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노동운동가 김지선의 젠더경험과 생애사적 과제 - 이야기된 생애사를 중심으로

        김영선 ( Kim Young-sun ) 한국사회사학회 2020 사회와 역사 Vol.0 No.125

        이 연구의 목적은 김지선의 이야기된 생애사를 채록하여, 근대 한국의 중요 정치사회적 국면을 관통하며 구성된 한 여성노동운동가의 젠더 경험을 역사적·사회적 시공간적 맥락 안에 위치시켜 살펴보는 것이다. 2018년도 국사편찬위원회 구술자료 수집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된 본 구술의 채록과정에서 김지선은 국가폭력의 트라우마와 가족해체의 과정에서 느낀 고통과 회한, 유년시절의 친족 성폭력 경험에 대해서 말했고, 생산된 동영상과 녹취록을 삭제 없이 아카이브 자료로 남기는 것에 대해서 동의하였다. 본 연구는 자기 생애 경험을 이 세계를 만들어 온 여성/노동자들의 역사의 한 부분으로, 동시에 노동운동의 역사를 자신의 기억을 매개해 재현하고자 했던 구술자의 적극적 행위자성을 김지선의 생애사적 과제로 접근했다. 특히 당시 전방위적으로 확산되고 있었던 ‘미투’ 국면에서 친족 성폭력 피해자로서의 자신의 경험에 대해 ‘말하기’를 결심하고 실천하는 과정을 통해, 여성운동가로서 김지선의 정체성 재구성의 궤적과 더불어 피해자 연대로서의 ‘미투’의 확장성을 둘러싼 젠더정치의 의미를 재해석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연구과정 전체를 관통한 방법론의 질문이었던, 실명 구술자가 아직[은] 말할 수 없는 것들과 이야기된 것들에 대해서, 구조화된 위계와 해석의 권력을 가진 면담자이자 동시에 연구자는 이를 어떻게 듣고 또 해석해야 하는가의 문제와 함께, 말하기를 가능케 하는 상대적이면서도 절대적으로 필요한 ‘구술자의 시간’은 언제 어떻게 도래, 혹은 유예되는가를 둘러싼 이슈를 성찰적으로 제기했다. 그동안 구술사 방법론에서 상대적으로 간과되었던 ‘구술자는 언제 말할 수 있는가’를 둘러싼 시간성의 물음에 대한 논의를 요청하고자 한다. The study records the life history of Jisun Kim, a female labor activist from Incheon, South Korea. It examines the political and social construction of female labor activist’s gendered experiences through socio-temporal contexts. The study charts her political consciousness as it shifted from that of a labor activist to a women’s activist. As her role as a woman activist expanded, these two consciousness(es) intersected at core events of her life: her career, her networks, her family relations and marriage, and the dynamics shaped in testimonial processes. More specifically, the study attempts to more accurately convey. It details the multi-layered contexts and gender politics of the speaking subject, surrounding multi-layered traumas tied to her painful life, such as family dissolution, sexual abuse of an uncle, and instances of state violence ―aspects of Kim’s personal life long kept secret in the process of preserving oral history for the National History Editorial Committee (Guksapyeonchanwiweonho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production of oral history through the mediating memory of women’s narration. It reinterprets the meaning of gender politics surrounding Jisun Kim’s identity reconstruction, along with the recent expansion of the #MeToo movement in South Korea as part of victim solidarity. The findings show that methodology in interview processes play roles in historical results. As a blind-speaker negotiates with ‘what has yet to be said’ and ‘what is said,’ the interviewer constructs a hierarchical power dynamic and has the conclusive power of interpretation. The challenge also includes what the interviewer has heard, whether to reinterpret what was heard and to what extent the ‘interviewee’s time’ makes it possible to speak at all. In this regard, this research highlights a central problem in oral historical fails to address the question of when and whether the interviewee can really speak?

      • KCI등재

        물시멘트비 및 단위수량에 따른 순환콘크리트의 강도 특성과 내구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김영선,김정진,석원균,이주호,김규용,Kim, Young-Sun,Kim, Jung-Jin,Seok, Won-Kyun,Lee, Joo-Ho,Kim, Gyu-Yong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2011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지 Vol.6 No.3

        To resolve the problem which is demand and supply imbalance of fine aggregate by the shortage of natural fine aggregate and the environment regulations, the studies for the application of recycled fine aggregate made from waste concrete have been recently carried ou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hed light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durability performance of concrete using recycle fine aggregate with various water to cement ratios and unit water contents. And it is intend to propose the fundamental data for structural application of recycled concrete. In particular, the effects according to the variations of water to cement ratios and unit water contents in recycled concrete with recycled fine aggregate replacement of 100 percent are discussed by the test results, such as air content, slump, time of set, compressive strength, tensile strength, carbonation, chloride penetration. 천연골재의 고갈 및 환경규제에 의한 건설용 잔골재의 수급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폐기콘크리트로부터 생산된 순환잔골재의 적용성을 위한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W/C 및 단위수량의 변화에 따른 순환잔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 및 내구성능에 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이다. 또한, 순환콘크리트의 구조적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의미가 있다. 특히, 순환잔골재를 100% 대체한 순환콘크리트에 대하여 W/C 및 단위수량의 변화에 따른 영향은 공기량, 슬럼프, 응결시간, 압축강도, 인장강도, 탄산화 및 염화물 침투와 같은 항목에 대한 시험결과에 의해 분석 제시되었다.

      • KCI등재

        대계(大?)가 LPS로 유도된 Mouse BV2 Microglial cells의 염증반응에 미치는 영향

        김영선,이성근,이기상,Kim, Young-Sun,Lee, Seoung-Geun,Lee, Key-Sang 대한한방내과학회 2008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29 No.4

        Cirsii Japonici Herba(CJ) is a wild perennial herb found in many areas of Korea as well as China and Japan, which has been used to treat bleeding and inflammation. Silibinin is the main flavonoid extracted from milk thistle (Cirsii Japonici Herba). It exhibits potent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inflammatory effect. In this study, the effect of CJ and silibinin extract on lipopolysaccharide-induced inflammation was investigated using MTS assay, RT-PCR, western blot, and nitric oxide detection on mouse BV2 microglial cell lines. In the present results, CJ and silibinin extract suppressed nitric oxide production by inhibiting the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enhancement of COX-2 and iNOS gene expression in BV2 cells. Moreover, CJ and silibinin also repressed some lipopolysaccharide-induced signaling molecules. Importantly, catalase-induced COX-2 and iNOS expression needed activations of $NF-{\kappa}B$, PI3K/Akt, and MAPK, which were important for the transcriptional up-regulation of COX-2 and iNOS. CJ and silibinin interaction on BV2 cells down-regulated $NF-{\kappa}B$-dependent proinflammatory cytokine (IL-2,IL-6) expression. They are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inflammatory responses. These data shows that CJ and silibinin exerts anti-inflammatory and analgesic effects, probably by suppression of COX-2 and iNOS synthase expression in BV2 microglial cells.

      • 골프장에 사용되는 4가지 토양개량제들의 혼합비율에 따른 토양이화학성의 변화

        김영선,함선규,임혜정,Kim, Young-Sun,Ham, Suon-Kyu,Lim, Hye-Jung 한국잔디학회 2010 한국잔디학회지 Vol.24 No.2

        본 연구는 코스조성에 주로 사용되는 4종의 토양개량제의 혼합비율에 따른 모래상토의 물리화학적 특성변화를 조사한 결과이다. 토양개량제의 혼합비율에 따라 상토의 물리화학성을 조사한 결과 peat, humate, peatmoss 및 zeolite는 pH와 CEC에서 고도의 상관성(P<0.01)을 나타내어 토양개량제의 특성에 따라 상토의 토양화학성에 영향을 주었다. 상토의 토양물리성 결과를 통해 USGA 기준으로 평가할 때, 최적의 혼합비율은 토양개량제 peat, humate 및 peatmoss는 각각 5%, 3%, 7%이고, zeolite에서는 적합한 비율을 찾을 수 없었다. 각 토양개량제들의 혼합에 따른 토양물리성 변화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은 비모세관공극으로 총공극과 수리전도도의 변화에 영향을 미쳤다. 토양개량제의 혼합비율에 따른 토양개선효과를 비교할 때, peat와 peatmoss는 토양 모세관공극 및 수리전도도에서, humate는 수리전도도에서, zeolite는 비모세관공극과 총공극에서 고도의 상관성을 나타내었다(P<0.05). 이들 결과를 통해 골프코스의 상토조성에 사용되는 토양개량제의 종류와 특성 및 혼합비율이 USGA 상토의 근권층 개량과 토양 이 화학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mixed ratio of the soil amendments, peat, humate, peatmoss and zeolite, on the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The mixed ratios of soil amendments were 0%, 3%, 5%, 7% and 10% (v/v) incorporated with sand which met to the USGA (United State of Golf Association) recommendation. It was measured pH, EC and CEC as a chemical properties. Porosity, capillary porosity, air-filled porosity, bulk density and hydraulic conductivity were also measured to analyze the changes of physical properties. Chemical propert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mixture ratios of peat, humate, peatmoss and zeolite. When the results were applied to the USGA standard of the soil physical properties, the optimum mixture ratios of peat, humate and peatmoss were 5%, 3% and 7%, respectively. Air-filled porosity was factor involved in soil physical properties by blending with soil amendments and it was affected on volume of porosity and hydraulic conductivity. To analyze the corelation of mixture ratio versus to physical characters, the ratio of peat and peatmos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capillary porosity and hydraulic conductivity (P<0.05), that of humate hydraulic conductivity (P<0.01), and that of zeolite air-filled porosity and volume of porosity (P<0.05). These results could be used as a basic data for construction USGA sand green.

      • 유산군(Lactobacillus confusa)과 효모균(Pichia anomala) 발효 액체비료의 시용이 크리핑벤트그래스(A. palustris Huds. CV. Pennlixs)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김영선,함선규,김택수,정현석,Kim, Young-Sun,Ham, Suon-Kyu,Kim, Tack-Soo,Jeong, Hyun-Suk 한국잔디학회 2008 한국잔디학회지 Vol.22 No.1

        본 연구는 효모균과 유산균의 발효액을 함유한 비료가 크리핑벤트그래스 잔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하고자 2007년 8월부터 11월까지 SKY72 골프클럽 증식포장에서 수행하였다. 시험처리는 무처리구, 대조구, 처리구1, 처리구2, 처리구3로 3반복 난괴법으로 수행하였다. 시험기간 동안에는 토양화학성, 엽색지수, 엽록소함량 및 예초물량, 잔디분석 등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토양화학성은 공시비료의 시비가 토양에는 별다른 영향이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엽색지수는 무처리구보다 비료처리구(대조구, 처리구)에서 7.6% 증가하였으나 대조구와 처리구간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처리구 2에서 가장 높은 엽색지수 값을 나타내었다. 엽록소 함량은 무처리구보다 비료처리구(대조구, 처리구)에서 48.3% 증가하였고, 대조구와 처리구간 차이는 처리구 2과 처리구 3에서 각각 4.4%와 2.7% 높게 나타났으며, 시험기간 중 가장 좋은 잔디생육을 나타내는 처리구는 처리구 2로 조사되었다. 예초건물중은 무처리구 보다 비료처리구(대조구, 처리구)에서 83.6% 증가하였고, 대조구와 처리구간 차이는 처리구 2와 처리구 3에서 각각 13.8%와 13.9%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시험 종료 후 채취한 잎의 무기성분은 시비구(CF, T-1, T-2, T-3)가 무처리구보다 질소는 82%, 인은 19%, 칼리는 42% 정도 증가하였고, 대조구(CF)와 처리구(T-1, T-2, T-3)사이에서는 비슷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effect of liquid fertilizer contained medium of Lactobacillus confusa and Pichia anoala on growth of creeping bentgrass(Agrostis palustris Huds. CV. Pennlixs). By application method of liquid fertilizer, the experiment plot was designed as following; NF was non-fertilized treatment, control was applied with compound fertilizer and treatment 1(T-1), treatment 2(T-2) and treatment 3(T-3) were applied with compound fertilizer and liquid fertilizer solution diluted 500, 300 and 100 folds, respectively. The every treatments was arranged a randomized complete block with three replications. Compared with NF, leaf color index of control, T-1, T-2 and T-3 in creeping bentgrass was increased 7.4%, 7.5%, 77% and 7.2%, respectively and chlorophyll content of T-1, T-2 and T-3 in creeping bentgrass was increased 45.7%, 45.6%, 52.1% and 49.6%, respectively, and T-2 and T-3 was increased 4.4% and 2.7% more than control. Dry weight of T-1, T-2 and T-3 was increased 2.7%, 13.8% and 13.9% more than control, when compared to control. These results were found that turfgrass qualities and growth was improved in treatment applied to compound fertilizer and solution of liquid fertilizer diluted 300 folds.

      • SCOPUSKCI등재

        Staphylococcus aureus에서 분리된 유발성 ${\beta}$-Lactamase 유전자의 유전적 구성

        김영선,민경일,변우현,Kim, Young-Sun,Min, Kyung-Il,Byeon, Woo-Hyeon 한국미생물학회 1994 미생물학회지 Vol.32 No.1

        An inducible ${\beta}$-lactamase gene (bla) was identified and isolated from the chromosomal DNA of multiple drug resistant strains of Staphylococcus aureus. Determined base sequence of bla and of its flanking region was compared with those of bla genes identified on the staphylococcal plasmids pPC1, pI258, pI1071, and pUB101. Base sequence of 843 base-long structural gene of our bla was same as that of pPCl-, pI258-, and pS1-bla. However, HindIII recognition site Which is found in most of the bla genes at 140 base upstream from the structural gene was moved to the site of 370 base upstream from the structural gene. And one of the two direct repeat sequence found in downstream flanking region of pI1071-bla was deleted in our bla. Amino acid sequence homology analysis of the ORF located around HindIII recognition site reveals that this 80 amino acids-long polypeptide is C-terminus of transposase of Tn4001. 항생물질에 대한 다중 저항성을 갖는 Staphylococcus aureus 균주의 chromosomal DNA로부터 유발성 발현을 하는 ${\beta}$-lactamase(bla) 유전자를 확인, 분리하였다. Cloning에 이어 결정된 염기서열을, S. aureus 에서는 지금까지는 plasmid상에서만 분리, 보고되어 있는 bla 유전자들의 염기서열과 비교하였다. 본 bla 유전자의 구조유전자 부분인 843base의 염기서열은 기 발표된 pPC1, pl258, pS1, pI1071, pUB101, pl3796 및 pI3804 유래의 bla 유전자들 중 pPC1, pI258 및 pS1상에 존재하는 bla 구조유전자의 염기서열과 완전히 일치하였고 나머지 것들과도 매우 높은 상동성(99%)을 유지하고 있었다. Bla구조 유전자의 상류 370base 및 하류 220base까지 결정된 염기서열을 비교한 결과에서는 다른 모든 bla구조유전자의 상류 150base에 위치하는 HindIII 인식부위가 약 230base 이상 더 윗쪽으로 옮겨가 있었고 이 HindIII 인식부위를 포함하는 염기서열에서 ORF의 C말단이 발견되었다. 하류 서열에서는 pI1071 유래 bla가 갖는 두개의 직접반복 염기서열 중 하나가 결손된 형태를 보이고 있다. 구조 유전자 상류에 존재하는, 80개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ORF의 상동성 검색 결과 Tn4001 의 transposase 의 C 말단과 일치함이 발견되었다.

      • 대학생의 MBTI성격 유형에 따른 천연아로마 선호도에 미치는 실태연구

        김영선,이금비,Kim, Young-Sun,Lee, Kum-Bee 한국임상보건과학회 2016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Vol.4 No.1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romatherapist with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MBTI personality type and scent preference of natural aroma essential oil in university students. Methods. Data was analyzed by students whom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on the scent preference of natural aroma essential oil of students from m university who accomplished to MBTI personality survey. Results. As a result, the introverted personality types more liked Peppermint and felt more intensive scent than extroverted personality types did(p=0.006). Extroverted personality types recognized Neroli as feminine scent(p=0.034) and introverted personalty types recognized Frankincense as feminine scent(p=0.045). Extroverted personality types felt that Juniper berry is exciting scent(p=0.036) and that Rosemary(p=0.044) and Lavender(p=0.030) are eco-friendly scent. And introverted personality types relatively less did than extroverted personality types. Conclusions. This study is to get a basic data of aroma preference of university students by looking into the influence that MBTI personality type affect natural aroma preference and to use this data for ease off school stress and job seekng stess and counsel the students.

      • 유산균(Lactobacillus confusa)과 효모균(Pichia anomala) 배양액 함유 액비의 시용이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김영선,함선규,김택수,정현석,Kim, Young-Sun,Ham, Suon-Kyu,Kim, Tack-Soo,Jeon, Hyun-Suk 한국잔디학회 2008 한국잔디학회지 Vol.22 No.2

        본 연구는 효모균과 유산균이 함유된 발효 액비가 크리핑벤드그래스 잔디의 지상부 및 지하부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하고자 2007년 8월부터 11월까지 4개월간 수행하였다. 처리구는 비료를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구(NF), 복합비료(21-17-17)를 처리한 대조구(CF), 복합비료를 처리한후 미생물발효액비 500배액을 처리한 T500, 300배액을 처리한 T300, 100배액을 처리한 T100, 그리고 복합비료를 처리하지 않고 미생물 발효액비만을 처리한 L500 등 6개 처리를 완전임의배치법으로 수행하였다. 잔디생육조사는 엽색지수와 엽록소함량과 같은 잔디품질과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육량, T/R 율 및 뿌리길이의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염색지수와 엽록소함량 조사결과, T500 T300 T100 $\geq$ CF > L500 > NF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가장 효과가 좋은 처리구는 T300로 조사되었다. 2. 잔디 지상부 및 지하부의 생육량 비교결과, 복합비료와 미생물발효액비를 포함한 T500, T300, T100이 복합비료만 처리한 CF보다 지상부는 평균 13% 증가하였으며, 지하부는 T300에서 25% 증가하였다. 복합비료를 처리하지 않고 미생물발효액비만 처리한 L500은 무처리구인 NF보다는 지상부 88%, 지하부 44% 씩 각각 증가하였다. 3. 잔디의 T/R율을 비교한 결과, 복합비료와 미생물발효액비를 처리한 T500, T300, T100이 복합비료만 처리한 CF보다 지상부는 평균 17% 높았고, 미생물발효액비만 시비한 처리구인 L500이 무처리구인 NF보다 약 39% 높게 조사되었다. 4. 뿌리길이 조사결과, 복합비료처리구에서는 1차 2차 조사에서는 CF보다 T500, T300, T100에서 평균 $7{\sim}8%$ 더 높고, 3차 조사에서는 CF와 비슷하게 조사되었고, 복합비료가 시비하지 않은 처리구에서는 NF와 L500 처리구의 뿌리길이를 비교할 때 NF보다 L500에서 약 $22{\sim}66%$ 높게 조사되었다. 본 결과들을 통해 유산균과 효모균이 함유된 발효액비의 시비는 잔디의 뿌리길이, 지하부와 지상부 생육 및 잔디의 T/R 율을 향상시켰고, 잔디의 지상부와 지하부 생육이 가장 좋은 처리구는 T300이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liquid fertilizer containing medium of on growth of shoot and root in creeping bentgrass (Agrostis palustris Huds. cv. Pennlixs). According to application method of liquid fertilizer, the experiment plot was designed as follows; NF : non-fertilizer; CF : compound fertilizer(21-17-17) only; T500, T300, T100 : compound fertilizer +liquid fertilizer solution diluted 500, 300, 100 folds, respective; L500 : only liquid fertilizer solution which contained the medium of Lactobacillus confusa and Pichia anomala diluted 500 folds. The every treatments was arranged by a completely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s with three replications. The order of turf qualities like leaf color index and chlorophyll content in treatments showed T500 T300 T100 $\geq$ CF > NF. In treatment applied with compound fertilizer, the dry weight of shoot increased by about 13% in T500, T300 and T100 than CF, and that of root about 25% in just T300. Dry weight of shoot and root increased by 88% and 44% in L500 than NF, respectively. As compared with CF, T/R ratio in T500, T300 and T100 increased by 20%, 11% and 21%, respectively and root length 7%, 8% and 3%. In comparison with NF, T/R ratio and root length in L500 increased by 39% and 74%.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application of liquid fertilizer containing medium of Lactobacillus confusa and Pichia anomala induced the development of turf quality and growth by promoting root growth in creeping bentgrass.

      • KCI등재SCISCIE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