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장실습과 온라인실습 유형별 간호 대학생의 실습 만족도 및 학업성취도 비교

        전은영 ( Eunyoung Jeon ),소현 ( Sohyeon Kim ),민중 ( Minjung Kim ),김서현 ( Seohyun Kim ),성주 ( Seongju Kim ),소영 ( Soyeong Kim ),소현 ( Sohyeon Kim ),아영 ( Ayoung Kim ),예빈 ( Yebin Kim ),정은 ( Jeongeun Kim ) 경북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21 경북간호과학지 Vol.25 No.2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nursing students' clinical practice achievement between field and online practice. Methods: In this descriptive research, we recruited junior and senior nursing students who experienced both field and online practice from nursing college in Daegu and Gyeongbuk, Korea.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online survey and analyzed via a t-test, ANOVA, and paired t-test using SPSS V 25.0. Resul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of practice between field and online practice types. However, academic achievement was higher in the field group than in the online group. Out of five points, the scores of field practice and online practice were 3.66 points and 3.39 points, respectively, which indicated that academic performance was higher in field practice than online practice (t=6.21, p<.001). Conclusion: Field practice has been shown to achieve higher academic performance than online practice. Hence, research is needed in order to develop suitable field practice models for the New Normal era in preparation for situations that practice is limited, such as COVID-19 and future outbreaks.

      • KCI등재

        이혼자의 성장 경험에 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 법원 미술심리상담실 이용자 중심으로 -

        김서현(Kim, Seo-Hyun),원종아(Wone, Jong-Ah) 한국미술치료학회 2020 美術治療硏究 Vol.2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법원 미술심리상담실 이용자의 이혼 후 성장에 관한 구체적인 경험을 알아보고 그 의미를 해석하는 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법원 미술심리상담실을 이용한 이혼자 7인이다. 자료 수집은 2017년 2월부터 2020년 6월까지 심층 면접을 통해 이루어졌다. 심층 면접은 이혼 후 성장에 관한 미술 작업을 실시 한 뒤, 그에 따른 경험을 이야기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자료 분석은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을 바탕으로 하였다.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의 미술 작품과 함께 일화와 연구 참여자들의 내러티브를 통해서 이혼 후 성장 경험을 드러내는 데 집중하였다. 연구 결과 이혼자들은 이혼 후 성장에 있어 단일한 차원에서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참여자들은 주체성 회복을 통해 새로이 태어나 자신, 타인, 환경과의 관계 회복을 경험하게 하였다. 더불어 그들은 이 모든 과정을 생의 일부로 여겨 순응하고, 내적 성숙이 이루어지는 것임을 밝혔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혼자의 외상 후 성장 지원, 외상 후 실존적 차원에서의 성장에 대해 논의를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근거로 법원 미술심리상담 활성화에 대한 구체적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specific, post-divorce growth experiences of court art therapy counseling users and to interpret the meaning of the result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the seven divorcees who participated in court art therapy counseling.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from February 2017 to June 2020. In the in-depth interviews, the participants discussed their experiences after completing artwork related to post-divorceg rowth. Data analysis was based on Van Manen s hermeneutic phenomenology. The researcher focused on disclosing post-divorce growth experiences through the participants’ narratives alongside participants’ artwork and anecdotes. The study results confirmed the post-divorce growth of the divorcees was not one-dimensional. Rather, the research showed that participants experienced improved relationships with themselves, others, and the environment by newly born being through the restoration of independence. In addition, they accepted all of these processes as part of their lives and achieved internal maturity. Based on these results, there was a discussion about the support for growth in post-traumatized divorcees and post-traumatic growth at the existential level. Building on the study results and discussions, specific proposals were made about how to further improve and invigorate court art therapy counseling.

      • KCI등재

        청소년의 직업경험이 구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주도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서현 ( Seo Hyun Kim ),정은숙 ( En Sook Jung ),명소연 ( So Yeon Myung ),정익중 ( Ick Joong Chung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3 청소년복지연구 Vol.1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직업경험과 구직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자기주도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 청소년의 구직효능감 증진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의 중2패널 4차년도(고등학교 2학년)와 6차년도 자료(대부분 대학교 1학년)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청소년의 구직효능감은 직업경험 중 진로준비행동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6차년도에서 청소년의 직업경험 중 진로준비행동과 구직효능감 간 관계에서 자기주도성의 조절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자기주도성이 높은 집단에서 진로준비행동과 구직효능감 간 정적 관계가 더욱 강하게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의 직업경험이 구직효능감의 상승이라는 긍정적 영향을 가져오도록 하기 위해서 청소년들이 자기주도성을 발현할 수 있도록 진로교육의 변화 및 제도적 개선을 해야 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진로설계 및 직업준비 과정에 있는 청소년의 자기주도성을 높이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self-directed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work experience and job-seeking self-efficacy. For this purpose, two waves of data, 4th wave(2nd year of high school) in 2006 and 6th wave(mostly 1st year of university) in 2008, from Korea Youth Panel Survey administered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were utili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Adolesc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work experience had positive effects on the job-seeking self-efficacy in both waves, and the positive effects of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job-seeking self-efficacy were moderated by self-directedness in the 6th year survey. The positive effect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job-seeking self-efficacy were more likely to be increased when adolescents had stronger self-directedness. To lead the work experience of adolescents to the enhancement of the job-seeking self-efficacy, it is needed that the innovation of career education and policies for adolescents to develop their self-directedn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actic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to improve adolescents` job readiness and self-initiative.

      • KCI등재

        연구논문(硏究論文) : 준위협종 긴흑삼릉의 서식지 보전과 복원을 위한 환경 특성 분석

        김서현 ( Seohyeon Kim ),재근 ( Jae Geun Kim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015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18 No.1

        Sparganium japonicum Rothert. is designated as a near threatened species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and is restrictively distributed in South Korea. To conserve and restore habitats of this plant, we investigate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vegetation at five habitats during the growing season. Thirty plant species from seventeen families were found in the S. japonicum community. The species frequently found in this community included Utricularia vulgaris, Potamogeton distinctus, Phragmites japonica, Cicuta virosa, Persicaria thunbergii, Phragmites communis, Hydrilla verticillata. Maximum height of this plant reached at August and average height at five habitats is 120 cm at this time. Water and soil environmental factors showed low values compared with that of other wetlands. S. japonicum lived in not only shallow water level but also deep water level. These results can be helpful for S. japonicum habitat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 KCI등재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반한 성취기준 분석 : 2015 개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김서현(Kim Seoh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5

        목적 본 연구는 2015 개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의 초, 중, 고의 가정생활 영역의 성취기준을 분석하여 그 특성을 알아보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해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하여 초등학교 20개, 중학교 27개, 고등학교 16개, 총 63개의 성취기준을 분석하였다. 선정된 성취기준은 연구자와 2명의 코더가 예비 및 최종 분류의 과정을 거쳐 협의를 통해 최종 판정에 합의하였다. 결과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 차원의 경우는 절차적 지식, 메타인지적 지식의 비중이, 인지 과정 차원에서는 ‘이해하다’와 ‘적용하다’가 높은 비중을 보였다. 지식 차원과 인지 과정을 복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개념적 지식을 이해하다’가 가장 많았다. 둘째, 학교급별 특성을 살펴보면, 지식 차원의 경우 개념적 지식은 고등학교, 절차적 지식은 초등학교, 메타인지적 지식은 중학교가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인지 과정 차원의 경우 초등학교에서는 ‘이해하다’, 중학교에서는 ‘적용하다’, 고등학교에서는 ‘이해하다’의 비중이 높았다. 지식 차원과 인지 과정을 복합적으로 살펴보면 초, 중, 고 모두 ‘개념적 지식을 이해하다’가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는 초, 중학교에서는 ‘절차적 지식을 적용하다’, 고등학교에서는 ‘메타인지적 지식을 분석하다 및 적용하다’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 내용에 기반한 제언으로는 1개의 성취기준이 2개 이상의 지식과 인지 과정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아 2015 개정교육과정의 목표인 학습량 적정화를 위해 성취기준 개발 시 면밀한 검토가 요구된다. 또한 상위학교급으로 갈수록 절차적 지식과 메타인지적 지식이 상위 인지 과정과 연계되어 고등사고력을 함양할 필요가 있고, 초등학교에서도 다양한 인지 과정을 균형있게 다룰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향후 가정생활분야의 3개 영역과 6개의 핵심개념별 성취기준을 지식, 인지 과정 차원에서 분석하여 2015 개정교육과정의 의도가 제대로 반영되어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family life areas of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Technology and Economics) curriculum. Methods To do this, 63 achievement standards were analyzed based on Bloom s new taxonomy.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knowledge level, procedural knowledge and metacognitive knowledge had a high proportion, and in the cognitive process level, ‘understand’ and ‘apply’ showed a high proportion. In the case of a complex analysis of the knowledge dimension and cognitive process, ‘understand conceptual knowledge’ was the most common. Second,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chool level, in the case of knowledge level, ‘conceptual knowledge’ in high school, ‘procedural knowledge’ in elementary school, and ‘metacognitive knowledge’ in middle school showed the highest proportion. As for the cognitive process, the proportion of ‘understand’ in elementary school, ‘apply’ in middle school, and ‘understand’ in high school was high. In the case of a complex analysis of the knowledge dimension and cognitive process, ‘understand conceptual knowledge’ is the most commo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followed by ‘apply procedural knowledge’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and ‘analyze and apply metacognitive knowledge’ in high school. Conclusions As a suggestion based on the contents of this study, a single achievement standard often includes two or more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es, and thus a close review is required when developing achievement standards in order to optimize the amount of learning, which is the goal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addition, procedural knowledge and metacognitive knowledge need to be linked to higher cognitive processes to cultivate higher thinking skills, and elementary schools should provide opportunities to deal with various cognitive processes in a balanced way.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the inten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s properly reflected by analyz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for each of the three scope of the family life area and the six core outlines at the level of knowledge and cognition.

      • KCI등재

        영아 참여권 실현을 위한 보육교사의 지원 경험 탐색

        김서현(Seo Hyun Kim),주현정(hyun-Jung Ju),방울(Bang Wool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4

        목적 본 연구는 영아반을 담당하는 보육교사들이 영아 참여권을 실현하기 위헤 제공하는 실제적인 지원 경험을 탐색하고, 그 과정에서의 어려움과 요구는 무엇인지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연구 참여자의 심층적인 생각과 경험을 들어 봄으로써 주제와 관련된 복합적이고 자세한 현상을 이해 할 수 있는 질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으며, S시와 C시의 교사 12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고, 반구조화된 방식으로 1차 소집단 면담, 2차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추가 자료가 필요한 경우 전화면담을 수행하였다. 결과 영아반 교사들은 영아 스스로 의사를 표현하고, 결정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었으며, 민감하게 영아의 의사를 파악하려 노력하고 있었다. 또한, 다른 사람과의 소통에서 영아의 의사를 대변하여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거나, 영아에게 영향을 미치는 일에 대해 일상생활 중심으로 기초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영아의 참여권 실현을 위한 지원을 하고 있었다. 하지만 영아의 참여권을 보장하기 힘든 상황과 구체적인 지식 및 경험 부족, 영아 발달 등으로 인해 영아 참여권 실현의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또한, 모두 함께하는 인식 개선 및 영아의 개별 요구를 더 반영할 수 있는 환경, 계속 더 반성해 볼 수 있는 교사 교육의 기회 등 영아 참여권 실현을 위한 구체적인 개선 사항을 이야기하였다. 결론 영아반 교사들은 영아 맞춤의 방식으로 영아에 참여권을 지원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과정에서 외적 내적 요인에 의해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요구를 분명히 하였다. 이러한 보육 현장의 영아 참여권 지원에 대한 실질적 정보를 바탕으로 영아 참여권 보장 환경을 지속해서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daycare teachers support toddlers' participation rights and to identify challenges and needs in the process. Methods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applied to select 12 childcare teachers from S and C cities as research participants. The study involved conducting a first group interview and a second individual interview in a semi-structured format, as well as conducting phone interviews when additional information was needed. Results Childcare teachers who work with toddlers provided opportunities for them to express themselves and make decisions, and tried to understand their intentions. They also acted as representatives of the toddlers wishes to others and provided basic information on issues that affect the children. However, they faced difficulties in guaranteeing children's participation rights due to a lack of specific knowledge and experience, developmental limitations of young children, and challenging circumstances. They discussed specific improvement needs for the realization of children's participation rights, such as creating an environment that better reflects individual needs and improving teacher education opportunities for continued reflection and better understanding. Conclusions The study confirms that childcare teachers support toddlers’ participation rights in a child-centered way. However, they experience difficulties due to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and have clear demands for improvement. It is crucial to continuously improve the childcare environment based on practical information related to supporting toddlers’participation rights ,to ensure a supportive environment for toddlers’ participation righ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