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hange of Femoral Anteversion Angle in Children With Intoeing Gait Measured by Three-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Reconstruction: One-Year Follow-Up Study

        공민식,조홍식,이창한,천세웅,윤철호,신희석 대한재활의학회 2018 Annals of Rehabilitation Medicine Vol.42 No.1

        Objective To evaluate femoral anteversion angle (FAA) change in children with intoeing gait depending on age, gender, and initial FAA using three-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3D-CT). Methods The 3D-CT data acquired between 2006 and 2016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Children 4 to 10 years of age with symptomatic intoeing gait with follow-up interval of at least 1 year without active treatment were enrolled.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age: group 1 (≥4 and <6 years), group 2 (≥6 and <8 years), and group 3 (≥8 and <10 years). Initial and follow-up FAAs were measured using 3D-CT. Mean changes in FAAs were calculated and compared. Results A total of 200 lower limbs of 100 children (48 males and 52 females, mean age of 6.1±1.6 years) were include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18.0±5.4 months. Average initial and follow-up FAA in children with intoeing gait was 31.1°±7.8° and 28.9°±8.2°, respectively. The initial FAA of group 1 was largest (33.5°±7.7°). Follow-up FAA of group 1 was significantly reduced to 28.7°±9.2° (p=0.000). FAA changes in groups 1, 2, and 3 were -6.5°±5.8°, -6.4°±5.1°, and -5.3°±4.0°, respectively. These changes of FAA were not significantly (p=0.355) different among the three age groups. However, FAA changes were higher (p=0.012) in females than those in males. In addition, FAA changes showed difference depending on initial FAA. When initial FAA was smaller than 30°, mean FAA change was -5.6°±4.9°. When initial FAA was more than 30°, mean FAA change was -6.8°±5.4° (p=0.019). Conclusion FAA initial in children with intoeing gait was the greatest in age group 1 (4–6 years). This group also showed significant FAA decrease at follow-up. FAA changes were greater when the child was a female, younger, and had greater initial FAA.

      • KCI등재

        초기길이 수정법(ULMM)을 이용한 케이블 장력 결정에 관한 연구

        공민식,안찬혁,임성순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08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12 No.2

        본 연구는 케이블의 초기길이를 조절하여 케이블 배치가 끝난 후 발생한 장력과 목표장력을 서로 일치시킬 수 있는 초기길이 수정법을 제시하였다. 케이블 지지교량에 대해 정확한 초기길이를 결정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탄성현수선 케이블 요소를 사용하였다. 검증 예제를 해석한 결과 목표장력에 따라 이를 만족하는 초기길이를 결정할 수 있었고 케이블 교량에 대해서도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초기길이를 수정하는 본 연구의 방법을 이용하면 목표장력을 도입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presents the ULMM(unstrained-length-modification method) to determine the cable tension consistent with target tension after arrangement of cable-members by controlling the unstrained length of cables. This method used to be shown to determine the exact unstrained length for cable-supported bridge with elastic catenary cable. The some verification examples show to determine the unstrained length that satisfies the target tension and to obtain the satisfactory result for cable-supported bridge. Accordingly this modification method of the unstrained length in this study is used to introduce the satisfactory target tension.

      • KCI등재
      • KCI등재

        「李玉峰行蹟」의 문체적 성격 연구

        공민식 근역한문학회 2024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67 No.-

        「李玉峰行蹟 은 여성 한시 작가 이옥봉을 대상으로 한 행장체 산문이다. 일반적으로 여성 행장은 중세 규범을 충실히 이행한 여성을 선택하여 엄격하게 짜인 방식(가계-행적-졸-평)으로 기록하기 때문에 내용 및 형식상 유사한 전개 양상을 보인다. 그런데 <「李玉峰行蹟 의 경우 같은 행장체 산문임에도 일반적인 행장체 산문의 문체적 성격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부분이 많다. 가령 옥봉과 조원이라는 두 인물의 만남과 이별이 플롯의 중심축을 이루고 있으며, 그 세부적인 내용 전개에 있어 대화를 활용해 장면을 구체화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서사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옥봉과 사회 윤리 규범과의 갈등이 드러나 있으며 이 과정에서 패배하여 비극적인 결말로 이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사실을 종합해 보면 「李玉峰行蹟 의 서술 문법에 소설의 서사 문법이 활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게다가 「李玉峰行蹟 이 옥봉 사후 100여 년이 지난 시점에 지어졌다는 점, 작자인 조정만(1654-1739)이 생존했던 17세기 무렵에 사대부 남성 지식인에 의해 애정전기소설이 적극적으로 창작되고 향유되었다는 점에서 더욱 소설과의 연관성을 짐작케한다. 그렇다고 한다면 일반 행장체에서 보이지 않는 「李玉峰行蹟 의 독특한 서술 문법상의 특징을 전에서 출발한 소설 장르와 관련지어 살펴보는 것은 문체적 성격을 규정하는 데 있어 의미 있는 작업이라 판단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내용적, 형식적, 표현적 측면에서 「李玉峰行蹟 의 특성을 분석한 후 이를 소설과 연관지어 문체적 성격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李玉峰行蹟 은 행장체 산문의 일반적인 형식을 따르고 있지만, 그 세부적인 내용은 소설적 서사 문법을 활용해 인물이나 특이한 사건 자체에 초점을 맞추며 문학적 형상화(애정전기소설적 요소 반영)에 치중한 소설적 傳에 가깝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었다. 결국 후손 조정만은 가문의 일원으로서 정형화된 여성의 모습이 아닌, 시대를 풍미했던 한 문학 예술인에 대한 입전의 목적 하에 소설적 서사 문법 및 특성을 반영하여 「李玉峰行蹟 을 기술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Lee Ok-bong's Haengjeog> is a Haengjang style prose about Lee Ok-bong, a female Chinese poetry writer. In general, female Haengjang select women who faithfully followed medieval norms and record them in a strictly structured manner (family lineage, records, death, and reviews), so they show similar development patterns in terms of content and form. However, in the case of <Lee Ok-bong's Haengjeog>, even though it is the same Haengjang style prose, there are many parts that cannot be explained by the literary style characteristics of general Haengjang style prose. For example, the meeting and farewell of two characters, Ok-bong and Jo Won, form the central axis of the plot, and in developing the details, dialogue is used to specify the scene. In addition, as the narrative progresses, the conflict between Ok-bong and social ethical norms is revealed, and she is defeated in this process, leading to a tragic ending, and taking these facts together,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narrative grammar of the novel is utilized in the describing grammar of <Lee Ok-bong's Haengjeog>. In addition, the fact that <Lee Ok-bong's Haengjeog> was written about 100 years after Ok-bong's death and that, in the 17th century, when the author, Jo Jeong-man (1654-1739), was alive, biographical romance novels were actively created and enjoyed by male intellectuals of the nobility makes it even more connected to the novel. If so, it is judged to be a meaningful work in defining the literary stylistic characteristics to examine the unique descriptive grammatical features of <Lee Ok-bong's Haengjeog>, which are not visible in the general Haengjang style, in relation to the novel genre that started from Jeon(傳). Accordingly,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Lee Ok-bong's Haengjeog> in terms of content, form, and expression and then examined its literary stylistic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the novel. Through this, it was found that <Lee Ok-bong's Haengjeog> follows the general format of Haengjang style prose, but the detailed content is close to a novelistic Jeon that focuses on characters or unusual events themselves using novel narrative grammar and focuses on literary figuration (reflecting elements of romance biographical novels). In the end, it can be judged that the descendant Jo Jeong-man wrote <Lee Ok-bong's Haengjeog> by reflecting the novelistic narrative grammar and characteristics with the purpose of introducing a literary artist who dominated the era, rather than describing a stereotypical woman as a member of the family.

      • KCI등재후보

        주기성과 산발성 태스크가 혼합된 시스템을 위한 전력절감 스케쥴링 기법

        공민식,정근재,송예진,정명조,조문행,이철훈 한국콘텐츠학회 200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7 No.1

        In this paper, we address a power-aware scheduling algorithm for a mixed real-time system which consists of periodic and sporadic tasks, each of which is characterized by its minimum period, worst-case execution requirement and deadline. We propose a dynamic voltage scaling algorithm called DVSMT(DVS for mixed tasks), which dynamically scales down the supplying voltage(and thus the frequency) using on-line distribution of the borrowed resources when jobs complete while still meeting their deadlines. With this scheme, we could reduce more energy consumption. As the proposed algorithm can be easily incorporated with RTOS(Real-Time Operating System), it is applicable for handheld devices and sensor network nodes that use a limited battery power.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DVSMT saves up 60% more than the existing algorithms both in the periodic-task and mixed-task systems. 본 논문에서는 주기적으로 생성(release)되는 주기성 태스크(Periodic Task)들과 산발적으로 생성되는 산발성 태스크(Sporadic Task)들이 혼합된 실시간 시스템을 위한 전력관리 스케쥴링 기법을 제안한다. 각각의 태스크는 최소주기, 최악수행요구시간과 마감시간 등으로 정의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동적 전압조정(Dynamic Voltage Scaling : DVS) 알고리즘인 DVSMT(DVS for mixed tasks)는 태스크의 실시간 마감시간을 보장하면서 작업이 종료됐을 때, 수행하는 동안 사용한 사이클 중 다른 태스크들이 할당한 수행 사이클을 자신의 마감시간까지 온라인 상태에서 균등 분배함으로써 공급전압(또한 동작 주파수)을 동적으로 조정한다. 이러한 기법으로 더 많은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실시간 운영체제에 쉽게 통합될 수 있기 때문에 제한된 배터리 전력을 이용하는 휴대용 기기 및 센서망 노드 등에 적용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결과들은 DVSMT가 주기성 태스크들로만 구성된 시스템과 주기성 태스크들 및 산발성 태스크들이 혼합된 시스템에서 기존의 알고리즘보다 대략 60% 까지 에너지가 절감됨을 보였다.

      • KCI등재

        토크 마그네토메트리를 이용한 박막 이종구조의 양자자성 관측 가능성

        공민식,옥종목,손창희 한국자기학회 2022 韓國磁氣學會誌 Vol.32 No.6

        Quantum spin liquid (QSL) is an intriguing quantum phenomenon caused by quantum superposition and entanglement of spins and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because of the occurrence of unconventional ground states with high potential for applications in quantum computing. In particular, the realization of QSL in the thin film heterostructure provides a lot of possibility, however it has not been intensively studied due to the lack of measurement technique for magnetic properties of thin film heterostructure.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possibility of observing the QSL states in the thin film heterostructure using torque magnetometry.

      • KCI등재

        이동하중을 받는 구조물에 대한 시간영역과 주파수영역에서의 동적해석

        공민식,임성순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07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11 No.3

        구조물의 동적해석은 크게 시간영역과 주파수영역해석으로 나눌 수 있다. 시간영역해석은 직접적분법과 모드중첩법 등을 사용하며 주파수영역해석은 DFT법을 적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DFT법은 주기함수에 대한 응답을 산정할 경우 효과적인 해석방법이지만 비주기함수인 경우 정확한 해석결과를 얻을 수 없어 주기를 크게 하거나 응답을 수정하여 해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비주기함수인 이동하중을 받는 구조물에 대해 시간영역과 주파수영역에서 동적응답을 산정하였다. 그 결과 구조물의 자유진동주기를 크게 하거나 응답을 수정하여 DFT법을 적용한다면 주파수영역에서도 충분히 정확한 해석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structural dynamic analysis can be divided into a time domain analysis and a frequency domain analysis. The time domain analysis makes use of a direct integration method or a mode superposition method and the frequency domain analysis applies a DFT method. Generally the DFT method is more effective method in case of calculating response of periodic excitation. But in case of transient excitation exact solution can not be acquired. So, by modifying the response or increasing the period accuracy of solution can be enhanced.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dynamic responses of structures under aperiodic moving load in time domain and frequence domain. Consequently it is concluded that exact solution would be get enough using DFT method by increasing the duration of free vibration or modifying the dynamic respon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