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6학년 때 바느질실습 수업 경험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과 요구

        김상미,권영숙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6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8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016 1st and 2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in order to investigate of their perceptions and needs on sewing practice class, which had been experienced during their 6th grade elementary school year. Implications and improvement for sewing practice class to be drawn from this stud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 levels of satisfaction with the practice contents and teaching・learning method were higher than the median value(3.00). Among the subareas of class evaluation, participation scored the highest average, followed by interest, difficulty, necessity, importance, and utilization. In the entire subareas, girl students have more positive perceptions on sewing practice classes than boy students. Secondly, satisfaction with the practice contents has an effect on all subareas of class evaluation. The satisfaction with the teaching・learning method has an effect on participation, interest, importance and utilization. Lastly, as for the practice contents, they would prefer household items and ornament, and want to choose sizes freely. As for students’ needs for a new teaching・learning method through which students are allowed to freely make objects or create works through a group activity, it was higher than the median value. This study showed that practice contents and teaching・learning method are important factors that affect class evaluat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sewing practice class should be conducted freely choosing of practice contents, making the group works, group or student-led activities. If sewing practice class is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results and students’ needs for class, students’ perceptions on class is expected to change in a positive way. 본 연구는 중학교 1, 2학년 남녀 학생 205명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6학년 때 경험한 바느질실습 수업에 대한 인식과 현재의 요구를알아보고, 중학교 바느질실습 수업 개선을 위한 정보를 수집하거나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실습내용이나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만족도는 중간값(3.00)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수업 평가의 하위 영역 중참여도가 평균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는 흥미도, 난이도, 필요도, 중요도, 활용도 순이었으며 모두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보여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바느질실습 수업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가정교사는 이를 염두에 두고 수업을 설계하거나성별에 따른 인식 차이의 원인이나 요구를 파악해야 한다. 둘째, 학생들의 바느질실습 수업 평가에 성별, 실습내용, 교수・학습 방법 등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가정교사는 성별이나 학년에 상관없이 실습내용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학생들이 실습내용을 자유롭게 선정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다양한 실습내용으로 실습하기 위해서는 학생 중심 활동이나 모둠 중심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은 생활용품과 장식품을 만들거나 자신이 만들고 싶은 것을 자유롭게 만들기를 희망하였다. 구상한 것을 자유롭게 만들거나 모둠 활동을 통해 모둠 작품을 만드는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는 중간값보다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요구나 도출한 시사점을 가정교사가 수업을 설계하는데 반영한다면 바느질실습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긍정적으로 변화될 것이다.

      • KCI등재
      • 녹혈이 빈혈유발 Mouse에 미치는 영향

        김상미,하혜경,홍순복,김정숙,Kim, Sang-Mi,Ha, Hye-Kyung,Hong, Soon-Bok,Kim, Chung-Sook 한국한의학연구원 2004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Vol.10 No.1

        Hematopoietic stem cells in bone marrow form all kinds of blood cells. In traditional medicine, functions of bone marrow cells are very similar to those of Essence(精) which is a fundamental factor of physical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Our experiment examined the effect of deer blood on aplastic anemia induced mouse using cyclophosphamide 150 mg/kg i.p injection before experiment and then another cyclophosphamide 120 mg/kg i.p injection on day 10. Then we administrated dried deer blood in distilled water for 5 days, 9 days and 10 days. We examined blood and marrow samples. In results, deer blood showed a trend of effectiveness on recovery of red blood cells and erythropoietin although they were not statistical significant. And deer blood did not show changes in CD34.

      • KCI등재후보

        전쟁기념관 전시와 교육에 나타난 ‘기억’의 문화정치학-안보와 평화교육의 공존가능성의 모색을 중심으로-

        김상미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3 人文科學 Vol.0 No.52

        This paper examines the ripple effect of exhibit education through the experience of War Memorial that is one of state’s official organizations. From the works of contemporary photo artists, this paper particularly pays attention to the transmission pattern from the exhibit experience to ‘the cultural memory,’and ‘autobiographical memory.’ This paper addresses the changes of photo artists’ works along with the analysis of 2009’s revised education course (art department) to foresee the future influence of unification education that will be actualized by state’s institute. The building intention of War Memorial and the purpose of exhibit education are basically the transmission of ‘official memory.’ In particular, War Memorial in South Korea is the very place where people are educated the ‘cause’ of divided country. In this sense, War Memorial functions as ‘the space for creating official memory’ that educates people state’s identity. However, when we examine the ideal human character or the educational objectives that 2009’s revised education course pursues, this function of War Memorial that emphasizes state’s viewpoint does not fit to the aim that government departments or public education institutions pursue. Considering the revised education course that particularly focuses on ‘experiential activity’ in community cultural facilities,their different direction can influence not only art department but also state’s cultural competition. Under the circumstances, this paper objectifies War Memorial that uses official memory for ideology to focus on the photo artists who dissemble official memory and understand history in value-neutral and object point of view or who criticize war itself. These artists sublimate this official memory to art with their independent and critical appropriation. Here, we can find the accordant point with current revised education course. In this respect, War Memorial is a dynamic space where the collision and also the accordance with the education purpose appear. There is nothing equal to ‘war’ that spreads images and information fast. As much as its rapid speed, it requests critical thoughts to verify the meaning of information. Therefore, it is time to realign War Memorial as the space where restructures the knowledge for ‘universal peace education’ by closing the distance between generations. It can be a place both for critical thinking and for the sense of national security. 본 논문의 목적은 전쟁기념관(戰爭紀念館)의 체험교육을 통해 발생할 수 있는국가관 교육이 미치는 파급효과가 ‘문화적 기억’과 ‘자전적 기억’으로 전승되는 양상을 검토하고 지역문화와 전시교육의 실천적 방향을 탐색하는 것에 있다. 전쟁기념관의 건립목적과 전쟁기념관 내부에서 진행되는 전시물 교육의 목적은일반적으로 ‘공식기억’의 창출과 전승에서 찾을 수 있다. 따라서 대한민국의 전쟁기념관이라는 공간은 분단국가가 형성된 원인을 교육시키는 장소이며, 가장 뚜렷하게 국가의 정체성을 기억시키게 만드는 공식 기억의 창출 공간으로서 기능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능은 국가관 강화와 창의적 인간교육이라는 상당한 괴리감의 존재가 필연적으로 드러나고 있다. 여기에서 국가의 공식기억을 이데올로기적으로 이용하려는 기념관을 대상화하여공식기억을 해체하고 역사인식을 가치중립적이고 객관적이며 다양한 요소들과 관련시킨 사진가, 혹은 ‘전쟁’ 자체를 비판하는 일군의 예술가들의 시각이미지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들 사진예술가들은 주체적이고 비판적으로 ‘공식기억’을 수용해 예술로서 표현시켰으며, 그들의 예술작품 속에서 모순된 교육목표가 합치되는지점을 찾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전쟁기념관은 상이한 교육목표 사이에 충돌을 일으키는 공간임과 동시에 교육목표에 합치되는 표현을 가능하게 하는 역동적인 공간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짚신나물 열수 추출물의 α-Glucosidase 저해 효과 및 근육세포에서 포도당 이용에 미치는 영향

        김상미,이영민,김미주,남송이,김성희,장환희,Kim, Sang-Mi,Lee, Young Min,Kim, Mi-Ju,Nam, Song-Yee,Kim, Sung-Hee,Jang, Hwan-Hee 한국식품영양학회 2013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6 No.4

        본 연구는 짚신나물 열수 추출물의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을 측정하고, 분화된 근육세포에서 glucose 이용과 인슐린 신호전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짚신나물 열수 추출물($10mg/m{\ell}$)은 ${\alpha}$-glucosidase 활성을 67% 저해하였으며, 같은 농도의 양성대조구인 acarbose(63%)와 유사한 저해 효과를 보였다. 짚신나물 열수 추출물이 ${\alpha}$-glucosidase에 의한 단당류 생성을 저해함으로 식사 후 혈당이 급격히 상승하는 것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인 소재로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근육세포에서 인슐린 저항성을 유발하기 위해 지방산(1 mM, palmitic acid)를 처리하였고, glucose의 세포내 유입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방산 처리 세포 모델에서 짚신나물 열수 추출물($10{\mu}g/m{\ell}$)은 glucose 이용을 유의적으로 회복시켜 주었다. Normal 상태의 배양조건에서 근육세포의 포도당 이용능은 짚신나물 열수 추출물($100{\mu}g/m{\ell}$) 처리에 의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근육세포 내로 glucose 유입은 운반 단백질인 Glut4를 통해 이루어지며, 이것은 인슐린이 신호전달을 통해 조절한다. 짚신나물 열수 추출물의 세포 내 glucose 이용 증가 효과는 인슐린 신호전달 관련 분자인 Akt 유전자와 단백질 발현을 증가시킨 것과 관련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결론적으로, 짚신나물 열수 추출물은 소화기관에서의 탄수화물 흡수 저해와 근육세포 내 glucose 이용 증가를 통해 혈당 조절 및 당 대사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Agrimonia pilosa Ledeb. is a medicinal plant with anti-tumor,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hyperglycemic activities. However, few studies of the anti-diabetic effect of A. pilosa on insulin resistance status have been performed. In the present study, the anti-diabetic effect of A. pilosa water extract (AP) was determined by investigating its ${\alpha}$-glucosidase inhibitory property, glucose utilization, and uptake, as well as insulin resistance mechanism of action in C2C12 skeletal muscle cells. Compared to positive control (acarbose), AP ($10mg/m{\ell}$) showed a similar ${\alpha}$-glucosidase inhibitory capacity. Glucose uptak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1{\mu}m$ insulin treatment (p<0.05). However, palmitic acid (FFA, 1 mM) induced muscle insulin resistance and glucose uptake dysfunction. On the other hand, AP ($10{\mu}g/m{\ell}$) was capable of reversing the FFA-induced insulin resistance in C2C12 myotubes. Compared to control, AP ($100{\mu}g/m{\ell}$ without insuli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utilization of glucose (p<0.05) in C2Cl2 myotubes cultured in normal glucose (7 mM). AP treatmen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relative mRNA and protein expression levels of Akt. In particular, the effect of A. pilosa on the insulin signaling system is associated with the up-regulation of Akt genes and glucose uptake in C2Cl2 myotub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pilosa is useful in the prevention of diabetes and the treatment of hyperglycemic disorders.

      • KCI등재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산모의 고연령이 영아 사망에 미치는 영향: 교육 수준을 중심으로

        김상미,조영태 한국보건사회학회 2011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29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examine the impact of delayed childbearing on infant mortality, focusing on the interactive function of social status of mother with maternal age. A linked Birth/Infant Death data set from 2005 to 2008,provided by Statistics Korea, was employed for analysis. Survival Analysis was carried out to calculate hazard ratios of infant mortality by maternal age after adjustment of other variables, such as children’s biological haracteristics and parents’ social status. Results showed that delayed childbearing didn’t affect infant death; rather, old maternal age contributed to reducing hazard to infant mortality. It may be that as for mothers who graduated from at least high school, parents’ social merits such as good education and job security likely to increase and mitigate the biological disadvantages attached to old age. Moreover, they could prevent infant death by accessibility and affordability of high quality medical care and information etc. On the other hand, hazard to infant mortality for mothers with junior high or less education continuously increased as they aged, which demonstrates the “weathering effect”. However, marginal gap of its hazard between mothers of 20s and of early 30s presented that old age’s buffering effect was originated from the accumulated socioeconomic resources.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의 지연된 첫 출산 연령이 영아사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엄마의 사회경제적 수준, 특히 교육 수준에 따라서 이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확인하는 데 있다. 분석 자료는 통계청의 인구동향자료 중 2005~2008년도 출생통계자료와 사망원인통계 자료가 링크된 데이터이며, 2005~2008년에 출생한 아동 중, 정보의 누락이 없는 1,813,361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영아사망자는 생후 365일 이내에 사망한 아동으로 정의되며 6,175명이 이에 해당되었다. 분석결과, 대졸 이상, 고졸 엄마에게서는 30세 이상에서의 고령 출산과 영아사망 간에 밀접한 연관성이 없으며, 고졸 엄마의 높은 연령은 오히려 영아사망 위험을 낮추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지연된 출산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이점이 고연령이라는 생물학적 불이익을 보완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중졸 이하 엄마의 영아사망 위험은 모 연령과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사회경제적으로 낮은 계층의 여성은 출산을 늦추는 것이 좋지 않은 환경에 장기간 노출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영아의 건강에 매우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인 weathering effect를 지지하였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20대와 30-34세 엄마의 영아사망 위험 간에 뚜렷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은 우리나라의 경우 외국의 사례와 달리 사회경제적으로 불이익을 경험하고 있는 대상자에게서 조차 출산 적령기가 연장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심각한 저출산을 경험하고 있는 한국 사회에서 지연된 출산이 갖는 의미를 새로이 발견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학술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한편 중졸 이하 엄마의 고연령이 아동의 건강에 미치는 효과는 추후 연구를 통해 더욱 면밀히 분석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