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결사의 자유와 단체구성원의 명단공개 문제 - 미국의 결사의 프라이버시(privacy of association) 논의를 중심으로

        권혜영 한국헌법학회 2011 憲法學硏究 Vol.17 No.3

        Recently, compelled disclosure of members’lists of Democratic Labor Party and The Korean Teachers & Education Workers’Union has aroused controversy. It is a constitutional issue because compelled disclosure can cause violation of members’ freedom of association. Especially, when the association has an unpopular view, members and contributors of the association who is identified by compelled disclosure can suffer harassment in the community, as a result, activities of the association will be shrink seriously. In the U.S., compelled disclosure of the members’ list is privacy of association issue. In NAACP v. Alabama, the Supreme Court ruled compelled disclosure is a effective restraint to freedom of association, and the most strict scrutiny should be applied to any government’s action of reducing freedom of association. This decision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subsequent decisions. From late 1940s to early 1960s, while the 2nd Red Scare and civil rights movements were co-exist, On the one hand, the Court allowed a state to order compelled disclosure of association in relation to subversive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the Court invalidated laws asking civil rights organizations for disclosure. Through many judgements, the Court underlined to guarantee privacy of association is the core element of freedom of association. Privacy of association can infringe by discovery in Civil procedure, so in the case courts adopted the list of members as evidence, courts must judge whether the list has a substantial relation with issue of the lawsuit and balance the parties’ interests. In short, compelled disclosure without members’own will can violate members’rights, in addition, activities of the association will be contracted, society as a whole, circulation of free market place of ideas will be obstructed, finally, democracy will be retreated. Therefore, an individual must have right not to open association in relation oneself, right to express one’s opinion. 최근 논란이 된 민주노동당의 당원명부와 전교조 명단의 공개문제는, 단체 구성원의 명단이 비자발적․강제적으로 공개됨으로써 그 단체와 단체 구성원의 기본권이 침해될 수 있다는 점에서 여러 헌법적 쟁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그 결사가 비대중적, 소수적 가치를 표명하는 경우, 신원이 공개된 개인들과 그 단체에 재정적 후원을 한 사람들에 대한 사회적 보복이 발생할 수 있고 결국 이것은 단체 활동의 위축을 초래한다는 점에서 결사의 자유에 대한 중대한 침해를 구성한다. 미국에서는 명단의 강제공개가 ‘결사의 프라이버시’문제로 논의되는바, 대표적 판례인 NAACP v. Alabama사건에서 연방대법원은 단체 가입사실의 강제공개는 결사의 자유에 대한 효과적 제한이며, 결사의 자유를 축소시키는 정부의 모든 행위는 엄격심사의 적용을 받는다고 밝혔다. 이 판결은 명단공개와 관련된 후속판결들에 큰 영향을 미쳤는데, 1940년대 후반부터 60년대 초반까지 적색공포시기와 민권운동이 시기적으로 공존하면서 한편으로는 국가안전을 이유로 ‘전복적 활동’과 관련된 결사의 명단공개를 허용하고, 또 한편으로는 많은 민권운동단체들에 적용된 명단공개 법률들을 위헌으로 결정하는 등 상반된 양상을 보이기도 하였다. 연방대법원은 여러 판례를 통해 결사의 프라이버시 보장이 결사의 자유를 실질화시키는 핵심요소라는 것을 강조하였다. 결사의 프라이버시문제는 민사소송상의 증거개시를 통해 침해될 수도 있는데, 결사의 명단공개를 증거로 채택함에 있어, 법원은 그 증거가 소송의 쟁점과 실질적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판단하고, 각 소송당사자의 이익을 형량하는 등 엄격한 기준에 의할 것이 요구된다. 결사의 프라이버시는 소수정당의 기부자 명단공개에서도 문제되는데, Buckley v. Valeo사건에서 대법원은 소수정당의 정치적, 재정적 기초가 취약한 점, 기부자명단공개시 현재 혹은 잠재적 기부자들에 대한 괴롭힘이 발생할 수 있는 점 등을 고려하여 소수정당에 기부자 명단공개규정을 적용하는 것은 위헌이라고 판시하였다. 정치․사회단체에 대한 명단공개, 주민발안과 관련한 기부자명단공개 판례를 통해 대법원은 명단의 강제공개는 그 자체로 신념과 결사의 프라이버시에 대한 심각한 침해임을 강조하였다. 요컨대, 당사자의 자의에 의하지 않은 강제적 신원공개는 개인의 권리침해뿐만 아니라 관련되어 있는 단체의 활동의 위축으로까지 이어지고 이것은 결국 사회 전체적으로는 사상의 시장의 자유로운 순환을 방해함으로써 민주주의의 후퇴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개인은 자신이 관련된 결사를 공개하지 않을 권리와 그 결사를 통해 자신의 견해를 표현할 권리가 보장되어야 하며, 결사도 그 구성원을 공개하지 않을 권리가 보장되어야 한다.

      • KCI등재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Accordance with Fracture History and Comorbidities in Korean Patients with Osteoporosis

        권혜영,하용찬,유준일 대한골대사학회 2016 대한골대사학회지 Vol.23 No.4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among Korean patients with osteoporosis and to measure the impact of fractures and comorbidity on their quality of life (QOL) using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data with a nationwide representativeness. Methods: This study was based on 4-year-data obtained from the KNHANES 2008 to 2011. Osteoporosis was diagnosed in 2,078 survey participants according to their bone mineral density measurements using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According to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study group, T-scores at or above -1.0 are considered normal, those between -1.0 and -2.5 as osteopenia, and those at or below -2.5 as osteoporosis The EuroQol fivedimensional questionnaire (EQ-5D) index score was used to assess the QOL. Results: Of 2,078 patients diagnosed with osteoporosis, fractures were found to occur at 11.02%. Wrist fracture was the most frequent, affecting 4.52% of the patients, with a significantly different prevalence among men and women (P<0.001). The overall EQ-5D index score was 0.84±0.01 among patients with osteoporosis. With the exception of cancer, the EQ5D index score were significantly lower for those having osteoarthritis, rheumatoid arthritis, hypertension, diabetes,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nd cardiovascular events compared to those without the related diseases. Conclusions: We found that low health utility was associated with previous spine fracture and comorbidities in patients with osteoporosis. In particular, the number of fracture experiences greatly deteriorated the HRQOL in patients with osteoporosis. Thus, prevention of secondary fractures and chronic care model for comorbidities should be a priority for osteoporosis management in order to improve HRQOL.

      • KCI등재후보

        처방의 질 향상을 통한 의약품 비용규제에 대한 제언

        권혜영 한국보건사회약료경영학회 2022 한국보건사회약료경영학회지 Vol.10 No.1

        Due to the lack of demand-side measures, pharmaceutical cost containment policies have not efficiently achieved cost savings in Korea. Rational use of medicines (RUM) has been partially introduced, yet its impact was minimal to improve prescribing behaviors in a manner of pursuing evidence and cost-effectiveness. Given that irrational prescribing including extravagant prescribing, over-prescribing, under-prescribing, incorrect prescribing, and multiple prescribing, are easily observed, the RUM should be considered and systematized as an alternative to the current flood of new drugs incorporating advanced technology and high cost in order to ensure patient safety and sustainability of the healthcare system in the future.

      • KCI등재

        일본의 ‘히노마루’ 및 ‘기미가요’에 대한 기립ㆍ제창 강제와 사상ㆍ양심의 자유 - 최고재판소 판례를 중심으로 -

        권혜영 한국헌법학회 2015 憲法學硏究 Vol.21 No.1

        Since enactment of The National Flag and Anthem Law in 1999, the enforcement ratio of standing and singing in unison of Hinomaru and Kimigayo at graduation and entrance ceremonies of public schools has been reached nearly 100%. However, many people who oppose to “the Emperor system” and a militarism that Hinomaru and Kimigayo symbolized and played role historically turn down such a compulsory ceremony. Especially, after 2007, the Supreme Court has dealt with legitimacy of disciplinary measures for teachers in public schools who refused this and whether or not violation of freedom of thought and conscience. The compulsory enforcement of Hinomaru and Kimigayo has been the most major means adopted by Japanese Government that strengthen intervention through amendment of Education Basic Law and ‘a course of study’ etc. after World War Ⅱ. In 2007, in a disciplinary measure case against a music teacher who refused a piano accompaniment of kimigayo in a Tokyo public school, the Supreme Court ruled that principle’s order was not a external action that violated directly freedom of thought and conscience of the teacher. After this, in 2011, the Supreme Court ruled several similar cases that negative sense of values on Hinomaru and Kimigayo was a protected thought and conscience, yet a principal’s ex officio order was not a direct restriction but a mere indirect restriction. The theory on freedom of thought and conscience divides into ‘the mind theory’ and ‘the belief theory’. Rulings of The Supreme Court were based on the belief theory that judged narrowly coverage of freedom of thought and conscience and regarded only his central sense of values in a general and objective viewpoint as thought and conscience. But, a compulsory enforcement of Kimigayo violates the freedom of silence, freedom not to be expressed different thoughts from what person has. And Enforcement of external action, standing and singing of Kimigayo is a direct restriction on freedom of thought and conscience. The purpose of institutionalizing ceremony in respect of a national symbol is inspiration of patriotism and maintenance of national unity. This aim inheres riskiness that a reasonable criticism on national policies is intimidated and the citizen opposed to this is excluded. To overcome such a contradiction bringing about exclusion while also seeking national unity, it is necessary to have an intellectual sincere approach and critical discussion instead of blind obedience to symbols, The state has no power to declare what is right on moral questions. Accordingly, Individual conscience problems must be exempt from regulation area of the state law. 1999년 일본의 국기ㆍ국가법이 제정된 이래 공립학교의 졸업식, 입학식 등의 행사에서 히노마루와 기미가요의 기립제창 실시율은 거의 100%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히노마루ㆍ기미가요가 상징하고 역사적으로 수행했던 “천황제” 및 군국주의 사상에 반대하는 많은 국민들은 공립학교에서 교사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이러한 강제적 의례를 거부하고 있고, 특히 이를 거부한 교사들에 대한 징계처분의 적법성과 사상ㆍ양심의 자유 침해 여부에 대해 2007년 이후 최고재판소에서는 본격적으로 다루어 왔다. 히노마루와 기미가요의 강제는 2차대전 후 교육정책의 목표를 ‘애국심의 육성’에 두고 교육기본법, 학습지도요령 등의 개정을 통해 점차 그 개입강도를 강화해온 일본정부의 극우적 정책의 가장 주요한 수단이 되어 왔다. 2007년 최고재판소는 기미가요 피아노반주를 거부한 공립학교 음악교사에 대한 징계처분에 대해 교장의 반주 지시행위는 교사의 사상ㆍ양심을 직접 부정하는 외부적 행위가 아니며 공무원의 지위에 비추어 징계는 위법하지 않다고 판시했다. 이후 2011년 최고재는 여러 건의 유사 판결을 통해 기미가요ㆍ히노마루에 대한 부정적 세계관은 보호되는 사상ㆍ양심이지만, 기립제창을 지시하는 직무명령은 이에 대한 직접적 제약이 아니라 간접적 제약에 그친다고 판결하였다. 사상ㆍ양심의 자유에 대해 학계는 크게 내심설과 신조설로 나누어져있는데, 최고재의 판결들은 그 보장범위를 좁게 보는 신조설에 입각하면서 일반적ㆍ객관적 관점에서 개인의 인격에 핵심적 가치관만을 사상ㆍ양심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기미가요에 대한 기립제창강제는 자기가 가지고 있는 것과 다른 사상을 표명당하지 않을 자유인 침묵의 자유를 침해하는 것이며, 또 사상ㆍ양심의 자유가 인간의 자율적 삶을 확보하기 위한 기초로서 외부적 행위와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생각하면, 기립제창이라는 외부적 행위의 강제는 사상ㆍ양심에 대한 직접적 제한이 된다. 국가적 상징물에 대한 의례를 제도화하는 목적은 애국심 고취와 국민통합유지에 있는데, 이는 국가정책에 대한 합리적 비판과 토론을 위축시키고 그에 반대하는 개인을 비국민으로 배제하고 억압할 위험을 내재하고 있다. 특히, 인격성숙과정에 있는 학생에 대한 애국의례의 강제는 민주주의와 상호존중의 가치위에서 민주시민을 양성한다는 교육목표에 반하고 순응적 시민을 양성할 위험성이 있다. 국가통합을 추구하는 동시에 배제를 야기하는 이러한 모순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상징에 대한 복종의 강요대신 소속감, 애국심에 대한 지적인 진지한 접근과 비판전 논의가 필요하다. 국가는 도덕적인 문제에 대해 옳은 것을 선언할 권한을 가지지 않으며, 개인의 양심의 문제는 최대한 법의 규율대상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의 불법판결 처리현황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위헌법률에 근거한 불법판결을 예로 -

        권혜영 한국헌법학회 2010 憲法學硏究 Vol.16 No.2

        In 2005, KTRC was set up as comprehensive liquidating past organization. At this time KTRC's activity will be close before long, through an analysis of products and limits of liquidating past, it is necessary to evaluate how correction of state crime has been achieved. Especially, by observing KTRC's treatment about liquidation of illegal ruling, I will grope for direction on the liquidation of unlawful judicial. Despite the quantitative results by KTRC, KTRC Basic Act which is created as a product of conflict of interests provides final rulings as subjects of investigation only when there are retrial reasons set forth in the Criminal Procedure Act. Because of these limits of KTRC Basic Act, many political trials occurred in the authoritarianism regimes can not have been revealed. But, while illegal rulings based on law against justice and constitution remain effectively in force, agony of victims due to those rulings was not relieved at all. Therefore, it is imperative to invalidate rulings's effect. Emergency measures, one of those typical examples, are pending in the Constitutional Court at present. The Constitutional Court as a constitutional guarantee agency and final judgement institution, is responsible for realizing transitional justice through correction of illegal rulings. At present, in the crisis of democracy and rule of law, We all must deeply discuss about the liquidation of past as a future-oriented goal of reform. 2005년 포괄적 과거청산기구로 설치된 진실화해위원회의 활동이 곧 종결되는 시점에서, 현재의 과거청산의 성과와 한계에 대한 분석을 통해 국가범죄에 대한 법적 정의의 실현정도를 평가하고, 특히 권위주의 체제에서 판결이라는 형식하에 이루어진 불법판결의 청산에 대한 진실위원회의 처리현황을 살펴보면서 사법불법의 청산의 방향을 모색해본다. 진실위원회의 양적 성과에도 불구하고, 여야의 정략적 이해대립의 산물로서 탄생한 진실화해기본법은 형사소송법상의 재심사유의 존부여하에 따라 확정판결사건을 조사대상으로 삼도록 하고 있어, 권위주의 체제의 정치적 목적에 부합하는 정치재판을 규명하지 못하는 법내적 한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법자체가 명백히 정의와 헌법에 반하는 위헌법률을 근거로 한 불법판결은 확정력을 가지고 지속되고 있는 반면, 그 판결에 의한 사법피해자들의 고통은 구제된 바 없으므로, 그 판결의 효력을 부인해야 할 필요성이 대단히 크다. 불법판결의 무효화에는 입법에 의한 대량적 해결방법과 함께 사법부 스스로가 정의의 회복을 위해 불법판결의 피해자들의 재심재판에서 전향적인 태도를 취해는 방법이 있을 것이다. 이러한 위헌법률의 대표적 사례인 긴급조치의 경우 현재 헌법재판소에서 긴급조치의 위헌여부에 대한 심판이 진행중에 있다. 긴급조치에 대한 위헌판단에 있어 헌법재판소는 국민의 기본적 인권을 보장하는 헌법보장기관으로서, 또 최종심판기관으로서 사법불법의 교정을 통해 이행기 정의를 실현할 책임이 있다. 민주주의와 법치주의의 위기상황인 현재, 인권과 민주주의의 퇴행을 막고 공동체의 발전을 위한 필수적 과제로서, 또 미래지향적 개혁과제로서의 과거청산을 고민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