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빅데이터를 활용한 유아 권리에 관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 2011년부터 2021년을 중심으로

        주현정(Ju, Hyun-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4

        목적 본 연구는 온라인 공간의 빅데이터에서 유아 권리와 관련 핵심 키워드를 추출하고 분석하여 우리 사회의 유아 권리에 대한 주요 이슈와 담론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Textom을 활용하여 ‘유아 권리’와 관련된 텍스트를 마이닝하고 1차, 2차에 걸쳐 정제하였다. 정제한 키워드의 빈도를 분석하고 상위 200위의 키워드를 활용하여 네트워크의 기본 속성, 각 키워드의 중심성을 분석하였다. 네트워크 내 하위집단에 대해 살펴보고자 커뮤니티 분석을 하였으며, 유아 권리 담론에 영향을 미쳐온 ‘유엔아동권리협약’과 최근 유아 권리 담론에서 크게 회자 되고있는 ‘놀권리’에 대해 에고 네트워크 분석하였다. 분석에 활용한 도구는 Ucinet6와 Gephi 0.9.2이다.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네트워크를 시각화 하였으며 시각화에 활용한 도구는 Gephi 0.9.2이이다. 결과 빈도 분석결과 ‘유아교육기관’, ‘교육’, ‘부모’, ‘놀이’, ‘유아교육’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 외 법과 정책, 관련 기관, 유엔아동권리협약의 기본권 관련 키워드가 높은 빈도를 나타내었다. 연결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을 분석한 결과 각 중심성의 상위 10위 내에 ‘유아교육기관’, ‘유아교육’, ‘교육’, ‘보장’, ‘부모’, ‘지원’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상위 30위 내에 나타난 키워드는 유아의 보편적 권리 관련 키워드가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커뮤니티 분석 결과 ‘법과 정책’ 군, ‘비정부기구와 유아 권리 교육’ 군, ‘지방자치단체의 지원’ 군, ‘의무이행자의 교육’ 군, ‘돌봄과 배움의 경제적 지원’ 군이 나타났다. ‘유엔아동권리협약’과 ‘놀권리’에 대한 에고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에고와의 연결강도, 에고 내트워크 내의 주요 키워드의 위치에 관한 정보가 도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통해 최근 10년간의 우리나라 유아 권리 보장에 대해 이해하고 발전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가 유아 권리 보장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search the keywords for children’s rights in the online, to discuss the related issue, and finally to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for examining how children’s rights are upheld in our society. Methods The texts related to ‘children’s right’ were mined using Textom and refined two times. The frequency analysis of the refined keywords was conducted, and the basic feature and the centrality of the keywords were obtained through the top 200 keywords refined. A community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subgrade within the network. The ego network analysis was carried out on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and the ‘right to play’ influencing the discourse on children’s rights. The tools used in this analysis and in the visualization were Ucinet6 and Gephi 0.9.2, respectively. Results The rankings of the frequency analysis were education institu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parent, play, early childhood education, laws and policies, related institutions for early childhood, and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As a result of analyzing connection centrality, proximity centrality, and mediation centrality, early education institution for early childhood, early childhood education, education, guarantee, parents, and support were included in the top 10 for each centrality. The keywords in the top 30 were mainly related to the universal rights of children. As a result of community analysis, groups of law and policy,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and children s rights education, local government support, education for obligees, and economic support for caring and learning were categoriz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ego network on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and the right to play, information on the strength of connection with the ego and the location of key keywords in the ego network was derived. Conclusions The development plans for the protection of children’s right in Korea over the past ten years were discuss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the analysis and the generated data are a valuable resource contributing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right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

        BK21사업 참여를 통한 대학원생의 플로리싱(Flourishing) 경험에 대한 탐구

        주현정(Hyun Jung Ju),홍승현(Seung Hyun Hong),정유선(Yu Seon 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0

        목적 본 연구는 BK21사업에 참여한 대학원생의 플로리싱 경험을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BK21사업 참여 과정에서 대학원생이 어떠한 경험을 통해 플로리싱을 체감하는가를 이해하고 플로리싱 경험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탐구하는 것이다. 방법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A 광역시에 위치한 C 대학 단일 BK21사업에 소속된 참여대학원생 6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Giorgi(1997)의 현상학적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셀리그만의 펄마(PERMA) 이론을 토대로 해석하였다. 결과 주요 연구결과는 크게 세 가지 영역(학습활동, 교육환경, 공동체 활동)에서 플로리싱 경험의 내용이 도출되었다. 첫째, 대학원생들은 학습하는 과정에서 즐거움이라는 긍정 정서와 학업적으로 성취했을 때 플로리싱을 경험하였다. 둘째, 대학원생들은 자기 목적성을 발견할 수 있는 교육환경에서 지속해서 몰입하면서 플로리싱을 경험하였다. 셋째, 대학원생들은 공동체에 소속되어 친밀한 인간관계를 형성하고 나눔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행복한 삶에 대한 의미를 발견하면서 플로리싱을 경험하였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교육의 주체인 학습자의 정서적, 심리적, 인지적, 사회적 근원을 움직일 수 있는 경험의 내용을 이해하고 진정한 플로리싱 대학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를 지닌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lourishing experience of graduat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BK21 project. In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in the BK21 project, it is to understand what kind of expe-rience graduate students experience flourishing and to explore the contents of the flourishing experience in detail.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participating graduate students belonging to a single BK21 project at C university located in A metropolitan city. For data analy-sis, the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 of Giorgi (1997) was used, and Seligman's PERMA theory was analyzed. Results As for the main research results, the contents of the flourishing experience were derived in three major areas (learning activities, educational environment, and community activities). First, graduate students experi-enced positive emotions of pleasure in the process of learning and flourishing when they achieved academic achievement. Second, graduate students experienced flourishing while continuously immersing themselves in an educational environment where they could discover their own purpose. Third, graduate students experienced flourishing while discovering the meaning of a happy life in the process of belonging to a community, forming close human relationships, and practicing sharing. Conclusions These research results are significant in understanding the contents of experiences that can move the emotional, psychological, cognitive, and social roots of learners, who are the subject of education, and provid-ing basic data for true flourishing university education.

      • KCI등재후보

        어린이집 2세반 영아들의 자발적 질문에 관한 연구

        주현정(Ju, Hyun Jung),이윤미(Lee, Yun Mi)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09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어린이집 2세반 영아들의 자발적인 질문을 자연스러운 교실상황에서 수집 및 분석하여 영아들의 질문 목적에 따른 질문의 유형을 알아보고, 또한 질문의 내용에 담긴 영아들의 관심사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연구자는 서울 양천구에 소재한 K 어린이집 14명의 영아들을 대상으로 하여 2008년 9월 1일부터 2008년 10월 31일까지 총 9주 동안 영아들의 자발적 질문을 수집하였다. 영아들의 자발적 질문의 목적에 따른 질문 유형에는 ‘설명형, 확인형, 동의형, 제안형, 허락형’이 있었으며, 기타 유형으로는 ‘관심끌기형, 자기과시형, 선택형, 질문을 위한 질문형’이 있었고 자발적 질문의 내용은 ‘놀이상황, 사람, 사물, 소유, 생물, 음식, 글과 어휘와 관련된 질문’ 등이 있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2세 영아들은 많은 질문을 통하여 적극적으로 세상을 탐색하고 알아가고 있었으며, 2세 영아들의 질문에는 그들의 다양한 목적과 요구가 함축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2세 영아들의 질문의 내용에는 그들의 관심사가 녹아들어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2-year-old toddler’s interests by surveying their questions taken at class sessions and classifying them. In order to This research took place at “K” day care center in Yangcheon-gu, Seoul, in 2-year-old infant’s class. Study was conducted 22 times for 9 weeks from September 1 to October 31, 2008.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What is the purpose of 2-year-old toddler’s active question and how are they classified? there are explanation, confirmation, agreement, propose, approval types of purposes, and there are 4 types in “others” category, of which is attractive, self-display, optional, questions for questioning. Second, 2-year-old toddlers describe their questions, and what interest is implied in it? questions about their play environments. about people around them, about objects they see, about possession, about life forms, about foods they take, about words and phrases. Through the result, the research conductor concludes: 1. 2-year-old toddlets actively explores the world by making many questions. 2. The questions 2-year-old toddlers make implies their various purposes and needs. 3. The contents in the questions of the 2-year-old toddlers show their interests.

      • KCI등재

        행복한 삶을 위한 역량으로서 플로리싱(Flourishing) 내용 비교 연구

        주현정(Hyun Jung Ju),강구섭(Gu Sup Kang)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5

        이 연구에서는 개인의 행복한 삶의 역량의 관점에서 플로리싱 개념을 분석하고 한계점을 제시함으로 써 플로리싱 개념의 효과적 활용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해석학적 연구방법에 기반하여 문헌분석과 내용분석을 활용하였다. 플로리싱 내용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문헌들을 수집하였으며 이를 해석하여 교육학적 맥락에서 재해석하는 과정을 거쳤다. 연구 결과, 플로리싱은 개인의 행복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자기 주도적 영역, 정서적 영역, 사회적 영역 및 신체적 영역의 내용을 토대로 구성되어 있다. 각 영역별 내용 측면에서 자기 주도적 영역 및 정서적 영역이 내용적으로 주를 이루고 있고 사회적 영역과 신체적 영역은 매우 제한된 수준으로 강조되었다. 플로리싱 개념과 구성 내용을 종합 분석한 결과, 플로리싱 개념의 체계적인 활용을 위해 인지적 정서적 영역을 넘어 사회적 신체적 영역을 포괄하는 광범위한 관점에서 플로리싱 개념을 활용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의 전인적 성장을 추구하는 교육학적 접근과의 연계를 통해 개인의 성장, 발전을 위한 역량 증진의 측면에서 플로리싱 개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 plan for the effective use of the flourishing concept by analyzing the flourishing concept and presenting its limitations. For this purpose, literature analysis and content analysis were used based on the hermeneutic research method. Documents that occupy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content of flourishing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nd reinterpreted in an educational context. As a result of the study, we found that flourishing is a component of personal happiness and is composed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self-directed domain, emotional domain, social domain, and physical domain. In terms of content for each domain, the self-directed domain and emotional domain were the main contents, while the social domain and the physical domain were emphasized to a very limited level. As a result of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flourishing concept and composition, we found that it was necessary to use the flourishing concept from a broad perspective that encompasses the social and physical domain beyond the cognitive and emotional domain for systematic us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ctively utilize the flourishing concept in terms of enhancing the capacity for individual growth and development through linkage with the pedagogical approach that pursues individual overall growth.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문학교육 연구 동향 분석

        주현정(Ju, Hyun-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8

        본 연구에서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유아문학교육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회 전자도서관 및 학술데이터베이스(DBpia, KISS, RISS)를 통해 유아문학교육 관련 학술 논문의 키워드를 수집하였으며, 키워드 정제 후 Excel과 UCINET6를 활용하여 분석하고 Netdraw로 시각화하였다. 자료 분석은 전체 및 시기별 발간 현황 및 키워드 빈도, 네트워크의 구조적 속성, 키워드 중심성, 에고 분석을 중심으로 수행하였다. 유아문학교육 학술논문의 발간 현황을 분석한 결과, 총 1,366편 발간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발간빈도는 1기(1994년~1999년), 2기(2000년~2009년), 3기(2010년~ 2019년) 중 3기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키워드 빈도는 ‘그림책’, ‘유아’, ‘창의성’, ‘그림책읽기’, ‘언어능력’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시기별 네트워크 분석에서 3기 네트워크의 응집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키워드 중심성 분석결과 시기별로 두드러지게 높은 중심성 값을 보이는 키워드가 발견되었다. 에고 네트워크 분석은 본 연구결과와 문헌연구, 전문가 검토를 바탕으로 ‘창의성’과 ‘전자그림책’ 키워드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바탕으로 유아문학교육 관련 전체 학술논문의 발간 동향을 거시적, 미시적으로 살펴보았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유아문학교육의 발전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 of young children’s literature based on keyword network analysis. For this purpose, keywords of academic research related to early childhood literature education were collected through the national assembly e-library of Korea and academic databases (DBpia, KISS, RISS). Keywords were cleaned and analyzed by Excel and Ucinet6. Network was visualized by Netdraw. Publication frequency,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network, centrality, and ego were analyzed from the results. It is found that the publication status of academic thesis on early childhood literature education were a total of 1,366 copies, and was the highest in the 3rd period (2010-2019). The frequency ranking of keywords was as follows: picture book, young children, creativity, reading of picture book, and language ability. Cohesiveness was the highest in the 3rd phase and keywords with significantly higher centrality values were found by period. The ego network analysis targeted the keywords the creativity and electronic picture book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literature research, and preview. The result of this study signifies that it has examined macroscopically and microscopically the publishing trend of all academic papers related to early childhood literature education based on keyword network analysis. Based on this, the development plan of early childhood literature education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as discussed

      • KCI등재

        코로나19 팬데믹에서의 유아교육기관 관련 이슈 분석 :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주현정(Ju, Hyun-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2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온라인 빅데이터에 나타난 유아교육기관과 관련된 키워드를 네트워크 방법 분석하여 쟁점이 되었던 이슈들을 파악하고 기록하여 추후 감염병 상황에서의 효율적 대처를 위한 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Textom에서 ‘코로나19+유치원’, ‘코로나19+어린이집’ 키워드를 활용하여 2020년 1월1일부터 2020년 8월 15일까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키워드는 정제 후 빈도분석하였으며 상위 200위의 키워드를 활용하여 중심성, 커뮤니티 분석하였다. 또한, 교사와 부모 에고의 네트워크를 분석 하였다. 분석 및 시각화에는 Ucient 6와 Gephi 0.9.2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확산, 방역, 돌봄과 관련된 키워드가 높은 빈도를 나타냈으며 ‘감염과 긴급대응 이슈’, ‘지역사회 교육지원 이슈’, ‘극복 캠페인 이슈’, ‘장기 휴원 따른 이슈’, ‘점검강화 이슈’가 군집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와 부모 키워드의 에고 네트워크 분석 결과 각 에고를 중심으로 화자되었던 이슈들이 도출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감염병 상황에서의 대응에 대해 반성적 고찰하고 효율적 대처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가 감염병 상황에서 보다 유연한 대처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ssues related to early childhood institute due to the COVID-19 pandemic and to propose the effective methods for infectious disease outbreak in near future again.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keywords including COVID-19 with kindergarten and COVID-19 with daycare center, were collected through Textom from January 1, 2020 to August 15, 2020. The gathered keywords were cleansed and analyzed in frequency. Centrality and community were analyzed with the keywords of the top 200 in frequency. The ego network of parent and teacher keywords was analyzed. Ucient 6 and Gephi 0.9.2 were employed for analysis and visualization. It is found that keywords associated with diffusion, prevention and child care showed a high frequency and centrality. There were the following five clusters: (1) infection and response of emergency, (2) educational support in local community, (3) overcoming campaigns, (4) issue due to long-term closure, and (5) reinforcement of inspectio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teacher and parent ego networks, issues related to each ego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implications of these contents, effective countermeasures were discussed.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data for flexible plan in the infectious diseases outbreak.

      • KCI등재

        독일 고등평생교육 정책과 실천의 시사점에 대한 탐구

        주현정(Ju, Hyun-Jung),이병준(Yi, Byung-Jun) 한독교육학회 2020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25 No.1

        현재 한국의 평생교육 정책에서는 대학을 개방하는 대학평생교육이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비전통적 학생들에게 대학을 개방한다는 점에서는 유럽과 비슷하지만 구체적인 방식에서는 차이가 적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유럽의 국가 중 독일에서의 대학개방의 과제를 평생교육적 차원에서 다룬다. 독일에서의 대학개방은 한국과는 조금 다르게 진행되었다. 이 주제를 다루기 위해서는 문헌분석과 내용분석이라는 해석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한국은 기능적 체제적 차원에만 관심을 많이 가지고 있고 대학의 입학자원감소라는 고등교육정책적 차원에서 주로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독일 사례에서 대한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독일은 세대 간 상호학습이라든지 노인 및 고령자 학습이라든지 하는 사회적 이슈에 대응한다는 차원에서 한국과는 큰 차이가 있다. 독일은 다소 가치지향적인 접근이 고등평생교육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시각은 대학개방의 구체적 방식에서도 차이를 보이게 된다. 독일의 경우 대학의 교수방법의 새로운 변화모색, 교양교육, 전공교육 및 직업능력개발과의 연계 및 지역사회와의 협력 등에 새로운 시사점을 우리에게 제공한다. For the lifelong education policies in Korea at present, the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provided in the universities is emerging as the important task. While it’s similar to the lifelong education in Europe on the aspect that the universities are opened to non-conventional students, it’s much different from the detailed approaches. This study examines the opening of universities in Germany among the countries in Europe on the aspect of lifelong education. Opening of universities in Germany was slightly different from that in Korea. For the analysis, this study adopted the hermeneutic approach, that is, literature review and contents analysis. Korea is much interested only on the functional and systematic dimension mainly on the aspect of higher education policy, which is ‘reduction of admission resources in universities’. However,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on the cases in Germany, the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in Germany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in Korea on the aspect that the former copes with the social issues including mutual study between generations and learning by the senior citizens. It can be explained that Germany implements the value-oriented approaches for higher lifelong education. Such approach also shows the difference in the detailed method to open the universities. The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in Germany provides us the new implications including search for change in teaching methods in universities, liberal education, link between major education and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and cooperation with local communities.

      • KCI등재

        유아를 위한 모래놀이 연계 A-STEAM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과학적 탐구능력,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주현정(Ju, Hyun-Jung),조형숙(Cho, Hyung-Sook)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학논집 Vol.24 No.2

        본 연구에서는 유아를 위한 모래놀이 연계 A-STEAM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과학적 탐구능력, 놀이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S 유치원 5세 유아 38명(실험집단 19, 비교집단 19)이다. 2018년 9월 3일부터 12월 7일까지 실험집단에서는 24회의 모래놀이 연계 A-STEAM 교육 프로그램이 적용되었으며 비교집단에서는 같은 횟수의 감상․탐색 중심 예술 모래놀이 프로그램이 적용되었다.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사전, 사후에 창의성, 과학적 탐구능력, 놀이성 검사를 하였으며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의 유아의 창의성, 과학적 탐구능력, 놀이성 총점 및 하위점수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를 위한 모래놀이 연계 A-STEAM 교육 프로그램의 교육현장 적용 가능성 시사한다 할 수 있겠다.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a sand play based A-STEAM program on the creativity, science process skills, and playfulness of young children. The participants of the research were a total of 38 children (experimental group = 19, comparative group = 19) who were all 5-year-olds at S-kindergarten in Seoul. The sand play based A-STEAM program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24 times from September 3 to December 7, 2018, while the comparison group participated in the sand play program based on art experience for the same period. To evaluate their creativity, science process skills, and playfulness, pre-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ANCOVA with SPS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a meaningful change in their creativity, science process skills, and playfulnes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and play based A-STEAM program for young children can be applied to the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