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충남 내포 지역 앉은굿과 불교 재의식 요소의 기능과 의미 비교

        김성순 ( Kim Sungsoon ) 동양사회사상학회 2020 사회사상과 문화 Vol.23 No.4

        본 논문에서는 충남 내포지역의 무속의례인 ‘앉은굿’을 중심으로 하여, 그 대조군으로서 불교의 재의식을 설정하고, 의례 절차의 기능과 의미 면에서 유사성과 차이를 살펴보기로 한다. 충청도 앉은굿에서는 인생에서 부딪치는 여러 문제의 원인으로 귀신의 작란(作亂)을 설정하고, 그 귀신을 위협하고 쫓아냄으로써 문제를 해결하는 구도를 취한다. 앉은굿의 중요한 기능 중의 하나가 바로 ‘치병’이며, 병의 원인이 되는 귀신을 쫓아내기 위해 설행하는 의식을 병경(病經)이라고 한다. 충청도 앉은굿은 설위설경(設位說經 혹은 設位設經)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위목(位目)을 설치하고 경(經)을 외움'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설위설경은 독경이 진행되는 공간인 경청(經廳)에 설치되는 종이 무구(巫具)이며 경의 내용과 주술적 힘을 담고 있는 상징물이다. 위목(位目)은 한지(韓紙)에 신령의 이름을 적어 넣어 직사각 형태로 접어서 만든다. 대왕과 신장, 신병 등 강력한 종교적 힘을 가진 신적 존재들의 이름을 새긴 위목을 설치함으로써 굿의 대상이 되는 병인(病因)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것이다. 불교 의례에서도 기능과 명칭 면에서 무속과 유사한 위목과 번(幡)이 존재한다. 무속의 종이 위목, 불교 수륙재의 위목과 번은 각각 신령과 불보살, 신장들이 해당 의례의 현장에 강림했음을 나타내며, 의례의 목적을 달성하도록 돕고, 의례를 설행하는 주체가 올리는 공양을 받아들이는 상징물이다. 또한 의례가 끝나면 위목과 번의 주인공들은 원래 있던 세계로 봉송되며, 물질로서의 위목과 번은 태워지게 됨으로써 의례의 현장은 일상으로 환원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신을 인간세계로 불러서 의례의 목적을 달성한 사람들이 다시 의례를 통해 신과 인간세계를 분리시키는 낯익은 종교의식의 보편성을 보여준다. 정리하면, 내포 무속의 병경(病經)에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귀신을 위협하고 쫓아내는 ‘축귀(逐鬼)’를 한다면 불교의 재의식에서는 귀신에게 인과법(因果法)을 들려주어 제도(濟度)시키는 ‘천도(薦度)’를 행한다는 점에서 차이를 드러낸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shaman ritual of anjeun gut of the Naepo Region of Chungcheongnam Province, and compares it to similar Buddhist rituals by consider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 of its meaning and function. The anjeun gut of Chungcheong Province is intended to threaten and chase away spirits which cause one trouble as a result of the various problems one faces throughout life. One important function of the anjeun gut is “curing disease,” and the ritual for chasing away spirits that cause disease is referred to as byeonggyeong (病經), which is the reciting of an incantation for a sick person. The anjeun gut of Chungcheong Province is also called seorwiseolgyeong (設位說經 or 設位說經), which means to assemble a wimok (位目)―which is a piece of paper with the name of a sage or spirit on it―and chant a sutra. Seorwiseolgyeong is a Buddhist ritual implement made of paper that is installed at a gyeongcheong (經廳), a place where sutra chanting is performed, and it is also a symbol for the content and shamanistic power of the sutra. A wimok is a piece of traditional Korean paper on which the name of a deity is written before folding it into a rectangular shape. The creation of a wimok, which bears the names of divine beings who hold great religious power, such as kings and divine guardians of the Buddha, is meant to resolve the problem causing disease in the person who is the subject of the gut. The function and naming of the wimok and beon (幡, a pennant used in Buddhist ritual) in Buddhist ritual resembles that of shamanistic practice. The paper wimok used in shaman rituals and the wimok and beon used in Buddhist suryukjae (水陸齋) rituals function to indicate which deity, Bodhisattva, or divine guardian of the Buddha has descended down to the ritual, while also assisting in achieving the purpose of the ritual and accepting the offerings presented by the subject of the ritual. In addition, when the ritual ends, the deity specified on the wimok and beon is sent back to the world from which it came, and the remaining material of the wimok and beon is burned in order to return the space of the ritual back to a state of normalcy. This structure shows the universality of this familiar Buddhist ritual, according to which deities are summoned to the world and a certain objective is achieved, after which ritual is again used to separate the worlds of the deities and humans. In conclusion, if the shamanistic practice of the Naepo Region can be understood as chasing out ghosts to achieve a goal of ritual, then in Buddhist practice it can be understand as reciting to spirits the natural law of cause and effect (因果法) and guiding the spirit of the dead to the afterlife to obtain enlightenment. In this way,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 KCI등재후보

        생천生天과 정토왕생淨土往生 개념의 교의적 분기에 대한 고찰

        김성순(SungSoon Kim) 대행선연구원 2020 한마음연구 Vol.5 No.-

        The Pure Land doctrine, which was developed out of the tradition of Mahayana Buddhism, provides an important motive for understanding the divergence between the concepts of ‘Rebirth into Heaven’ and the ‘Rebirth into Pure land’. In this paper, I identify the ideological mechanisms that influence this divergence as the following three points: ① Four levels of ascetic (四沙門果) ② The five signs of decay (五衰相) ③ Rebirth (往生). In early Buddhism, it was perceived that practitioners can reach ‘Rebirth into Heaven’ if one obtains the ‘Four levels of ascetic’ through Buddhist practice. However, since one should continue to practice for liberation even after rebirth into heaven, there was the possibility that the doctrine of Pure Land Buddhism would develop. The five signs of decay (五衰相), which represents the approaching death experienced by celestial beings, clearly reveals the doctrinal limitations of ‘Rebirth into Heaven’ presented in early Buddhist thought that distinctively developed into ‘Rebirth into Pure Land’. In early Buddhist scriptures translated from Sanskrit into Chinese, the concept of 'Rebirth' was not generally applied because Pure Land Buddhism had already been fully developed. Thus, the concept of ‘Rebirth into Pure Land’ can be seen in Mahayana Buddhist scriptures. Around 100 A.D., when Pure Land Buddhism began to take root, the doctrinal divergence between the concept of ‘Rebirth into Heaven’ and the ‘Rebirth into Pure land’ began to emerge. In the Chinese translated Pure Land scriptures, the concept of ‘Rebirth into Heaven’ was no longer pursued. Indeed, the pursuit of ‘Rebirth into Pure Land’ had already appeared in India's early Buddhist scriptures. However, as the finite nature of ‘Rebirth into Heaven’ became doctrine, the character of non-retrogression (不退轉 a strong faith, or resolution to achieve enlightenment) of ‘Rebirth into Pure land’ was gradually emphasized. Along with this trend, the debate between the superiority of the doctrine of ‘Rebirth into Heaven’ and the ‘Rebirth into Pure land’ emerged. In the end, the doctrine that emphasized that practitioners who fulfilled the ‘Four levels of ascetic’ would achieve ‘Rebirth into Heaven’ gradually gave way to the concept of ‘Rebirth into Pure land’. 대승불교가 진행되면서 성립된 정토사상은 생천의 개념과 정토왕생 사상이 교의적으로 분기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동인을 제공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생천과 정토왕생이 분기하는 과정에서 나타났던 사상적 변이의 기제들을 ①사사문과四沙門果 ②오쇠상五衰相 ③왕생往生의 세 가지에서 확인하고자 했다. 초기불교에서는 수행을 통해 사문과를 얻으면 생천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생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해탈을 위해 수행을 한다는 점에서 정토왕생의 교의로 발전할 수 있는 원류가 된 것으로 보인다. 다음 오쇠상은 천계에서의 수명이 끝나는 징조가 나타나는 것으로서, 초기불교에서 제시된 생천의 교의적 한계를 분명히 드러내고, 정토왕생과 분명히 차별화하는 기제가 된다. 또한 초기불교 한역문헌에서는 ‘왕생’이라는 개념이 정토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었지만 정토사상이 본격적으로 발전하면서 대승경전 안에서 정토왕생의 개념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정토왕생 사상이 자리를 잡기 시작한 기원후 100년 무렵에는 생천과 정토왕생의 교의적 분기가 나타났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생천의 단계에서는 사문과를 얻기 위한 범행梵行이 제시되었지만, 정토왕생 사상이 본격적으로 발전하게 되면서 불타의 원력에 대한 절대적인 믿음이 강조되는 것도 볼 수 있다. 한역 정토문헌에서는 정토사상이 성립된 시점과 맞물려서 더 이상 인도의 초기 경전에서 지향했던 생천이 아닌, 정토왕생을 추구하게 된다. 교의적으로 생천의 유한성이 부각되면서, 이와 대조적으로 정토왕생의 불퇴전의 성격이 강조되었던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생천과 정토왕생간의 교의적 우열관계가 드러나게 된다. 결국 초기불교에서 사사문과를 증득한 수행자들이 사후에 생천하게 된다는 교의는 정토사상이 발전하면서 서서히 정토왕생이라는 새로운 지향점에 자리를 내주게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세종대의 불교정책과 한증승(汗蒸僧)

        김성순(SungSoon Kim) 한국종교학회 2014 宗敎硏究 Vol.74 No.2

        King Sejong (AD 1397~1450) took a middle course between the two extremes of oppressing and protecting Buddhism. He provided a benefit for Korean Buddhists through issuing a kind of ID card to the Buddhist monks, and in return could make the best use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possessed by Buddhist temples across the country. King Sejong, a monarch who protected Buddhism personally, introduced Hanjeungseung (Buddhist monk in charge of sudatorium) system to allow Buddhists to take a public activity field, which was one of his pro-Buddhist policies. Buddhist monks, who worked as Hanjeungseung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were appointed in the cause of caring for visitors of a Buddhist sudatorium and its maintenance. But it seems that they played an important role as an administrative servant rather than a professionally medical official. After all, it may be argued that such sudatorium was utilized as a political strategy for controlling Buddhist temples in the cause of helping the poor and the sick throughout the Chosun Dynasty even when Buddhist monks were forbidden to enter the capital city. It was the Buddhist sudatorium system that not only provided medical service for general people, but also let Buddhist monks do public activities limitedly within the capital cit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인공 광합성 기술 기반 고부가가치 물질 생산 시스템

        임성제(Seongje Lim),김광희(Kwang Hee Kim),김성순(Sungsoon Kim),박종혁(Jong Hyeok Park) 한국세라믹학회 2020 세라미스트 Vol.23 No.4

        Solar energy utilization has been drawn attention due to the environmental issues. Photoelectrochemical and photocatalytic water splitting for hydrogen production, which is well-known solar-to-chemical process, have been studied so far, however it is now facing limitations of efficiency along with affordable cost. Recently, research trends in artificial photosynthesis are changing their redox reaction to produce value-added chemicals. Thanks to the previously studied solar water splitting technologies and materials, value-added chemicals production by solar energy is now evolving rapidly by taking advantages from the established works. Here, we introduce various kinds of redox reactions for producing value-added chemicals via photoelectrochemical and photocatalytic process. Throughout the article, solar-driven redox reactions such as CO 2 reduction, H 2 O 2 production are comprehensively discussed from the fundamentals to the applications. Consequently, future perspectives are suggested, which may help put forward future commercialization of photoelectrochemical or photocatalytic value-added chemical production technologies.

      • KCI등재

        『시경』과 한국 고전에 나오는 식물명 초(椒)의 재검토

        홍승직(Hong, Seungjic),신현철(Shin, Hyunchur),김성순(Kim, SungSoon)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0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9 No.4

        『시경』에 나오는 식물명 초椒를 지금까지 한국에서는 산초로 주로 번역해왔으나, 이보다는 중국에 널리 분포하는 화초 ‘Zanthoxylum bungeanum’으로 번역할 것을 제안한다. 그리고 山椒는 초피와 분디를 총괄하는 이름으로 『훈몽자회』에서 설명하고 있어, 山椒 및 여기에서 기원한 산초나무는 椒類를 지칭하는 이름으로 사용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며, ‘Z. schinifolium’에는 『악학궤범』에 나오는 분디남에서 출발한 분디나무로, ‘Z. piperitum’에는 『향약집성방』에 나오는 椒皮에서 기원한 초피나무를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한국 고전에 나오는 秦椒, 蜀椒, 川椒 등은 모두 花椒일 수가 있으나, 일부는 松의 경우처럼 한국와 중국의 서로 다른 식물에 같은 이름을 부여했듯이, 문장에 따라 다르게 해석해야 할 것이다. 중국과 관련된 내용에 나오는 秦椒, 蜀椒 등은 花椒로, 한국에서 사용되었으면 초피나무 또는 분디나무로 해석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단지 약재로는 분디나무보다는 초피나무가 더 널리 사용했을 것으로 보이는데, 이에 대한 검토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일본 고전에 나오는 秦椒, 蜀椒 등도 비슷할 것인데, 단지 山椒의 경우에는 산초나무로 번역하는 것은 오류일 것이며, 초피나무로 번역해야만 할 것 이다. The plant name of Jiao in Shijing has been mainly translated into Korean as Sancho(Shanjiao) which means Zanthoxylum schinifolium. However, Jiao is treated in China recently as ‘Huajiao’, ‘Zanthoxylum bungeanum’, which is widely distributed in China and coincided with the image of Shijing, although not in Korea. Therefore the plant name of Jiao in Shijing should be translated into Korean as Huajiao. In addition, Shanjiao is confirmed as the collective name includes two plants, Jiaopi and Bundi according to Hunmongjahoe. So it would be appropriate to use Shanjiao originating here as a name for Pan-Jiao , and Bundi originated from Sankayorok for ‘Z. schinifolium , and Jiaopi originated from Hyangyakjipseongbang for ‘Z. piperitum’. It seems that the Jiaopi was used more widely than the Bundi as only medicinal material. Qinjiao , Shujiao , and Chuanjiao occurred in the Chinese, Japanese and Korean Classics are all the alternative names of ‘Huajiao’, in spite of the absence in Japan and Korea. Therefore, these names have to be interpre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entence, as in the case of ‘Song’ which means Pinus tabulaeformis in China, whereas P. densiflora in Korea disparately. These names means, in content related to China, ‘Huajiao’, and if related to Korea and Japan, it would be appropriate to interpret as Bundi or Jiaopi. Also, it would be recommended to distinguish the local name of Zanthoxylum piperitum, because it is called as Jiaopi in Korea, whereas Shanjiao in Japan.

      • 국내 HIV 감염자의 면역 복합체 분리 및 중화에 의한 p24 항원 검출

        신영오,이주실,강춘,남정구,기미경,류재천,최병선,김성순,이영록 대한감염학회 1997 감염 Vol.29 No.5

        목 적 : HIV 감염자의 체내에서 특이 항체와 면역 복합체를 이루고 있는 HIV-1 p24 항원을 검출하기 위하여 염기에 의한 면역복합체 분리와 HIV-1 p24 특이 항체에 의한 중화시험을 실시하여 HIV 감염의 중요한 지표로 사용되는 HIV-1 p24 항원의 정확한 측정을 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987년부터 1996년까지 국내에서 발견된 HIV-1 항체 양성자 32명을 대상으로 HIV-1 p24항원 시험을 실시하였다. 염기에 의한 면역복합체 분리에 의해 특이 항체와 결합하여 복합체 상태로 존재하는 p24 항원을 유리시켰으며 양성이 나온 검체에 대해서는 HIV-1 p24 항체에 의한 중화시험에 의해 HIV-1 p24항원의 존재를 확인 하였다. 또한 양성 대조를 이용하여 각 검체에 존재하는 HIV-1 p24 항원을 정량하였다. 결 과 : HIV-1 p24 항원 시험을 실시한 32명 중 11명이 p24항원 양성으로 나타났으며 signal/cutoffratio가 7 이상으로 나타난 2명 등을 제외한 29 명에 대하여 면역복합체 분리를 실시한 결과 13명이 HIV-1 p24 항원 양성으로 나타났다. 면역복합체 분리에 분리에 의해 HIV-1 p24 항원 음성에서 양성으로 전환된 검체는 5건이었으며 signal/cutoff ratio가 2배에서 10배 까지 증가되었다. HIV-1 p24 항원 시험과 면역복합체 분리 결과 양성으로 나타난 15건 중에서 13건에 대하여 중화시험을 실시한 결과 13건 모두 중화에 의한 흡광도의 감소를 보였다. 90% 이상의 흡광도의 감소를 보인 검체가 12건, 80% 이상 90% 미만의 중화에 의한 흡광도의 감소를 보인 검사체가 1건으로 중화에 의해 HIV-1 p24 항원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HIV-1 p24 항원의 양은 항원 시험 결과 평균 8.76pg/ml에서 면역복합체 분리에 의해 평균 76.81pg/ml로 8배 이상 증가하였다. 결 론 : 이상의 연구 결과로부터 HIV-1 p24 항원 검출에 있어 면역복합체 분리와 HIV-1 p24 항원에 대한 특이 항체를 사용한 중화반응을 적용하여 진단의 감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HIV-1 p24 항원의 존재를 확진하였다. Background : HIV-1 p24 antigen assay is useful for the detection of circulating viruses, and infection prior to seroconversion. However, circulating HIV-1 p24 antigen may be complexed with HIV antibody and prevent it from being detected by antigen capture assay. To detect HIV-1 p24 antigen in the specimen, it is necessary to dissociate immune complexes and confirm the presence of HIV-1 p24 antigen after the neutralization with the specific antibody. Methods : We tested 32 sera from HIV-1 infected persons who were diagnosed from 1987 in Korea for HIV- p24 antigen by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 with or without the dissociation of immune complexes. And we confirmed the antigen assay results by the neutralization with HIV-1 specific antibody as a confirmatory test. WE also calculated the concentration of HIV- p24 antigen in each specimen. Results : Eleven of 32 sera tested were initially positive for HIV-1 p24 antigen. After the dissociation of immune complexes for 29 sera except two of which signal/cutoff ratios were higher than 7.0 and except one which was not enough for the assay, 13 were shown to be positive for HIV-1 p24 antigen and their signal/cutoff ratios were increased by 10 times. Five of antigen negative cases were turned to be positive after the immune complex dissociation. After neutralization with HIV-1 specific p24 antibody for sera of 13 which were positive for HIV-1 p24 antigen with or without the immune complex dissociation, all were shown to be neutralized. We have observed more than 90% neutralization reduction for 12 sera and more than 50% less than 90% for one.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HIV-1 p24 antigen was 8.76pg/ml by antigen assay and was increased to 76.81pg/ml after immune complex dissociation. Results : We concluded that the sensitivity and the specificity of HIV-1 p24 antigen assay can be increased by dissociation of the immune complexes and neutralization with the specific antibody.

      • SCIE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