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일어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요인과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 수업형태와 학습자를 중심으로

        권영숙 한국독일어교육학회 2016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Vol.38 No.-

        In der heutigen Wissens-und Informationsgesellschaft entwickelt sich die Informationstechnik rasch und ist im Alltagsleben sehr tief verankert. Außerdem gehoren Lerner heutzutage zur Net-Generation. Sie wachsen in Haushalten auf, in denen ihnen neue Medien zur Verfugung stehen und sie sich leichter mit den Geraten tun als ihre Eltern. Aus diesen Tatsachen ergibt sich, dass auch im Bildungsbereich Erwerbs- sowie Vermittlungsmethoden des Fachwissens dementsprechend anders gestaltet werden. In diesem Kontext versuchen viele Universitaten Koreas außer der traditionellen off-line basierten, face-to-face Unterrichtsmethode andere Alternativen, wie z.B. blended- Learning, online-basiertes Learning oder Flipped Learning usw. einzufuhren. Die Grunde dafur liegen in der Uberzeugung, dass diese Methoden in der Klasse ermoglichen, die Eigenschaft der Lerner, die Lernumgebung sowie vielfaltige Medieneinsatzmoglichkeiten zuberucksichtigen, und dadurch den Lerneffekt der Lerner zu maximieren. Aber es gibt wenige Untersuchungen daruber, ob sie ein Ergebnis der heutigen Wissens- und Informationsgesellschaft sind, oder ob durch ihren Einsatz der Lerneffekt tatsachlich erhoht wird. In diesem Zusammenhang sollte man erstens das Verhaltnis zwischen den verschiedenen Unterrichtsformen und dem Lerneffekt studieren, und zweitens, wenn sie richtig sind, dann welche Beeinflussungsfaktoren je nach den Unterrichtstypen wichtig sind . Diese Abhandlung geht von der Annahme aus, dass durch die Einführung dieser verschiedenen Unterrichtsformen, blended-Learning, online-basiertes Learning oder flipped Learning den Lerneffekt der Lerner erhöht werden kann. Mit dieser Annahme werde ich aus den theoretischen und den empirischen Studien Beeinflussungsfaktoren auf den Lerneffekt ableiten und dann an Hand von der Delphi und Entropy Untersuchungsmethode erstens untersuchen, welche Faktoren auf dem Lerneffekt Einfluss üben werden, und zweitens, wiewichtig sie je nach der Unterrichtsform mitwirken werden. 초고속 인터넷이 도입되면서 우리 사회는 정보기술이 보편화된 성숙된 지식정보화 사회를 맞이하고 있다. 2010년 말 스마트폰 보급이 일반화되면서 무선 인터넷 보급률도 증가되어 2014년 기준 대한민국 인터넷 이용자는 4,100만 명을 넘어서고 있으며, 3세 이상 전체 인구의83.6%의 이용률을 보이고 있다(2015년 국가정보화백서). 이러한 초고속 인터넷 가입자수는 OECD 국가 중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014년 국가정보화백서). 인터넷속도 또한 세계 평균보다5.6배 빠른 ‘최강국’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러한 지식정보화 사회속에서 성장한 N-세대라고 불리는 학습 목표 집단들은(Tapscott 1998) 디지털 문명이 더 익숙한 세대로서 정보의 능동적인 참여자로 자연스럽게 성장한 세대이다. 이들은 유년기부터 컴퓨터에 익숙하며 호기심이 많고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하여 인터넷이나 디지털 기기를 검색하는 것이 일상화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지식이나 정보를 디지털기기를 통해 훨씬 더 많은 것을 빠르게 배우는 특성이 있다(권영숙 2015). 이러한 시대적 변화의 흐름과 더불어 N-세대 학습자의 특성을 반영하여 많은 대학에서 전통적인 면대면 오프라인 강의 방식 이외에 정보기술에 익숙한 학습자 특성과 다양한 온라인 매체들을 이용한 온라인 강의, 온라인-오프라인 병행강의 혹은 플립형 강의 방식 등을 도입하고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강의방식을 도입하는 이유는 교육영역에서의새로운 패러다임요구와 동시에 학습자특성, 학습 환경 그리고 활용매체의 다양성 등을 고려하여 학습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다양한 강의형태를 통한 외국어 교수 및 학습 사례연구 분석결과온라인 혹은 온라인-오프라인병행 강의형태를 통한 영어 교수 및 학습에 대한 사례연구들은 많은 반면, 독일어 교수 및 학습 사례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새로운 패러다임을 요구하는 시대적인 변화에발맞추어 외국어 교육에서 웹기반 독일어 교수 및 학습을 시도해 보는것도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 연구 결과는 향후 다양한 강의 형태를 통해 독일어강의를 하고자하는 교수자에게 매우 유용할 것이라고 기대한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강의형태들이 단지 시대적 흐름을 반영한 것인지? 실제로 이러한 다양한 강의 형태들을 통하여 학습자의 학습효과가 상승하였는지를 검증하는 연구는 미약한 편이며, 강의형태의 다양성과 학습효과간의 상관관계를 이론적으로 고찰한 연구가 거의 없는실정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강의형태들과 학습효과간의 상관관계를검증한 필요가 있으며, 또한 이러한 다양한 강의형태의 도입을 통해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다면 강의형태별로 학습효과를 높이는데 중요하게작용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등을 검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다양한 강의형태(온라인, 오프라인, 온라인-오프라인 병행)를 도입하여 학습효과를 증진 시킬 수 있다는 전제하에 선행연구를 통하여 학습효과를 높이는데 작용하는 영향요인들을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델파이기법을 이용한 실증분석을 통하여 이러한 영향요인들 중 어떠한 요인들이 강의형태별로 어느 정도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또한 얼마나 중요하게 작용하는지 검증하고자한다.

      • KCI등재
      • KCI등재

        뉴노멀 시대의 외국어 교육을 위한 온라인 도구 평가 목록표 개발

        권영숙,최가연 한국독일어교육학회 2023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Vol.52 No.-

        In dieser Studie wird versucht, einen offenen Kriterienkatalog zur Bewertung von Online-Tools für den Fremdsprachenunterricht im New Normal zu entwickeln, der Lehrende bei der Auswahl geeigneter Online-Tools für verschiedene Lernsituationen unterstützt. Dies basiert auf der „Online-Tool-Analyse “- Modelltheorie für das Lehren und Lernen von Fremdsprachen von Kwan und Choi (2023). Die Hauptkomponenten und Analyseelemente des Kriterienkatalogs berücksichtigen die Merkmale der Lehrpläne jeder Bildungseinrichtung, in der Fremdsprachenunterricht durchgeführt wird, die Merkmale von Lehrenden und Lernenden sowie verschiedene Eigenschaften und Funktionen von Online-Tools. Der Kriterienkatalog besteht aus Bewertungselementen, die nach drei wichtigen Kategorien - Perspektiven, Aspekten, Kriterien fragen, und jede Komponente weist eine enge Beziehung zueinander auf, so dass die Kriterien für die Auswahl von Online-Tools vorgestellt werden. Dies ermöglicht eine eingehende Analyse und Bewertung von Online-Tools. Außerdem ist die Bewertungsliste offen gestaltet und bietet Lehrende die Möglichkeit, flexibel zu evaluieren, indem sie sich, je nach Bildungskontext, auf wichtige Bewertungskriterien konzentrieren oder unwichtige Bewertungskriterien weglassen. Anhand der Ergebnisse dieses Bewertungskatalogs können Lehrende für den Unterricht geeignete Online-Tools auswählen und nutzen, um die Fremdsprachenkenntnisse, die Lerneffizienz und die Lerneffekte der Lernenden zu verbessern. 본 연구에서는 뉴노멀 시대의 외국어 교육을 위하여 교수자가 다양한 학습 상황에 맞추어 적절한 온라인 도구를 선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개방형 온라인 도구 평가목록표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것은 권영숙, 최가연(2023)의 외국어 교수와 학습을 위한 온라인 도구 분석모형이론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본 평가목록표의 주요 구성성분이자 분석요소는 외국어 교육이 진행되는 각 교육기관의 교과과정 관련 특성과 교수자와 학습자 특성, 온라인 도구들이 가지는 여러 특징들과 기능 등을 중심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상위개념 범주에 속하는 교육 및 조직적 관점(Perspektive), 도구 및 사용자적 관점, 경제적 관점, 이에 속한 직접적인 범주인 측면(Aspekte)과 하위 범주인 척도(Kriterien), 그리고 세부요소를 묻는 평가 문항들로 구성되어 있다. 각 구성성분은 유기적이고 긴밀한 연관관계를 가지고 있어 온라인 도구 선별에 구체적인 기준을 제시하여 온라인 도구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평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평가목록표는 개방형으로서 교수자는 교육 상황맥락에 따라 중요한 평가기준들을 중점적으로 평가하는 것과 중요하지 않은 평가 기준들은 생략할 수 있는 등 유연하게 평가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본 평가목록표 기반 분석결과를 중심으로 교수자는 수업에 적절한 온라인 도구를 선택하고 활용할 수 있으며, 이는 학습자의 외국어 능력, 학습의 효율성, 학습효과를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한국 성인 입원환자의 호칭에 관한 연구 : Centered on Patients

        권영숙,박정숙,박점희 中央醫學社 1991 中央醫學 Vol.56 No.4

        This study is aimed at searching the culturally appropriate appellations of adult admitted patients in Korea. The subjects were 208 male adult paitents and 229 female adult patients admitted at 3 university hospitals in Taegu city.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for collecting data from November 5 to December 8, 1990. The tool of this study was a questionnaire which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This tool was composed of the importance of appellation, the checklist of present appellations, and the checklist of appropriate appellations. Analysis of data was done by calculation of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response of the importance of patient's appellation which used by nurses were `very important' 14.4 %, `important' 51.5 %, `moderate' 27.7 %, `not important' 5.9 %, no response 0.5 %. So response of more than `important' was 65.9 %. 2. `Mr.-' (-ssi, -31 ) was the most frequently called appellation among male and female patients at present. The second frequently called appellation was 'uncle /aunt' (ajeossi, o}xj 41 / aj uma, 4- 'l- ). In male patients, according to the age, in the twenties (60.4 %), and the thirties (63.3 %), they were called `Mr.-' frequently. But in the forties (53.5 %), the fifties (41.4 %), the sixties (32.0 %), they were called `Mr.-' infrequently continuously. On the other hand, in the forties (45.1 %), and the fifties (44.7 %), they were called frequently `uncle/-uncle'. And over the sixties (56.0 %), they were called `grandfather' (halabeoji, z old Al ) frequently. In female patients, '-ssi' was used frequently in the twenties (59.5 %), and the thirties (60.6 %). But in the forties (53.4 %), the fifties (50.0 %), and the sixties (30.8 %), '-ssi' was decreased continuously. Be called `aunt' was increased continuously from the twenties (24.0 %) to the forties (41.9 %), but it was decreased sharply from the fifties (15.3 %) to the sixties (6.1 %). Over the sixties, `grandmother' (halmeoni, i- i q ) (60.1 %) was the most frequently called appellation. Patients aged sixteen to twenty-nine were called various appellations. 3. The most appropriate appellation which was chosen by patients, was `Mr.-' as same as the most frequent called appellation at present. The next appropriate appellation was 'uncle; aunt'. In male patients, according to the age, 'Mr.-'was chosen frequently by the twenties (82.3 %), and the thirties (76.7 %). But it was decreased continuously in the forties (49.0 %), the fifties (35.0 %), and the sixties (21.0 %). `Uncle/-uncle' was chosen frequently by the forties (45.1 %), and the fifties (57.5 %). And over the sixties, `grandfather' (63.2 %) was chosen as the most appropriate appellation. In female patients, '-ssi' was the most frequent chosen appellation in the twenties (74.6 %). But '-ssi' was decreased continuously in the thirties (69.8 %), the forties (56.2 %), the fifties (44.0 %), over the sixties (19.6 %). `Aunt/-aunt' was chosen frequently in the forties (43.8 %), the fifties (40.0 %). And patients aged over sixties preferred to 'grandmother' (71.7 %).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