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리포터유전자를 이용한 조골세포 분화정도에 관한 연구

        김경화,박윤정,이용무,한중석,이동수,이승진,정종평,설양조,Kim, Kyoung-Hwa,Park, Yoon-Jeong,Lee, Yong-Moo,Han, Jung-Suk,Lee, Dong-Soo,Lee, Seung-Jin,Chung, Chong-Pyoung,Seol, Yang-Jo 대한치주과학회 2006 Journal of Periodontal & Implant Science Vol.36 No.4

        The aim of this study is to monitor reporter gene expression under osteocalcin gene promoter, using a real-time molecular imaging system, as tool to investigate osteoblast differentiation. The promoter region of mouse osteocalcin gene 2 (mOG2), the best-characterized osteoblast-specific gene, was inserted in promoterless luciferase reporter vector. Expression of reporter gene was confirmed and relationship between the reporter gene expression and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was evaluated. Gene expression according to osteoblstic differentiation on biomaterials, utilizing a real-time molecular imaging system, was monitored. Luciferase was expressed at the only cells transduced with pGL4/mOGP and the level of expression was statistically higher at cells cultured in mineralization medium than cells in growth medium. CCCD camera detected the luciferase expression and was visible differentiation-dependent intensity of luminescence. The cells produced osteocalcin with time-dependent increment in BMP-2 treated cells and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BMP-2 treated cells and untreated cells at 14days. There was difference at the level of luciferase expression under pGL4/mOGP between BMP-2 treated cells and untreated cells at 3days. CCCD camera detected the luciferase expression at cells transduced with pGL4/mOGP on Ti disc and was visible differentiation-dependent intensity of luminescence This study shows that 1) expression of luciferase is regulated by the mouse OC promoter, 2) the CCCD detection system is a reliable quantitative gene detection tool for the osteoblast differentiation, 3) the dynamics of mouse OC promoter regulation during osteoblast differentiation is achieved in real time and quantitatively on biomaterial. The present system is a very reliable system for monitoring of osteoblast differentiation in real time and may be used for monitoring the effects of growth factors, drug, cytokines and biomaterials on osteoblast differentiation in animal.

      • KCI등재

        성견 치주인대세포의 줄기세포 특성 연구

        김경화,김수환,설양조,이용무,Kim, Kyoung-Hwa,Kim, Su-Hwan,Seol, Yang-Jo,Lee, Yong-Moo 대한치주과학회 2007 Journal of Periodontal & Implant Science Vol.37 No.3

        In spite of the attention given to the study of mesenchymal stem cells derived periodontal ligament (PDL), there is a lack of information about canine PDL cells. In this study, we characterized canine PDL cells to clarify their stem cell properties, including self renewal, proliferate rate, stem cell markers and multipotency. PDL cells were obtained from extracted premolars of canines, following a colony forming assay and proliferation rate of sub-confluent cultures of cells for self-renewal, immunostaining for STRO-1 and CD146/MUC18 and a differentiation assay for multipotency. Canine PDL cells formed single-cells colonies and 25% of the PDL cells displayed positive staining for BrdU. The cells expressed the mesenchymal stem-cell markers, STRO-1 and CD146/MUC18. Under defined culture conditions, the cells differentiated into osteoblasts and adipocytes, but the cells didn't differentiated into chondrocyt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canine PDL cells possess crucial stem cells properties, such as self-renewal and multipotency, and express the mesenchymal stem cell markers on their surface. The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anine PDL cells makes it feasible to pursue preclinical models of periodontal regeneration in canine.

      • KCI등재

        Adenovirus에 의해서 발현된 BMP-2가 치주인대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

        김경화,박윤정,이상철,김태일,설양조,이용무,구영,한수부,정종평,류인철,Kim, Kyoung-Hwa,Park, Yoon-Jeong,Lee, Sang-Cheul,Kim, Tae-Il,Seol, Yang-Jo,Lee, Yong-Moo,Ku, Young,Han, Soo-Boo,Chung, Chong-Pyoung,Rhyu, In-Chul 대한치주과학회 2005 Journal of Periodontal & Implant Science Vol.35 No.2

        The regeneration of lost periodontal tissue is a major goal of therapy. Periodontal ligament cell(PDL) is a specialized connective tissue that connects cementum and alveolar bone to maintain and support teeth in situ and preserve tissue homoeostasis. Bone morphogenetic proteins(BMPs) have shown much potential in the reconstruction of the periodontum by stimulate new bone and new cementum formation. Limitiations of BMP administration to periodontal lesions is high dose delivery, BMP transient biological activity, and low bioavailability of factors at the wound site. Gene delivery method can be alternative treatment strategy to deliver BMPs to periodontal tiss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fficiency of BMP-2 gene delivery with cell-based therapy using PDL cells. PDL cell were transduced with adenoviruses encoding either BMP-2 or Lac-Z gene. To evaluate osteogenic activity of expressed BMP-2 on PDL cells, we investigated secreted BMP-2, cellular activity, ALPase, produced mineralized nodules. To evaluate collagen scaffold as carrier for transduced cell delivery, we examined morphology and secreted BMP-2 of transducd PDL cells on it. BMP-2 transducd PDL cells produced higher levels of BMP-2, ALPase, mineralized nodules than non transduced cells. Cellular activity of transduced cells was showed similar activity to non transduced cells. Transduce cells attached on collagen scaffold secreted BMP-2 at 7day and was showed similar morphology to non transduced cells.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transduced PDL cells produced biologically active BMP-2 and collagen scaffold could be carrier of transducd cells.

      • SCOPUSKCI등재

        $LaGaO_3$:$Eu^{3+}$형광체의 합성 및 발광 특성

        김경화,최윤영,손기선,김창해,박희동,최세영,Kim, Kyoung Hwa,Choi, Yoon Young,Sohn, Kee Sun,Kim, Chang Hae,Park, Hee Dong,Choe, Se Young 대한화학회 2000 대한화학회지 Vol.44 No.5

        최근 정보 표시 소자로 전계 방출 표시 소자(FED),PDP.LCD 등이 주목받고 있다. 음극선 발광 형광체는 FED뿐만 아니라 형광 표시판(VFD) 등이 중요한 핵심 소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FED에 응용 가능한 새로운 모체 탐색을 시도하였고 $LaGaO_3$모체에 $Eu^{3+}$를 첨가한 적색 형광체를 합성하여 광 특성을 분석하였다. $Eu^{3+}$의 농도에 따른 발광 스펙트럼, 여기 스펙트럼과 잔광 시간 곡선을 통해 $LaGaO_3$: $Eu^{3+}$의PL거동을 규명하였다. 잘 알려진 $Eu^{3+}$ 캐스캐이딩(cascading)과 다중 음향 양자(multiphonon emisson)에 의한 cross-relaxation은 $LaGaO_3$: $Eu^{3+}$ 형광체에서도 확인되었다. 또한, Inokutti-Hirayama식으로 부터 결정된 $Eu^{3+}$ 사이의 다중극자 상호 작용(multipolar interaction)유형은 이중 극자 상호 작용(dipole-dipole interaction)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를 통해 $^5D_0$ 전이의 직접 소광 기구(direct quenching mechanism)를 새롭게 제안하였다. 소광 유형은 농도에 의존하며, 0.2몰 이하에서는 확산 율속 단계에 의한 소광 현상이 우세하다가 0.3몰 이상 부터는 $^5D_0$에서 전하 이동 띠(Charge Transfer Band,CTB)로 전이되는 직접 소광 유형이 지배적이다. 음극선 거동은 800V의 가속 전압하에서 여기시켜 측정하였고, PL거동과 같이 0.125몰일때 가장 큰 615nm의 발광 휘도를 나타내었다. FED has deserved an intensive attentioD as a new flat panel display. The present investigationaims at undemtanding the photoluminescence and cathodoluminescent properties of hGaO$_3$: $Eu^{3+}$ phosphor bytaking into account the possibility that this phosphor could be applied for FED. In onler to investigate on.sucha detailed behavior; 8everM experimental skil18 Je conducted to the LaGaO$_3$:$Eu^{3+}$ phosphoL The excimtion srectrum artd emission spectmn were rnezsured in the UV range and then decay curve of $^5D_0$+$^7F_j$transitions\vas examined. The decay behavior of $^5D_0$ emission was anMyzed by a newly Iuoposed cross-relaxation mech-ani8In in asswiation with inteFwnter di1ffision (or migration). The cross-mlaxation from $^5D_0$ to CTB (Cha'geTransfer Band) wuld be a quite retsonable by considering the excitation spectrum. It could be also found thatthe quenching type was changed from ditfrsion controlled process to the direct quenching process -s inJeasing $Eu^{3+}$ oncntration.

      • KCI등재

        실버 여성의 유행선도력과 기초화장품 태도 연구

        김경화(Kyoung Hwa Kim),김덕하(Deuk Ha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0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5 No.3

        본 연구는 노년 여성 소비자들의 유행 선도력에 따른 기초 화장품 관심도 및 구매행동과 사용에 대한 태도를 조사해 유행 선도력에 따른 소비자 군의 특성을 밝혀 관련 화장품 업체의 소비자 세분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55세부터 84세 여성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연구문제의 분석에는 SPSS 통계 Package가 사용되었으며, 자료 분석 방법으로 빈도(Frequency), 백분율(Percent), 교차분석(Cross-tabs), 카이분석(Χ2-test)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행 선도력 정도에 따라 유행선도자, 유행추종자, 유행지체자로 그룹을 분류하고 각 집단별 기초 화장품에 대한 구매 및 사용 특성을 비교하였다. 연령이 낮을수록, 용돈의 액수가 많을수록 유행 선도력이 선도력이 높았으며, 유행 선도력이 높을수록 의복의 지출비와 화장품 지출비 등 외모 관리 관련 지출 비용이 높게 나타났다. 유행 선도자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기초 화장품과 스킨케어에 대한 관심 및 구매 빈도가 높고, 평상시 화장량 및 사용하는 기초 화장품 종류가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초 화장품 구매 전 사전 의사 결정에 있어서도 유행 선도력이 높을수록 구매할 브랜드를 미리 정하는 편으로 나타났다. 구매 빈도에 있어서는 유행 선도자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구매 빈도 또한 많았다. 전체적으로 구매시 기초 화장품의 품질이 가장 큰 구매 결정 변수로 사용되었지만, 유행 선도력에 따른 그룹간 비교에서는 유행 지체자 집단에서 품질보다 가격을 더 중요시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사용하는 기초 화장품의 종류에 있어서도 유행 선도력에 따라 그룹간 차이를 나타내었다. 유행 선도자 집단이 3가지 이상의 기초화장품을 사용하는데 비해 유행 지체자 집단에서는 1가지의 기초화장품을 사용하였다. 실버 여성 전체 그룹에서 외제 사용 비율이 높은 편은 아니지만, 유행 선도력의 정도와는 정적인 상관을 나타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among three segments of the population which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ir fashion leadership. The fashion leadership group were composed 3 groups: fashion leaders, fashion followers, and fashion laggard. The subjects were 220 women of 55~84 years old living in Korea. The data were obtained from 220 female using questionnaire. SPSS was a computer program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For analysis of questionnaires, Frequency, Percent, Cross-tabs, Χ2-test and ANOVA were performe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erived from the data analysis. The power of fashion leadership was ba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ashion leadership had effect on the age, monthly allowance, monthly clothing and cosmetic expense. And, the group by fashion leadership was classified fashion leaders, fashion follows and fashion laggard. These segmented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regard to interest, usage and purchasing behavior in basic cosmetics. Generally, fashion leaders showed the tendencies to interest in basic cosmetics. They had a higher purchase frequency and usage than other groups. The effect of value on basic cosmetic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The most important basic cosmetics attribute of fashion leaders group was quality. However, the fashion laggard group was price. The effect of value on basic cosmetics, basic cosmetics usage and basic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 between fashion leaders group and fashion laggard group were different. In addition, the fashion leaders perceived themselves as information sources about basic cosmetics. These internal characteristics were supposed to spend large sums of money on their buying. But, the fashion laggard showed quite different tendencies. The differences of the basic cosmetics usage and purchase behaviors according to the fashion leadership level were significantly observed. They had a higher more domestic cosmetics usage than imported cosmetics in all groups. But, the percent of imported cosmetics usage had relation with fashion leadership score.

      • 서울·경기지역 보육교사의 보육법 인식과 적용의 실태연구 - 휴게시간을 중심으로

        김경화 ( Kyoung-hwa Kim ),이하원 ( Lee Ha-won ) 극동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9 글로벌사회복지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보육교사들이 이들과 관련된 복지 법의 내용들을 얼마나 알고 있으며 특히, 휴게시간은 실제 현장에서는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 지 그 실태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 경기지역 국공립 및 민간 사립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원장, 보육교사 총 244명으로 2019년 1월 9일부터 22일까지 설문지를 배포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사용하여 기술통계, 클론박 알파, ANOVA, 빈도분석, χ2, Scheffer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들은 영유아보육법을 포함한 복지 관련법에 대해 대체로 알고 있다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특히, 교직경력, 직위가 높을수록 비담임보다는 담임일수록 국공립 보다는 민간어린이집 일수록 더 잘 안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휴게시간은 법1-5에 이르기까지 대체로 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다는 응답이 가장 높았으며 보육교사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휴게시간을 중심으로 보육교사들의 복지개선책을 마련하는 현 시점에 보육기관이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는 서울,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휴게시간을 중심으로 한 관련 복지법의 인식 및 적용 실태를 살펴보아 보육교사복지 개선방향의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teachers understand the welfare law correctly and how the teachers are aware of the use of rest time, which has became social issue recently, according to the Labor Standards Act and how it is applied in the field of childcare, based on the relevant legal provision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hildcare teachers including the directors, who currently working in the public and private child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area. Survey research was conducted from January 9 to January 22, 2019.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 21.0 and χ2,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ANOVA were conducted. After, Scheffer was used for pos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s a result, first, nursery teachers answered that they were generally aware of welfare-related laws, including the Infant Care Act. In particular, they answered that the higher their teaching career and position, the better their homerooms were, rather than their non-directors, and the better they were in private nursery schools than in the national government. Second, most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 break time was generally applied in the field from Act 1-5,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nursery teacher. This study examines the recognition and application of related welfare laws centered on break time in Seoul and Gyeonggi area, where child care centers are most distributed at the time of preparing welfare improvement plans for child care teachers. It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basic data on how to improve the welfare of teachers.

      • KCI등재

        ‘계층화’된 소리와 ‘예술적’ 사유의 역설: 사티(Erik Satie)의 아방가르드와 발레 ≪파라드≫를 중심으로

        김경화 ( Kim Kyoung Hwa ) 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 2021 音樂論壇 Vol.45 No.-

        이 연구는 소리에 내면화된 문화 취향과 계급의 질서, 혹은 권력 관계가 예술에서 어떤 방식으로 드러나는지에 대한 관심으로 시작되었다. 그저 물리적인 소리로 여겨지기 쉬운 음악 창작의 재료에도 계층화된 문화와 이를 전복하려는 예술적 의지가 새겨질 수 있다. 이러한 사고는 20세기 작곡가 에릭 사티의 아방가르드와 그의 발레 ≪파라드≫에 주목하도록 만든 중요한 이유가 되었다. ≪파라드≫는 보드빌 극장이나 뮤직홀 밖의 사이드 쇼, 서커스 등의 통속적인 거리의 엔터테인먼트를 엘리트 예술에 도입한 아방가르드 작품이다. 이 작품에서 사티는 이른바 ‘저속한’ 취향이라 여겨지는 대중문화와 일상의 소리 재료를 활용하여 ‘고급’ 예술에 도전하는 아방가르드적 사유를 발전시켰다. 이 연구는 사티가 그의 예술적 사유를 발전시키기 위해 사용한 소리 재료에 주목한다. 일상의 소리, 길거리 쇼에서 사용한 온갖 소란스러운 음악, 랙타임, 케이크워크 같은 대중음악 등의 소리 재료에 내면화된 사회적 취향, 고급의 사유와 저급의 사운드 사이에서 작동하는 계층적 갈등, 그로부터 발현되는 역설적 의미를 살핀다. This study was started from the interest of how social taste and identity, or hierarchical order that are internalized in sounds are revealed in art. This research is going to look into the fact that there are social and cultural taste or preference even for the sound materials that are considered as a musical or physical element, and how one’s social class gets revealed on the basis of Parade by Erik Satie, an Avant-gardist of the 20<sup>th</sup> century. Parade is an avantgardistic ballet where a vaudeville or the variety sideshows outside a music hall was brought in, and where low art form such as street entertainment was also introduced in high art. Using sounds from everyday life and popular culture that are regarded as so-called common or ‘low taste’, It challenges to ‘high art’ and develops avantgardistic thought. This study is going to look into the cause of stratified conflict that was revealed in Satie’s artistic ideas and realistic sound materials. Also, it seeks to find paradox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stratified’ sounds and ‘artistic’ thoughts.

      • KCI등재

        남자대학생의 향수 사용빈도를 중심으로 본 향수 태도와 구매 행동에 관한 연구

        김경화(Kim Kyoung Hwa),김덕하(Kim, Deuk Ha)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3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3 No.-

        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 대학생의 향수 사용 빈도에 따른 향수 태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만 18~27세의 남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편의표본 추출하였으며,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2013년 4월과 5월에 자료를 수집하였다. 응답이 불완전한 설문지를 제외한 343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ve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에 이용된 통계 기법은 빈도 분석, 요인 분석, 신뢰도 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 t-test, 교차 분석과 χ2-검증이 이용되었고, 사후검증으로 Duncan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향수 사용 빈도에 따라 연구 대상을 네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둘째, 남자 대학생의 향수 태도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내적쾌락추구, 상표지향, 개성추구, 정보탐색추구, 피부안정추구, 향취기능추구, 어울림추구, 경제성추구의 8 요인이 도출되었다. 남자 대학생의 향수 사용 빈도에 따른 향수 태도를 알아본 결과 내적쾌락추구, 상표지향, 개성추구, 정보탐색 추구, 피부안전추구, 어울림추구 성향이 향수 사용 빈도에 전체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산과 외제 향수 제품에 대한 평가에 있어 유의차를 나타냈다. 외제 향수에 대해 향이 다양하고, 향에 깊이가 있으며, 향의 지속성이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았다. 향수의 색상 만족도와 향수병의 다양성과 고급성, 상표 이미지의 세련도, 이미지의 고급성, 신뢰성, 가치성, 기분, 품질, 소장 가치, 판촉 활동에서도 외제 향수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다만, 가격적인 측면에서는 가격이 비싸다고 생각하는 정도가 높았다. 사용 빈도에 따른 국산 향수 제품의 평가에서는 사용빈도가 낮은 집단에서 향기, 상표 이미지 세련성, 신뢰감, 소장 가치, 이미지 표현 가능성, 기분 전환에 높은 평가값을 나타냈다. 반면, 외제 향수 제품에 있어서는 향수 사용 빈도가 높을수록 향기, 향수병, 소장가치, 취향 적합, 이미지 표현 가능, 기분 전환의 항목에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향수 사용 빈도에 따른 구매 정보원 항목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향수 사용 빈도가 낮은 집단은 TV 광고나 판촉용 샘플을 통해 정보를 구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향수 사용 빈도가 높은 집단은 시향이나 점포 디스플레이 등을 통한 정보 수집의 방법을 더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국산 향수 구매의 경우 향수를 사용하는 집단이 거의 사용하지 않는 집단에 비해 향수 구매량이 많았다. 외제 향수의 구매에 있어서는 매일 향수를 사용하는 집단에서 다른 집단보다 구매량이 훨씬 많았다. 국산 향수와 외제 향수별로 향수 사용 빈도에 따라 비교한 결과, 국산 향수의 소장량에서는 미사용 그룹은 소장량이 매우 낮았으며, 사용하는 집단 내에서는 오히려 사용 빈도가 낮은 집단에서 소장량이 더 많았다. 반면 외제 향수의 소장량에 있어서는 매일 향수를 사용하는 고 사용 빈도 집단이 매우 유의하게 소장량이 많았다. 또한 향수 사용 빈도가 높은 집단은 다른 집단에 비해 유행 선도력이 높은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향수 제품에 대한 지식에 있어서도 사용 빈도에 따른 집단 간에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사용 빈도가 높은 집단은 사용 빈도가 낮은 집단보다 향수에 대한 지식을 더 많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수 소장 개수에 있어서도 사용 빈도에 따라 소장량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다섯째, 향수 사용 빈도에 따른 인구 통계적 특성 차이를 파악한 결과 학년이 높을수록, 월 용돈이 많을수록, 주관적 사회계층이 높을수록 향수 사용 빈도가 높았다. 본 연구는 남자 대학생의 향수 사용 빈도에 따라 향수에 대한 태도 및 구매와 사용 행동에 차이가 있음을 밝힘으로써 남성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향수 관련 산업의 마케팅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is to analyze the attitude toward perfume of male university student consumers according to their perfume usage. As a method of study, male university student aged between 18 to 27 are convenience sampled and surveyed from April to May, 2013. 343 surveys were used for final excluding the incomplete copies,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ing using SPSS Win 21.0ver. program.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OVA, cross tabs, t-test, χ 2-test and duncan test was perform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egment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perfume use. Second, the factor analysis on perfume attitude of male university student resulted in eight factors. The perfume usage of men aged between 18 to 27 has overall influence on their perfume attitude such as pleasure, brand orientation, pursuing personality, information search, safety of skin and harmony.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ir’s evaluation of domestic and imported perfume products. Many people think that the imported perfume has various, fragrance in depth and fragrance tenacity. And, the imported perfume products has highest satisfaction in the colors, bottles, brand image, reliability, value, feelings, quality and promotion activity. But, Many people think that the imported perfume products is more expensive. The evaluating of domestic perfume product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perfume use showed the group with lower frequency use has the high points in fragrance, polished brand image, reliance, value of possession, image presentation and refresh. On the other hands, the frequency of perfume use and the fragrance, perfume bottle, value of possession, taste, image presentation and refresh showed th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Fourth, it was possible to find out that in study of perfume purchase behavior, purchase source variables differ according to frequency of perfume use. The most dominant route to acquire information on perfume purchase was tv ads or sales promotion samples in the group with low frequency users. But, the group with high frequency users obtained information by sampling test and display. The purchase amounts of domestic perfume products significantly affected both users and nonusers. The group with lower frequency use has a many holding in domestic perfume products. But, the group with higher frequency use purchased imported perfume products more than other groups. In additions, the group with higher frequency use was fashion leaders. The knowledge of perfume products showed the positive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frequency of perfume use. A result on the holding amount of perfume products are the same as knowledge of perfume products. Fif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mong the four groups. The higher grade, higher allowance and higher subjective social stratum frequently used perfume.

      • KCI등재

        노이즈 듣기: 20세기의 청각 문화 안에서 소음의 소리 정체성

        김경화 ( Kim Kyoung Hwa ) 서울대학교 서양음악연구소 2016 음악이론연구 Vol.27 No.-

        이 연구는 음악 역사 속에서 비음악적인 소리로 타자화되었던 소음이 20세기에 이르러 어떻게 음악적 관심을 받게 되는지, 또 음악의 지형 변화에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지 살펴본다. 소음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소리 정체성은 기존 질서로부터 저항과 혁신을 반복했던 20세기의 청각적 문화 현상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20세기의 음악 역사 속에서 소음이 어떻게 다루어졌는지 또 작곡가들은 소음을 통하여 어떠한 변화를 이끌어내려 했는지, 대표적인 음악 활동들과 함께 해석해 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This study examines how noise as nonmusical sound (so-called the “Other”) related to music and what an important role it played to expand musical boundaries in the 20th century aural culture. The noise functioned as structural and textual device to break conventional idea about music. Through the numerous musical experiments of the 20th century composers, and artists the noise earned the reason for its existence as an important musical element. So, the study aims at understanding what changes they produced through the noise, by tracing representative musical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