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일제강점기 고분 조사자료의 검토, 그리고 활용 - 백제 왕릉 최신 재조사 성과와 비교하여 -

        김환희 ( Kim Hwanhee ) 국립중앙박물관 2022 고고학지 Vol.28 No.0

        일제강점기에 고적조사사업의 명목으로 진행된 공주 무녕왕릉과 왕릉원 및 부여 왕릉원의 조사는 백제 웅진~사비기 왕릉원의 본격적인 첫 조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당시 조사는 짧은 기간에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소략한 기록만이 남아 있지만, 당시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가장 직접적인 기초자료로써 중요하다. 최근에는 일제강점기에 진행된 백제 고분 조사자료의 재보고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데, 이는 기존의 자료를 재검토하고 분석하여 당시 유적의 모습을 보완하고 복원하는 중요한 접근이 된다. 최근 진행된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29호분과 부여 왕릉원 4호분의 재조사에서도 사전조사 단계에서부터 일제강점기 조사기록이 활용되었다. 도면과 사진자료를 통해 고분의 대략적인 위치와 규모 등을 추정하고, 이를 현재 수치지형도 및 항공사진과의 정합 과정을 거쳐 고분의 정확한 위치와 규모를 특정하였다. 또한 발굴조사 단계에서도 조사내용의 검토를 통해 조사 방법과 방향을 설정하는데 활용된다. 이는 과거의 조사에서 누락된 부분과 조사가 진행되지 않은 부분을 빠르게 인지하여 현 단계에서 보완 조사를 추진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일제강점기 자료는 발굴조사 전 단계에 걸쳐 긍정적으로 활용될 수 있기 때문에 성공적인 재조사를 위해 일제강점기 조사기록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The investigations of the Tomb of King Muryeong(the Tomb of King Muryŏng) and the Royal Tombs in Gongju and the Royal Tombs in Buyeo(Buyŏ), which were carried out as part of the Joseon Historical Remains Survey Project undertake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are significant in that it they represented the first full-fledged investigations of Baekje(Baekche) royal tombs of the Ungjin and Sabi periods. Although only a small number of records remain, as systematic investigations could not be carried out due to the short length of time, they can still be regarded as the most direct material for understanding the situation of the time. The re-reporting of survey data on ancient Baekje(Baekche) tombs obtaine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has taken place recently. This is an important endeavor, in which the re-examination and analysis of existing data can be used as reference in restoring the appearance of tomb remain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The survey records from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were used from the pre-investigation stage when undertaking the recent re-investigations of the Tomb of King Muryeong(the Tomb of King Muryŏng), Tomb No. 29 among the Royal Tombs in Buyeo(Buyŏ), and Tomb No. 4 among the Royal Tombs in Buyeo(Buyŏ). The approximate location and size of the tomb mounds were estimated through drawings and photographic data, and the exact location and size of the mounds were specified by matching them with the data from current numerical topographic maps and aerial imagery. In addition, even during the excavation stage, the survey records were used to set the methods and direction of investigation. The survey records act as an important resource for quickly recognizing what was overlooked during investigations in the past, as well as for identifying areas what were not investigated in the past,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carry out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at this stage. The fact that data from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can be used in such a positive and productive way throughout the pre-excavation phase demonstrates that it is necessary to leave behind negative views and actively use the survey records from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to ensure the successful completion of the re-investigations that are again underway.

      • KCI등재

        청각장애 교사가 경험한 팬데믹 이후 학교에서의 변화와 지원요구 탐색

        김환희(Kim, Hwan-hee),송혜미(Song, Hyemi),지명희(Chi, Myounghee),이영선(Lee, Youngsun)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21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9 No.1

        본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청각장애 교사가 경험하고 있는 학교에서의 변화와 지원요구를 탐색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특수학교에서 근무하는 청각장애 교사를 대상으로 서면 인터뷰 및 비대면 온라인 면담을 활용하여 질적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들을 지속적 비교분석법을 통해 의미 있는 코드로 세분화하는 과정을 거쳐 총 6개의 상위주제와 13개의 부주제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청각장애 교사의 경험과 지원에 대한 경험 및 요구라는 두 가지 주제로 정리되었으며, 청각장애 교사의 경험으로는 학생들을 만나는 교사로서의 경험과 함께 일하는 동료로서의 경험으로 나누어 분석되었고, 지원에 대한 경험 및 요구로는 의사소통 지원, 온라인수업 준비지원, 행정적 지원 등 세 가지의 하위범주로 나누어 결과들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청각장애 교사의 의사소통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과 온라인 기반의 수업을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지원, 실효성 있는 장애인 보조공학기기 지원에 대한 필요성을 언급하였고, 이와 더불어 보조인력의 체계적인 운영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teachers of the deaf in special needs schools and the support they require in context of the COVID-19 pandemic. To achieve this objective, qualitative data was collected through written interviews and online interviews of the teachers, and analyzed into seven top-level topics and eleven sub-topics through a process of subdivision into meaningful codes using a constant comparison method. The findings were organized into the two main themes of “experience” and “needs for support” in terms of the teachers’ experiences and the support they require caused by the COVID-19 situation. For the theme of experience, the interactions of meeting students as a teacher and of working with colleagues were analyzed; under the theme of support requests, the results were presented in three subcategories of communication support, support for online class preparation, and other administrative support.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measures to help overcome communication problems encountered by teachers of the deaf and provide support to run quality online classes as well as support for more effective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for these groups. Additionally, the study reveals the need for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support personnel.

      • KCI등재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및 청소년의 불안 감소를 위한 국외 중재연구 분석

        김환희(Kim, Hwan-Hee),이영선(Lee, Youngsun) 한국열린교육학회 2020 열린교육연구 Vol.28 No.3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 실시한 국외 중재연구를 검색하였고, 선정기준에 따라 총 19편의 논문들을 분석하였다. 발행 연도, 참여자 특성, 연구방법, 중재프로그램, 종속변인의 측정도구 및 결과들을 바탕으로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총 19편의 분석대상 논문 중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및 청소년을 함께 포함하고 있는 연구가 84.2%였다. 둘째, 13편의 연구(68.4%)에서 집단설계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는데, 그중에서 통제집단 및 비교집단을 활용한 연구가 11편이었다. 셋째, 분석대상 논문에서 적용된 대부분의 중재프로그램들(84.2%)이 CBT (Cognitive Behavior Therapy)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이었고, 넷째, 중재프로그램의 주요 요소로는 감정에 대한 이해와 대처 전략을 중심으로 한 연구와 사회적 기술 향상을 중심으로 한 연구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및 청소년의 불안 관련 중재프로그램의 양적 증가와 더불어 불안이 발생하는 맥락을 이해하는 질적 연구들의 개발, 각 발달 시기에 적합한 중재요소 적용, 중재프로그램의 다양한 콘텐츠 및 테크놀로지 개발의 필요성 등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research trends and existing intervention studies conducted to reduce anxiety for children and youth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elected 19 studies and systematically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study subject(s), study design, intervention elements, dependent variables, and results. In total 19 studies were analyzed and results indicates that 1) most studies were conducted for children with ASD and youth with ASD together. 2) the most frequently used intervention type was CBT (Cognitive Behavior therapy)-based programs. 3) A majority of studies used two group pre-post design and collected observation data to evaluate intervention effects. 4) The main elements of the intervention were studies centered on understanding for emotion and coping strategies, and studies focused on improving social skills. Based on these findings, discuss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rther anxiety-related research were provided.

      • 고객 체험을 활용한 브랜드 복합문화공간 분석

        김환희(Kim, Hwan-Hee) 대한건축학회 2020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40 No.1

        Existing offline stores have weakened their competitiveness as the size of the online shopping market has grown and consumers have improved their awareness. In this change, companies are stepping up customer experience elements to break away from them, informing consumers of their brand identity and recognizing positive brand images of products. In this study, we will consider ‘customer experience’ and ‘brand complex cultural space’ and prepare and evaluate a new framework for analysi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change. This study shows that companies are providing various experiences to create contact points with customers and strengthen positive brand image through brand complex cultural space, breaking away from the past methods of explaining only the information or functions of products.

      • KCI등재
      • KCI등재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및 청소년의 자기점검 기술 향상을 위한 테크놀로지 활용 연구 분석

        김환희 ( Kim Hwan-hee ),이영선 ( Lee Youngsu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6

        본 연구에서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및 청소년의 효과적인 자기점검 기술 향상을 위해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국외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자 하여, 국외 주요 데이터베이스에서 ‘autism’, ‘ASD’, ‘self-management’, ‘self-monitoring’, ‘technology’, ‘smart’, ‘device’, ‘app’, ‘tablet pc’, ‘interaction’ 등의 단어를 조합하여 검색하였다. 선정 기준에 따라 총 23편의 분석대상 논문을 선정하여 이를 개발연구와 중재연구로 구분하였고, 테크놀로지와 인터랙션 방식, 목표 행동, 모니터링을 위한 활용 데이터와 촉진 요소 등의 기준으로 분석하였으며,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발연구는 대부분 사용자의 상황이나 행동, 정서 등을 민감하게 감지하기 위해 여러 서브루틴이나 추가 장치를 탑재하여 보다 다양한 데이터를 활용하고자 하였다. 둘째, 개발연구는 주로 학교, 가정 및 지역사회를 포함하는 전반적인 일상 안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일반화를 고려한 설계를 하였다. 셋째, 중재연구에서는 일정 간격에 따라 질문을 제시하고 그에 응답하는 방식으로 설계된 프로그램이 가장 많았다. 넷째, 중재연구에서 설정된 종속변인으로는 수업 중 자신의 행동을 점검하게 하는 연구가 가장 많은 편수를 차지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한 논의와 후속연구에 대한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s in technology-supported research to improve self-monitoring for children and youth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 total of 23 studi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in terms of the study design, technology, interaction method, target behavior, monitoring factors, and results.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1) Most of the developmental studies utilized various data by mounting several subroutines or additional devices. 2) Development research programs are designed to be used in the overall daily environment. 3) In intervention studies, most programs were designed to present questions and respond to them at regular intervals. 4) In intervention studies, many studies set target behaviors to check one's behavior during class. Based on these findings, discuss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proposed.

      • KCI등재

        옛이야기 전승과 언어 제국주의 : 강제된 일본어 교육이 〈나무꾼과 선녀〉 전승에 미친 영향

        김환희(Kim Hwan-Hee)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08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2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way in which Japanese linguistic imperialism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has influenced the historical transmission of the Korean swan-maiden folktale called “The Woodcutter and the Heavenly Maiden”; and by so doing I will try to find out the way to reduce the detrimental effects that the ‘wild geese’ phenomenon and english immersion education may have on Korean traditional culture in the impending future. Korean Tales and Proverbs collected by Takahasi Toru is a collection of Korean folktales which has had a great impact on the transmission of Korean folktales and fairy tales from 1910 up to the present time. Takahashi Toru was a Japanese scholar whom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had commissioned to study Korean folk religions and customs just before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in 1910. He was a power-hungry elite and ardent imperialist who had racial prejudices toward the Korean people. He was a professor with political power to the extent that he exerted influence on the establishment of several major universities in Korea during the colonial rule. The folktales collected by him have been for long considered as authoritative texts by Japanese elites or Korean elites who had assimilated the Japanese language and culture. The detrimental influence of his collection on the Korean folktale can be clearly seen in the historical transmission of “The Woodcutter and the Heavenly Maiden.” There have been more than 100 variants of the tale which can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four subtypes: (1) the heavenly maiden’s flight, (2) the woodcutter’s flight, (3) the woodcutter’s fulfillment of heavenly tasks, (4) the legend of the rooster. Of those four subtypes, the oral variants of the third subtype, ‘the woodcutter’s fulfillment of heavenly tasks,’ had been the most collected during the period from the late nineteenth century until 1980. However, the second subtype first introduced by Takahashi in 1910 has been widely known up to the present. For, when south korea established the government of Republic of Korea, the national textbook editors who had been educated in Japanese language under Japanese rule preferred the second subtype collected by Takahashi (and his followers) to the third or fourth subtypes. The inclusion of the second subtype into national textbooks for 17 years (1955-1972) has been very detrimental to the oral transmission of the third type. Consequently, the latter has almost vanished from oral transmission and children’s picture books. This decline of the third subtype is a great loss to the Korean cultural heritage because it surpasses the other subtypes in narrative values and artistic excellence. Moreover, it enables us to comprehend the cultural relationships between Korean folktale and Japanese myth. Such motifs as ‘mouse as a helper,’ ‘son-in-low tasks,’ and ‘arrow search’ are found in both the third subtype of “The Woodcutter and the Heavenly Maiden” and the Japanese myth of Okuninushi. It can be assumed from this that in ancient times, the Korean folktale exerted influence on the making of the Japanese myth of Okuninushi.

      • KCI등재

        팀 버튼의 <유령신부>와 그 근원설화에 관한 비교문학적인 고찰

        김환희 ( Hwan Hee Kim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1 동화와 번역 Vol.22 No.-

        본 논문은 팀 버튼의 <유령신부>가 서사의 뼈대를 빌려 온 유대인 설화문학에 대한 비교문학적인 고찰이다. <유령신부>의 근원설화로 추정되는 이야기는 세 편을 꼽을 수 있다. 그 세 편은 17세기에 팔레스타인에서 전승되어 온 유대 성인전설 장난 결혼식 , 19세기에 러시아에서 전승되어 온 유대 민담 시체신부 , 20세 기에 하워드 슈워츠가 유대 성인전설을 개작한 이야기 손가락 이다. 영화사가<유령신부>에 영감을 준 근원 설화로 밝힌 것은 하워드 슈워츠의 손가락 이지만, 이 판본은 문학성을 가미한 개작본이어서 유대 전설 고유의 특징을 고스란히 담고있지 않다. 또 전반적인 서사의 흐름을 살펴볼 때 팀버튼 공동체 사이트에 올려진 민담 시체신부 의 영향도 적지 않다. 팀 버튼의 <유령신부>를 세 편의 유대 설화와 비교할 때, 몇 가지 두드러진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다. 16세기 팔레스타인 유대 전설과 그것을 개작한 손가락에서는 ``산 자``와 ``죽은 자``의 대결구도가 명백하게 설정되어 있고 랍비는 망자 또는 악령을 제압하는 힘을 지녔다. 19세기 러시아 유대 민담에서는 ``산자``가 ``죽은자``의 영혼을 위로하는 장면이 들어 있어서 대결 구도가 약화되기는 하지만, ``산자``는 여전히 ``죽은 자``보다 우월한 위치에 있다. 상대방을 추방하거나 위로하는 존재는 ``죽은 자``가 아니라 ``산 자``이다. 다시 말하여, 이 세 편의 유대 설화에서는 이승과 저승의 경계가 뚜렷하고, 이야기의 주체는 ``산 자``들이다. 하지만 팀 버튼의 <유령신부>에서는 사제는 지상계의 신부와 지하계의 사제로 나뉘어 져 있고 그들이 주인공의 삶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지 않다. 또한 <유령신부>에서는 ``죽은자``가 ``산 자``에게 연민과 관용을 베풀고, 저승과 이승의 경계는 애매하고, 저승이이승보다 더 살만한 공간으로 그려진다. 팀 버튼은 유대 설화에서 서사를 빌려 왔지만, 그 안에 담긴 세계관은 유대문화 보다는 멕시코 문화에 더 근접해 있다고 볼 수 있다. 팀 버튼은 멕시코 사람들이 죽음을 음산한 것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죽은 자들을 위해서 유머, 음악, 춤이넘치는 축제를 벌이는 것에 영향을 받은 것 같다. 또한 괴물 영화를 미녀와 야수와 같은 오랜 서사문학 전통에 속한다고 여기고 ``프랑켄슈타인`` 이야기에 등장하는 괴물에 남다른 애착을 지녔던 팀 버튼은 시체신부를 인간세계에서 추방해야 할악령이 아니라 산 자들과 소통할 수 있는 섬세한 감정을 지닌 매력적인 괴물로 형상화하였다. This article attempts to examine the origin of folktales which inspired Tim Burton and his story team to make the Corpse Bride. His Corpse Bride is possibly influenced by the following three tales: (1) a Palestine-Jewish hagiographic legend of Rabbi Isaac Luria (the Ari) who lived in Safed in the sixteenth century, (2) Howard Schwartz`s adaptation of that Jewish legend, and (3) a Russian-Jewish folktale version of the legend, which <The Tim Burton Collective> has introduced as "the original folktale" of Tim Burton`s Corpse bride. These three tales can be titled as "The Mock Marriage," "The Finger," "The Corpse Bride," respectively.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hree Jewish tales and Tim Burton`s animation clearly shows the remarkable differences in theme, characterization, and world view. First, Tim Burton embellished the image of the demon or the corpse bride from a terrifying creature to a light-hearted, lovable monster. Second, the binary oppositions between life and death, between the living and the dead become blurred in Tim Burton`s Corpse Bride. On the contrary, the film presents the land of the dead as more utopian than the land of the living. Third, as I have already mentioned, the hagiography of Rabbi Luria has been transformed into a romantic fairy tale with the triangle of love. These new elements can be said to result from Tim Burton`s penchant for the age-old tradition of the tale "Beauty and the Beast" and for the ``Frankenstein`` motif, as well as from the influence of the Mexican tradition of the "Days of the Dead." Though Tim Burton borrowed the original source material from Jewish narrative tradition, his animation reflects his unique aesthetics and world view, quite different from that tradition. The originality and creativity which Tim Burton shows in his reinterpretation or subversion of the Jewish folk narrative may help us seek for the way to make the best use of Korean folk narrative.

      • KCI우수등재

        제석사지 폐기유적의 시기와 형성에 대한 재검토

        김환희(Kim, Hwanhee),이나은(Lee, Naeun),우상은(Woo, Sangeun),조지현(Cho, Jihyun) 한국고고학회 2021 한국고고학보 Vol.- No.118

        제석사지 폐기유적은 제석사가 639년 뇌우로 인해 불탄 후 발생한 폐기물을 일시에 버렸던 장소로 알려져있다. 그러나 3년간 진행된 발굴조사 결과 폐기는 일시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최소 2차례 이루어졌다는 사실이 확인되어, 기존의 논의를 재검토할 필요가 대두되었다. 또한 제석사보다 고도가 높은 곳에 위치한 제석사지 폐기유적의 입지상 비효율성을 어떻게 해석하고 받아들일 것인지에 대한 이견도 여전히 존재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제석사지 폐기유적의 발굴조사에서 보고된 폐기양상의 면밀한 검토, 출토유물의 과학적 분석, 시대별 지형 분석, 국내외 고대 사찰의 폐기장소 유사 사례 검토 등 다각적인 접근을 통해 유적의 시기, 성격, 형성 과정 등을 규명하였다. 먼저 층위양상 검토와 출토유물 분석 결과, 1차 폐기층 형성 → 1호 석곽묘 조성 → 1호 석곽묘 훼손 및 노출 → 2차 폐기층 형성이라는 4단계의 변화 과정을 거쳐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2차 폐기 원인으로는 제석사 재건과 관련된 대지 정리 작업에서 나타난 것으로 추정하였다. 다음으로 출토유물의 과학적 분석을 통해 가마가 아닌 화재로 인하여 발생한 2차 피열임을 확인하여 유적의 성격이 폐기유적임을 규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지형 분석 결과, 폐기유적이 곡부가 시작되는 끝자락에 입지한 점을 통해 시각적으로 폐기물을 감추기 최적화한 곳으로 추정하였다. 또한, 두 유적을 직접 잇는 서쪽의 도로가추가로 확인되어 폐기물 운반의 새로운 루트와 효율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국내외 고대 사찰의 폐기장소 유사 사례를 검토한 결과, 폐기행위는 규칙성 없이 상황에 따라 취사선택되어 형성된 것임을 파악하였다. It has been known, based on reviews of literature records and the results of excavation research, that the Jeseoksa Dump-site was a place where waste that was produced as a result of the fire started by the thunderstorm of 639 was disposed of. However, the results of excavations that took place over three years has revealed that the act of disposal did not take place over one occasion but took place twice. It has therefore become necessary to review existing discussions that have taken place on this topic. Different opinions still exist over how to interpret the Jeseoksa Dump-site, as well as how to come to terms with the inefficient location of the Dump-site, which was located at a higher altitude than the Jeseoksa Temple site. In an effort to investigate the formation process, period, and nature of the feature, this study conducted a multi-faceted review which included an analysis of the topography of the area where the Dump-site had been located according to period, an examination of the disposal patterns confirmed through excavation, the undertaking of scientific analysis on the artifacts excavated at the site, and a review of similar cases from home and abroad. The topographic analysis results revealed an additional road to the west that connected to the Jeseoksa Dump-site, which leads to the suggestion that road conditions had been suitable enough to enable transportation in the area. In addition, the Dump-site stood at the end of the curved section where the road started, which suggests that its location had been chosen due to its suitability for hiding the Dump-site. A review of the stratigraphy and an analysis of the excavated artifacts indicates that disposal took place over four stages in the following order of formation: the first disposal layer, the construction of the first stone-lined tomb, the damage and exposure of the first stone-lined tomb, and formation of the second disposal layer. In particular, it was estimated that the cause of the second disposal event was the clearing of the site related to the reconstruction of Jeseoksa Temple site. The scientific analysis results of the excavated artifacts demonstrate that the second instance of heating had been caused by a fire rather than a kiln. Finally, the study reviewed similar cases from home and abroad and found that similar acts of disposal took place according to emerging needs in an irregular fashion.

      • 학생 개인정보보호의 인식수준에 관한 연구

        김환희(Hwan-Hui Kim)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9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9 No.5

        개인정보보호법 시행 후 관련기관에서 개인정보에 대한 홍보와 교육을 지속적으로 시행하고 있지만 최근까지도 각종 대규모 개인정보 유출 사고와 개인정보 침해사례가 계속 증가하고 있어 많은 사람들이 불안해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예비 정보 처리자 이자 개인정보 주체자인 대학생들의 개인정보보호인식과 실태조사를 통해 앞으로 개인정보보호 실천의지를 갖도록 하는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연구결과, 인터넷을 이용한 모든 활동에 할애하는 평일 평균 사용시간은 2~3시간미만이 가장 많았으며, 인터넷에서 하는 활동은 오락, 취미 활동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성격에 대한 인식은 상당히 공개된 공적인 공간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정보보호 실태는 비밀번호를 정기적으로 변경하는 것이 개인정보보호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였으며, 오랫동안 이용하지 않는 웹사이트를 탈퇴하거나 폐쇄해야 한다는 인식도 매우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실천인식에서는 귀찮다는 이유로 이메일 비밀번호를 주기적으로 변경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개인정보 유출 경험이 있는 학생들도 귀찮다는 이유로 신고나 상담을 하지 않았으며, 대부분의 학생들이 신고나 상담하는 방법을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Although related agencies continue to provide publicity and education on personal information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there have been a growing number of cases of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and violation of ipersonal nformation until recently. Therefore, this research will be meaningful in ensuring that college students who are prospective information processors and individuals have a will to practic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through recognition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nd fact-finding. The study found that the average weekday usage time devoted to all activities using the Internet was less than two to three hours, while the activities performed on the Internet were the most entertainment and hobby activities. The perception of the Internet"s nature has turned out to be a fairly public space. In addition, the status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recognized that changing passwords on a regular basis would help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and that websites that have not been used for a long time should be withdrawn or shut down. However, in practice, it was found that e-mail passwords were not changed regularly due to annoyance, that students with personal information leak experience did not report or consult, and that most students did not know how to report or consul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