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센서 네트워크의 노드간 세션키 생성을 위한 개선된 프로토콜

        김종은,조경산,Kim Jong-Eun,Cho Kyung-Sa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13 No.2

        제한된 연산 및 통신 능력을 갖는 센서 노드에서는 전통적인 공개키 기반의 보안 기법들을 사용할 수 없으므로, 두 센서 노드 사이의 안전한 통신이 센서 네트워크의 중요한 연구 과제가 되었으며 두 센서 노드 사이의 안전한 직접 통신을 위한 다양한 세션키 설정 프로토콜들이 제안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대표적인 세션키 설정 프로토콜들을 세션키 설정 방법, 세션키의 유일성, 연결성, 통신 및 연산 과부하, 공격 취약성 등의 기준 측도에 의해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안전하고 효율적인 프로토콜을 위한 기준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제시된 기준안을 만족시키는 개선된 세션키 생성 프로토콜을 제안하고, 제안 프로토콜의 성능적 우수성을 상세한 분석을 통해 제시하였다. Because the traditional public key-based cryptosystems are unsuitable for the sensor node with limited computational and communication capability, a secure communication between two neighbor sensor nodes becomes an important challenging research in sensor network security. Therefore several session key establishment protocols have been proposed for that purpose. In this paper, we analyzed and compared the existing session key establishment protocols based on the criterions of generation strategy and uniqueness of the session key, connectivity, overhead of communication and computation, and vulnerability to attack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we specify the requirements for the secure and efficient protocols for establishing session keys. Then, we propose an advanced protocol to satisfy the specified requirements and verify the superiority of our protocol over the existing protocols through the detailed analysis.

      • KCI우수등재

        건물의 전력 수요 패턴을 고려한 학습기반 예측 모델의 성능 비교 연구

        김종은(Jongeun Kim),김수희(Suhee Kim),이동훈(Donghun Lee),김관호(Kwanho Kim) 한국전자거래학회 2024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29 No.2

        전력 소비량이 매년 증가함에 따라, 건물 에너지 운영관리를 위해 정확한 전력 수요 예측이 요구되고 있다. 전력 수요 예측 모델은 건물의 특성, 데이터 패턴, 예측 기법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예측 성능의 차이를 보임에 따라 예측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건물별 적절한 예측모델 선정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서로 다른 전력 수요 규모와 변동성을 보이는 3개의 건물을 대상으로 머신러닝 및 딥러닝 기반의 전력 수요 예측 모델들의 성능을 비교한다. 실험 결과, 단일 모델이 모든 건물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이지 않았으며 적절한 예측 모델 선정을 통해 예측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건물의 전력 예측 모델 도입 시, 적절한 예측 모델 선정을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s electricity consumption grows every year, accurate prediction of electricity consumption is required for building energy operation management. Since the electricity consumption prediction model shows differences in predictive performance according to various factors such as building characteristics, data patterns, and prediction techniques, it is important to select an appropriate prediction model for each building to improve predictive performance. This study compares the performance of electricity consumption prediction models based on machine learning and deep learning for three buildings with different power demand scales and variability. The experiment results demonstrate that a single model doesnt show outstanding performance in all buildings and that prediction accuracy can be improved through the selection of an appropriate prediction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guidelines for selecting an appropriate prediction model when introducing a power prediction model for a new building.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디자인 인사이트를 위한 사용자 조사 및 프레이밍 사례 연구와 개념 모델 제안

        성혜린(Sung, Hye Rin),나건(Nah, Ke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3

        근래에 인간을 중심으로 하는 디자인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이 꾸준히 강조되고 있지만, 디자인 업계는 사용자 조사에 적극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다. 업계가 느낄 수 있는 부담과 막연함은 자연스럽다. 비용과 노력이 소요되는데, 어떻게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지 확실하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과연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를 더 깊게 탐구하고 사용자를 알아가려고 하는 노력이 정말 차이나는 효과를 만들까? 그렇다면, 어떤 차이를 만들며 어떤 과정을 통해 가능한 것일까?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질문에 답함으로써 디자인 업계 및 디자이너의 ‘인사이트 발굴을 위한 사용자 조사·분석 과정’에 대한 이해와 활용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자 진행되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먼저 키워드 ‘인사이트’, ‘사용자 조사’, ‘디자인 리서치’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조사하여 최근 연구 경향을 짚어보고 본 연구 방향의 차별점을 명시하였다. 이어서는 인간 속성, 욕구, 사용자 조사법, 프레이밍 이론과 인사이트에 대한 이론을 고찰함으로써, 사례 분석 및 개념 모델의 근거이자 기반이 되는 지식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였다. 사례 분석에서는, 사용자 조사 및 프레이밍으로 문제에 대한 시각을 전환하며 성공적으로 문제를 해결한 두 가지 디자인 프로젝트의 과정을 분할하여 심층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분석 결과로 사용자 조사 및 프레이밍 과정을 통한 디자인 인사이트 발굴 과정을 개념 모델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디자인 개발을 시작하는 초기에는 쉽게 관찰하거나 찾아낼 수 있는 현상, 사실, 가설 등을 디자이너 관점에서 문제로 설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례별 과정 분석에 따르면, 사용자 조사 과정이 없는 디자인 개발의 경우 누구나 생각하고 볼 수 있는 표면적 문제를 다룬다는 한계가 발생한다. 그러나 묻기, 관찰하기, 협력하기, 상상하기의 사용자 조사를 통해 디자이너는 새로운 관점을 정보로 수집하며, 이를 선택/강조/무시함으로써 문제를 구체화하고 재구성할 수 있게 된다. 결론적으로, 디자인 인사이트는 표면적인 문제를 다루는 단계에서 사용자의 관점을 수용하며 문제를 재구성하고 구체화하는 과정의 결과로써 도출되며, 정의된 인사이트는 궁극적으로 디자인 개발을 위한 지침과 범위를 제공함을 발견하였다. Regardless of the rising importance and need for human-centered design, domestic design industry is showing limited interest in conducting user research. However it is also understandable for design firms to feel pressure on the cost, efforts and its vagueness. Do exploration of design problems and understanding users really make any difference? If so, what sort of differences? What process does it accompany? This study aims to support design industry and designers through enhancing their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research and analysis process for user centered insights’. In regard of study methods and process, precedent studies about ‘insight’, ‘user research’ and ‘design research’ are reviewed and the point of difference in this study is specified. For theoretical speculation, comprehensive review of theoretical knowledge about human attributes and needs, user research methods, framing theory and insights is presented. On the basis of reviewed knowledge, two cases are analyzed in-depth: publicly known design projects that successfully solved problems as designers shifted their perspective on initial problem by user research and framing. As a result, this study proposes a conceptual model of insight discovery process that consists of user research and framing activities. This study shows that a designer sets easilyobservable facts or phenomenon as initial problems. Hence, without user research, the designer will have limits as they have to deal with apparent problems that are widely known. However through asking, observing, cooperating and imagination, the designer can obtain new perspectives on the problem. And by selecting, salience and ignoring, he or she will be able to reconstruct the problem. In other words, in the process of reflecting stakeholders’ points of view, a designer can define fundamental problems. This indicates that design insights are developed by reconstruction of initial problems. Lastly, this study concludes that defined insights offer specific guidelines and boundaries for the following design development stag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Bisphenol A가 흰쥐의 태반 기능과 출산에 미치는 영향

        이채관,김석현,문덕환,김정호,손병철,김대환,이창희,김휘동,김정원,김종은,이채언,Lee, Chae-Kwan,Kim, Seog-Hyun,Moon, Deog-Hwan,Kim, Jeong-Ho,Son, Byung-Chul,Kim, Dae-Hwan,Lee, Chang-Hee,Kim, Hwi-Dong,Kim, Jung-Won,Kim, Jong-Eun,Lee, Chae 대한예방의학회 2005 예방의학회지 Vol.38 No.3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isphenol A (BPA), an estrogen-like environmental endocrine disrupter, on the placental function and reproduction in rats. The mRNA levels of the placental prolactin-growth hormone(PRL-GH) gene family, placental trophoblast cell frequency and reproductive data were analyzed. Methods : The pregnancies of F344 Fisher rats ($160g{\pm}20g$) were detected by the presence of the copulatory plug or sperm in the vaginal smear, which marked Day 0 of pregnancy. Pregnant ra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 control group was intraperitoneally injected with a sesame oil vehicle. The two remaining groups were injected with 50 or 500 mg/kg B.W/day of BPA, resuspended in sesame oil, on either days 7 to 11 or 16 to 20 of pregnancy, with the rats sacrificed on either day 11 or 20, respectively. The mRNA levels of PRL-GH and Pit-1a and b isotype genes were analyzed by Northern blot hybridization and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The hormone concentrations were analyzed by radioimmunoassay, and the frequency of the placental trophoblast cells observed by a histochemical study. Reproductive data, such as the placental weight and litter size, were surveyed on day 20. The fetal weight was surveyed for 4 weeks after birth. A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the SAS program (version 8.1). Results : The mRNA levels of the PRL-GH gene family, such as placental lactogen I, Iv and II, prolactin like protein A, C and Cv, and decidual prolactin-related protein were significantly reduced due to BPA exposure. The mRNA levels of the Pit-1a and b isotype genes, which induce the expression of the PRL-GH gene family in the rat placenta, were also reduced due to BPA exposure. The PL-Iv and PL-II concentrations were reduced in the BPA exposed group. During the middle to last stage of pregnancy (Days 11-20), a high dose of BPA exposure reduced the frequency of spongiotrophoblast cells, which are responsible for the secretion of the PRL-GH hormones. Reproductive data, such as the placental and fetal weights and the litter size, were reduced, but that of the pregnancy period was extended in the BPA expo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 BPA disrupts the placental functions in rats, which leads to reproductive disord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