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계적 접근을 통한 국제경쟁력 분석

        김윤호,박동규,김재연 한국경영과학회 1990 經營 科學 Vol.7 No.1

        In today's international society, growth and prosperity of a company can be achieved by enhancing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Evaluation technique for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between companies is an important part of the methodology for enhancing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within a company. Since it is not reasonable to evaluate the entire entity of competitiveness by considering only few aspects of the company, techniques must be developed for competitiveness evaluation by simultaneously considering many aspects of the company. In this article, two such techniques are presented. One select representative competitiveness indices, and the other evaluates competitiveness by utilizing the ranking method.

      • [발제 2] 비정규직 관리방식의 유형분류와 유형선택의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

        김윤호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09 한국노사관계학회 학술대회 Vol.2009 No.6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의 논의를 바탕으로 비정규직 관리방식에 대한 경험적 유형분류를 제시하고, 이에 대한 선행요인을 주로 적합성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먼저, 사업체의 비정규직 관리유형을 비정규직 고용의 형태(간접고용비율, 직접고용비율), 비정규직관리의 제도화 수준, 비정규직 활용의 목적(비용절감목적과 유연성추구목적)을 기준으로 하고, 사업체패널 3차년도 부가조사의 726개 사업장을 연구 표본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경험적 유형분류를 통해 네 가지의 비정규직 관리유형(직접고용중심형, 간접고용중심형, 저활용통합형, 저활용분리형)을 도출할 수 있었다. 또한, 비정규직 관리유형들의 선행요인들을 규명하기 위해, 주로 인적자원관리의 아키텍처 적합성, 외적적합성 및 구조적 적합성 관점에서 가설을 설정하고, 다중 로짓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대부분의 가설을 지지하였다. 이 논문은 정규직에 대한 인적자원관리시스템, 외부환경, 조직구조의 특성들이 조직의 비정규직 관리유형 선택의 선행요인임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근로자 경영참여와 노사분쟁의 관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김윤호,송민수,송영규 글로벌경영학회 2007 글로벌경영학회지 Vol.4 No.2

        본 연구는 근로자 경영참여와 노사분쟁의 관계를 실증 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영참여의 제도적 형태를 의사결정참여, 성과참여 및 자본참여로 구분하고, 노동조합 의 경영참여에 대한 노사관계 당사자들의 태도적 요인을 사용자 및 노동조합의 태도 로 구분하여, 이 요인들이 노사분쟁과 어떠한 관계를 갖는지를 검증한다. 탐색적성격의 연구가설은 각 경영참여 유형들 및 노조의 참여에 대한 사용자의 우호적 태도와 노사분쟁은 부정적 관계를 가질 것이며, 경영참여를 요구하는 노동조합의 적극적태도는 노사분쟁과 긍정적 관계를 가질 것으로 예측하였다. 한국노동연구원이 2003년도에 실시한 제2차 사업체패널조사의 자료를 사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한 결과는 전반적으로 연구가설들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의사결정참여의 구성변수중 하나인 정보제공이 노사분쟁을 오히려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한계를 지적하고, 연구의 이론적․정책적 시사점을 토론하였다 This empirically based research demonst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er participation and labor disputes. This study divided the institutionalized form of participation into three different concepts;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information offer, opinions collection, decision making), participation in profit(profit sharing, gain sharing), and participation in capital(employee stock ownership plan: ESOPs). On the other hand, this article defined the attitude of labor and management on worker participation as management attitude(partnership with union, information sharing with union, and acceptability of worker participation) and union attitude(managerial information requests and management participation requests). Exploratory hypothesis predicted positive management attitude on various types of worker participation would be negatively associated with labor disputes, but active union attitude on worker participation would be positively associated with labor disputes.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result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2nd workplace panel study by Korea Labor Institutes in 2003, the most of our propositions were supported. However, information sharing among decision making related variables increased labor disputes instead. At last, we discussed the implication of these results with some limitations

      • KCI등재

        사회적기업은 재분배 정책인가 분배 정책인가? - 인증 사회적 기업의 유형화, 실증적 비교분석, 그리고 육성방안 -

        김윤호 한국정책학회 2010 韓國政策學會報 Vol.19 No.4

        본 연구는 노동부에 의해 인증된 사회적기업에는 취약계층에 대한 복지 정책적 속성뿐만이 아니라, 분배적 속성을 지닌 여러 형태의 사업체들이 혼재되어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들 기업들을 사회적 목적에 따라 주민 주도형 커뮤니티 비즈니스, 일자리 창출형 커뮤니티 비즈니스, 그리고 사회적 기업의 세 유형으로 분류하고 비교분석을 한 결과, 주민 주도형 커뮤니티 비즈니스는 지역 공동체의 활성화, 일자리 창출형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사회적 기업은 취약계층에 대한 일자리 제공이라는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아울러, 두 유형의 커뮤니티 비즈니스는 ‘적정규모’를 추구하는 반면, 사회적기업은 ‘규모의 경제’를 추구한다는 차이점도 확인하였다. 현재의 사회적기업 육성법에 기초한 정책운영은 다양한 사업체들을 강제로 표준화할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각 유형에 따른 차별화된 정책이 필요하다. 아울러 일자리 창출형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사회적 기업은 하향적 정책집행이, 주민 주도형 커뮤니티 비즈니스는 상향적 정책집행이 적합하다는 것을, 그리고 각 유형에 따른 유동적 인증요건의 적용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This study detected some social enterprises certified by the Korea Ministry of Labor have features of welfare policy, but others have those of distributive one. Thus, it classifies the certified social enterprises by social objective. In turn, the following three types are identified: resident-led community business (CB), job creation oriented community business (CB), and social enterprise (SE). According to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hree types, resident-led CB aims to revitalize local community, and job creation oriented CB and SE pursue a goal of job creation for socially and economically disadvantaged people in a local area and wider regions respectively. In addition, it found the two types of CBs are inclined to be operated under proper sizes whereas SEs tend to expand their sizes as time goes. Consequently, it is necessary to adopt different approaches to the promotional law of social enterprises in Korea because it has a danger of standardizing various enterprises. In addition, this study stresses that the top-down approach in policy implementation needs to be reflected in laws regarding job creation oriented CB and SE, the bottom-up approach should be adopted in law related to resident-led CB, and the application of flexible conditions for the certification of Korean social enterprises.

      • KCI등재

        UML 다이어그램 도구를 위한 다이어그램 정보의 구축과 설계

        김윤호,Kim, Yun-Ho 한국정보통신학회 2020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4 No.2

        본 논문에서는 UML 다이어그램의 정보를 구문적으로 분석하여 클래스들의 정보를 구조적으로 구축하는 정보 저장소인 '메타 클래스 레포지토리 (MCR)'의 구현 방법을 제시한다. 구문적으로 분석된 클래스의 정보를 구조적으로 구축하기 위하여 수퍼 클래스인 '메타 클래스 (meta-class)'를 정의하고, 이들 메타 클래스들의 컬렉션으로 구성된 레포지토리를 구축하여 정보를 관리한다. 또한, MCR이 보유하고 있는 메타 클래스 정보에 기반하여 클래스에 상응하는 코드를 생성하기 위하여 '코드 생성 엔진 (CGE)'을 설계하여 제시한다. 코드 생성 엔진의 로직을 구성함에 있어서는 클래스에 대한 정보와 프로그래밍 언어의 구문 규칙이 합법적으로 조합되어 코드가 생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클래스 다이어그램으로부터 코드를 생성하는 데에 MCR과 CGE가 통합적으로 협력하여 수행될 수 있도록 구현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CGR의 동작 메커니즘에 대한 알고리즘을 유한 상태 머신 형태로 제시함으로써 CGE의 로직을 형식화하여 표현함과 동시에 구현 상의 용이함을 취할 수 있게 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a design of the Meta-Class Repository (MCR) which maintain syntactically analyzed and structured meta-class information from UML diagrams, and then proposes 'meta-class,' also known as super-class, to construct structured information analyzed syntactically. The MCR is a collection of these meta-classes which contains the information extracted from diagrams. This paper also presents a design of the Code Generation Engine (CGE) which roles generating codes corresponding classes from UML diagrams based on the MCR maintaining a collection of meta-classes which is syntactically-analyzed and constructed in previous process. The logics of CGE are designed to generate codes collaborated with MCR and CGE with integration. The logics of CGE mechanism is presented with the form of finite state machine to present the algorithms of code generation formally and have the advantages of simplicity and easiness in development.

      • KCI등재

        시간제 근로 유형화와 양질의 시간제 일자리에 대한 다수사례 연구

        김윤호,성지미,박진명,우미혜 한국산업노동학회 2012 산업노동연구 Vol.18 No.2

        시간제 근로는 일·가정 양립의 사회 문화적 흐름과 창조 경제로의 산업구조 변화에 그 적합성을 인정받아, 정부주도로 다양한 형태의 시간제 일자리 창출 지원 사업을 시작하는 등 국가의 전략적 일자리 창출 방식의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시간제 근로 노동시장의 구체적인 작동방식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간제근로 고용을 창출한 기업을 대상으로 심층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Venkat Bendapudi 등(2003)의 연구를 토대로 시간제 근로에 대한 종업원 태도인 자발성(高, 低)과 종업원 산출물 성과 모호성(高, 低) 2가지 차원을 기준으로 4개의 유형을 도출하고, 각 유형별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시간제 근로 유형별로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14개의 양질의 시간제 근로 차원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사례 연구에서 적용하였던 4가지 유형 분류에 따라 각 유형별 특징, 기업에서 필요한 인적자원관리 방향 그리고 정부의 주요 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Analysis of the Ambient Dose Variation Due to Cosmic Rays in Daejeon by Using a Neutron Monitor

        김윤호,강정수,장도윤,손재범,김용균,김성중 한국물리학회 2013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63 No.11

        The Basic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of Hanyang University in Korea has constructed acosmic-ray detection system that is presently being operated. In this study, the impact of cosmicrayson 18-tube NM64-type neutron monitor installed in Daejeon was confirmed for the first time. In order to evaluate the reliability of the neutron monitor, we predicted the count rates from theneutron flux by using the Excel-based Program for calculating Atmospheric Cosmic-ray Spectrum(EXPACS); these predictions were then compared with experimental results. The predictions agreewell with the results, with differences no greater than 3.95%. Also, changes in the neutron ambientdose equivalent rate from cosmic rays due to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were analyzedusing EXPACS; the results obtained were compared with those of previous studies and were thus,confirmed to be reliable, suggesting that the detection system is suitable for making the relevantmeasurements. That detection system was then used to evaluate the neutron ambient dose equivalentrate for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in Daejeon. Finally, a conversion coefficient, definedas the ratio of counts from the neutron monitor to the neutron ambient dose equivalent, was obtainedand included considerations of the impacts of geological factors and of meteorological factorsof relative humidity and atmospheric depth. The derived formula fit the source data with an adjusted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of 0.9894 and a root-mean-square error of 1.7056 × 10−10,equivalent to about 1%. This confirmed satisfactory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formula, therebyshowing this methodology to be legitimate for use in evaluating the neutron ambient dose equivalentby using the Daejeon neutron monitor.

      • KCI등재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문화원형에 관한 고찰: 한·일간 비교를 중심으로

        김윤호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2 국제지역연구 Vol.16 No.2

        Recently, Japanese cultural contents are being evaluated as a worldwide content. Among them, the animation takes an overwhelming place in the world market as a Japanese representative content. We need to understand that Japanese animation is being recognized world wide, because Japanese culture was grafted in to and it’s very important to apply that to our situation. Cultural content to dominate the world has a fundamentally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regional culture. Cultural content includes elements of particular culture prototype. To investigate into cultural content that has globally used and is valuable, in-depth and systematic research for local (country) culture prototype showed be carried out. Our research aim to provide basic data so Korean animation can be developed as axis of Korean Wave. This compares and analyzes the Culture prototype from Korea and Japanese modern civilized media animation. Specifically for the animation shown in the culture prototype, we aim to - Analyze the content of culture prototype shown in Korea’s animation: 'Hopi and Chadol Bawi', 'Heung-Bu and Nol-Bu', 'A Admiral's Diary', and 'Oseam'. - Analyze the content of culture prototype shown in Japan’s animation: 'Genji', 'The Spiriting away of Sen and Chihiro', 'The Princess Mononoke', and 'Raccoon War Pom Poko'. - Compare and analyze the content of culture prototype depending on classifying criteria shown between Korea and Japan. We finally want to provide the basic data to develop the creation material for the global animation content based on these two countries throughout this research. 일본의 문화콘텐츠는 전 세계적으로 지명도가 높으며, 그 중에서도 애니메이션은 아니메라는 이름하에 폭 넓은 마니아층을 형성하고 있다. 한국의 애니메이션이 영화나 드라마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일본에 뒤쳐져 있는 현실을 감안할 때, 일본의 애니메이션이 자국 내 전통문화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전 세계인에게 사랑받고 있는 현상을 파악하고, 이를 우리나라 실정에 맞추어 접목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세계를 지배하는 문화콘텐츠를 분석해보면 하나같이 해당 문화권의 근본적 속성을 강하게 지니고 있으며, 반드시 그 속에는 문화원형적 요소가 잠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문화의 근원은 원형과 맞닿아 있다. 즉 가치 있고 글로벌하게 통용될 수 있는 문화콘텐츠를 발굴하기 위해서는 해당 국가(지역의 문화원형에 대한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한·일 간의 문화원형 콘텐츠에 대해 비교·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첫째, 한국의 애니메이션(호피와 차돌바위, 흥부와 놀부, 난중일기, 오세암)에 나타난 문화원형 콘텐츠를 분석하였다. 둘째, 일본의 애니메이션(모노노케 히메, 폼포코 너구리대작전,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겐지이야기 천년기)에 나타난 문화원형 콘텐츠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양국의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문화원형 콘텐츠(건축, 회화, 의상, 음악, 무용·춤, 전통 행동양식, 신·신화적 요소)의 노출 빈도수 비교를 통해 양국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문화원형 콘텐츠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한편, 본 연구의 결과물이 양국의 문화원형에 기초를 둔 글로벌화된 애니메이션 콘텐츠의 창작소재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제공되길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