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글 子音字 배열의 역사적 변천과 그 수정의 필요성

        김미미 국어사학회 2012 국어사연구 Vol.0 No.14

        본고는 한글 子音字 배열 순서의 역사적 변천 과정을 살피고, 이를 토대로 현행 맞춤법 규정인 「한글 맞춤법」(1988, 문교부 고시 제88-1호)에 제시된 한 글 子音字 배열 순서의 적절성에 대하여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를 위하여 우선 『訓民正音』(1443)에서 「한글 마춤법 통일안」(1933)에 이르기 까지 한글 子音字의 변천을 살필 수 있는 자료들 가운데 특징적인 몇몇 자료 들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현행 맞춤법 규정에 제시된 子音字 배열은, 시대의 흐름과 함께 발생했던 문자 상의 몇몇 변화가 子音字 배열의 전체적인 수정 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관습을 핑계로 부분적인 수정만 가해져 왔던 까닭에, 그 순서를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일정한 원리가 부재한 상태임을 알 수 있었다. 현행 子音字 배열을 표면적으로 보면 마치 子音의 발성 자질에 따라 ‘[-기식성]’인 것을 먼저 배열하고 ‘[+기식성]’인 것을 나중에 배열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러한 배열 기준은 결과론적인 것이며, 그 과정적인 측면을 고려한다면 결국 「諺文字母」의 배열 기준이 적용된 것이라 할 수 있다. 하지 만 현대 국어의 정서법은 형태주의를 기본으로 삼고 있으며 ‘ㅊ, ㅋ, ㅌ, ㅍ, ㅎ’을 初聲字와 終聲字로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관습적인 배열 방 식이 더 이상 가치를 가지지 못하게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배열 순서는 그대로 남게 되면서, 현행 子音字의 배열이 마치 ‘[-기식성]-[+기식성]’과 같은 순서를 따르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현행 子音字 배열에 대한 수정의 필요성을 말하고 그 수정 방향의 한 가지로서 각 子音字의 소리 가 만들어지는 발음 기관의 순서에 따른 배열에 대해 언급하였다. This research aims to study historical changes of Hangul 子音字 arrangement and points out some problems with the array suggested in 「The rules of spelling of Hangeul」(1988, Official Notice of Education Department, No. 88-1). For this purpose, I checked the various materials from 訓民正音 (1443) to 「A draft for unified Korean spelling system」(1933) which are remarkable for this study. As a result, there is no certain principle that we can explain the current array of consonants clearly. Furthermore the order of ‘牙-舌-脣-齒-喉’ hardly have the educational effect any more. Therefore, I think that the 子音字 array need to be adjusted to provide some meaningful linguistic information of each phoneme and the reasonable 子音字 array criteria.

      • KCI등재

        언어의 바깥, 글쓰기의 윤리 - 최하림의 후기 시세계를 중심으로

        김미미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9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20 No.3

        이 글은 최하림의 제4집에서부터 발견되는 ‘풍경’을 동반한 외적 변화에주목하여 이것이 그의 전체 시세계 안에서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에 대해분석하고자 한 글이다. 그가 제4집 이후의 후기 시세계에서 보여준 외적변화는 이전 시세계와 내적 연관성을 지닌 것으로서 풍경과 풍경의 화행적차원인 침묵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최하림이 보여준 풍경은 그가 등단 초기부터 일관되게 지녀왔던 문학과 언어에 대한 자의식 및 사회와 개인의 관계에 대한 물음을 융합하여 제3의 국면을 펼쳐 보인 것으로 언어의폭력성 및 언어와 사물 사이의 거리에 대한 인식이 무한한 타자성에 대한인식과 결합하여 얻은 열림의 세계이며 언어의 이미지화를 통해 실현된다. 최하림이 보여준 풍경의 화행적 차원이자 윤리적 실천으로서 침묵은 말하지 않기를 택함으로써 취한 언어에 내포된 사물의 살해에 대한 거부이자상징계의 질서에 대한 저항이다. 이는 다시 주체의 소멸을 통해 비인칭의기억을 떠오르게 하여 부재의 공동체를 긍정하는 윤리적 차원을 그의 글쓰기에 도입하는 역할을 한다. 결과적으로 최하림이 후기 시세계에서 보인외적 변화로서 ‘풍경’은 침묵을 통해 실천된, 그의 전체 시세계를 관통하는‘윤리’라는 내적 연관성의 다른 외피라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is intended to analyze the meaning of the landscape throughout the entire poetic world of Choi Ha-rim, noting the external changes that have been accompanied by the landscape since his fourth collection of poems. The external changes in his poetic world after the fourth collection are internally related to the former poetic world and can be examined by dividing it into the landscape itself and the silence as a speech-act dimension of the landscape. Choi Ha-rim presents a third phase by combining his self-consciousness in literature and language with questions about social-personal relationships, which he has consistently held since the beginning of his literary career, in other words, that is the landscape. For him, the landscape is the world of openness that has been achieved by combining the violence of language and the perception of distance between language and things with the perception of infinite typography, and are realized through the imagination of language. Also, the silence as a speech-act dimension of the landscape becomes a rejection of the killing of objects in the language chosen as a means of silence and resistance to the order of symbols. This, in turn, serves to bring back the memory of impersonality through the disappearance of the subject, thereby introducing an ethical dimension in his writing that affirms the community of the absence. As a result, the landscape, as the external changes in the later period of the fourth collection of Choi Ha-rim, is a different surface, where the inner relation of ethics through his whole poetic world is realized through silence.

      • KCI등재

        ‘운동으로서 문학’의 미적 범주 연구 — 오월시 동인의 미적 전략을 중심으로 —

        김미미 현대문학이론학회 2020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81

        ‘운동으로서 문학’을 미적 측면에서 접근하고자 한 이 연구는 오월시 동인지를 대상으로 삼아 형식적 실험으로서 장시 및 다른 예술 장르와의 연합으로서 판화시집 발행이라는두 가지 미적 전략에 주목하여 이것이 궁극적으로 어떤 미적 범주로 설명될 수 있는지를밝히고자 하였다. 먼저 형식적 실험으로서 장시는 운율의 무의미화와 부름의 행위를 통해항구적 현재성을 얻고 독자를 증인의 자리에 세움으로써 질적 전이를 통한 수행성을 획득함을 볼 수 있었다. 다음으로 판화시집의 발행을 통해 장르융합을 꾀하였는데 이는 예술계의 연대를 통한 양적 팽창과 더불어 질적 변이를 통한 사회의 변혁을 노린 것이었다. 판화가 지닌 태생적 전위성뿐만 아니라 복제성이 지닌 질적 변이의 과정은 오월시 동인이의도하였던 예술에 힘을 부여하고 사회변혁을 이끌 수 있는 동력이 되었다. 마지막으로 오월시 동인이 행하였던 미적 전략으로서 장시의 실험과 판화시집의 발행이 지닌 의미는거대한 사회적 악 혹은 절망에 맞서 그것의 내면화를 거쳐 통어할 수 있는 것으로 전환하고자 하는 행위라고 할 수 있었다. 그들은 불가능한 상황 앞에서 그것을 미적인 것으로넘어서려는 실천을 행했고 이는 심미적 행위를 통해 윤리적 주체로 거듭난 것으로 설명할수 있다. 즉 오월시 동인이 미적 전략을 통해 얻고자 했던 힘과 자유는 불쾌를 쾌로 바꾸는 인간의 내적·정신적 능력의 발현으로서 숭고로 범주화될 수 있는 것이다.

      • KCI등재

        어휘사 연구를 활용한 ‘표준 어휘-방언 어휘’에 대한 태도 교육

        김미미 우리말학회 2012 우리말연구 Vol.31 No.-

        이 글은 어휘사 분야의 연구를 활용하여 ‘표준 어휘-방언 어휘’의 관계에 대한 올바른 태도 교육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기존의 국어교육에서 시행해 온 표준 어휘-방언 어휘에 대한 교육 내용을 검토하고 그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국 어 교육에서는 표준 어휘-방언 어휘에 대한 태도 교육을 가치 차원에서만 접근하는 경향이 있었다. 물론 방언 어휘에 대한 기존의 가치적 교육 내 용이 유의미한 것임은 분명하지만, 그것만으로는 표준 어휘와 방언 어휘 에 대한 그릇된 시각을 수정하기에 부족한 점이 있다. 다음으로 어휘사적 관점에서는 표준 어휘와 방언 어휘의 관계를 어떻게 파악할 수 있는지 구체적인 어휘(벌레[蟲])를 통해 살펴보고, 그 결과를 표준 어휘와 방언 어휘 에 대한 태도 교육에 적용시켜 보았다. 앞으로 어휘사 분야에 축적된 성 과물들을 활용하여 방언 어휘를 올바른 시각에서 교육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할 수 있는 노력이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 최하림 시세계가 담지한 도덕성의 기원에 관한 고찰

        김미미 한국지역문학회 2018 한국지역문학연구 Vol.7 No.2

        본고는 최하림의 시세계가 담지한 높은 도덕성의 원천을 밝히고자 하며 이를 위해 도덕성의 반대급부로서 ‘죄의식’에 주목한다. 최하림의 시세계에 드러나는 죄의식은 서구적 원죄의식과는 달리, 그의 사회적·역사적 경험과 연결되어있다. 그 원초적 형태는 공동체의 최소 단위인 가족과의 관계에서 살펴볼 수 있는데 이는 무의식의 분석을 요구한다. 먼저 최하림의 시 속에서 자전적 의미의 아버지는 라캉의 논의를 빌리자면‘이상형으로서의 아버지’에 해당하는 상상적 아버지이며 아버지의 죽음과 관련한 일화는 시인의 내면에 죄의식의 한 형태인 수치심을 새겨 넣는 계기가 된다. 자아 이상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는 자신의 부족함을 책망하는 특성을 지닌 수치심은 시 안에서 자기 비하의 형상으로 드러난다. 아버지가 실제 시로 형상화된 계기는 뇌졸중의 경험이며 그가 채택한 “서성거림”의 존재방식은 아버지와 관련한 원초적 체험에서 기인한 수침심이 그 원인이다. 그에게 수치심은 타자와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이끌며 그의 시세계에 균형감을 가져오며 도덕성의 다른 이름이 된다. 다음으로 최하림의 시 속에서 자전적 의미의 어머니는 아버지와 달리 늘 고통받고 눈물짓는 모습으로 형상화된다. 이는 아버지의 죽음 이후,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했던 어머니가 지닌 삶의 무게에 대한 연민과 동시에 장남으로서 기대를 외면한 시인 자신이 지닌 부채의식에서 기인한다. 여기서 니체가 말하는 채권자와 채무자의 관계가 성립하고 부채의식이 발생하며 이는 그의 내면에 죄의식의 한 형태인 죄책감을 새겨 넣는 계기가 된다. 죄책감은 시인이 무의식적으로 대타자의 인정을 통한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지위확보를 욕망하도록 이끈다. 초자아의 끊임없는 검열은 그의 시세계가 객관성을 유지하도록 하며 이는 도덕성의 다른 이름이 된다. 결과적으로 최하림 시세계의 원초적 동인으로서 죄의식은 그를 사회적 강제와 관습에 묶어두는 데서 멈추지 않고 그가 내적 체계를 확립하고 고유한 도덕성의 세계를 건설하는 데 기여한다. This study intends to reveal the origin of high morality supported by the poetic world of Choi Ha-rim. For this study, we pay attention to ‘guilty’ as the opposite of morality. Unlike the Western sense of guilty, the consciousness of guilty that is revealed in Choi’s life history is connected with his social and historical experience. The primitive form can be examined in relation to the family, which is the minimum unit of community, which requires an unconscious analysis. As Lacan argues, the autobiographical father that appears in the poem of Choi Ha-rim is an imaginary father who is the father of the ideal, and the anecdote related to the death of the father is the instrument of inscribing a form of guilty. When it fails to meet the expectation of self, the shame of reproving oneself is manifested in self-deprecation in literature. The experience of the father’s stroke is the reason for becoming a literary figure, and the way in which the poet adopts the “hover” causes the shame by his father’s primitive experience. In other words, shame is another name for morality that keeps the distance from the other and maintains a sense of equilibrium in the poetic world. Next, the autobiographical mother, who appears in the poem of Choi Ha-rim, is shaped as a painful and tearful figure unlike his father. This is due to the compassion for the weight of the mother’s life, which had to be responsible for the family’s life after father’s death, as well as the consciousness of the debt to the poet himself who ignored the expectation of the eldest son. Through Nietzsche’s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reditor and the debtor, we can approach the source of sense of guilt as a form of guilty within the poet. The poet desires to secure his position as a member of society through the recognition of the great writer unconsciously. The constant censorship of the superego maintains the objectivity of the worldview, which is another name for morality. As a result, this paper reveals that the guilt consciousness is the primitive source of the Choi Ha-rim’s poetic world and contributes to the establishment of the inner system of the poet and the building of a unique morality world outside of social coercion and customs.

      • KCI등재후보

        Youtube 숏폼 콘텐츠의 편집스타일 변화에 대한 연구

        김미미,변혁,Kim, Mimi,Byun, Daniel H. 성균관대학교 트랜스미디어연구소 2022 트랜스- Vol.13 No.-

        Short-form content, which means "short video content within 10 minutes," is rapidly emerging as a recent trend among MZ generations based on the fact that it can be viewed whenever there is a short running time, and they are physically short, colorful, and deliver a lot of information in a compressed time, showing differences in both long-form content and format. In addition, entertainment videos such as information delivery videos, eating shows, web entertainment, and dance challenges are mainly produced and distributed, so there is no need to take expertise as a creative work of video experts, and consumers often become producers by directly participating in production using low-end equipment such as smartphones. For these reasons, shortform content creates new image styles rather than general existing image forms such as long-form contents, and this study focuses on changes in editing styles. This study summarized the following five characteristic changes by analyzing the editing style of short form content that has changed compared to long form content according to the 'visual' aspect. The use of frames, memes, screen division, blue screen, and subtitles are included, and by organizing each characteristic, we identified the editing style of shortform content that has emerged as a recent trend and learned about the chan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