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캘러스 유도에 의한 수박 형질전환

        권정희,박상미,임미영,신윤섭,한지학,Kwon, Jung-Hee,Park, Sang-Mi,Lim, Mi-Young,Shin, Yoon-Sup,Harn, Chee-Hark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07 식물생명공학회지 Vol.34 No.1

        수박은 형질전환이 매우 어렵고 직접적인 신초 유도방법으로는 안정된 형질전환을 기대할 수 없어서, 다른 여러 작물에서 높은 효율을 보였던 캘러스 유래 신초 유도 방법을 도입하고자 하였다. 수박의 최적 캘러스 유도조건은 자엽 절편체의 경우 2.0 mg/L zeatin과 0.1 mg/L IAA이었으며 뿌리 절편체의 경우 2.0 mg/L BA와 0.1 mg/L 2,4-D이었다. NptII 유전자의 선발 항생제는 kanamycin보다는 paromomycin 빠르고 효과적이었으며, 수박의 절편체에 Agrobacterium을 접종 한 후 paromomycin을 125 mg/L 첨가한 배지에서 선발하였다. pmGFP5-ER vector로 형질전환한 후 캘러스 상태에서 형광현미경을 통해 GFP 유전자의 도입을 확인하였으며, 딱딱한 초록색의 캘러스에서 강한 GFP 발현을 관찰하였고, 자엽유래 캘러스의 경우 WM8에서 9.0%, 뿌리유래 캘러스의 경우 WM6에서 8.3%의 가장 높은 GFP 발현 효율을 보였다. GFP 유전자 도입과 같은 방법으로 WMV-CP 유전자가 있는 pWMV2300 vector로 형질전환한 후 캘러스 상태에서 PCR 및 Southern blot 분석을 한 결과, 두 점의 캘러스에서 WMV-CP 유전자가 도입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확립된 수박의 캘러스 유도 시스템은 안정된 수박 형질전환 방법에 기초 자료로서 이용될 것이다. The genetic transformation of watermelon by Agrobacterium has been known very difficult and a few successful cases have been reported by obtaining the direct shoot formation. However, since this direct shoot formation is not guaranteed the stable transformation, the stable transformation with reproducibility is required by a different approach such as a callus induced manner. The best conditions for inducing the callus from cotyledon and root explants of watermelon were 2 mg/L zeatin + 0.1 mg/L IAA and 2 mg/L BA + 0.1 mg/L 2,4-D, respectively. The GFP expression in the callus was identified and monitored through fluorescent microscopy after transformation with pmGFP5-ER vector. Paromomycin rather than kanamycin was used for selecting the nptll gene expression because it was more effective to select the watermelon explants. Four different callus types were observed and the solid green callus showed stronger GFP expression. The highest frequency of GFP expression in the callus developed from cotyledon was 9.0% (WM8 inbred line), while the highest frequency from root was 8.3% (WM6 inbred line). The WMV-CP was transformed using the method of GFP transformation and the genetic transformation of WMV-CP was confirmed by PCR and Southern blot analysis. Here we present a system for callus induction of watermelon explant and the callus induced method would facilitate the establishment of stable watermelon transformat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이광수의 일본어 소설 「사랑인가(愛か)」-‘한국 유학생’의 일본어 글쓰기 연구-

        권정희 ( Junghee Kwon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4

        이 글은 이광수의 처녀작 「사랑인가」의 일본어 글쓰기를 분석한 것이다. 1909년 ‘한국 유학생 이보경(李寶鏡)’의 아명으로 『시로가네학보(白金學報)』에 발표된 「사랑인가」는, 일본어소설로 출발한 이광수 문학의 시발점의 의의가 있다. ‘일본인되기‘의 강박 관념이 작용하는 1940년대 식민지 조선에 집중된 ‘고쿠고(國語)’로서의 일본어 글쓰기와는 달리, 일본어 독자를 대상으로 한 「사랑인가」는 일본의 유학생인 타자로서의 개인의 고독한 이문화 체험과 결부된 것이다. 따라서 종래, 동성애를 중심으로 고찰된 「사랑인가」의 수용을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한국 유학생’과 일본어 네이티브 소년 사이의 ‘사랑(愛)’의 함의를 탐색했다. 또한 이광수의 초기 문학과의 연관성 속에서 소년 개인의 내면에 초점을 둔 ‘탈계몽’의 작품 특질이 일본어 독자의 의식성에 촉발된 것임을 살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short story “Love?” the first work of Lee Kwang Soo by focusing on the significance in the Japanese Writings. In 1909, the “Love?” was published in Shiraganegakuho journal, the work is a worthy Japanese Writing as starting point of Lee Kwang Soo’s literature, ‘Korean student studying abroad Lee Bo Kyung’ of his original name in Japan. In the late 1940’s, there was an obsession of Japanese as the national Language of colonial Korea who were forced to write in Japanese, “Love?” was a colligated experience of cross-culture solitary of individual for students studying abroad in Japan. In this respect, previous studies of “Love?” focused on constructing homosexuality, to survey meaning of love between the ‘Korean student studying abroad’ and the Japanese native. Furthermore, this study clarified the character work of de-enlightenment of Japanese reader’s awareness, focusing on the individual’s mind, in relation to Lee Kwang Soo’s early writings. These findings will contribute to focus on the bilingual consciousness of Lee Kwang Soo.

      • KCI등재

        현대문학 : 식민지 조선의 번역/번안의 위치 -1910년대 저작권법을 중심으로-

        권정희 ( Jung Hee Kwon ) 반교어문학회 2010 泮橋語文硏究 Vol.0 No.28

        이 글은 식민지 조선의 번역/번안을 1910년대의 저작권과의 관계에서 분절되는 계기를 탐색하여 그것이 식민지 조선의 문화적 정체성 구성과 연관되는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는 시론이다. 1908년 일본의 저작권법이 적용된 식민지 조선에서 저작권법제화가 번역/번안을 재조정하고 관여하는 과정은 도쿠토미 로카(德富蘆花)의 <호토토기스(不如歸)>라는 동일한 원작을 번역과 번안의 두 가지 방식으로 출판한 조중환의 <불여귀> 와 선우일의 <두견성> 의 판권에서 명징하게 포착된다. 번역은 원저자의 허락이 요청되면서 번역자의 위치가 자리매김 되는 데 반해 번안은 원작을 바탕으로 새로운 저작물로 간행되었다. 이러한 법제에서 번역은 원작과 결부되는 데 반해 번안자는 창조적인 저작자의 위치로 변환되었다. 즉, 번역은 창작과 뚜렷하게 변별되는 데 반해 번안은 창작과의 모호한 경계에서 오리지널이 중시되는 특성을 갖게 되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제도화와 연관된 양자의 위치의 차이를 확인했다. 종주국 일본에서 번역/번안은 국어(일본어)의 문제와 관계하지만 식민지 조선의 대다수 번안은, 번역과 식민지주의가 서양 원작의 일본어 번안을 재번안하는 프로세스에 중첩되는 양상을 띠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식민지 조선인을 일본제국 안의 식민화된 신민으로서 종속시키는 한편 번역의 오리지널의 문제를 재인식하게 하는 것이다. 그 결과, 식민지 조선에서 1910년대 저작권법의 저작권등록을 하지 않은 `위작(僞作)`으로 부르는 대부분의 번안 작품의 법적지표는 1910년대 식민지 조선의 주체의 형성과도 관계하는 것이다.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division of translation and adaptation with respect to the copyright law, which is linked with cultural identity in the 1910s in colonial Korea, In 1908, the Japanese authorities applied the Japanese copyright law to Korean publications. The process interceding and controling the law is exposed clearly in the imprint of two Korean works, Cho Chunghwan`s Bullyogwi and Son Uil`s Dugyonsong, which translated or adapted respectively the same Japanese text, Tokutomi Roka`s Hototogis. While in translation, the translator was required to get permission from the orignal writer, in adaptation the adapter was able to make a recreation based on the original work. Thus, while the translator`s legal position was tied to the original work, the adapter`s legal position was transferred to that of creative author. That is to say, translation was clearly discriminated from creation, but the adaptation came to have a characteristic making much of an original because of a vague border with the creation. Therefore, this article has verified the difference of the position about translation / adaptation, which was linked with institutionalization. In metropole Japan, translation or adaptation of foreign works meant that was referred to the national language (i. e., Japanese). However, in colonial Korea a majority of adapted works tinged the aspect that translation and colonialism were piled up in the process of readapting the Japanese translation regarding the Western original. Through it, Koreans were subordinated as colonized citizens under the Japanese empire, which leaded to recognition over the importance of an original again. As a result, most adapted works called "pseudo-creation" were not registered in the copyright law and this was related to the formation of the subject in colonial Korea in the 1910s.

      • KCI등재

        『아세아공론』 소재 황석우의 글쓰기

        권정희 ( Jung Hee Kwon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4 한국문화연구 Vol.26 No.-

        이 글은 1922년 도쿄에서 발행된 잡지 『아세아공론(亞細亞公論)』에 수록 된 황석우의 세 편의 글을 발굴하여 그 의의를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다이쇼 데모크라시의 시대를 배경으로 ‘디아스포라의 지식인’이라 할 조선 청년 유태경이 발간한 『아세아공론』은 ‘인류주의’와 ‘아시아의 제휴 연대’의 기치를 표방 했다. 이 잡지는 일본의 식민지 정책과 인종 차별 비판의 논조가 기조를 이루었다. 또한 여기에는 다이쇼 데모크라시를 대표하는 오피니언 리더와 아시아의 유학생 등이 필자로서 참가하여 ‘아시아제민족의 각성과 약소민족의 해방’을 실천 목표로 다양한 논의가 개진되었다. ‘일본어 조선어 중국어’가 혼재되어 일본과 조선에서 동시에 판매 유포된 이례적인 이 잡지에 황석우는 세 편의 글을 게재했다. 종래 황석우의 작가 연보에서 1922년은 작품 활동의 공백을 이루었다. 그러나 이것은 황석우의 침묵을 의미한 것은 아니었다. .아세아공론.에 수록된 한글과 일본어로 표기된 두 편의 편지 형식의 산문과 조선의 독립운동과 사회운동에 관한 한 편의 정치 평론은 식민지 조선과 제국 일본을 왕복하는 동시대 황석우의 사상과 당시의 정황을 조명하는 단서가 된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새롭게 발굴된 세 편의 공간된 글을 통해 각종 사회 사상 이념 단체와 조직 등에 관계했던 당시의 황석우의 사상과 심리적 추이를 추적했다. 그결과 1922년 전후 일본에서 아나키즘과 ‘주의’가 첨예하게 대립했던 일본 사상계의 현실과 사상가의 이면에 자리한 환멸이라는, 착종하는 또 다른 황석우의 면모를 엿볼 수 있다. 이로써 1922년의 글쓰기 세 편을 추가하여 작품 부재한 불모의 공간을 아나키스트 황석우의 사상과 내면의 고뇌 및 인적 네트워크의 살아있는 공간으로 풍부하게 되살려놓았다. This article deals with the discovery of three writings of Hwang Suk-Woo carried in the magazine, Asia Public Opinion published in Tokyo in 1922, examining their significance.Asia Public Opinion raised ‘the principle of humanity’ and ‘Asia’s solidarity,’ which was published by Yu Tae Gyeong, a Korean young man called ‘intellectual diaspora’,in the context of the times of the Taisho democracy. It dealt with the issues concerning the Japanese colonial policies and the criticism against racial discrimination. Also, representative opinion leaders of the times of the Taisho democracy and Asian foreign students participated as the writers, debating extensively under the practical aim of awakening the Asia races and liberating the people of a small and weak power. Hwang Suk-Woo contributed his three writings to this peculiar magazine which was published in languages including Japanese,Korean and Chinese, sold and distributed in both Japan and Korean at the same time.Until now the year of 1922 has remained blank on the Hwang Suk-Woo’s chronicle.However, this didn’t mean that he was silent in the year. His three writings, consisting of two letters written in Korean and Japanese and a piece of political criticism on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social movement of the colonial Korea, serve as a clue to shedding light on the circumstances of that time and the ideology of the writer himself who was shuttling between the two nations.Therefore, through these writings newly explored in this article, the psychological change and thought of Hwang Suk-Woo was traced, who was involved in various social, thinking and ideological organizations of that time. As a result, it is noticeable that the disillusionment,a different feature of Hwang Suk-Woo, was seated entangled in the depth of the thinker and in the reality of the Japanese thinking world where the anarchism and ‘ism’ were opposed sharply around the year of 1922. In short, by adding his three writings of 1922 in this paper, the seemingly disconnected space for the year on his literary chronicle has become lively with the anarchist Hwang Suk-Woo’s thought, internal sufferings and human network.

      • KCI등재

        학습자의 생활공간에 근거한 프로젝트 학습의 설계와 적용

        권정희 ( Jung Hee Kwon ),조철기 ( Chul Ki Cho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09 중등교육연구 Vol.57 No.1

        본 연구는 학습자의 생활공간에 근거하여 프로젝트 학습을 설계·적용한 후 그 효과성을 검증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대구 소재 고등학교 1학년 학생으로서 그들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에서 탐구 가능한 총 6개의 프로젝트를 모둠별로 학습하도록 한 후, 활동 계획서, 활동 일지, 마인드 맵, 모둠별 보고서 그리고 사전·사후 설문지와 면담을 통해 그들의 지리적 지식과 지역에 대한 관심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사전 설문 결과 학생들은 평소 지리수업에 흥미를 느끼고 있었지만, 그들이 살고 있는 지역에 대한 지식 그리고 이슈나 문제에 대한 관심은 다소 부족하였으며 지역 문제 해결에 참여하려는 태도 역시 매우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프로젝트 학습을 실시한 후, 학생들은 교과 내용을 그들의 지역과 연관시킬 수 있는 능력을 물론 지리적 이슈나 문제에 대한 관심 그리고 지역 문제 해결에 적극 참여하려는 태도를 가지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학생들은 모둠활동을 통해 동료들에 대한 이타심과 친밀감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긍정적인 효과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은 평가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보고서 작성과 발표에 대한 부담으로 인하여 여전히 프로젝트 학습을 어려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프로젝트 학습 과정에서 문제점도 다소 나타났는데, 그 중에서 가장 심각한 것은 학생들이 작성하여 제출한 프로젝트 수행 결과물에 오개념과 오류가 다수 발견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들의 프로젝트 활동 과정을 계속해서 점검해야 할 뿐만 아니라 결과에 대한 적절한 피드백을 반드시 해 주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examine on it`s effectiveness after planning and appling project learning based on learners everyday life space. This study focuses on lst grade of Sangwon High School in Daegu and total six project subjects is selected to investigate region which they live in. After appling cooperative project learning, the study examined learners change of geographical knowledge and regional interest through investigation activity plan, activity note, mind map, personal and group report, survey, interview etc. According to pre-survey, although learners felt interesting for geography class, they were lack of attitude to participate for solving such problems as well as geography knowledge and the interest of geographical issues and problems in their living region. But After appling project learning, learners became to have interests about geographical issues and problems and the attitude to participate for solving such problems as well as an ability connecting subject contents with their living region. In addition to, learners grew understanding and friendship of their group members through cooperative activities. But in spite of such a positive effectiveness, learners still recognize that project learning is difficult because of writing and presenting a report. And, a lot of misconceptions and mistakes was discovered in project reports which learners wrote and offered. Therefore teacher continually should give learners feedback of their performing results as well as check process of their project activities.

      • KCI등재

        비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단어빈도 및 길이, 생물성에 따른 이름대기 수행의 차이

        권정희(Jung Hee Kwon),최현주(Hyun Joo Choi)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6 재활복지 Vol.20 No.1

        이 연구는 비유창성 실어증 환자 집단과 정상 성인 집단을 대상으로 단어빈도, 단어길이, 생물성의 세 가지 어휘조건에 따른 이름대기 수행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은 비유창성 실어증 환자 15명과 정상 성인 15명이었다. 이름대기 과제의 목표 단어는 그림으로 표현 가능한 구체명사만 사용하였으며, 이름대기 평가는 그림을 이용한 대면이름대기 방법을 사용하였다. 목표 단어는 단어빈도(저빈도어/고빈도어), 단어길이(1음절/3음절), 생물성(생물/무생물)의 어휘조건을 적용하여 총 40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집단 모두 고빈도 단어의 이름대기 수행이 저빈도 단어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두 집단 모두 1음절 단어의 이름대기 수행이 3음절 단어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두 집단 모두 생물성에 따른 이름대기 수행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넷째, 집단과 어휘조건의 상호작용 효과는 단어빈도에서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비유창성 실어증 환자들의 어휘조건에 따른 이름대기 능력의 저하는 단어길이나 생물성에 비해 단어빈도의 효과가 크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비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이름대기 평가와 중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ffects of three conditions-words frequency, word length, and animacy-on the performance of naming in nonfluent aphasic patients. 15 nonfluent aphasic patients and 15 normal adult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words consist only of concrete nouns and confrontational naming test was used. The test consisted of 40 questions and the condition of word were frequency(low-frequency/high-frequency), length(1 syllable/3 syllables) and animacy(animate/inanimate). The result of the study was as follows. First, naming was performed better with high-frequency words than with low-frequency words in both groups. Second, naming was performed better with 1 syllable words than with 3 syllable words in both groups. Third, naming performance depending on animacy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group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ompared to animacy of word, word frequency and length have bigger influence on the naming, and the difference by word frequency was more pronounced for nonfluent aphasic patients than for normal ad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arget word for the assessment and intervention of nonfluent aphasic patients, words frequency should be considered first in clinical setting.

      • KCI등재후보

        호텔 식음료종사원의 직무자원이 직무착근도, 조직몰입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권정희 ( Jung Hee Kwon ) 한국호텔리조트학회(구 한국호텔리조트카지노산학학회) 2014 호텔리조트연구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at job Resources perceived by hotel F&B employees has influence on their job embeddednes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First, this study shows that the social support and feedback factors of the job Resources have a positive relation with the suitability and sacrifice. but the link factor and sacrifice factor of job Resources are not significant. Second, the social support, job autonomy, self development, feedback factor of job performance are not significant. Third, the social support, job autonomy, self development, feedback factor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re not significant. Fourth, the suitability and sacrifice has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ifth, the suitability and sacrifice has posi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 Finally,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job performance are not significant. The result implies that the executives of hotel corporation should try to encourage organizational culture allowing employees to maximize job embeddedness.

      • KCI등재

        비판 과학의 관점과 역량 모델에 기반한 ESD 수업지도안 분석

        권정희(Chounghee Kwon),조승연(Seungyoun Cho),Johannes Tschapka 한국환경교육학회 2014 環境 敎育 Vol.27 No.3

        This study explores Korean lesson plans 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which have been developed by Korean teachers and researchers. The survey assumes that ESD lesson plans need a clearer conceptual frame to avoid ambiguity and to show how students shall act competent for Sustainable Development(SD). Therefore the study analysed Korean ESD lesson plans through a three dimensional competence model. The comparison uncovered that Korean lessons plans on ESD are focused mostly on dealing with information and creating. At the same time the lesson plans lack aspects of analysing, evaluating and judging - essentially aspects for critical thinking about society processes. The authors argue that the latter aspects indicate ESD as an agent for reflecting and shaping ongoing social developments towards a sustainable future.

      • KCI등재

        "생명력의 리듬"의 형식 -김우진의 <산돼지>

        권정희 ( Jung Hee Kwon ) 반교어문학회 2011 泮橋語文硏究 Vol.0 No.30

        이 글은 김우진의 희곡 <산돼지>(1926)를 작가의 구상과 관련지어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려는 것이다. 수산은 전3막으로 된 희곡 작품을 "생명력의 리듬"으로 구상하여 스케치 한 바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생명력의 리듬"의 극 구성 원리와 그 의미를 분석했다. 그 결과 그의 "생명력의 리듬"은 베르그송의 생의 철학과 공명하는 사유 안에서 구상되었음이 명확해졌다. 김우진의 극의 내용과 형식의 구상은 베르그송의 생의 철학에서 도출된 것이다. 또한 김우진이 <산돼지>를 "행진곡"이라 명명한 것도 자신의 생애를 "생명력의 리듬"으로 재구성했기 때문이다. 희곡 <산돼지>의 연애와 자기 정체성의 두 축은 "생명력의 리듬"을 구성 원리로 하는 체계에서 구성된다. 특히 제2막 몽환 장면에서 높은 파고의 곡선이 그려지는데 이것은 극의 생명력의 분출과 관계한다. 또한 제3막에서 직선에 가까운 낮은 선이 지속되는데, 이는 베르그송의 ``순수지속``의 상태인 "참 앎"의 존재를 나타내는 것이다. 수산의 생을 관통하는 "lifeforce인가, reason인가"라는 고뇌가 담겨진 이 텍스트는 수산 개인의 정신적 편력의 여정을 형상화하는 의미를 갖는다. 또한 한국문학이 계몽에서 개인의 감각으로의 전회를 내재하는 의미를 함축한다. 1920년대 조선 현실을 변혁하려는 청년들을 모델로 추상화한 새로운 ``개성``에서 뜻밖에 공동체와 갈등하는 청년의 내면의 소리와 조우하게 된다. This paper aims at offering another interpretation about a drama SanDoeji(A wild boar) (1926) of Kim,Yu-jin, which is attempt to consider the design of the writer in connection with the interpretation of Text. Kim, Yu-jin had sketched and elaborated "the rhythm of the lifeforce" of whole three books. This article analyzed the constitution principle of "the rhythm of the internal Lifeforce" and the meaning. As a result, as for "the rhythm of the internal Lifeforce" of Kim,Yu-jin, it is certain that it was derived from speculation and consonance with philosophy of life of Bergson. The reason why Kim,Yu-jin named a SanDoeji as "march" was that he reconstituted his life in "the rhythm of the internal Lifeforce". Two axes of the love of a SanDoeji and one`s identity are composed of "the rhythm of the internal lifeforce" as a constitution principle. Specifically, the curves of high wave and phantasms in the second scene are concerned with a spout of the vitality of the drama. Furthermore, in the third curtain, the low line, which is almost a straight line continues, represents a state of "duree pure" of Bergson. This work of a suffering carried through Kim, Yu-jin`s life, "lifeforce or reason?", means the itinerary of his own mind journey. Besides, this includes that Korean literature evolved to the personal sense from enlightenment. In this course, young men`s models to revolutionize Korean reality in 1920s come to meet with an internal sound to do a community and a tangle; appe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