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데카르트의 사랑 개념과 만족의 에고이즘 -17세기 감정론과 역량의 윤리 (1)-

        김은주 ( Kim¸ Eunju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8 가톨릭철학 Vol.0 No.30

        데카르트가 정의하는 사랑의 정념은 자기 보존과 유용성 중심의 이기적인 것으로도 해석될 여지가 있고, 사랑의 대상을 위해 자기희생까지 감수하는 이타적인 것으로 해석될 여지도 있다. 여기서 나는 데카르트의 입장을 이기주의에 가까운 것으로 보되, 그가 심신합일의 바탕에 심신이원론을 설정함으로써 이타주의나 공동체주의와 완전히 양립 가능한 독특한 에고이즘을 벼려냄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나는 첫째, 사랑에 대한 데카르트의 정의가 ‘대상의 좋음’을 사랑의 핵심에 두는 아퀴나스적 관점과 결별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사랑의 동기가 대상에서 주체로 옮겨온다고 해서, 데카르트의 사랑 개념이 홉스 류의 생물학적 이기주의를 함축한다고 볼 수는 없음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사랑이 주체에게 가져다주는 진정한 이익이 자기 보존이나 욕구 충족이 아니라 감응 자체에서 얻는 영혼의 만족임을 보여주고, 이 만족이 영혼이 자기 신체와 합일되어 있으면서도 지적 거리를 가질 수 있다는 점에 기반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Descartes’s definition of love apparently suggests the non-egoism of Cartesian ethics. I clarify that his ethical position implied in his treatment of love remains egoistic. However, I also show that, on the basis of his dualistic theory of mind-body union, he elaborates an egoism entirely compatible with altruism or communitarianism. For this, I show first that Descartes' definition of love breaks off from Aquinas’ view on love, placing at the core of love the subject’s contentment rather than the objects’ value. Nonetheless, this subjectivism does not imply a biological egoism like in Hobbes. I argue that the true benefit of love consists neither in the self-preservation nor in the satisfaction of appetites, but in the contentment of the soul that increases along with the increase of affectivity itself, the affectivity secured by the intellectual distance that the soul can take with regard to its own body.

      • KCI등재

        면역 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한 국내 반려견의 Dog erythrocyte antigen 1 분포도 조사 연구

        김은주,최창용,류재규,오상익,정영훈,조아라,김수희,도윤정,Kim, Eunju,Choe, Changyong,Yoo, Jae Gyu,Oh, Sang-Ik,Jung, Younghun,Cho, Ara,Kim, Suhee,Do, Yoon Jung 대한수의학회 2018 大韓獸醫學會誌 Vol.58 No.2

        Blood group determination in dogs is an important factor in transfusion medicine to minimize immediate or delayed adverse reactions after red blood cells transfusion in small animal clinics. Dog erythrocyte antigen (DEA) 1 is the most important blood type due to its high degree of antigenicity causing acute transfusion adverse reaction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DEA 1 in various dog breeds in Korea. As a result of testing 592 blood samples from more than 35 dog breeds, DEA 1 blood typing for each breed showed that 57.8% of Malteses, 63.3% of Poodles, 76.2% of Mastiff-like dogs, 72.5% of Pomeranians, 47.7% of Shih Tzus, 70.3% of mixed breeds, 60.0% of Yorkshire Terriers, and 71.4% of Beagles were DEA 1-positive. Miniature Schnauzers and Jindo breeds had a significantly high prevalence (100%) of DEA 1-positive dogs compared to that in other small breed dogs. This is the first report of immunochromatography-detected DEA 1 prevalence in various domestic dog breeds. Although additional studies need clarifying the potential blood transfusion risks in domestic breed dogs with DEA 1,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useful when selecting a blood donor.

      • KCI등재

        코로나 19 상황에서 음악 수업 실천 사례 분석을 통한 교사의 수업 역량 탐색

        김은주 ( Kim¸ Eunju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2 No.3

        코로나 19의 등장 이후, 학교 음악 교육은 학생과 교사와의 ‘만남’이 단절됨으로 인해 실음 중심의 수업이 제한되는 매우 본질적인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코로나 19 상황에서 음악 교육을 위해 교사가 갖추어야 할 수업 역량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우선 수업 역량의 일반적 의미와 범위를 살펴보고 최근 교육의 흐름으로 반영된 사항을 분석해 보았다. 이어서 음악 수업 역량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고찰해 봄으로써 음악 수업 역량의 의미와 요소를 정리해 보았다. 코로나 19 이후 초등학교의 수업 상황은 크게 전면 비대면 원격수업 상황과 원격-등교 블렌디드 러닝 수업 상황으로 나눌 수 있다. 이에 전면 비대면 원격수업 상황과 원격-등교 병행 블렌디드 러닝 상황에서 이루어진 음악 수업 실천 사례를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해 보았다.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코로나 19 상황에서의 초등학교 음악 교육을 위한 수업 역량을 탐색하고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 코로나 19 상황에서의 음악 수업 역량으로는 ‘교수학습 상황에 따른 수업 설계 능력’, ‘음악 교과 특성을 기반으로 한 수업 구현 능력’, ‘디지털 기술과 정보에 관한 이해와 활용 능력’, ‘동료 교사 및 학습자와의 협력과 상호작용 능력’ 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코로나 19 이후의 초등 음악 교육의 발전을 위하여 초등 음악 수업 발굴과 우수 사례 보급, 음악 교육 특성에 맞는 원격수업 플랫폼과 기능 개발 및 활용 방안 마련, 다양한 교사 연수, 수업 환경 지원, 교수학습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 예비 초등교사 양성 과정에서 새로운 상황의 수업 수행 역량 함양 내용과 방법 포함의 필요성 등을 제언하였다. 앞으로 교육 실행의 주체로서의 교사 역량에 관한 다양한 연구와 시도를 통해 음악 교육의 본질을 실현할 수 있는 수업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Since the appearance of COVID-19, music education has suffered very fundamental difficulties in which practical sound-centered classes are limited due to the severance of ‘meeting’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eaching competency that teachers should have for music education in the context of COVID-19. First, the general meaning and scope of instruction competency was explored, and the points reflected in the recent education flow were analyzed. Next, the meaning and elements of music instruction competencies were summarized by examining related prior studies. First, the general meaning and scope of instruction competency was explored, and the points reflected in the recent education flow were analyzed. Next, the meaning and elements of music instruction competencies were summarized by examining related prior studies. The classroom situation in elementary schools after Corona 19 can be largely divided into a completely non-face-to-face remote learning situation and a blended learning class situation. Accordingly, cases of music class practice in both non-face-to-face distance learning and blended learning were analyzed from various perspectives. Based on the above content, instruction competencies for elementary school music education in the Corona 19 situation were explored and implications were derive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Music teaching competencies in the context of COVID-19 include 'class design ability according to teaching and learning situations', 'class implementation ability based on music subject characteristics', 'understanding and using skills of digital technology and information' and 'ability to cooperate and interact with fellow teachers and students'. In addition, based on the research content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music education after COVID-19. First, it is necessary to discover elementary school music classes and disseminate best practices.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distance learning platform and function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music education and prepare a plan for its use.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teaching program for teachers, support for the classroom environment, and a database for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inally, in the process of nurturing pre-prim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t is necessary to include the contents and methods of cultivating the ability to perform classes in new situation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classes that can realize the essence of music education through various studies and attempts on the teacher's competency as the main body of education.

      • KCI등재

        영화 <스토커>에서 나타나는 색채 이미지 분석

        김은주(Kim, Eunju),김건(Kim, Geon)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7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6 No.2

        연구배경: 영화에서 색채는 영화주제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기능을 갖기도 하는데, 단지 색 자체로서 의미를 전달하기보다 내러티브의 중심적 요소로 작용한다. 특히, 배경과 인물을 중심으로 하는 영화에서 색채는 등장인물의 내면 상태와 특징 그리고 상황에 결부되어 내러티브 플롯을 형성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3단계의 연구방법을 통해 결론을 도출하고자 한다. 첫 번째 단계는 색채에 관련된 이론적 고찰을 살펴본 후, 영화 <스토커>의 내러티브의 구조를 살펴보고 내용상 색채의 연상과 상징적 의미를 분석한다. 두 번째 단계는 색채의 내러티브에서 드러나는 특징과 관련된 언어와 이미지를 추출하여 이미지 스케일 모형을 분석한다. 세 번째 단계는 내러티브 구조에서 색채 의미작용과 생성을 조직화하고 구체화하기 위한 과정을 검토한다. 연구결과: 영화 <스토커>의 색채를 분석하고 의미생성에 대해 살펴본 결과, 첫째 색채는 내러티브 구조를 세그먼트하는 요소의 활용이다. 둘째 색채는 내러티브 장치에 있어 중요한 단서인 플롯을 형성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색채는 인물들의 심리적 변화와 상황변화를 상징적으로 표현하여 등장인물에 대한 정보 그리고 감정 상태를 묘사하는데 효과적으로 보여진다. 결론: 본 연구에서 분석한 결과, <스토커>의 색채는 내러티브 구조와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 철저하게 기획하고 의도되어 제작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영화 속에서 색채는 스토리 자체에 끌려가는 오브제가 아니라 스토리를 끌고 내러티브의 구조 전체를 수반하여 특정한 목표와 기능이 부여된다. <스토커>에서 색채는 인간의 가족, 사회, 문화적 관계의 타자로서 자아적 존재감의 중요성과 이를 표출하고자 하는 무의식적 본능적 욕망에 대한 메타포적인 표현이다. Background: Contrary to popular belief, color in film does not necessarily, or only, conveys an exclusive meaning, but actively participates in constructing narratives. That is, color is not just props to create aesthetic patterns, but a main element in, thus conveyor of, the main theme of the film. Especially in narrative films in which a plot centers on characters and backgrounds, color directly ties to the psychology of the characters or a series of scenes leading up to the ending of the narrative. Methods: This study centers on three-layered methodology, the first of which provides theoretical backgrounds on color along with the analysis of symbolic and associative meanings of colors used to construct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film. The second features the analysis of the image scale model by looking into languages and images found in the color narrative, and the final examines the process of organizing and embodying color semantics in the narrative structure. Result: Aforementioned steps eventually come to three conclusions: color is a main element to segment the narrative; color is of great importance for the plot formation; finally it symbolizes the change of the character psychology, and of situation, which is particularly effective in describing information and the emotional state of the character. Conclusion: Colors in the film stalker were systematically planned, produced and placed. Here in the film they refuse to remain just an objet buried underneath the story, but rather ‘narrate’ the story and lead it to the narrative structure. In stalker, color is a metaphorical expression of the importance of self-existence, and also the inherent desire to express it especially when feeling down to a mere being in human family, social and cultural relations.

      • KCI등재

        애니메이션 <해피피트>에 나타난 안티히어로 캐릭터 분석 : 라캉의'상징계'를 중심으로

        김은주(Kim Eunju),김재웅(Kim Jeawoong)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1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1 No.1

        영웅담에 있어 캐릭터의 세계관과 캐릭터가 속한 세계의 사회질서는 내러티브의 중요한 요소가 된다. 이 때 존재하는 세계는 현실을 닮았거나 혹은 다르게 표현되기도 한다. 캐릭터가 속해 있는 세계 속에서 갈등이 일어나고 갈등 요소는 인간의 사회적 윤리적 가치의 개입속에 체험을 바탕으로한 내러티브로 형성된다. 이러한 영웅은 현대에 있어서 다양한 형태로 변모되어 나타나는데 그 중에서 평범하고 무능한 주인공 안티히어로 (anti-hero)가 등장하였다. 애니메이션 <해피피트>는 결함이 있는 캐릭터가 영웅이 되어 돌아오는 영웅담의 내러티브를 그대로 따르고 있다. 본 논문은 애니메이션 <해피피트>를 통해 안티히어로 즉 라캉이 제시한 상징계로서의'아버지의 이름'이 애니메이션에서 어떻게 작동되는가에 대해 분석하였다. <해피피트> 안티히어로 멈블은 사회 부적응 캐릭터로 기존 사회질서를 무너트린다는 이유로 무리에서 추방당한다. 추방을 당한 멈블은 자신의 욕망을 실현시키기 위해 다시금 그 사회로 돌아와 아버지의 이름의 금지를 전복시키고 새로운 사회 상징계의 법으로서 존재하게 된다. 애니메이션에 있어서 라캉의'아버지의 이름' 즉 금지에 해당되는 사회의 법질서는 불완전하며 캐릭터와의 관계에서 영웅 탄생의 중요한 질료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In the hero story the world view of the character and the social order in the character society become the important elements for the narrative. At this time the existing world looks like reality or described as some other things. The conflict come out in the character world and the conflict element is reached to the narrative based on the experience which is affected by the social and moral value of the human. This kind of heroes are shown up with variety form of change today. The Anti-hero appears who is ordinary and incompetent among them. <Happy Feet> won Academy Feature length animation award in 2007 in USA and has full of documentary factors. It deal with the life of a emperor penguin and describes the ecology as realistic and it follows a hero narration showing that the incompetent character become hero. This study analyzed how father's name as symbolic which Lakan introduces works in the animation from incompetent through animation <Happy Feet>. The anti-hero character 'Mumbul' who is maladjustment to the society in <Happy Feet> is expelled by the flock due to destroy the public order. The character who left adventure come back to the society in order to realize his desire and subvert the ban for father's name and becomes the law of symbolic world and new society. We can see the relation between the law and order in the society and the character so called The father's name of Lakan becoming the raw material to make a Hero.

      • KCI등재

        개발수요와 글로벌 동향에 대응한 한국 국제개발협력 정책목표 변화방향

        김은주(Kim, Eunju) 한국지역개발학회 2021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33 No.1

        It is necessary to set ODA policy goals based on the development needs of the partner countries. In this regard, this study first explored the changes in global development needs of developing countries, and then analyzed global development trends of donor countries responding to those changes. Based on this, it suggested ODA policy goals for Korea to contribute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s middle-power donor country. The most important policy goal is to supply global public goods for the issues tha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must jointly respond to, such as the global health crisis and climate change. It is also necessary to harmoniously pursue national interests in line with the norms and universal value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addition, it needs to respond to diverse development needs required to enter middle-income countries, especially for developing countries in Asia. Finally, this paper emphasized the need to present performance targets for strategic goals of ODA in order to establish a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to achieve the policy goals.

      • KCI등재

        대리보충: 데리다의 루소 읽기

        김은주(Kim, Eunju)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21 철학사상 Vol.81 No.-

        『그라마톨로지』(1967)는 데리다 문자학의 출범작이지만 그 실질적 내용은 루소의 『언어기원에 관한 시론』(1781)에 대한 다층적 분석으로 채워져있다. 그렇다면 루소의 언어 이론과 데리다 문자학의 관계는 무엇인가? 본고는 이 문제를 루소가 단지 말과 기록 사이에서 국지적으로 발견한 대리보충의 관계를 데리다가 어떻게 전면화할 수 있었으며 그 귀결이 무엇인가라는 각도에서 탐구하고, 다음 세 가지를 제시한다. 먼저, 데리다가 대리보충의 관계를 루소 안에서 전면화하고 하나의 논리로까지 격상시킬 수 있었던 것은 루소의 ‘자연’과 ‘기원’ 개념을 해체함으로써이다. 둘째, 데리다는 대리보충의 논리에 힘입어 루소 텍스트의 모순들을 집요하게 밝혀냄과 동시에 이 모순들이 일정한 구조 안에 일관되게 조정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셋째, 이렇게 해서 데리다는 기원 지향의 목적론 성격을 띤 인류학적 텍스트 『시론』을 구조주의 텍스트로, 나아가 데리다 자신의 문자학 텍스트로 재(탈)구축한다. De la grammatologie (1967) is the first work which set out Derrida’s own grammatology, but its actual content is mostly filled with a multi-layered analysis of Jean-Jacques Rousseau’s Essay on the Origin of Language (1781). What, then, is the relationship between Rousseau’s language theory and Derrida’s grammatology? This paper makes three points on this problem, investigating how Derrida generalizes the relationship of supplement(le supplément), which Rousseau discovered regionally between speech and writing, and what is the result of this generalization. First, Derrida is able to bring the fore the supplement and to make it a logic through deconstructing Rousseau’s concepts of “nature” and “origin.” Second, it is by virtue of the logic of the supplement that Derrida persistently reveals the contradictions of Rousseau’s text, while showing that such contradictions are consistently coordinated. Third, in this way, Derrida re(de)constructs Rousseau"s Essay, which could be characterized as an archi-teleological anthropology, to a kind of structuralist text and even to Derrida"s own grammatological text.

      • KCI등재

        현장실습 만족이 지각된 가치와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전문대학 관광전공 학생들을 중심으로

        김은주(Kim, Eunju) 대한관광경영학회 2018 觀光硏究 Vol.33 No.3

        본 연구에서는 산학협력을 통한 현장실습 만족이 지각된가치와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서로의 관계를 규명하여 이론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산학협력을 맺고 있는 대학과 산업체의 실무 실행 단위의 담당자에게 필요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전문대학 관광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분석을 하였다. 특히 최근 산학협력의 중요성이 날로 증대됨으로써 취업이 전문대학에서 중요한 지표로 작용 하는 현실을 볼 때 연구의 중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관광전공학생들은 호텔, 항공, 여행, 이벤트 등의 분야에서 실습을 하게 되고 학생들의 만족도가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만족도를 요인화 하고 이들이 지각된가치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분석과 또한 진로결정에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rrelation of Satisfaction with Tourism Practicum on Perceived Value and Career Decision-making: Targeting Tourism Students of College. In particular, given the fact that education-industry cooperation is considered important in recent years and that employment is an important indicator in professional universities. Tourism students will be given the tourism practicum in areas such as hotels, aviation industries, agencies , and events related to hospitality industries, and their satisfaction will be revealed. We intend to analyze whether these factors contribute to the satisfaction level, analyze whether they affect the perceived value, and analyze whether they affect the course decision..

      • KCI등재

        앱북(AppBook)의 인터랙션 디자인

        김은주(Kim, EunJu),김건(Kim, Geon)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6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5 No.2

        연구배경 : 앱북은 종이책이 갖고 있는 텍스트성을 기반으로 디지털 미디어가 융합되는 새로운 미디어 형태이다. 그래서 상호작용성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전자책 구성전략이 요구되며, 기존의 종이책에서 볼 수 없었던 전혀 다른 차별적 특성으로 사용자와 상호작용을 강화하고 있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앱북인 <구름빵>의 인터랙션 디자인의 상호작용성과 그에 따른 멀티미디어 구성의 표현방법을 검토한다. 특히, 멀티미디어 표현 요소와 상호작용성의 검토를 토대로, 현재 앱북의 인터페이스 구조와 콘텐츠 표현에 대한 그래픽 디자인의 중요성과 표현 방식에 천착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 분석은 전자그림책의 분석요소를 전자그림책 앱 구조와 그래픽 텍스트로 나누어 분석한다. 구조는 페이지의 형태, 글 텍스트, 파라텍스트로 나누어 분석하며, 그래픽 텍스트는 화면 조작과 크기, 캐릭터의 움직임과 효과, 배경, 카메라(시선)의 움직임과 방향으로 세분화하여 분석한다. 연구결과 : <구름빵>은 인터페이스를 구성하고 있는 멀티기능적 콘텐츠와 사용자 간에 형성되는 인지적 상호작용성이 극대화되어 있다. 특히 인터페이스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파라 텍스트’는 멀티미디어적인 자극 요소들이 강하게 적용 · 활용되어 사용자와 인터페이스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지식, 기억, 정서, 참여에 대한 인지요소의 층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경향은 그래픽 요소의 ‘캐릭터와 배경’에서도 인터페이스의 인지적 상호작용성이 잘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된다. 결론 : <구름빵>을 통해, 본 연구는 인터페이스 제작에 있어서 영상에 대한 전반적 지식과 콘텐츠를 제작하여 재현할 수 있는 디지털 기술에 대한 기획능력과 사전교육이 필요하며, 또한 인지적 반응을 통한 감성적 · 행동적 반응에 있어 사용자들의 발달단계 과정에 대한 전공자들의 학습이 선행되어야 함을 제언한다. Background : Appbook is a new form of media which digital media converged based on textuality of paper books. Therefore, the composition strategy of e-books on the basis of the interactivity is required, and the interaction with users is enhanced by a completely different distinctive features not seen in existing paper books. Methods : This study examines an interactive design of Cloud Bread, and the representing styles of involved multimedia contents. Particularly, the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graphical interface design. In details, the components of E-book have been categorized into either app-structures or graphic texts. The app-structures are format of the page, word text, and para-text. The graphic texts are display control and size, character movements and effects, backgrounds, and the camera walk. Result : The Cloud Bread maximizes multifunctional contents and the user’s cognitive interactions. Especially the para-text which consists interface structure, effectively applies the multi-stimuli to create user experience that involves knowledge, memory, emotion, and participation. This tendency has been also found in character and backgrounds in graphic contents. Conclusion : By assessing Cloud Bread, the present study has suggested the needs for pre-education of digital producing skills and background knowledge of the video contents. It also draws a point for the experts to understand the user’s developmental stages of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respon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