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경남지역의 문학자원과 문학행정

        한정호 한국지역문학회 2013 한국지역문학연구 Vol.2 No.1

        경남지역은 근대 초기부터 현재까지 한국문학사를 관류하는 중요한 작가와 작품, 그리고 문학적 사건의 중심지 가운데 하나였다. 그런 만큼 깊고 다양한 문학 전통과 자산을 바탕으로 각 지역사회마다 문학 현양사업이 활기를 띄고 있다. 하지만 그러한 문학자원을 아우르는 마땅한 문학행정을 펼치지 못한 채 특정 문학인들의 현양에만 치우쳐 있었다. 이 글에서는 경남지역의 문학자원과 문학행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글쓴이는 지표조사 차원에서 지역별 문학관‧문학비 현황, 나아가 문학제나 문학상 실태를 중점적으로 짚어보았다. 그 결과 경남지역의 문학자원은 그 양과 질에서 볼 때 어느 지역과도 견줄 수 없을 만한 의미와 가치를 담고 있다. 하지만 경남지역은 문학자원에 대한 관심과 문학행정의 다변화를 이루지 못하고 있는 현상에 대해 반성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사정은 대부분의 지역에서 쉽게 찾을 있는 일이다. 여전히 문학행정과 경영에 대한 관심과 성찰은 부족한 점이 많다. 그 바탕이 되는 문학자원 실태조사, 지역문학의 전통과 자산에 대한 자료 수집․발굴에서 더욱 그렇다. 지역의 문학행정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먼저 지역문학 실태조사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지역사회의 적극적인 지원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아울러 경남은 문학관과 문학비, 문학인의 생가와 유택, 그리고 작품의 창작배경지 등의 문학자원이 풍부해 이들 지역간 연결고리를 마련한다면 다양한 가치를 추구하는 관광자원으로 삼기에 충분하다. 그런 만큼 경남지역은 무거운 근대문학 전통과 축적된 문학자원을 어떻게 지역문학의 발전 동력으로 상승시킬 것인가 하는 과제, 이를 지역 문화관광의 매개물로 승화시키는가 하는 난제를 안고 있다. Kyungnam region is one among metropolis of writer, work and literary events flowing through Korea's literary history from early modern to the present. Such a thing, literary famous business was widly known on based on deep and various literature-tradition and assets every regional community. however, without display reasonable literary administration encompassing such literary resources, famous business of specify writer has been one-sided. This paper was looked around about literary resources and literary administration of Kyungnam region. For this, I looked review intensive, further, actual conditions of literary event or literary award by regional literature museum and literary tombstone looking, in surface survey terms. the result, When literary resources in Kyungnam region look at the quantity and quality, Any comparable means and values would be able to put in. But Attention on literary resources and Diversification of literary administration in Kyungnam region were necessary for the unfulfilled did wrong about. These matters are easy to find in most areas, The Administration still care about literary reflection is insufficient. it is based on a survey of literature resources of the local culture, traditions and more data collection for assets apart from the daunting. First of all regional literature and require active support of the community survey was done properly the reality. In addition, the literature and the literary monument, the textbook's birthplace and Yu-taek, and works such as the creative background of literary resources, abundant, these regional links if pursues a variety of value to tourism resources provides is sufficient. The area, such as heavy modern literature tradition and the accumulated literature resources how to elevate the development of literature will be powered by local challenges, local culture, tourism and the parameters of the water to turn the challenges confronting the region.

      • 학생문예지에 나타난 지역문학적 특징

        이동순 한국지역문학회 2016 한국지역문학연구 Vol.5 No.2

        『Student’s Literature』, which was published in Gwangju, is a literary magazine to show that students have voluntarily organized their literary club and worked on creative writing activities. As older alumni writers at the region and many high schools fully supported the student literary alliance to found the magazine, it has been known that literary ambience of Gwangju Jeonnam region was quite different from that of other regions. Local literary features disclosed on student literary magazines can be categorized into 3 types. The first feature is that including the poet, Kim Hyunseung, many poets who are working in Gwangju, and one of his pulpils, Park Bongu, published their new works on the first issue of 󰡔Student’s Literature󰡕 to encourage students’ creative activity. The second feature is that guidance teachers of literary clubs at each high school actively participate in and fully support for literary activities. The third feature is that the level improvement of students’ works was intended and the participants were limited only to students of Gwangju Jeonnam local high schools and universities. This means local literary ambience and attitude are a volition to fully support and promote Gwangju Jeonnam local students’ creative activities. 󰡔Student’s Literature󰡕 has a historical value to confirm that literary challenges against new things provoked by the activities of members of 󰡔Zero Degree(零度)󰡕 coterie promote literary activities by Gwangju local students. The only first issue has the most significance in that it showed details of Gwangju Jeonnam local literary ambience in the late 1950’s. 광주에서 발행된 『학생문예』는 학생들이 자발적인 문학동우회를 결성하여 문학적 연대를 통해 문예창작 활동을 하였음을 보여주는 문예지이다. 학생들의 문학적 연대를 지역의 선배 문인들과 각 고등학교에서 적극적으로 지원하여 창간한 만큼 광주전남지역의 문학적 분위기는 남달랐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학생 문예지에 나타난 지역 문학적 특징은 세 가지로 정리된다. 그 첫째는 시인 김현승을 비롯하여 광주에서 활동하고 있었던 시인들, 그리고 그의 제자들인 박봉우 등이 『학생문예』 창간호에 작품을 발표하여 학생들의 창작활동을 격려하고 있다. 둘째는 각 고등학교의 문예부 지도교사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문예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셋째는 학생들의 작품을 공모를 통하여 학생들의 작품 수준향상을 꾀하였으며, 대상을 광주전남 지역의 고등학생과 대학생으로 한정하였다. 이것은 결국 광주전남 지역의 학생들을 위한 지역의 문학적 분위기와 태도가 창작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육성하고자 하는 의지였다고 할 수 있다. 󰡔학생문예󰡕는 󰡔영도(零度)󰡕 동인들의 활동으로 촉발된 새로운 것에 대한 문학적 도전이 광주 지역 학생들에게 고무적인 문예활동을 촉발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는 사료적 가치가 있다. 이 창간호만으로 1950년대 후반의 광주전남 지역문단의 분위기를 자세하게 알 수 있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 박태일의 지역문학 연구 서설

        최명표 한국지역문학회 2019 한국지역문학연구 Vol.8 No.1

        박태일은 지역문학 연구의 개척자이다. 그는 20여년에 걸쳐 지역문학자료들을 수집하여 분류하고 정리하는 작업을 계속해 왔다. 그의 연구가 미친 지역은 경남 지역부터 제주도, 전라도, 경북, 북한, 만주까지 넓다. 그는 전국을 돌아다니며 모은 자료들을 꼼꼼하게 분석하여 문학적 가치를 부여함으로써, 지역의 자료들이 발굴되고 조명되어야 할 이유를 증명하였다. 박태일은 지역문학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학자적 정체성을 수립하였다. 그는 미개척 상태였던 지역문학연구를 개척하고 그 성과를 여러 권의 연구서, 산문집, 전집 등으로 발간하였다. 그는 지역문학을 연구하는 학회를 창립하고, 지역문학연구를 하나의 방법론으로 입안하여 한국의 지역문학연구가 활성화되도록 이바지한 선구자이다. Park Tae-il is one of the most leading researchers of local literatures. He has collected, classified, and organized local literary materials for over two decades with the extensive research coverage reaching as far as Gyeongnam, Jeju, Jeolla, Gyeongbuk, North Korea, and Manchuria. He has successfully proved why these materials deserve to be discovered and illuminated by meticulously analyzing them and granting literary values to them. The study of local literatures allowed Park Tae-il to build his scholarly identity. He pioneered digging into the relatively untapped field of local literature and compiled his accomplishments in a number of books, including academic book, collection of proses, and complete collection. He also established a research institute dedicated to studying local literatures and contributed to revitalizing studies of local literature in Korea by developing a unique research methodology as to local literature, solidifying his reputation as one of the leading pioneers in studies of local literature.

      • 한국 장소시학의 논리-박태일의 지역문학론 연구 (1)

        최명표 한국지역문학회 2021 한국지역문학연구 Vol.10 No.2

        The Logic of Korean Poetics of Places -Pak Tae-il’s Research on the Theory of Local Literature (1) Choi, Myoung-pyo This study began with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logic of poetics of places Pak Tae-il insists to position it in the range of Korean poetics of places and understanding its association with research on local literature. His poetics of places originated from his experience of places and is equipped with both theory and substance. First, Pak Tae-il stressed locality and local features. The two originated from placeness and are the drive that constructs the poet’s view of the world and produces poems of places. They prove the records of locals’ cultural value and experience and are open as the space of introspective irony about the loss of a place. Second, Pak Tae-il values coexistence of the regional dialect and placeness. When standard language castrates and standardizes a region’s placeness, the local dialect resists against spatial control that capital pursues to protect placeness and advocates the region’s diversity. Symbiotic relationship between the local dialect and poems of places is useful in optimizing a place’s locality. Third, Pak Tae-il’s poems of places target the mixture of placeness and historicity. He found the example of a place’s historicity becoming reinforced and deteriorated from Tongyeong, Gyeongnam. Also, with the example of Yongho Farm in Busan, he captured the scene that the history of a place got deleted at the site where the camp for Hansen’s disease patients was demolished. With this, he proves that placeness and historicity are inseparable. Pak Tae-il thinks that poetics of places ultimately pursues the recovery of community spirit and love towards traditional life. His poetics of places was logicalized with his academic passion harmonized with his experience of places and creation of poems of places. 이 논문은 박태일이 주장한 장소시학의 논리를 규명하여 한국 장소시학의 범주에 자리매김하고, 지역문학연구와의 관련상을 파악할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그의 장소시학은 장소 체험에서 비롯되어 이론과 실제를 겸비하고 있다. 첫째, 박태일은 지역성과 향토성을 강조하였다. 양자는 장소성에서 유래한 것으로, 시인의 세계관을 구성하고 장소시를 생산하는 원동력이다. 둘은 장소 상실에 대한 성찰적 반어 공간이기도 하다. 둘째, 박태일은 지역어와 장소성의 공생을 중시한다. 지역어는 자본이 추구하는 공간 지배력에 저항하여 장소성을 견수하고 지역의 다양성을 옹호한다. 둘의 공생관계는 장소의 지역성을 최적화하는데 유용하다. 셋째, 박태일의 장소시는 장소성과 역사성의 혼화를 겨냥한다. 그는 경남 통영에서 장소의 역사성이 강화되고 악화되는 보기를 찾았다. 또 그는 부산 용호농장을 예로 삼아서 한센병 환자 수용소가 철거된 현장에서 장소의 역사가 삭제되는 모습을 포착하여 장소성과 역사성이 한몸인 줄 밝혔다. 이와 같이 박태일의 장소시학은 장소사랑에 터한 공동체의식의 회복과 지역성을 강조한다. 그의 장소시학은 학문적 열정과 함께 장소체험, 장소시의 창작 등이 함께 어우러져 논리화되었다.

      • 전북에스페란토운동사

        최명표 한국지역문학회 2023 한국지역문학연구 Vol.12 No.1

        이 논문은 전북 지역 에스페란토운동을 사적으로 개관하고 운동가들을 조명하고자 기획되었다. 전북 지역 에스페란토운동은 일본 유학생들에 의하여 시작되었다. 그들은 에스페란토를 배우는 동안에 사회주의와 아나키즘을 학습하며 국제 연대를 꿈꾸었다. 에스페란토를 익힌 그들은 고향으로 돌아와서 청년운동가들을 의식화시켰, 운동의 양상은 아래처럼 전개되었다. 첫째, 도내에서는 여러 곳에서 에스페란토 강습회가 열렸다. 전주, 이리, 군산, 정읍에서 열린 강습회에는 그 지역 청년운동의 지도자들이 깊은 관심을 보였다. 그들은 에스페란토를 지역사회 변혁운동의 수단으로 이용하고자 학습하였다. 그들에 대한 평가가 식민지해방운동의 차원에서 단행되어야 할 이유이다. 둘째, 전북 출신의 백남규는 한국에스페란토운동의 개척자이다. 그는 1920년 출범한 조선에스페란토협회의 창립 간부였다. 그는 에스페란토 강사와 지상강좌의 필자로 활약하면서 식민지에 에스페란토의 씨앗을 뿌린 선구자이다. 그는 자멘호프의 1국 2언어주의에 적극 찬동하고, 주시경의 제자로서 한글운동과 세계어로서의 에스페란토운동을 병행했다. 이런 특면에서 그에 대한 평가는 에스페란토운동과 한글운동의 차원에서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익산 출신의 정사섭은 한국에스페란토문학을 개척한 선지자이다. 그는 1938년 에스페란토 필명 ‘Dan Tirinaro’으로 파리에서 한국 최초의 에스페란토 시집 󰡔La Liberpoeto(자유시인)󰡕을 발행했다. 그의 시집에는 사해동포주의와 만민평등사상이 육화되어 있다. 일찍부터 반일 성향을 표출했던 그는 일본 유학 중에 에스페란토를 접한 뒤로 인류가 더불어 사는 평화한 평등세상을 꿈꾸었다. 그의 시집은 한국에스페란토문학사뿐만 아니라, 한국근대문학사와 전북근대문학사에서 합당하게 기술되어야 한다. 넷째, 군산 출신의 전용승은 에스페란토를 무기로 외국과의 연대 활동을 보여주었다. 그는 스페인 내전의 수행에 필요한 소요자금을 모금하던 중에 피체된 공산주의자이다. 그의 활약상은 에스페란토의 국제 연대와 함께, 일제의 탄압으로 공개 행사를 갖지 못하던 에스페란토운동가의 지하활동을 입증해준다. 이외에도 부안의 김아가 에스페란토에 관심을 갖고 지역 청년들과 학습 기회를 가졌다. 해방 후 전북에스페란토운동은 백남규가 꾸준히 선편을 쥐었으며, 종립 원광대학교에서 원불교의 포교 도구로 에스페란토를 적극 받아들이면서 운동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였다. 백남규, 정사섭, 원불교 등이 만나는 익산이야말로 한국에스페란토운동사에서 길이 기억되어야 할 운동지이기에, 한국에스페란토박물관의 건립과 운동가들을 현양하는 사업을 적극 시행할 만하다. the Esperanto movement, Jeonbuk, reform movement, Baek Nam-gyu, Jeong Sa-seop, Jeon Yong-seung, Choi Seong-myeon, Kim Ah

      • 박태일의 경북·대구 지역문학론 연구

        한경희 한국지역문학회 2021 한국지역문학연구 Vol.10 No.2

        A Study on Park Tae-il's Theory of Gyeongbuk-Daegu Regional Literature Han, kyung-hee Some of Park's research papers are summarized. He is not from Gyeongbuk or Daegu, but is the only researcher who has taken care of local literature research here. It put a brake on the research practice of regional literature research, which did not have concreteness and led to the theory of works of local writers. Since regional literature research should start with regional research, it is advised to consider the locality and spatiality of the region first. He pointed out the limitations of studying literary phenomena that were created in harmony with local people, local culture, and local landscapes, focusing on works. He mentioned writing through data acquisition several times while putting the brakes on literary research centered on famous people, which is nothing more than repetition of tautology. Several paper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media in regional studies. Despite the fact that data recording and storage are poor, local research emphasizes securing media. It can always be confirmed that Park Tae-il's writing, which shows the importance of data in regional literature research, is written with his feet. Through media, literary phenomena can be organized and events and characters can be reconstructed. I have written several times that when studying the area, you should focus your efforts on the media. As the literary history centered on Seoul can be supplemented and supplemented when the achievements of regional studies are accumulated, it emphasizes the need for zeal and confident and steady efforts of those who study regional literature. Park Tae-il's literature research in Gyeongbuk and Daegu is not a study in which regional literature is confined to the boundaries of a region. Although the focus is on the Gyeongnam and Busan regions, as the scope of research spreads to other regions, the work of reconstructing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s in progress. The representative treatment of the border area between Gyeongbuk and Gyeongnam is an extension of that. Regional divisions are primarily divided into administrative divisions. However, it confirms the fact that in the real cultural life sphere, there are no boundaries and overlap. It was specifically examin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literary phenomenon. 박태일의 연구 논문 몇 편을 정리하였다. 그는 경북·대구 출신이 아니면서도 이곳 지역문학 연구를 살뜰하게 챙긴 연구자로 유일한 분이다. 지역문학연구가 그 구체성을 갖추지 못하고 지역 출신 작가의 작품론으로 이어지고 있는 연구 관행에 제동을 걸었다. 지역문학 연구는 지역연구에서 출발해야 하므로 지역이라는 현장성, 공간성을 가장 우선적으로 고민하라 충고한다. 지역민과 지역문화, 지역 경관 등이 어우러져 만들어진 문학현상을 무시하고 연구해 온 한계를 잘 지적했다. 동어반복에 지나지 않는 명망가 중심의 안이한 문학연구를 지적하면서 자료 확보를 통한 글쓰기의 중요성을 여러 차례 언급했다. 지역연구에서 매체의 소중함은 연구의 근간이 됨을 여러 편의 논문에서 강조한다. 자료의 기록과 보관이 허술한 현실에도 불구하고 지역연구에서 매체를 탐색해야한다. 지역문학 연구에서 자료의 중요성을 제대로 보여주는 박태일의 글은 발로 쓰는 글임을 늘 확인할 수 있다. 매체를 통해 문학현상을 정리하고 구성할 때 지역문학사가 정리될 수 있다. 지역을 연구할 때 매체에 노력을 집중해야 함을 여러 차례 써 놓았다. 지역연구의 성과가 축적될 때 서울 중심의 문학사가 보충되고 보완될 수 있으므로, 지역문학을 연구하는 사람의 열성과 확신있는 꾸준한 노력이 필요함을 기회있을 때마다 언급한다. 그러므로 박태일의 경북과 대구지역 문학연구는 지역이라는 테두리에 갇힌 연구가 아니다. 경남과 부산지역을 중심에 두고 있지만, 다른 지역으로 연구범위가 확산되면서 결국 한국문학사를 온전하게 재구성해내는 일을 실천적으로 이뤄내고 그 길을 알려준다.경북과 경남의 경계지역을 대상으로 다룬 것도 그 연장선에 있는 일이다. 지역 구분은 일차적으로 행정적인 구획으로 나눠진다. 그러나 실제 문화생활권에서는 경계가 따로 없이 겹쳐진다는 사실을 통해 지역문학 연구의 길을 새롭게 밝혀낸 것이다.

      • 이성교 시 연구

        최도식 한국지역문학회 2014 한국지역문학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이성교의 시가 강원영동지역의 지역적 특색을 통해 지역적 정체성과 지역의 정서를 내면화하는 시로 보았다. 그의 시는 강원영동지역의 지역적 특색과 특수성을 담고 있다. 또한 그의 시는 우리 민족과 인간 삶의 보편적 정서를 보여준다. 강원영동지역의 지형적 특색은 서쪽으로 높고 험준한 산과 동쪽으로 넓은 바다가 펼쳐져 있다. 영동지역 사람들에게 산과 바다는 넘어야 할 대상이며, 맞서 일궈내야 하는 대상이고 생존을 위한 공간이다. 그러므로 산과 바다는 주체가 극복해야 할 대상이다. 이성교의 시에서 산과 바다는 닫힘과 열림의 이원성을 지닌다. 산과 바다는 만남과 이별이 공존하고 과거와 미래가 공존하며, 추억과 이상․평안이 공존하는 공간이다. 이성교의 시에서 강원영동지역의 정서는 풀린 마음, 트인 마음, 열린 마음으로 나타난다. 그 마음은 구수한 인심이 경계가 없이 인정으로 이어진다. 한편, 강원영동지역 해안가 사람들에게 바다는 단순히 동경․꿈과 같은 이상적 공간만이 아니라 생존하기 위한 공간, 삶을 영위하기 위한 투쟁의 공간, 현장성의 공간이다. This research emphasized that Lee Sung-gyo's poetry internalize regional identity and local empathy through specific features of Kang Won Young-dong(K, W, Y, D) province. His poetry treats not only certain local feature and speciality in K, W, Y, D province but also universal empathy of human life and Korea people. K, W, Y, D province has both high mountain areas in western and very wide sea in eastern part. These territorial features can be represent hardship to confront local people ,overcome and live together in same area. Therefore, these environment is being to be overcome for living. These mountain and sea has dualism to close and open simultaneously in his poetry. There coexist meeting and departing, past and future, and reminiscences and dreams in these environment. Empathy of K, W, Y, D province shows as sometimes released, correspondent, and open mind in his poetry. This empathy go on as understanding humanity without border in Kang Won seashore people. At the same time, with this empathy they try to struggle and overcome natural environment to survive and live.

      • 강원 영동권 지역문학담론의 동향과 전망

        남기택 한국지역문학회 2014 한국지역문학연구 Vol.3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ed light on the meaning of discourse of Gangwon-Yeongdong regional literature. It can be referred to as problematic objects what shared converging and diverging points in looking into and understanding the problems of the modernity reflected in literature. This paper tries to apply the locality and border thinking in broad sense to its works based on the efforts to study history in various lights. The spirit and works of Gangwon-Yeongdong regional literature prove our centralized surroundings and the typical pattern of living in unreasonable modern times by performing effects. An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seeking both theoretical basis and practical methodology for studying Gangwon-Yeongdong regional literature. It can be emphasized that the study of locality need to focus on system and institutional aspect. It is also important that the study of regional literature should embrace perspective of translocality as well as locality. Regional literature study is a method that sets the goal at discussion for a regional reorganization. The important materials as target of regional literature study is media such as magazines and organizations. They are only part of various shapes of action taken in the course of recognizing problems regarding regional literature and history and responding to and going beyond the modernity. 강원지역문학에 대한 연구는 1980년대 이후에야 본격적으로 진행된다. 이는 지역문학에 대한 관심이 국문학계에 제기되는 시기와 관련되는 보편적 현상일 것이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현 단계 강원지역문학에 대한 연구는 깊이나 총량에 있어 기타 거점 지역 단위에 비해 미진한 실정이다. 기존의 선행 연구 역시 본격적인 학술적 작업이라기보다는 사적 개관이나 단평적 접근이 지배적인 양상을 지닌다. 지금까지의 연구는 체계적인 계획 아래 목적의식적으로 진행되었다기보다는 개인적 관심에 의한 단편적 접근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던 것이다. 논의 범위를 강원영동지역으로 한정하면 기존 연구의 동향은 더욱 미진한 형편이다. 학문적 접근이 하나의 학적 체계를 형성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은 당연한 결과라 하겠다. 기존 연구 현황을 통해 알 수 있는 점은 실증적인 자료 확보를 포함하여 보다 체계적인 방법론과 연구 단위가 필요하다는 사실이다. 정치한 이론틀에 근거하여 보다 실증적인 작업이 구체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경계사유는 글로벌 디자인이 부여한 외부적 기준을 내부로부터 반성하고, 발본적이고 주체적인 사고를 가능케 하는 인식론적 개념에 가깝다. 한국문학장은 한국 사회의 큰 타자라 할 정치경제적 종속성의 구조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기형적 자본주의와 분단 모순, 그로부터 비롯된 중앙 중심의 메커니즘 등은 종속적 사회 구성의 대표적 형태라 할 수 있다. 오늘날 지역문학이 처한 문학장 내 위상은 이러한 구조적 불균형의 산물이기도 하다. 이를 포함한 지역문학의 실정성 문제를 경계사유의 관점에서 숙의하는 과정은 곧 미학적 대안과 로컬리티 범주를 구성하려는 실천 행위이기도 할 것이다.

      • 대전의 전후문학과 문화 양상

        김현정 한국지역문학회 2014 한국지역문학연구 Vol.3 No.2

        본고에서는 『호서문학』 창간호와 대전문화원의 자료를 중심으로 1950년대 대전지역의 문학적 특징과 문화 양상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1951년에 ‘호서문학회’의 창립과 1952년 『호서문학』 의 등장 그리고 대전문화원의 설립은 대전의 문학과 문화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즉, 이로 인해 한국전쟁으로 인해 피폐화된 대전의 문학, 문화에 새로운 변화를 가져오게 된 것이다. 먼저 1950년대 초 대전지역 문학과 문화의 형성 과정을 살펴보았다. 󰡔호서문학󰡕의 발간 배경과 발간 과정, 필진과 그의 작품들을 통해, 그리고 대전문화원의 자료를 통해 1950년대 대전의 문학의 특징뿐만 아니라 문화 양상까지도 확인할 수 있었다. 박용래, 한성기, 권선근의 작품을 통해 습작기 작품의 양상을 살펴보았고, 지헌영의 국문학 연구를 통해 교육문화의 양상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1950년대 전반 대전지역 문학과 문화의 정체성을 일정 정도 확인할 수 있었다. 󰡔호서문학󰡕 창간호에 발표된 글과 대전문화원 자료들에서 보이는 특징은 대부분 순수 이념을 담아내거나 서구의 자유주의를 표방하였다는 점이다. 정훈의 시와 양기철의 소설에서 전후 현실의 우울한 모습을, 한성기, 임강빈의 시와 권선근의 소설에서 자연과 인간애를 노래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대전문화원 자료들에 담긴 문화 양상은 대체로 서구문화를 지향했으나, 이후 대전문화의 독자적인 모습을 담아내는 방향으로 나아갔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1950년대 전반 대전지역의 문학과 중앙문학, 대전문화와 서구문화가 서로 혼융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국전쟁으로 말미암아 중앙문인들이 대전에 머무르면서 대전 문인들과 교류하였고, 이러한 직·간접적인 영향으로 󰡔호서문학󰡕 창간호가 발간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미국공보원이 1953년에 대전문화원으로 이전하기 전까지 대전의 문화는 거의 미국의 문화를 반영한 서구문화였다. 이러한 점들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 1950년대 전반 대전지역의 문학과 중앙문학, 대전지역의 문화와 중앙문화를 서로 비교해볼 수 있는 토대가 될 것이다. In this study we have reviewed literary features and cultural aspects of Daejeon in 1950s through the data from Daejeon cultural center and the first issue of The Literary Hoseo(󰡔호서문학󰡕). The founding of Hoseo 'Literary Society' in 1951, the appearance of The Literary Hoseo in 1952, and the foundation of Daejeon cultural center, all together, affected Daejeon's literature and culture. As a result, literature and culture of Daejeon which was devastated by Korean war brought about changes. First, we have examined the formation of Daejeon literature and culture in the early 1950s. Through the background and procedure of publishing The Literary Hoseo, the writers and their works, and the data from Daejeon cultural center we confirmed not only the characteristics but also the cultural aspects of Daejeon literature in 1950s. We observed the aspects of Bak Yongrae, Han Seonggi, and Gwon Seongeun's work before they made their debut and educational culture through Ji Heonyeong's study of Korean literature. Also, to some extent, we confirmed Daejeon's literature and cultural identity in the early 1950s. Composition in the first issue of The Literary Hoseo and the data from Daejeon cultural center show non political ideology or western liberalism. Jeong Hun's poem and Yang Gicheol's novel depict post war heavy hearted realities and Han Seong-gi's, Im Gang-bin's poem and Gwon Seong-eun's novel exhibit humanity as well as nature. The data from Daejeon cultural center generally inclined toward western culture in the first place but changed to expressing independent features of Daejeon culture. Also, we observed that Daejeon's literature and metropolitan literature, Daejeon culture and western culture were intermixed. Due to the Korean war, metropolitan literati stayed in Daejeon and interacted with Daejeon literati which influenced the publication of The Literary Hoseo directly or indirectly. Furthermore, before the relocation of United States Information Service(USIS) to Daejeon cultural center, Daejeon culture reflected western culture focused on US culture. Study on these points will become the foundation in comparing Daejeon literature with metropolitan literature and Daejeon culture with metropolitan culture in the early 1950s.

      • 우산팔경(牛山八景) 나들이

        한정호 한국지역문학회 2023 한국지역문학연구 Vol.12 No.1

        팔경(八景)은 해당 지역의 승경(勝景) 내지 정경(情景)을 대상으로 선정, 지역사회의 자랑거리로 오래도록 전승되어 왔다. 이는 단순히 자연경관의 아름다움뿐 아니라 역사문화적 자원으로서 지역사회의 정체성을 반영하고 있다. 예전에 진해현이었던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삼진(三鎭)지역에는 우산팔경(牛山八景)이 전해지고 있다. 석문조운(石門朝雲), 취봉추월(鷲峰秋月), 요주낙안(蓼洲落雁), 광암만조(廣岩晩潮), 죽전세우(竹田細雨), 웅도어화(熊島漁火), 연포귀범(燕浦歸帆), 의림모종(義林暮鍾) 등의 사언절구(四言絶句) 팔경시가 그것이다. 이 글에서는 ‘우산팔경’의 연원과 배경을 짚어보고, 그 의미를 바탕으로 삼진지역의 장소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했다. 그 결과 ‘우산팔경’은 오랜 시간 동안 축적‧확장되어 온 팔경시(八景詩)로서 옛 진해현(삼진지역)의 핵심 장소성을 담아내고 있다. 그런 점에서 ‘우산팔경’은 도시경관이 형성되기까지 기본이 되는 자연요소와 인문요소의 생활환경을 함축한 팔경시로서 각별한 의미를 갖는다. 앞으로 창원지역에서도 ‘우산팔경’ 또는 ‘우산십경’을 주제로 하여 시, 그림, 사진 공모전, 그리고 장소 체험 행사 등을 추진하면 좋겠다. Usan eight-view(牛山八景), four-word quatrain(四言絶句), Jinhae county, Changwon city, Samjin area, Uirimsa temple, Bongraejeong(鳳來亭)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