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털두꺼비하늘소(Moechotypa diphysis)로에 대한 18종 식물정유와 주요성분의 훈증효과

        김주섭,서동규,장선아,한주환,김영재,김길하,Kim, Ju-Sub,Seo, Dong-Kyu,Jang, Sun-Ah,Han, Ju-Hwan,Kim, Young-Jae,Kim, Gil-Hah 한국응용곤충학회 2006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5 No.2

        털두꺼비하늘소(Moechotypa diphysis) 성충에 대한 18종 식물정유의 훈증독성을 조사하였다. 그들 중 10 $\mu\ell/\ell$ (공기)의 농도에서 eucalyptus oil, rosemary oil, 그리고 pennyroyal oil은 100%, sage oil은 85%의 살충활성을 나타내었다. 4종 정유의 치사속도를 조사한 결과, eucalyptus oil과 rosemary oil이 처리 후 6시간 이내에 100%의 살충률을 나타내었다. 각 정유에 대한 주요 구성성분을 GC와 GC/MS로 분석한 결과, eucalyptus oil, rosemary oil, sage oil의 주성분인 1,8-cineole과 sage oil의 또 다른 주성분인 thujone과 pennyroyal의 주성분인 pulegone 모두 20 $\mu\ell/\ell$(공기)의 농도에서 100%의 살충효과를 나타내었다. Fumigant toxicity of 18 plant essential oils were tested against the adults of oak longicorn beetle, Moechotypa diphysis. Among them, eucalyptus, rosemary and pennyroyal oils showed 100% mortality and sage oil showed 85% mortality at 10 $\mu\ell/\ell$ (air) dose. Eucalyptus and rosemary oils showed 100% mortality within 6 hr after treatment at 10 $\mu\ell/\ell$ (air) dose. GC and GC/MS analysis of the four essential oils and bioassay of their components revealed that 1,8-cineole (a major component of eucalyptus, rosemary and sage oils), thujone (a major component of sage oil) and pulegone (a major component of pennyroyal oil) showed higher adulticidal activity than others.

      • KCI등재

        학술 콘텐츠 종합링킹체제 구축에 관한 연구 - KISTI를 중심으로 -

        김주섭,전예린,김선태,Kim, Juseop,Jeon, Yerin,Kim, Suntae 한국문헌정보학회 2021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5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연구자에게 끊김 없는 학술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식별자를 중심으로 한 종합링킹체제를 구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해당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KISTI 소속의 5개 센터 및 1개 사무국 소속 17명의 연구자와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 내용은 학술정보서비스 DB의 식별자 구축 및 관리 현황에 대한 것으로 면담 결과, 국내 논문 DB의 경우 KOI 등의 식별자에 대한 식별률은 높았지만 해외논문의 경우, DOI를 제외하고 ORCID 등 글로벌 식별자에 대한 식별률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식별자를 중심으로 한 종합링킹체제 모델을 구축하기 위한 종합링킹체제 공동활용협의회를 제안하였다. 공동활용협의회는 국내 학술정보유통기관을 중심으로 구성될 것이며 구성된 협의회에서는 해외 식별자를 수집하여 식별자 연계를 통한 새로운 서비스가 발굴되고 구현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lan to implement the comprehensive linking system centered on identifiers in order to provide seamless academic information services to researchers. To achieve this go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7 researchers from five centers and one secretariat belonging to KISTI.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 are about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status of the identifier of the academic information service DB. As a result of the interview, it was found that the identification rate for identifiers such as KOI was high in the case of domestic articles DB, but the identification rate for global identifiers such as ORCID was low in the case of foreign articles DB except for DOI.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proposes the council for joint use of a comprehensive linking system to build the comprehensive linking system model centered on identifiers. The joint use council will be organized around domestic academic information distribution institutions, and the council is expected to discover and implement new services through ID linkage by collecting foreign identifiers.

      • SCOPUSKCI등재

        할미꽃에 의해 발생한 자극피부염

        김주섭,차승훈,박석돈 ( Ju Seob Kim,Seung Hoon Cha,Seok Don Park ) 대한피부과학회 1997 대한피부과학회지 Vol.35 No.2

        Pulsatilla koreana is a member of the buttercup familly(Ranuculaceae) which contains the unsaturated lactone, protoanemonin(C3H4O2), formed after injury to the plant by the breakdown of the glycoside ranunculin. It has been prescribed as a herbal medicine or a folk medicine for antipyretic, analgesic, anti-inflammatory, astringent and hemostatic effects in Korea. A 20 year-old famale patient presented with confluent vesicobullae on the erythematous base with a burning sensation on her upper back. This was caused by contact with crushed Pulsatilla koreana, a folk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left facial nerve palsy, that had occurred 10 days before her visit. A provocation patch test with Pulsatilla koreana upon a heathy male volunteers upper back showed strong positive reactions with the stalk and leaf in fresh and frozen stat.e and after thaw ing resptively. However no reaction was seen when the folk medicine was used in a dried form or with the root in any state. This case indicates that misadvice and ignorant folk remedies could cause misfortunate results to innocent people, (Kor J Dermatol 1997;35(2): 339-343)

      • KCI등재

        DAF(Data Asset Framework)를 활용한 임산공학 분야 연구자들의 연구데이터 관리 개선 방안 - 국립산림과학원을 중심으로 -

        김주섭,한연중,유원재,전예린,김선태,Kim, Juseop,Han, Yeonjung,Youe, Won-Jae,Jeon, Yerin,Kim, Suntae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20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1 No.2

        본 연구는 임산공학 연구자들의 연구데이터 관리 현황 파악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DAF(Data Asset Framework)라는 도구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DAF는 기관이 연구데이터를 어떻게 관리하고 있는지 식별, 위치, 설명 및 평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조사 도구이다. 이러한 DAF를 활용하여 국립산림과학원 내 임산공학 분야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데이터 관리 현황을 분석한 결과, 연구데이터 생성방법 및 유형, 공유, 저장, 보존 그리고 재사용 등과 같은 5가지의 카테고리의 현황 및 문제점이 도출되었으며, 또한 문제점 관련하여 해결책을 제시하였다. 이번 연구는 DAF와 같은 체계적인 도구를 활용한 기초 조사로서 특정 분야의 RDM 시스템 설계 시 연구데이터의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는데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started with the aim of grasping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data management of forestry engineering researcher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tool called DAF (Data Asset Framework). DAF is an investigative tool that provides a means to identify, position, describe and evaluate how the agency manages research data. Using this DAF, the research data management status was analyzed for researchers in the field of forestry engineering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As a result of analysis,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five categories such as the method and type of research data creation, sharing, storage, preservation, and reuse were identified, and solutions were presented in relation to the problems. This study is a basic investigation using a systematic tool such as DAF, and can be used as a reference for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research data when designing RDM system in a specific field.

      • Dynalog file을 이용한 동적다엽조준기의 Leaf 속도 정도관리 평가

        김주섭,안우상,이우석,박성호,최원식,신성수,Kim, Joo Seob,Ahn, Woo Sang,Lee, Woo Suk,Park, Sung Ho,Choi, Wonsik,Shin, Seong Soo 대한방사선치료학회 2014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Vol.26 No.2

        목 적 : 동적다엽조준기(dynamic multileaf collimator, DMLC)에서 leaf 속도 정도관리 시 획득된 dynalog 파일을 이용하여 leaf 속도 정확성을 평가하고 정도관리와 모터 교체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정도관리의 유용성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leaf 속도 정도관리의 적절한 주기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폐암의 정위적체부방사선치료시 실제 적용하고 있는 최대강도투사(MIP) 영상과 호흡위상별(0~90%)영상에서 3차원적으로 재구성된 선량 분포 차이를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다엽조준기(multileaf collimator, MLC) 모터 120개에 대해 2012년 1월부터 2014년 6월까지 leaf 위치의 정확성과 치료 중심점(isocenter) 일치도 및 leaf 속도의 정확성에 대해 정도관리를 하였다. leaf 위치 정확성은 모눈종이를 사용하였으며, 또한 leaf의 치료 중심점 일치도를 평가하였다. 그리고 약 1~2 주에 1회씩 총 92회의 leaf 속도 정도관리를 통해 모터 교체회수를 파악하여 leaf 속도 정도관리와 모터 교체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교체된 모터로부터 leaf의 RMS 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경우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우로 나누어 적절한 정도관리 주기를 평가하였다. 또한 정도관리를 통해 획득된 RMS 값과 전혀 무관하게 그리고 정도관리를 통해 교체된 모터 횟수를 분석하여 leaf 속도 정도관리의 유용성을 알아보았다. 결 과 : leaf 위치의 정확성과 치료 중심점 일치도를 측정한 결과는 TG-142 보고서에서 권고 하는 허용 범위 이하의 정확성으로 관찰되었고, leaf 속도 정도관리는 총 92회를 시행한 결과 MLC 모터 교체 회수는 56회 이었다. 정도관리를 통해 교체된 모터에서 leaf의 RMS 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한 경우가 급격하게 증가한 경우에 비해 많았으며, RMS 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경우는 평균값이 0.298 cm 이었고 급격하게 증가한 경우는 평균값이 0.273 cm 이었다. 모두 에러 히스토그램이 1 cm 이상 벗어난 횟수가 측정되어 교체하였다. RMS 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모터가 교체될 때까지의 소요기간은 평균 22일 정도 였다. 전체 모터 교체 중 정도관리와 무관하게 그리고 정도관리를 통해 교체한 경우가 각각 28회씩으로 나타났다. 또한 방사선치료 도중 MLC 모터 고장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치료 지연 시간은 약 20분 정도였다. 결 론 : 본 연구에서는 최근 IMRT 치료가 증가함에 따라 MLC 사용 빈도 역시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leaf 위치 정확성 및 치료 중심점 일치도 그리고 속도 정확성 평가를 2년 6개월 동안 수행하였다. leaf 속도 정도관리를 통해 분석한 결과로부터 2 주에 한 번씩 정도관리를 수행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 주기를 통해서 leaf 속도 저하를 추적 관찰하여 최종 모터의 교체시기를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방사선치료 중 leaf의 모터 고장으로 인한 방사선치료 지연을 방지하여 좀 더 정확한 IMRT 치료가 이루어지겠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chanical and leaf speed accuracy of the dynamic multileaf collimator (DMLC) and determine the appropriate period of quality assurance (QA). Materials and Methods : The quality assurance of the DMLC equipped with Millennium 120 leaves has been performed total 92 times from January 2012 to June 2014. The the accuracy of leaf position and isocenter coincidence for MLC were checked using the graph paper and Gafchromic EBT film, respectively. The stability of leaf speed was verified using a test file requiring the leaves to reach maximum leaf speed during the gantry rotation. At the end of every leaf speed QA, dynamic dynalog files created by MLC controller were analyzed using dynalog file viewer software. This file concludes the information about the planned versus actual position for all leaves and provides error RMS (root-mean square) for individual leaf deviations and error histogram for all leaf deviations. In this study, the data obtained from the leaf speed QA were used to screen the performance degradation of leaf speed and determine the need for motor replacement. Results : The leaf position accuracy and isocenteric coincidence of MLC was observed within a tolerance range recommanded from TG-142 reports. Total number of motor replacement were 56 motors over whole QA period. For all motors replaced from QA, gradually increased patterns of error RMS values were much more than suddenly increased patterns of error RMS values. Average error RMS values of gradually and suddenly increased patterns were 0.298 cm and 0.273 cm, respectively. However, The average error RMS values were within 0.35 cm recommended by the vendor, motors were replaced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no counts with misplacement > 1 cm. On average, motor replacement for gradually increased patterns of error RMS values 22 days. 28 motors were replaced regardless of the leaf speed QA. Conclusion : This study performed the periodic MLC QA for analyzing the mechanical and leaf speed accuracy of the dynamic multileaf collimator (DMLC). The leaf position accuracy and isocenteric coincidence showed whthin of MLC evaluation is observed within the tolerance value recommanded by TG-142 report. Based on the result obtained from leaf speed QA, we have concluded that QA protocol of leaf speed for DMLC was performed at least bimonthly in order to screen the performance of leaf speed. The periodic QA protocol can help to ensure for delivering accurate IMRT treatment to patients maintaining the performance of leaf speed.

      • SCOPUSKCI등재

        Phenol - Chloroform - Petroleum ether 법을 이용한 Vibrio vulnificus lipopolysaccharide의 추출 및 생물학적 활성 측정

        김주섭,박석돈 ( Ju Seob Kim,Seok Don Park ) 대한피부과학회 1997 대한피부과학회지 Vol.35 No.4

        Background: Vibrio vulnificus is a pathogenic, marine, halophilic, gram-negative bacillus which causes fulminant infecticn in humans through the ingestion of raw seafood or skin wounds. V. vulnificus produces seveal kinds of virulent factors including cytolysin, endotoxin, exoenzymes, and siderphores. Among these, the lipopolysaccharide(LPS) of V. vulnificus has recently been purified, but the biological activity of this endotoxin is not well clarified as yet.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tract LPS from Vibrio vulnificus and to test the biological activity of extracted LPS for the elucidation of the role in V. vulnificas septicemia. Methods : V. vulnificus LPS was extracted by the Phenol Chloroform-Petroleurn ether(PCP) method. The biological activity of LPS was evaluated with a limulus amebocyte lysate assay and by assessment of lethality to ICR mice. Results : Five hundreds mg of LPS were extracted from 10g of dried V. vulnificus. Lirnulus amebocyte lysate formed a hard gel in response to the extracted LPS. This LPS showed low level of protein contaminatior in SDS-PAGE electophoresis and spectrophotometry. A High dose of LPS(200 mg/ml body weight) was lethal to mice. Conclusion : The PCP extraction yield relatively large amounts of LPS from V. vnlnificus. with out significant protein contamination and e xtrated LPS has endotoxin activity. This extrated LPS can be used for further studies such as making antibody or characterizing pathogenic roles in the V. vulnificus infection. (Kor J Dermatol 1997;35(4): 645-65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