        배(Sun-Bae Kim)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20 문화 역사 지리 Vol.3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충청도의 별칭으로 사용되고 있는 ‘호서(湖西)’라는 지명의 명명 및 의미 구성의 과정과 기능들을 분석하고, ‘호서’의 지명 영역과 변천, 그리고 그 이름에 담긴 영역 정체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첫째, ‘호 서 지명의 의미 구성’과 관련하여 자크 라캉의 상상계, 상징계, 실재계 개념을 확장시켜 ‘호서’라는 이름이 상상 지명에서 상징 지명으로 질적인 변화를 경험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둘째, ‘호서 지명의 영역 정체성’에서는 행정 지명 ‘호서’가 가리키는 구체적인 지명 영역과 그 변천 과정을 확인한 후, 상징 지명 ‘호서’가 함축하고 있는 영역 정체성을 문헌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결국 ‘호서’라는 이름은 16세기 전반 ‘호남(湖南)’을 모방하여 명명한 상상 지명에서 시작하여 17세기 이후 충청도를 대체하는 행정 지명으로 쓰이고, 18세기 이후부터는 영역 정체성을 재현하는 상징 지명으로 진화하였다. 그러나 1896년 지명 영역의 분할로 인하여 상징 지명으로서의 물질적 기초가 분열되면서 쇠퇴의 길을 걷게 되는데, 일제 강점기와 현대를 거치면서 ‘호서’라는 이름은 상징 지명으로서의 기능이 크게 위축되었고, 젊은 세대의 지명 인식과 기억으로부터 점차 멀어져 가고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process of naming and constructing meaning on the symbolic toponym Hoseo(湖西) which is another name of Chungcheong-do Province (忠淸道), and its functions as well as the changes of toponymic territory and territorial identities on it. In the first chapter related to ‘the constructing meanings of Hoseo’, I explore the concrete process of the name Hoseowhich is to transform qualitatively the imaginary toponym into the symbolic one, extending the three Lacanian concepts, the Imaginary, the Symbolic, and the Real. In the second chapter based upon ‘the territorial identities of Hoseo’, focusing on the literature review, I examine not only the toponymic territory which the name Hoseo as an administrative toponym denoted, and its change since the late Joseon Dynasty, but also the territorial identities which the name Hoseo as a symbolic toponym connoted. In brief, the imaginary toponym Hoseo had started naming imitatively after the name Honam (湖南) in the early 16th century, and it has been used as an administrative toponym replacing the name Chungcheong-do ever since the late 17th century. Eventually it had been evolved as a symbolic toponym representing the territorial identity of the people of Chungcheong-do Province. Yet, soon after that the administrative district of Chungcheong-do has been officially divided into two parts, Chungcheongbuk-do and Chucheongnam-do in 1896, the physical basis of the symbolic name Hoseo was also split up as well as continued to decline. As a result, from the Japanese colonial era up to the present, the symbolic function of the name Hoseo has been noticeably weakened, while it has been gradually fading from their memory and awareness of the young generation.

      • KCI등재

        임파워링 리더십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다차원 저항의 매개효과

        성 훈,지 성 호,강 영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4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1 No.5

        본 연구는 임파워링 리더십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다차원 저항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에 활용된 자료는 서울과 경기도 지역 사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에는 396명으로부터 응답된 자료가 활용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임파워링 리더십은 건설적 저항과 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영향력이 있으며, 역기능적 저항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다차원 저항(건설적 저항, 역기능적 저항)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건설적 저항만이 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셋째, 다차원 저항의 매개효과에서는 건설적 저항만이 임파워링 리더십과 혁신행동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구명되었다. 연구의 학문적 시사점으로는 첫째, 임파워링 리더십과 다차원 저항유형의 관계를 규명하여 리더십 연구영역에 부하 저항을 활용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둘째, 임파워링 리더십과 혁신행동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연구결과를 다양한 선제적 행동으로 확대할 수 있는 논리를 제공하고 있다. 셋째, 기존의 단일차원 저항연구를 다차원 저항으로 확대하여 저항의 긍정적 효과제시하고 있으며, 아울러 건설적 저항의 매개 메커니즘을 규명함으로써 이 분야의 연구 확대에 의미있는 정보를 제공해 주고 있다. 실무적 측면에서도 임파워링 리더 육성과 건설적 저항을 흡수할 있는 제도적 장치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있다. This study is aimed to empirically investigate mediating effects of multi-dimensional subordinate's resistance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s. The data which was applied to analysis was collected from 396 employees who have worked at private companies located in Seoul and Kyeonggi-do province. We used latent variable methods in analysis so as to minimize the bias of casuality from common method bias by self-report and carried out the hierarchical X2 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mpowering leadership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functional resistance and innovative behaviors. Second, cfunctional resistance affected innovative behaviors positively in the relations multivariate resistance-innovative behavior. Third, the mediating effects by multivariate resistance demonstr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links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s as partial mediation. The implications of current study are follows. First, empowering leadership affects multivariate resistance differently. Empowering leadership facilitates functional resistance and reduce dysfunctional resistance. Second, empowering leadership has positive linear impact to innovative behaviors Such the result, both empowerment and intrinsic motivation of empowering leader behaviors lead to voluntary innovative behavior in organizations effectively. Third, the mechanism of empowering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s by multivariate resistance was proved empirically.

      • KCI등재

        일-가정 갈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유연근무제 만족도를 중심으로 -

        이 선 경,이 춘 우,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4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1 No.5

        일-가정으로부터의 상충되는 요구로 인해 조직구성원은 갈등을 겪게 되고 이러한 갈등은 조직목표 달 성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된다. 기존 연구는 일-가정 갈등(Work-Family Conflict: WFC) 양상에 주목하 는 반면 갈등초래의 원인에 대해서는 제한적인 관심을 보여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원소모 모형 (Resource drain model)을 기반으로 갈등의 원인에 따라 일-가정 갈등(WFC)을 일-가정 방해 갈등(Work Interference with Family: WIF), 가정-일 방해 갈등(Family Interference with Work: FIW)으로 나누고 갈등의 원인을 시간, 긴장, 행동의 영역으로 세분화하여 구성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아울러 직무특성화 모델(Job characteristics model)을 활용하여 유연근무제에 대해 조직구성원이 느끼는 만족도가 높을수록 시간 통제감과 자율성을 가지게 되어 일-가정 방해 갈등(WIF)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낮출 것이라 예측하였다. 대기업 직장인 143명으로부터 얻은 설문 테이타를 이용하여 상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일-가정 방해 갈등(WIF)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줌을 알 수 있었고, 일-가정 방해 갈등(WIF)의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키는데 유연근무제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효과적인 사실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이론과 실증결과는 일-가정 갈등(WFC)이 원인에 따라 이직의도에 주는 영향이 다름을 밝혔고, 기업과 경영자들에게 유연근무제가 일-가정 방해 갈등(WIF)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전략적 제도가 될 수 있음을 보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Contradicting demands from work and family challenges organizational members, making them less committed to organizational goals. Existing studies tend to focus more on work-family conflict as organizational phenomenon but less on the causes of such conflict. Building upon the resource drain model and using the origin of conflict as a criterion, this study categorizes work-family conflict into work interference with family (WIF) and family interference with work (FIW), introduces time, strain, and behavior as three dimensions of conflict, and examines their influences on employee turn-over intention. Additionally, this study, drawing from job characteristics model, predicts that organizational members’ satisfaction with flexible work practice will reduce the effect of WIF on turn-over intention as the members feel more empowered with perception of time-control and autonomy. Using the survey data from employees of major corporations in Korea, this study run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Results show that WIF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employee turn-over intention and that employee satisfaction on flexible work practice effectively decreases the harmful impact of WIF on turn-over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research by showing that work-family conflict has a deferential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depending on where the origin of conflict resides. This study also offers a practical implication to managers by proposing that flexible work practice, unlike conventional view as a welfare policy, can be a strategically meaningful practice that can not only effectively reduces employee turnover but also fundamentally solve the problem of work-family conflict.

      • 농촌 노인의 식품 기호도 조사

        박기,박영숙, 순천향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1996 순천향자연과학연구 논문집 Vol.2 No.2

        A study about food preference of the elderly in rural area was performed to 110 home-living subjects by questionaires and personal interviews. We found that they prefered the sweet and hot than the salty and sour. Among five food groups vegetables and fruits were the most favorite food groups to the elderly. followed by meats, fishes, eggs and legumes. Fats, oils and sugars were the least favorite one. Cooked rice with legumes was the most liked food among the grains and starches. most of the elderly liked soy paste and soybean curd among meats, fishes, eggs and legumes and yogurt among milk and milk products. They liked dried seaweed, watermelon, percimon, lettuce, peach, chinese cabbage and cucumber among vegetables and fruits and enjoyed vegetable oils including sesami oil among fats and oils.

      • CT상 외상후 지연성 뇌내 및 뇌외 출혈환자의 임상적 의의

        오연희,이성우,이현경,이영배,박용석, ,승현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1995 東國醫學 Vol.3 No.-

        두부 손상 환자의 첫 CT검사를 통하여 외상후 지연성 뇌내 및 뇌의 출혈의 빈도와 임상 경과를 알아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저자들은 약 6년간 두부 손상으로 CT를 시행한 316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추적 CT검사를 시행한 293명 중에서 지연성 뇌내 출혈이 있는 63 예, 지연성 뇌의 출혈이 있은 34 예등 총 9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추적 CT중에서 지연성 출혈부위와 첫 외상 후 지연성 출혈시기, 그리고 출혈 부위 두개골 골절 여부 및 골절 부위의 혈종의 종류를 관찰하였고 환자의 임상 결과는 Jennett & Band 등급으로 이용하여 분류하였다. 지연성 뇌내출혈이 발생한 시기는 두부 손상 당일 부터 12일 이내에 있었고 지연성 뇌외 출혈 시기는 1일에서 69일 사이로 다양하였다. 지연성 출혈 부위와 두개골 골절 부위의 일치도를 살펴보면 지연성 뇌내 출혈은 22 예로 이중 두정부 골절이 8 예로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내었고, 지연성 뇌의 출혈은 7 예였으며 전두부, 후두부, 측두부가 각각 2 예로 동등한 빈도를 나타내었다. 뇌실내 출혈은 지연성 뇌내 출혈시 동반이 잘되는 것으로 나타나 12 예, 지연성 뇌의 출혈 3 예였다. 임상적 경과는 회복 양호 6예, 중등도 장애 61예, 중증 장애 21예, 그리고 사망 3 예였다. 결론적으로 첫째, 두보손상 환자의 지연성 뇌내 및 뇌의 출혈은 보고 된 것보다 높은 빈도를 나타내었고, 둘째, 두개골 골절이 있는 환자는 골절 부위에 지연성 출혈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집중적 경과 관찰을 요한다. 세째, 뇌실내 출혈은 지연성 뇌내 출혈시 동반이 잘 되며 임상적 경과도 중등도 장애 이상이었다. Development of delayed intracranial hematomas, both intraand extracerebral, and clinical outcome were evaluated by comparing the inital scan with subsequent studies. We have undertaken a retrospective study to evaluate the development of delayed intraand extracerebral hematomas in 293 consecutive patients admitted from head injury of follow-up brain CT, sixty-three delayed intracerebral hematomas and thirty-four delayed extracerebral hematomas were encountered. Follow-up brain CT scans were correlated with sites, onset of delayed hematomas, skull fracture, and clinical outcome. The clinical outcomes were graded according to Jennett and Bond classification; good recovery, moderate disability, severe disability, permanent vegitative state or death. It is obvious that the delayed hematoma are more common than previously reported. So, we recommend that patients who had skull fractures contralateral to the previous trauma should be underwent follow-up CT within 24hours following diagno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