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권태성향과 폭식행동의 관계에서 부정정서 조급성의 매개효과

        김근향(Kim, Keun-Hyang) 한국웰니스학회 2022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권태성향과 폭식행동의 관계에서 부정정서 조급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30대 성인을 대상으로 수집된 257명의 자료를 기술통계분석과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세 변인 간에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구조방정식 모형검증 결과, 권태성향이 폭식행동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부정정서 조급성을 거쳐 폭식행동에 간접적으로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정정서 조급성은 권태성향과 폭식행동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권태성향과 폭식행동이 정적 관련성을 가지지만 권태성향이 높다는 것만으로는 폭식행동이 일어나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며 부정정서 상태에서 재빨리 벗어나고자 하는 정서적 충동성이 뒷받침될 때에만 폭식행동이 유발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그 동안 간과되었던 권태성향에 주목하여 폭식행동을 일으키는 요인으로서 부정정서 조급성의 역할을 살펴봄으로써 정서적 섭식 연구의 범위를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urgen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oredom proneness and binge-eating behavior. For th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were verified on 257 data collected from adults in their 20s and 30s.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ll three variables. Structural equation model verification showed that the direct effect of boredom proneness on binge-eating behavior was not significant, but it evidently ha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binge-eating behavior through negative urgency. Therefore, it was found that negative urgency complete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boredom proneness and binge-eating behavior. These results suggest that although boredom proneness and binge-eating behavior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binge-eating behavior only occurs in cases of high negative urgency. In other words, binge-eating behavior can only be induced by the emotional impulse to quickly alleviate the negative emotional state.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expanded the scope of studies on emotional eating by focusing on boredom, which has been overlooked, and examined the role of negative urgency as a causal factor of binge-eating behavior.

      • 외부 평가상황에 놓인 기독교 목회자들의 심리적 문제에 대한 자기보고 경향성에 대한 탐색

        김근향(Keun-Hyang Kim),육근영(Keunyoung Yook),이상혁(Sang Hyuk Lee),최태규(Tae Kyou Choi),서신영(Shin Young Suh)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8 사회정신의학 Vol.13 No.1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외부 평가상황에서 자신의 심리적 문제에 대한 기독교 목회자들의 자기보고 경향성을 MMPI 타당도 척도를 통해 탐색하는 것이다. 방 법 목사 초기 심사과정에 있는 기독교 목회자 중 정신과적인 문제를 선별하기 위해 정신과를 방문한 남성 23명의 MMPI 타당도 척도와 입사상황에서 이루어진 일반 남성 23명의 MMPI 타당도 척도의 차이를 t-검증하였고 이들 46명의 자료를 타당도 척도의 형태에 따라 군집분석하였다. 결 과 두 집단 간에 타당도 척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전체 군집분석 결과, L 척도와 K 척도 상에서의 유의미하게 다른 총 4개의 군집이 도출되었다. 두 집단의 군집 분포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목회자들이 가장 많이 분류된 군집 4는 자신을 긍정적 으로 보고하는 자기 방어적 경향을 시사하는 것으로 전체 목회자들의 평균 프로파일과 유사하였다. 군집 2는 지나치게 단순하고 자기 방어적인 경향 또는 도덕적, 이상적 가치를 지향하는 경향을 시사하지만 그 차이를 가려내기는 곤란하였다. 군집 3은 형태면 에서 나머지 군집과 크게 다른 군집으로 성숙한 자기 보고경향을 시사하는 프로파일이었다. 결 론 목회자들 역시 외부 평가상황에서 자신의 심리적 문제를 보고할 때 일반인들과 유사하게 자신을 사회적으로 바람직하게 즉, 자기 방어적으로 보고하는 경향이 시사된다. 하지만 일부 목회자들은 지나치게 단순하고 경직된 방어경향 또는 성숙한 자기보고 경향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따라서 목회자들은 외부 평가상황에서 자신의 심리적 문제에 대해 다양한 자기 보고경향성을 가진다는 점이 시사된다. Objectives: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ministers’ self-report tendency about their psychological symptoms using MMPI validity scales in external evaluation situation. Methods:Independent sample t-test was used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MMPI validity scales between ministers’ group(N=23) and control group(N=23). MMPI validity scales’ profiles(N=46) were analyzed with cluster analysis. Results:MMPI validity scales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 MMPI validity scales’ profiles were classified into 4 significant clusters(on L and K scale). Cross distribution of clusters and two group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Cluster 4 profile was similar to mean profile of ministers and contained highest portion of ministers. Especially, cluster 2 suggested that one has a naively and rigidly defensive tendency or moral and ideal value. But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defensiveness and idealistic orientation. Cluster 3, unusual type relative to other clusters, contained lowest portion of total subjects. This cluster suggested that one has a mature tendency to self-perception. Conclusion:Ministers have a defensive tendency to report their psychological symptoms as much as most people do. However, there is naively defensive type or ideal orientation type and there is matured self-report types, balanced self-disclosure and control.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ministers have various self-report tendency to psychological symptoms in external evaluation situation.

      • 월경전기 증후군 여성들에서 분노 및 감정표현불능증

        서신영,김미영,이상혁,최태규,김근향,김은경,박선은,김용우,김서영,육근영,Suh, Shin-Young,Kim, Mi-Young,Lee, Sang-Hyuk,Choi, Tae-Kyou,Kim, Keun-Hyang,Kim, Eun-Kyung,Park, Seon-Eun,Kim, Yong-Woo,Kim, Seo-Young,Yook, Keun-Young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06 정신신체의학 Vol.14 No.2

        연구목적 : 월경전기 증후군은 생리 주기에 따라 가임기 여성의 75%가량이 겪는 흔한 현상으로 생리전에 증상이 시작하여 생리후에 증상이 가라앉는 증후군이다. 이 월경전기 증후군은 월경전 불쾌장애와 더불어 여성의 우울 증상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다른 심리적 요소와의 연관성도 보고되고 있다. 분노와 감정표현불능증(alexithymia)는 일반적으로 정신신체장애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월경전기증후군에서의 연관성은 거의 밝혀진 바가 없다. 이에 저자 등은 월경전기 증후군과 분노, 감정표현불능증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서울, 경기, 경북지역에 거주하는 여성 37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1달 동안 매일 자신의 생리주기에 따라 증상을 보고하도록 하는 Daily record of Severity of Problems (DRSP)와 생리전 시기에 작성하도록 한 Shortened Premenstrual Assessment Form(SPAF), Anger Scale, Toronto Alexithymia Scale 등으로 하였다. DRSP와 SPAE로 평가한 월경전기 증후군 125명과 비월경전기 증후군 여성 58명을 대상으로 분노와 감정표현불능증 수준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월경전기 증후군 여성들이 비월경전기 증후군 여성들보다 분노억제 (t=2.0, p=0.04), 분노전체(t=3.1, p=0.00) 점수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월경전기 증후군 여성들이 비월경전기 증후군 여성들 보다 유의하게 감정표현불능증증 점수가 더 높았다(t=2.0, p=0.04). 월경전 불쾌장애 의심 환자와 일반 월경전기 증후군 여성, 비월경전기 증후군여성 3군으로 나누어 분노 수준과 감정표현 불능증 수준을 비교한 결과도 월경전 불쾌장애 의심 환자가 비월경전기 증후군 여성보다 유의하게 분노억제수준이 더 높았으며(F=4.6, p=0.01), 월경전 불쾌장애 의심 환자가 일반 월경전기 증후군 여성보다(F=5.1, p=0.01) 그리고 비월경전기 증후군 여성(F=5.1, p=0.03) 보다 유의하게 더 분노전체 점수가 높았다. 사회인구학적 변인 가운데 연령과 임신여부는 각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SPAF 및 분노, 감정표현불능증과 유의한 상관관계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 월경전기 증후군여성들이 비월경전기 증후군 여성보다 분노 억압점수 및 분노전체점수(anger total)가 각각 유의하게 더 높았다. 또한 월경전기 증후군 여성들은 비월경전기 증후군 여성들보다 감정표현불능증 점수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상기 결과는 월경전기 증후군 여성의 증상이 분노와 감정표현 불능증과 연관되어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Objectives : Objectives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anger, alexithymia and premenstrual syndrome(PMS). Methods The subjects included 125 women with PMS and 58 women with non-PMS assessed by Daily record of Severity of Problems(DRSP) and Shortened Premestrual Assessment Form(SPAE). Anger level was assessed by anger expression scale. The level of alexithymia was assessed by Toronto alexithymia scale. We compared the scores of anger, alexithymia between PMS group and no-PMS group. Results : The mean scores of anger in(p=0.04), anger total(p=0.01)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women with PMS compared to control subjects. and the mean scores of alexithymia(p=0.04) were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women with PMS compared to control subjects. Conclusions : This study showed that the level of anger and alexithymia could be higher in women with PMS compared to control subjects, and that symptoms of PMS could be associated with anger and alexithymia. therefore, It would be better to consider the level of anger and alexithymia in treating and evaluating women with PMS.

      • KCI등재

        탈성매매 여성이 성매매 중 겪은 학대와 탈성매매 이후 정서조절 곤란의 관계

        김선우(Kim, Seon-Woo),김근향(Kim, Keun-Hyang) 한국웰니스학회 2020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5 No.1

        본 연구는 탈성매매 여성을 대상으로 성매매 중 겪은 학대 경험과 탈성매매 이후의 정서조절 곤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성매매 기간에 신체적, 성적, 심리적 학대와 정서조절 곤란의 관련성을 확인하였다. 성매매 기간 중 학대는 학대 빈도와 강도를 합한 학대 심각도로 정의하였다. 학대 심각도 고 집단은 학대 빈도를 한 번 이상 보고한 사람 중 학대 강도에서 집단의 평균 점수 이상으로 나타난 여성으로, 학대 심각도 저 집단은 학대 빈도를 보고하지 않은 여성과 학대 강도에서 집단의 평균 점수 이하로 나타난 여성으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심각한 학대를 경험한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과 정상 통제집단 보다 대부분의 정서조절 곤란 지표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그러나 정서 주의/자각 요인의 경우, 성매매 중 심각한 학대를 경험한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탈성매매 여성은 성매매 중 심한 학대를 경험할수록 전반적인 정서조절 능력의 어려움이 상당하지만, 자신의 정서에 주의를 기울이고, 자각하는 능력의 결함은 성매매 중 학대 심각도에 상관없이 모든 탈성매매 여성들에게서 동일하다는 점이 시사된다. 그 외 본 연구의 제한점과 의의는 논의에서 다루어졌다. This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abuse during prostitution and emotion dysregulation in women who had been out of prostitution. Specif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verity of physical, sexual and psychological abuse during prostitution and emotion dysregulation was explored. For this, experience of being abused during prostitution was defined as abuse severity that abuse frequency and strength are combined. The group with high abuse severity was composed of women who reported abuse severity scores over the average among those who had been abused at least once. On the other hand, the group with low abuse severity consisted of women who did not report having been abused and those who reported abuse severity scores below the average. As a result, the high-severity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dysregulation of impulse control, emotional non-acceptance, lack of emotional clarity, limited access to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lack of goal-directed behavior compared to the low-severity group and the control group. However, emotional awareness factor among sub-factors of emotion dysregulation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high-severity group and the low-severity group.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were explained in Discussion.

      • KCI등재후보

        우울장애 환자의 자살 시도 여부에 따른 심리적 특성의 차이 : MMPI-2 프로파일을 중심으로

        이슬아,김근향,서신영,Lee, Seul-Ah,Kim, Keun-Hyang,Suh, Shin-Young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12 정신신체의학 Vol.20 No.1

        연구목적 : 우울장애 환자군 내에서 과거 자살 시도 여부에 따라 정서적 및 심리적 특성의 차이를 보이는 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정신건강의학과 입원 환자 중 주요우울장애와 달리 분류되지 않는 우울장애로 진단된 37명을 과거 자살 시도 여부에 따라 자살시도군(N=15 ; 40.54%)과 비시도군(N=22 ; 59.46%)으로 분류하였다. BDI, BAI, HDRS, HARS, MMPI-2를 사용하여, 두 집단의 증상 심각도와 심리적 특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결 과 : 자살시도자들은 우울 증상의 임상가 평정치인 HDRS 상에서는 비시도자들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BDI에서는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아울러 MMPI-2 소척도 중 F, Fb, Pa, RC1, DEP, HEA, PK, AAS 상에서 비시도자들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이는 자살 시도의 과거력이 있는 우울장애 환자들이 현재의 삽화 중에도 객관적인 증상의 심각도와는 별개로 비시도자들에 비해 더 심한 주관적 고통감과 자살 사고를 경험하고 있으며, 타인에 대한 적대감과 불신을 더 많이 호소하고, 신체 증상에 대한 호소와 물질 사용과 관련된 문제도 더 많이 보고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결 론 : 본 연구 결과는 우울장애 환자 중 자살 시도의 과거력이 있는 환자들이 그렇지 않은 환자들과 구분되는 정서적 및 심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MMPI-2는 그러한 특성을 변별하여 자살 위험성을 평가하는데 유용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s : To examin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suicide attempts in depressed patients. Methods : A sample of 37 inpatients diagnosed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or depressive disorder NOS was divided into two groups : lifetime suicide attempters(N=15 ; 40.54%), non-attempters(N=22 ; 59.46%). Beck Depression Scale(BDI), Beck Anxiety Scale(BAI),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HDRS), Hamilton Anxiety Rating Scale(HARS), and MMPI-2 were used to evaluate symptoms severity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Results : Suicide attempters scored higher on the BDI though there were no group differences on the HDRS and on the both anxiety scales. Also they showed higher scores on the F, Fb, Pa, RC1, DEP, HEA, PK, AAS among MMPI-2 subscales. Our findings suggest that suicide attempters among depressed patients undergo more severe subjective distress and difficulties in adjustment than non-attempters. Also they were more hostile to others and showed lower trust. Lastly, they showed more somatic complaints and substance related problems. Conclusion :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suicide attempters among depressed patients have distinct emotion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MMPI-2 would be helpful to assess suicidal risk of depressed patients.

      • KCI등재

        먹방시청과 충동성이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생태순간평가의 활용

        임지윤(Lim, Ji-Yoon),김근향(Kim Keun-Hyang) 한국웰니스학회 2023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8 No.1

        본 연구에서는 먹방 시청과 충동성이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생태순간평가 기법을 활용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인 성인 25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고, 먹방 유/무, 충동성 고/저에 해당하는 성인 82명의 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참가자들은 7일간 식사 후 설문조사를 4회(아침, 점심, 저녁, 야식) 응답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으며, 식사를 한 뒤 스스로 EMA 어플리케이션에 들어가 설문지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먹방 시청과 충동성이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공변량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먹방 시청의 주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충동성의 주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먹방 시청과 충동성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충동성이 높을수록 먹방에 노출 시 폭식행동을 할 가능성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먹방 시청과 충동성이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EMA 연구를 통해 살펴봄으로써 생태학적 타당성을 높였다. 이를 통해 먹방 시청과 충동성이 폭식행동의 위험을 높이는 요인일 가능성을 확인하고, 폭식행동의 예방 및 치료에 있어 먹방 시청과 충동통제를 다루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ukbang show and impulsivity on a binge eating behavior using the Ecological Momentary Assessment.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257 adults who are college students, and data from 82 adults with or without mukbang shows and impulsivity high/low were used for the analysis. Participants aimed to respond to the survey four times(breakfast, lunch, dinner, and late-night snack) after eating for seven days, and after eating they entered the EMA application and responded to questionnaire. The effect of mukbang show and impulsivity on a binge eating behavior were verified through covariate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ain effect of mukbang show was not significant. Second, the main effect of impulsivity was not significant. Thir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mukbang show and impulsivity was significa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higher the impulsivity, the higher the possibility of binge eating behavior when exposed to mukbang show. This study enhanced the ecological validity by examining related variables through EMA research. This confirms the possibility that mukbang show and impulsivity are factors that increase the risk of a binge eating behavior and suggests that mukbang show and impulsivity control need to be addressed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 binge eating behavior.

      • KCI등재

        집단따돌림 피해 청소년의 외상후스트레스 증상 완화와 외상후성장 촉진을 위한 심상재각본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허수린(Surin Heo),김근향(Keun-Hyang Kim)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0

        본 연구는 심상재각본 프로그램이 집단따돌림 피해청소년의 외상후스트레스 증상의 완화와 외상후성장촉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집단따돌림으로 외상후스트레스 증상을 보이는중ㆍ고등학생 24명을 선별하고 12명씩 치료집단과 대기통제집단에 무선할당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과정 중 치료집단에서 2명이 탈락하여 치료집단 10명, 대기통제집단 12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심상재각본 프로그램은 외상후스트레스 증상 완화 및 외상후성장(자기개방, 의도적 반추) 촉진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속 연구에서는 심상재각본의 장기적 효과와 증상의 심각도에 따른 효과 차이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effect of Imagery rescriping program on alleviating post-traumatic stress(PTSD) symptoms and promoting post-traumatic growth(PTG) in adolescents affected by group bullying. For this purpose, 24 adolescent with PTSD symptoms were selected through group bullying, and 12 were randomly assigned to treatment group and waiting control group. During the experiment, two people were eliminated from the treatment group, and data from 10 treatment groups and 12 waiting control groups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program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lleviating PTSD symptoms and promoting PTG(self-opening, deliberate rumination). In subsequent studies, it will be necessary to design a later test to gauge the long-term effect of the mental rewriting. Also, it will be necessary to find out if there is a difference in effect depending on the severity of the symptoms.

      • KCI등재

        초등학생의 주의력결핍과잉행동 증상과 인터넷 중독 경향성, 우울, 불안 증상의 관련성

        유 미(Mi Lyu),김근향(Keun-Hyang Kim),홍현주(Hyun Ju Hong),최태규(Tai-kiu Choi),육기환(Ki-Hwan Yook) 한국중독정신의학회 2010 중독정신의학 Vol.14 No.1

        Objectives: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Symptoms and Internet Addiction, Depression, and Anxiety in Elementary-school Students. Methods:Participants were 477 children, ranging from the 4th to the 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and their parents. The participants completed the following measures; the Korean version of the parent ADHD Rating Scale (K-ARS), the Korean version of the Conners Parent Rating Scale (K-CPRS), the Korean version of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K-CBCL), the Young’s Internet Addiction Test (IAT), the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CDI), and the Revised Children’s Manifest Anxiety Scale (RCMAS). Results:ADHD symptoms, depression, and anxiety symptom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Internet addiction severity. After we controlled for the effects of sex, depression, and anxiety symptoms, ADHD symptoms predicted Internet addiction severity, as parent-reported and as child-reported. However,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etween parent-report scale scores and child-report scale scores. In the parent reports, ADHD symptoms correlated more significantly with Internet addiction than with either depression or anxiety symptoms, whereas the child reports, depression contributed more to Internet addiction than did ADHD symptoms. Conclusion:These results suggest we might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diagnosing and treating Internet addiction, since different informants could be reporting the variables affecting internet addiction differently.

      • KCI등재

        우울 호소 대학생의 정서인식명확성과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에서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

        이유진(Lee, Yu-Jin),김근향(Kim, Keun-Hyang) 한국웰니스학회 2022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7 No.4

        본 연구는 우울 호소 대학생의 정서인식명확성과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를 알아보고, 그 관계에서 능동적, 지지추구적, 회피분산적 각각의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261명을 대상으로 우울증 선별도구, 자해 기능 평가지, 특질 상위-기분 척도(정서인식명확성), 정서조절양식 체크리스트를 실시하였으며, 우울증 선별도구 절단점(5점)을 기준으로 자해 취약 집단인 우울 호소 대학생을 130명을 선별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정서인식명확성과 비자살적 자해는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능동적 정서조절양식은 정서인식명확성과는 정적 상관, 비자살적 자해와는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지지추구적 정서조절양식은 정서인식명확성과는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비자살적 자해와는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은 정서인식명확성과는 부적 상관, 비자살적 자해와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능동적 정서조절양식과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은 각각 정서인식명확성과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에서 모두 유의한 간접효과를 보여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지추구적 정서조절양식은 간접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비자살적 자해의 완화를 위해서는 정서를 인식하는 능력을 향상시키고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을 덜 사용하며, 능동적 정서조절양식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에서 다루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regulation style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nonsuicidal self-injury(NSSI) in depressed college students. A total of 261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130 of them complained of depression according to the cut-off (5points) of the depression screening questionnaire(PHQ). The data was collected by online surveys. Based on a correlation analysis, there i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NSSI in depressed college students. In depressed college students and had an active regulation style, their regulation style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clarity 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NSSI. For those depressed college students and had an avoidant distractive regulation style, their regulation style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clarity an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NSSI. Throug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he mediating effect of each of the active regulation style and the avoidant distractive regulation style was confirmed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NSSI. However, the indirect effects of the support-seeking regulation styl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relation to emotional clarity and NSSI of the depressed college studen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explaining the process the emotional clarity of vulnerable young adults in depressed college students affects the severity of NSSI through an active regulation style and an avoidant distractive regulation style.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의 실패에 대한 두려움과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정은지(Jeong, Eun Ji),김근향(Kim Keun-Hyang) 한국웰니스학회 2021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6 No.4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 유학생의 실패에 대한 두려움과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중국, 베트남, 몽골) 164명을 대상으로 세 변인에 관한 설문조사를 각 나라 언어에 맞게 번역 후 수집한 자료로 기술통계분석과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 유학생의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클수록 문화적응 스트레스 수준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국인 유학생의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클수록 대학생활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클수록 대학생활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매개모형 검증 결과 외국인 유학생의 실패에 대한 두려움과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간접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들이 한국에서의 대학생활 적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확인함으로써 그들의 대학생활 적응과 스트레스 관리 등에 도움을 주는 개입을 고안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acculturation str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ear of failure and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of foreign student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164 foreign students(China, Vietnam, Mongolia) enrolled in a 4 year university in Korea on fear of failure, university life adjustment and acculturation stress after translating the data according to the language of each country. The first results, the greater the fear of failure of foreign students, the higher the level of acculturation stress. Second, the greater the fear of failure of foreign students, the more difficult it is to adjust to university life. Third, the greater the acculturation stress of foreign students, the more difficult it is to adjust to university life. Fourth, the indirect effect of acculturation stres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ear of failure and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of foreign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foreign students’ ability to adapt to university life in Korea, and to devise interventions that help them adjust to university life and manage str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