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조경용 국화 품종 ‘Pansy Ball’과 육성 계통의 적정 식재 밀도

        해준 · 김동찬 · 姚婧超 · 서병기 배재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12 自然科學論文集 Vol.23 No.1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optimum planting density of landscape garden mum ‘Pansy Ball’ and 5 inbred lines. ‘Pansy Ball’ and 5 inbred lines of garden mums were planted at Pai Chai university campus on April 25, 2011. Plant density was controlled by 1 plant, 2 plants, 4 plants in one plot of 0.4m x 0.5m respectively. Average plant height in 1 plant in one plot was 46.2cm~71.7cm. And the average plant height in 2 plant in one plot was 45.9cm~64.8cm, while 4 plant in one plot was 38.9cm~53.2cm. Also, plant width of 05-18-01, 05-01-01, 09-76-03, and 09-02-02 inbred lines were over 50cm by 1 plant in one plot. However, as the plant height and plant density was high, most of the plants got flattened and the ornamental value was also reduced. We got the ‘Pansy Ball’ and 2 inbred lines 09-76-03, 09-02-02 for proper landscape ground cover plant.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구기자나무의 엽절편체에서 유도된 재분화식물체의 포장생육 특성

        김동찬,해준,민변훈,양덕춘,김수동,이봉춘,Kim, Dong-Chan,Chung, Hae-Joon,Min, Byung-Hoon,Yang, Deok-Chun,Kim, Su-Dong,Lee, Bong-Chun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02 식물생명공학회지 Vol.29 No.2

        포장에서 자란 '청양'의 상부 잎 절편체 유래의 캘러스에서 200개체의 유식물체를 분화시켜 194개체를 포장에 정식한 후 2년 동안 특성을 조사하였다. 잎의 형태는 모본과 같은 타원형이 66.1%였고, 모본과 다른 난형 22.2%, 도란형 7.2%, 장타원형 2.6%그리고 피침형이 2.1%였다. 또한 재분화된 구기자의 포장생육특성을 검정한 후 열매의 크기가 커지고 수량이 증대된 계통군 5계통 (99741, 99781, 99854, 99870, 99886)과 열매가 커진 계통군 4계통 (99774, 99831, 99840, 99849), 잎이 두꺼운 특징을 보인 2계통 (99747, 99783), 그리고 액아에서 신초가 많이 발생되는 다분지성의 초형변이 계통군 2계통 (99797, 99892) 등 13계통을 선발하였다. 열매의 변이를 나타낸 체세포 변이체간의 생산성을 비교한 결과, 대과와 다수확 계통으로 선발한 5계통들은 '청양'에 비해 과장이 2.1∼2.7 mm 길었으며, 10a당 생산량은 15∼30%가 증수되었다. 초형변이를 나타낸 개체간의 엽수량을 비교한 결과 대소계통인 CL1-48에 비해 99892계통이 7.2% 증수되었고 가시가 발생되지 않았으며 잎이 유연한 특징을 보였다. 194 plantlets regenerated from leaf explants of boxthorn 'Cheonyang' were cultivated to investigate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field for 2 years. Based on the morphology of leaves, 66.1% of them had elliptical type leaf, the same as that of mother plants, while 22.2% in oval type, 7.2% in obovate type, 2.6% in long-obvate type and 2.1% in lanceolate type. They were classified to 4 groups; group A was selected with both high fruit size and fruit yield, group B with only high fruit size, group C with larger or thicken leaf, and group D with multiple brenches. In comparision of production efficiency between the selected groups and mother plants, group A (99741, 99781, 99854, 99870 and 99886) were longer (2.1 to 2.7 mm) in length of fruits and higher in fruit production (15 to 30%) as compared to mother plants. Croup D (99797 and 99892) was higher in leaf production (7.2%) as compared to boxthorn 'CL1-48', which is the highest in leaf production among boxthorn veriaties.

      • Peat 및 화학비료 시용이 금잔디(Zoysia matrella Merr.)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김동찬,심재성,해준,원일 한국잔디학회 1992 한국잔디학회지 Vol.6 No.2

        Peat 및 화학 비료시용에 따른 잔디식물의 생장반응에 대한 실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금잔디 생장반응 효과는 peat와 복합비료를 혼용했을 때 무처리 또는 peat나 복합비료의 단용시 보다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장이 지속적으로 현저하게 증가되었다. 2. 줄기의 수는 무비상태보다 peat의 시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많아졌으며 peat 3,000kg과 복합비료 혼용구에서 2배 이상 증가하였다. 3. 시험 후의 토양성분 변화는 peat 시용량이 증가할수록 대조구에 비해 pH와 유기물 함량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4. 토양 중 Ca과 Mg의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peat의 시용량이 증가할 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지만, Na의 함량은 peat시용량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 of peat and chemical fertilizer application on the growth of manilagrass and to obtain basic data for fertilization management of zoysiagrass.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Application of peat with chemical fertilizer increased the growth of tops and under of Manilareass compared with control or single application of peat or chemical fertilizer through the growing season. 2. The number of shoot was increased with amount of peat applied, and especially over 2 times with the application of peat 3,000 kg with compound fertilizer application plot compared with the control. 3. The higher amount of peat application, pH and organic matter content in soil where increased at the end of experiment. 4. Calcium and magnesium contents of soil in plot were increased as the amount of peat were applied, but sodium content appeared to be littl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mount of peat applied.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구기자나무의 절편체 부위와 품종 간 재분화 특성

        김동찬,해준,민병훈,양덕춘,Kim, Dong-Chan,Chung, Hae-Joon,Min, Byung-Hoon,Yang, Deok-Chun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02 식물생명공학회지 Vol.29 No.1

        구기자나무 (Lycium chinense Mill.)의 절편체 종류, 엽절편체의 착생 부위별 그리고 품종 간 캘러스 형성과 신초분화의 특징을 조사하였다. 기내식물체의 잎과 포장엽 절편체에서의 캘러스는 쉽게 유도되었으나, 기내엽 절편체에서 유도된 캘러스는 배양기간이 경과되면서 딱딱하게 변하였다. 잎의 착생 위치에 따른 캘러스 발생은 포장엽 및 기내엽에서 모두 중간이 양호하였고, 캘러스의 생체중은 기내엽보다는 포장엽 절편체가 더 좋았다. 신초 분화는 중간 부위의 기내엽과 상부위의 포장엽이 양호하였다. 품종간 신초 분화는 '진도재래', '청양', '영하구기자' 그리고 '청양재래' 순으로 양호하였다. Callus and shoot formation of leaf explants from in vitro propagated shoots and field grown plants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leaf, and four boxthron cultivars were investigated. Callus formation of explants from both in vitro shoot and field grown plants as easily achieved at the cut surfaces of explants but the callus formed from leaf of in vitro shoots was hardened as the duration of culture was proceed. Calli were effectively induced from leaves detached from the middle position of both in vitro and in vitro plants on MS medium containing 0.5 mg/L NAA with 0.2 mg/L BA, and the growth of calli were better in field grown leaves than in vitro grown leaves. Shoot formation were effectively induced from leaves detached from the upper position in vitro plants, and the middle parts of in vitro plants on MS medium containing 0.01 mg/L (NAA with 0.2 mg/ BA. There was difference on the frequency of shoot formation among four different cultivars; 'Jindojaerae' was the best for shoot formation followed by 'Cheonyang', 'Younghagukija' and 'Cheongyangjaerae'.

      • KCI등재

        구기자나무의 잎과 마디절편체 배양에 의한 식물체 재생

        김동찬,해준,민병훈,양덕춘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01 식물생명공학회지 Vol.28 No.6

        배지, 절편체의 종류 그리고 생장조절제가 약용작물인 구기자나무 (Lycium chinese Mill. 'Cheongyang')의 캘러스 유도 및 신초 분화조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배지 종류별 기관분화는 신초 분화율, 신초 발생수 및 생체중이 MS, B5, WPM 배지 순으로 양호하였다. 구기자나무의 캘러스 유도는 절간 절편체보다 잎 절편체가 좋았고, 캘러스는 0.5mg/L NAA와 0.2 mg/L BA가 첨가된 MS배지에서 효율적으로 유도되었다. 신초 분화에 관여하는 cytokinin으로는 TDZ보다는 BA가 좋았으며 BA 단일처리보다는 NAA와의 혼용처리에서 더 양호하였다. 신초분화는 0.01 mg/L NAA와 0.2 mg/L BA가 첨가된 MS 배지에서 가장 좋았다 Callus and shoot formation from medicinal crop, Lycium chinense Mill. cv. 'Cheongyang', as influenced by various media, explant sources and plant growth regulators were investigated. The rate of shoots formation, number of shoots, and fresh weight of shoots were the best on MS medium followed by B$_{5}$, WPH, and SH. Callus induction was more effective in leaf than internode segments, and was the best on MS medium containing 0.5 mg/L NAA with 0.2 mg/L BA. Effects of plant growth regulators in shoot formation were more effective in BA than TDA combined with NAA. Shoot formation from callus induced in leaf and internode segments was the best on MS medium containing 0.01 mg/L NAA with 0.2 mg/L BA.

      • 구연 1 : 어린이병원의 혈액 폐기율 감소 및 수혈 시스템 개선

        김동찬,서현,신현주,김영남,한소영,김장언,미라,설정옥,김숙자,이미숙,강현숙,김주희,이수희,심미선,손인숙,최윤진,임장미,이유경,김희수,박경덕,이지원 대한임상병리사협회 2011 임상수혈검사학회 발표자료집 Vol.2011 No.-

        사업의 배경 : 서울대학교병원의 2009년 "혈액 반납 및 폐기율 조사"에 따르면 어린이병원 수술실의 혈액 전량 폐기율은 13.4%(602건)로 본원 수술실 4.7%(1334건)에 비해 약3배 높다. 어린이병원 수술실 혈액 폐기건수 602건은 2009년 어린이병원 전체 폐기혈액730건의 약 82.5%를 차지하는 많은 양이다. 또한 어린이병원은 소아환자의 경우에도 성인과 동일한 양의 혈액제제를 공급하고 있기때문에 체중이 작은 소아환자에게 적은 용량의 혈액을 투여하고 난 후 이 때 남은 혈액은 잔량폐기하고 있었다. 2009년 4월~2010년 3월까지 이미 부분적으로 분할수혈을 하고 있는 NICU를 제외하더라도 RBC 약 1000단위가 잔량 폐기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경우 바뀐 혈액형 정보가 과도기에 현 EMR 프로그램에서는 반영되고 있지 않아 수혈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었다. 활동의 효과 : 소아 수술실의 혈액폐기율은 13.5%에서 4.6%로 감소를 보였고, 이로 인하여 어린이병원 전체의 혈액 폐기율은 2009년 4.0%에서 2010년 2.3분기 6개월간 1.8%로 감소하였다. 이를 비용으로 환산하면 약 18,000,000원의 절감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고혈액 약 397unit이다. 잔량폐기를 줄이기 위한 분할수혈 시스템 구축으로 10kg 이하 환자에서 RBC 혈액을 분할수혈하는 경우 2009년 4월 ~ 2010년 3월 12개월간의 10kg이하잔량폐기 969건을 폐기하지 않았다고 가정했을 때 43,000,000원의 비용절감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결론 : 본 QA 활동을 통하여 어린이병원 전체 혈액 폐기율을 2009년 4.0%에서 2010년 4월~9월 1.8%로 전년대비 약 54%의 감소율을 달성하였다. 그리고 분할수혈의 개념을 확대하여 남은 분할혈액을 타환자가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잔량폐기 감소에 커다란 공헌을 하였다. 전량과 잔량폐기 감소로 인하여 년간 약 6,000만원의 비용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혈액량으로 계산하면 전량 폐기 감소량 397unit, 잔량폐기 감소량969unit를 합하면 약 1400unit를 폐기하지 않게 되었다. 이는 혈액자원이 풍족하지 않는 우리나라 현실에서 많은 고귀한 혈액자원을 낭비하지 않았다는 데 있어서 본 QA팀은 커다란 성과를 거두었다고 사료된다..

      • 정식 시기와 적심 횟수가 화단국화의 생장과 개화에 미치는 영향

        姚婧超, 해준, 김동찬, 이진희, 권민훈, 서병기 배재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13 自然科學論文集 Vol.24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optimum planting date and pinching times on the growth and flowering of garden chrysanthemum(Dendranthema grandiflorum Ramat.). 3 lines of garden mums were planted on May 16, June 13 and July 11 respectively. As planting date was delayed, all the 3 lines' plant height and plant width was reduced. 09-19-49 line got the biggest plant height and width, followed by 09-11-37 line. And 08-166-02 line was the smallest. In different planting times, the experiment group of May 16 and June 13 got the biggest plant height, plant width and stem diameter. However, in the experiment group of May 16, most of the plants got flattened. The experiment group of June 13 got the best ornamental value, and the ornamental value was reduced in the experiment group of July 11 by the short vegetative growth. 09-19-49 line got the most flowers, while in different planting time, the experiment group of May 16 got the most flowers. 09-11-37 line got the biggest flower diameter. 09-11-37 line and 09-09-51 line were planted in the containers on the rooftop. Each groups were pinched by 1, 2 and 3 times on July 2, July 26 and Aug 16 respectively. There was no effect on plant height, plant width, and stem diameter of 09-09-51 line and 09-11-37 line between 1-time-pinching group and 2-time-pinching group. But 3-time-pinching group was reduced. There was no significance in flower diameter of these two lines but the number of flowers was reduced by more pinching times. Therefore, in this experiment, the groups which were planted on June 13 got the best ornamental value and the recommended planting time is in the middle of June. Furthermore, 2 times of pinching was recommen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