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국립공원 주요 아고산대 상록침엽수(구상나무, 분비나무) 고사현황 조사 : 설악, 덕유, 지리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김진원(Jin-Won Kim),전자영(Ja-Young Jeon),박홍철(Hong-Chul Park) 국립공원연구원 2021 국립공원연구지 Vol.12 No.2

        우리나라 구상나무 및 분비나무군락은 한라산을 제외하면 백두대간 마루금을 중심으로 국립공원 고지대에 대부분 분포하고 있으며, 구상나무는 지리산과 덕유산국립공원, 분비나무는 설악산국립공원에 비교적 넓은 면적이 분포한다. 따라서 두 수종에 대한 생육상태를 파악하고 모니터링하는 것은 국립공원 자연자원의 보전 측면에서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리산, 덕유산, 설악산국립공원 내 서식 중인 구상나무와 분비나무군락에 대한 수년간의 고사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국립공원 아고산생태계의 과학적 보전 및 관리를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2009년부터 2020년까지 상록침엽수 고사현황을 조사한 결과, 지리산국립공원과 덕유산국립공원의 구상나무 고사 및 쇠퇴현상은 매년 나타나고 있으며, 2014년과 2015년에 상대적으로 높은 고사율을 나타냈다. 설악산국립공원의 분비나무 역시 편차는 있지만 구상나무와 마찬가지로 고사현상이 확인되고 있으며, 특히 관모능선과 설악폭포 지역의 고사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설악산 또한 2012년와 2014년에 상대적으로 사율이 높게 나타났지만 전반적으로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특정 연도에 고사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요인으로는 태풍, 가뭄, 홍수, 강풍 등과 같은 기상이벤트에 의한 영향이 작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기상이벤트와의 관계성을 파악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객관적으로 규명하기 위해서는 더욱 장기적인 모니터링 자료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Excluding Hallasan National Park, Abies koreana and Abies nephrolepis communities are mostly distributed in the high elevation of the National Park on Baekdudaegan mountain. Abies koreana is distributed in Jirisan and Deogyusan National Park, and Abies nephrolepis is distributed in Seoraksan National Park. Therefore, grasping and monitoring the growth status of both species is important in terms of conservation of natural resources in Korea National Parks.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find out the mortality of Abies koreana and Abies nephrolepis inhabitant. The mortality and decay of Abies koreana in Jirisan National Park and Deogyusan National Park occur every year, with relatively high mortality rates in 2014 and 2015. Abies nephrolepis in Seoraksan National Park are also different, but the death phenomenon has been confirmed like Abies koreana. In particular, the death phenomena in the Gwanmo Ridge and Seorak Falls continue to occur. In addition, although the mortality rate was relatively high in 2012 and 2014,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overall. As a factor in which the mortality rate was relatively high in a specific year, it is assumed that the influence of meteorological events such as typhoons, droughts, floods, and strong winds.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recommended that a follow-up study is needed to grasp the relationship with the meteorological event, and longer-term monitoring data should be supported in order to objectively investigate this assumption.

      • KCI등재

        한국 국립공원 산림생태계의 수목 탄소저장량 평가

        이상진,박홍철,박관수,김현숙,이창민,김진원,심규원,최승운,Lee, Sang-Jin,Park, Hong-Chul,Park, Gwan-Soo,Kim, Hyoun-Sook,Lee, Chang-Min,Kim, Jin-Won,Sim, Gyu-Won,Choi, Seung-Woon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022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2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amount of carbon storage for trees in forest ecosystem to support the foundation for carbon neutrality implementation in Korea National Park. It targeted 22 national parks designated and managed as national parks in Korea, and conducted research on forest trees in the terrestrial ecosystem among various natural and ecological carbon sink. The survey and analysis method followed the IPCC guidelines and the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y in Korea. The amount of tree carbon storage in the forest ecosystem of Korea National Park was confirmed to be about 218,505 thousand CO<sub>2</sub>-ton and the amount of carbon storage per unit area was 570.8 CO<sub>2</sub>-ton per hectare. Compared to 299.7 CO<sub>2</sub>-ton per hectare, the average carbon storage per unit area of the entire Korean forest, it was found that about twice as much carbon was stored when assuming the same area.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the tree carbon storage function of the national park is about twice as high as that of the average tree carbon storage function of entire Korean forest. It has great implications in Korea National Park not only provides biodiversity promotion and exploration services as a national protected area, but also performs excellent functions as a carbon sink.

      • KCI등재후보

        분비나무군락의 토양환경 특성

        김진원(Jin-won Kim),박홍철(Hong-chul Park),박관수(Gwan-soo Park),전자영(Ja-Young Jeon),박준희(Jun-Hee Park),장진(Jin Jang),심규원(Gyu-won Sim) 국립공원연구원 2022 국립공원연구지 Vol.13 No.1

        최근 기후변화 등으로 인하여 쇠퇴하고 있는 아고산대 분비나무군락을 대상으로 토양환경 특성을 분석하여 향후 보전 및 복원에 있어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비나무군락이 분포하고 있는 설악산, 오대산, 태백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총 10개소에서 42점의 토양시료를 채취하여 토양의 물리적⋅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토심은 전석지, 토심이 유지되는 지역 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다. 대부분 모래 비율이 높은 양토, 사질양토 등으로 용적밀도도 낮은 특성을 보여 토양 배수 및 통기성이 분비나무 입지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토양산도는 국내 산림토양 평균 토양산도보다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아고산대의 한랭⋅습윤한 기후로 낙엽 및 낙지의 분해속도가 느리고 유기산이 축적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반면 유기물함량, 전질소함량, 양이온치환용량은 국내 산림토양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유효인산은 일부 지역에서 국내 평균 수치보다 낮게 나타났고, 치환성양이온은 칼륨을 제외한 나트륨, 마그네슘, 칼슘 농도가 국내 평균보다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분비나무군락이 입지한 토양환경 정보가 구축되었으며, 향후 분비나무군락의 천이 등에 따른 토양환경 변화에 대한 비교 관찰 및 복원, 관리방안 마련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pare basic data for futur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il environment targeting the subalpine Abies nephrolepis community, which is declining due to recent climate change. For the Seoraksan, Odaesan, and Taebaeksan National Parks where Abies nephrolepis communities are distributed, 42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10 locations to analyze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soi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oil depth was varied depending on the rock field and the region where the soil depth was maintained. Most of them were loam and sandy loam with a high sand ratio, and the bulk density was also low, indicating that soil drainage and air permeability affect the location of Abies nephrolepis. Soil acidity was lower than the average soil acidity of domestic forest soils, which was judged to be due to the slow decomposition rate of fallen leaves and branches and accumulation of organic acids due to the cold and humid climate in the subalpine region. On the other hand, the organic matter content, total nitrogen content, and cation exchange capacity were higher than the domestic forest soil average. Available phosphate was found to be lower than the domestic average in some regions, and sodium, magnesium, and calcium concentrations were lower than the domestic average for exchangeable cation except potassium.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nformation on the soil environment where Abies nephrolepis community is located has been established, and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comparative observation of soil environment changes according to the succession of Abies nephrolepis communities in the future, and preparing restoration and management plans.

      • 나이테폭연대기를 이용한 설악산국립공원 분비나무 고사연도 및 생육쇠퇴도 조사

        최은비 ( En-bi Choi ),김요정 ( Yo-jung Kim ),박준희 ( Jun-hui Park ),박홍철 ( Jin-won Kim ),김진원 ( Hong-chul Park ),서정욱 ( Jeong-wook Seo ) 한국목재공학회 2021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1

        분비나무는 국내 멸종위기 고산 침엽수 7종 가운데 한 수종으로, IUCN(국제자연보전연맹)이 관심수종(LC, Least Concern)으로 등록하였다. 고산 침엽수종 100ha 이상 분포지역 가운데 설악산국립공원에는 75% 이상이 분비나무 군락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2004년부터 발표된 여러 연구에 의하면, 현재까지도 설악산 분비나무 자생지 곳곳에서 쇠퇴 및 고사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설악산국립공원 내 분비나무 집단 고사가 확인된 세 지역(귀때기청봉, 관모능선, 설악폭포)을 대상으로 나이테분석법을 통해 연구지별 생육 및 고사과정을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나이테분석을 위해 각 연구지 내 생육목과 고사목을 최소 10본씩 선정하여 직경 5.15mm 생장추로 생장편을 채취하였다. 분명한 나이테 경계 관찰을 위해 채취된 생장편 횡단면은 밸트사포로 연마되었다. 나이테 폭은 단위 0.01mm로 측정하였으며, 생육목 데이터를 이용하여 대표나이테폭연대기를 작성하였다. 고사목 고사연도는 작성된 연구지별 대표나이테폭연대기와 고사목 개체나이테폭연대기의 시계열 패턴 비교를 통해 밝혔다. 또한, 생육쇠퇴도를 분석하여 각 고사목의 생육쇠퇴가 언제부터 나타났는지 조사하였다. 주요 결과는 아래와 같다.

      • KCI등재후보
      • SCIE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