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국립공원 산림생태계의 수목 탄소저장량 평가

        이상진,박홍철,박관수,김현숙,이창민,김진원,심규원,최승운,Lee, Sang-Jin,Park, Hong-Chul,Park, Gwan-Soo,Kim, Hyoun-Sook,Lee, Chang-Min,Kim, Jin-Won,Sim, Gyu-Won,Choi, Seung-Woon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022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2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amount of carbon storage for trees in forest ecosystem to support the foundation for carbon neutrality implementation in Korea National Park. It targeted 22 national parks designated and managed as national parks in Korea, and conducted research on forest trees in the terrestrial ecosystem among various natural and ecological carbon sink. The survey and analysis method followed the IPCC guidelines and the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y in Korea. The amount of tree carbon storage in the forest ecosystem of Korea National Park was confirmed to be about 218,505 thousand CO<sub>2</sub>-ton and the amount of carbon storage per unit area was 570.8 CO<sub>2</sub>-ton per hectare. Compared to 299.7 CO<sub>2</sub>-ton per hectare, the average carbon storage per unit area of the entire Korean forest, it was found that about twice as much carbon was stored when assuming the same area.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the tree carbon storage function of the national park is about twice as high as that of the average tree carbon storage function of entire Korean forest. It has great implications in Korea National Park not only provides biodiversity promotion and exploration services as a national protected area, but also performs excellent functions as a carbon sink.

      • KCI등재후보

        국립공원 주요 아고산대 상록침엽수(구상나무, 분비나무) 고사현황 조사 : 설악, 덕유, 지리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김진원(Jin-Won Kim),전자영(Ja-Young Jeon),박홍철(Hong-Chul Park) 국립공원연구원 2021 국립공원연구지 Vol.12 No.2

        우리나라 구상나무 및 분비나무군락은 한라산을 제외하면 백두대간 마루금을 중심으로 국립공원 고지대에 대부분 분포하고 있으며, 구상나무는 지리산과 덕유산국립공원, 분비나무는 설악산국립공원에 비교적 넓은 면적이 분포한다. 따라서 두 수종에 대한 생육상태를 파악하고 모니터링하는 것은 국립공원 자연자원의 보전 측면에서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리산, 덕유산, 설악산국립공원 내 서식 중인 구상나무와 분비나무군락에 대한 수년간의 고사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국립공원 아고산생태계의 과학적 보전 및 관리를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2009년부터 2020년까지 상록침엽수 고사현황을 조사한 결과, 지리산국립공원과 덕유산국립공원의 구상나무 고사 및 쇠퇴현상은 매년 나타나고 있으며, 2014년과 2015년에 상대적으로 높은 고사율을 나타냈다. 설악산국립공원의 분비나무 역시 편차는 있지만 구상나무와 마찬가지로 고사현상이 확인되고 있으며, 특히 관모능선과 설악폭포 지역의 고사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설악산 또한 2012년와 2014년에 상대적으로 사율이 높게 나타났지만 전반적으로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특정 연도에 고사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요인으로는 태풍, 가뭄, 홍수, 강풍 등과 같은 기상이벤트에 의한 영향이 작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기상이벤트와의 관계성을 파악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객관적으로 규명하기 위해서는 더욱 장기적인 모니터링 자료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Excluding Hallasan National Park, Abies koreana and Abies nephrolepis communities are mostly distributed in the high elevation of the National Park on Baekdudaegan mountain. Abies koreana is distributed in Jirisan and Deogyusan National Park, and Abies nephrolepis is distributed in Seoraksan National Park. Therefore, grasping and monitoring the growth status of both species is important in terms of conservation of natural resources in Korea National Parks.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find out the mortality of Abies koreana and Abies nephrolepis inhabitant. The mortality and decay of Abies koreana in Jirisan National Park and Deogyusan National Park occur every year, with relatively high mortality rates in 2014 and 2015. Abies nephrolepis in Seoraksan National Park are also different, but the death phenomenon has been confirmed like Abies koreana. In particular, the death phenomena in the Gwanmo Ridge and Seorak Falls continue to occur. In addition, although the mortality rate was relatively high in 2012 and 2014,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overall. As a factor in which the mortality rate was relatively high in a specific year, it is assumed that the influence of meteorological events such as typhoons, droughts, floods, and strong winds.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recommended that a follow-up study is needed to grasp the relationship with the meteorological event, and longer-term monitoring data should be supported in order to objectively investigate this assumption.

      • SCOPUSKCI등재

        액체의 과열한계 측정과 과열한계에 달한 액적의 거동

        박홍철,변기택,곽호영,Park, Hong-Chul,Byun, Gi-Taek,Kwak, Ho-Young 대한기계학회 2003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27 No.9

        The maximum temperature limit at which liquid boils explosively is called the superheat limit of liquids. The superheat limits of hydrocarbon liquids and their mixtures were measured by the droplet explosion technique. Also the fully evaporated droplet at the superheat limit and subsequent bubble evolution from the fully evaporated droplet were visualized. The pressure wave emanating from the evaporating droplet and subsequent bubble evolution process were measured by a piezoelectric transducer.

      • SCOPUSKCI등재

        용액환원법에 의한 Sn0<sub>2</sub> 2차원 나노구조의 합성과 가스 감응 특성

        박홍철,김해룡,이종흔,Park, Hong-Chul,Kim, Hae-Ryong,Lee, Jong-Heun 한국재료학회 2008 한국재료학회지 Vol.18 No.8

        SnO nanosheets were prepared at room temperature through a reaction between an aqueous solution of $SnCl_2$, $N_2F_4$, and NaOH and were converted into $SnO_2$ nanosheets without a morphological change. The SnO nanosheets were formed through a dissolution-recrystallization mechanism. Uniform and well-dispersed SnO nanosheets with the round-shape morphology were attained when the solution was treated by ultrasonic sound immediately after the addition of NaOH. The $SnO_2$ nanosheets prepared by means of solution reduction under the ultrasonic treatment, and subsequent oxidation at $600^{\circ}C$ showed a high level of gas sensitivity to $C_2H_5OH$ and $CH_3COCH_3$.

      • KCI등재

        한국의 REDD+ 프로그램 이행 적지 분석 및 활성화 방안 연구

        박홍철 ( Hong Chul Park ),오충현 ( Choong Hyeon Oh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8 No.2

        본 연구는 한국의 16개 시·도 지역을 대상으로 산림전용 및 산림황폐화 방지를 위한 REDD+ 프로그램 이행 적지를 도출하고, REDD+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Forest Carbon Index 개념을 활용하여 비용 대비 잠재이익, 거래 가능한 탄소배출권 발행량 등을 산출하였다. 분석결과 16개 시·도 지역 중 경기도, 인천광역시, 서울특별시, 대구광역시, 강원도가 5위 안에 포함되었다. 최적지로 도출된 경기도의 경우, 현재까지의 산림전용 감축면적이 높아 탄소배출 감축량이 16개 대상지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프로그램 이행에 따른 잠재 이익도 높은 편에 속하였다. 나아가 적지분석 결과를 토대로 한국 내 REDD+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 4가지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event deforestation and forest degradation and vitalize REDD+ program through suitable site analysis at the 16 districts of South Korea. For this, we worked out profit potential, opportunity cost, carbon credits through making it use of conception of the Forest Carbon Index. As a results, Gyeonggi-do, Incheon Metropolitan City,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Daegu Metropolitan City, Gwangwon-do included in the top 5 among the 16 districts of South Korea. In case of Gyeonggi-do as best suitable site, reduction of carbon emission was best high due to reduction area of deforestation. And profit potential was also high in accordance with practice of REDD+ program. Furthermore, we proposed four plans to activate REDD+ program in South Korea on the basis of the results.

      • KCI등재

        한국의 산림전용 및 산림황폐화 방지를 통한 탄소배출감축 프로그램 이행의 기저선 접근법 연구

        박홍철 ( Hong Chul Park ),오충현 ( Choong Hyeon Oh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6 No.4

        최근 산림분야를 통해 탄소배출량을 줄이고자 하는 노력으로 신규 및 재조림이 주를 이루던 산림정책 패러다임이 산림전용 및 산림황폐화 방지를 통한 탄소배출감축(REDD) 활동에 대한 관심으로 집중되고 있다. 이에 따라 REDD 이행 성과 가시화를 위한 단계적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16개 시도단위별 산림환경여건을 분류하고, 국제적으로 주요하게 사용되는 6가지 기저선 접근법을 적용하여 국가단위 REDD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최적 기저선 접근법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일반적으로 HFLD에 대한 탄소배출권 획득량이 낮았으며, 이에 반해 LFMD, LFHD에 대한 획득량은 높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HFLD 지역은 산지전용을 통한 개발이 더 많은 경제적 이익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REDD 이행 기제에 대한 참여 유인이 부족하게 된다. 모든 유형의 산림여건에서 REDD에 대한 참여를 높이기 위한 유인성과 적은 노력으로 많은 양의 탄소배출권을 획득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 실제성이 모두 적절하게 만족스러운 기저선 접근법이 필요하다. 이러한 실제성과 유인성 평가시 Corridor Approach 접근법 선택이 가장 합리적인 것으로 판단되며, 국내 적용시 발생하는 이익분배에 대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한국형 Corridor Approach 접근법을 개발하였다. In recent, the primary concern of the forest policy paradigm, which has been mostly focusing on reducing emissions by the effort of afforestation and reforestation, is moving to the REDD activities that are operated by deforestation and forest degradation. In response, the phased studies is going well to visualize performance outcomes of REDD activities. This study brings up the optimum baseline approach for operating the national REDD program by simulating six different baseline approaches broadly used throughout the worldwide, and classified forestry condition for each province in Korea. From this study, we could aware that the carbon credit of HFLD has a low acquisition, but LFMD and LFHD has a high acquisition, Therefore, there are not many reasons for performing REDD activities due to the lack of economical benefits in compared to the devleopment of producing district in HFLD. All kinds of forestry condition, satisfactory baseline approach are needed to enhance the participation and the actuality about REDD program, When evaluating the participation and actuality, the rational decision should be considered as the most appropriate Corridor Approach,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odified Corridor Approach is required for overcoming the weak points, so that we developed the New Corridor Approach which could be easily adopted to Korea environment.

      • 국립공원 육상생태계 토양권 탄소저장량과 식생권 종다양성 관계 분석

        박홍철 ( Hong-chul Park ),이상진 ( Sang-jin Lee ),이창민 ( Chang-min Lee ),박관수 ( Gwan-su Park ),심규원 ( Gyu-won Sim ),최승운 ( Seung-un Choi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2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22 No.1

        우리나라 산림생태계가 흡수하는 대기 중 온실가스는 약 45백만 톤(`18년 기준)으로 국가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인 7억2천8백만 톤의 약 6.3%를 상쇄하고 있다. 특히 보호지역 내 산림생태계는 오랜 기간 동안 보전·관리되어 온 생물 서식지로서, 자연기반해법 접근방식에 따라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온실가스 감축 및 기후변화 완화·적응에 기여하는 부분이 많다는 공감대가 IUCN을 중심으로 국제사회에서 확산되고 있다. 우리나라 국립공원의 산림생태계는 국토 산림면적의 약 6%에 불과하지만, 탄소저장·흡수 효과는 그 이상일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국립공원의 토양은 일반산림에 비해 낙엽층이 높고 토심이 깊기 때문에 토양 내 탄소저장량 역시 일반 산림에 비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이를 구체적으로 확인하거나 비교할 수 있는 근거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국가에서 작성하고 있는 산림분야 온실가스인벤토리가 있지만 토양은 IPCC 가이드라인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원으로 분류하고 있기 때문에 토양탄소에 대한 국가나 지역적 통계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육상 생태계 주요 서식지 유형별 토양권 탄소저장량을 평가하였으며, 나아가 각각의 조사구에 생육하고 있는 식물종의 다양성과 토양권 탄소저장량과 어떠한 관계성을 보이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국립공원 자연자원을 활용한 자연기반해법 접근 및 기후변화 대응 기반 마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우리나라 국립공원(22개 공원, 222개 조사구) 내 육상생태계 중 산림지역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산림지역은 다시 침엽수군락, 활엽수군락, 침활혼효군락, 인공조림지, 아고산대 상록침엽수군락으로 구분하였다. 이밖에 각 공원별 자원특성을 고려하여 산지습지와 초지를 추가로 반영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장조사는 2021년 4월부터 9월까지 6개월간 수행하였다. 토양시료 채취와 식생조사를 위한 조사구 크기와 형태는 가로길이와 세로길이가 각각 30m인 정사각형태의 방형구이며, 동일 조사구를 대상으로 식생조사를 위한 매목조사와 토양권 탄소저장량 평가를 위한 토양유기물, 토심별 토양시료 채취를 병행 실시하였다. 시료채취는 방형구 내 대표지점 2개소를 선정하였으며, 방형구의 토양환경을 대표할 수 있는 지점으로 선정하였다. 국립공원의 토양깊이와 토양탄소 수직변이도 감소를 감안하여 토심 50㎝ 까지 토양 시료를 채취하였다. 단, 모재층이 50㎝ 이전에 나타나면 모재층 전까지 토양 시료를 채취하였다. 이후 건조, 석력분리 등 전처리 과정을 거쳐 조사구별 탄소저장량을 분석하였으며, 각 공원별, 유형별 면적을 고려해 토양권 탄소저장량을 최종 도출하였다. 식물종다양성은 동일 조사구 내 생육하고 있는 목본식물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Shannon 지수를 활용하였다. 우리나라 22개 전 국립공원 육상생태계의 토양권(유기물 층 포함)은 128백만 이산화탄소톤으로 분석되었다. 단위면적당 저장량은 ha 당 332.2 이산화탄소톤으로 나타났으며, 우리나라 산림의 ha 당 토양권 탄소저장량인 173.1 이산화탄소톤보다 약 2배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22개소 각 조사구별 토양권 탄소저장량과 식물종다양성과의 관계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즉, 토양권 탄소저장량이 높을수록 식물종다양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탄소저장기능과 생물다양성은 상호보완적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공원과 같은 보호지역 같이 생물다양성이 높은 산림이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탄소저장·흡수 측면에서도 이점이 있다고 볼 수 있는 대목이다.

      • KCI등재

        식물군집구조 및 생물다양성 관련 정보 수집 및 분석을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

        박홍철(Park, Hong-Chul),오충현(Oh, Choong-Hyeon) 문학과환경학회 2015 문학과 환경 Vol.14 No.1

        This paper is about development of electronic survey note application for mobile base on android operation system to analyze and assess plant communities and biodiversity in forest. Therefore, we has graped problems according to using paper survey note, and improved for ordinary person using to collect vegetation information. The development have four key functions. The first, the enhancement of possibility about collection and analysis of vegetation informations for ordinary person. The second, improvement in efficiency of survey activities through computerization. The third, real-time updating and adjustment of survey information everywhere. The fourth, enhancement in efficiency of management and speed, accuracy through linkage with GPS and RFID systems. In future, if the electronic survey note would improve several kinds, it will be replaced with the paper survey note perfectly. And we are expecting using for survey and management to enhance benefits of ecosystem service and biodiversity value, and for education, practice, research in many institu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