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액션러닝을 활용한 인간관계론 수업 운영 사례 연구

        고수일,장경원 한국경영교육학회 2014 경영교육연구 Vol.29 No.6

        The university is an important psychosocial development stage for students to achieve a mature outlook on life, identity, values​​ and to make intimacy with others and develop interpersonal relationship. However, many students experience difficulties in this relationship. This study analyzed a clas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nducted in action learning and identified how to conduct a class in action learning and it's educational effectiveness. Learners challenged three tasks and wrote in a reflective journal what they learned from the experience. Learners' reflective journals were analys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reported that they learned they should reflect on their behaviors, accept the other person, do a specific action and to make an active conversation to impro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econd, they reported also that they would practice what they learned in class such as attitude to others, method of communication, behaviors. So we can conclude that action learning can be a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o develop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university students. However, there have been several difficulties and problems during the action learning process. So, the discussion and implication of it were provided. 대학생 시기는 정체감, 인생관, 가치관이 확립되는 시기이자 타인과 친밀감을 형성하고 그러한 능력을 개발하여 성숙한 대인관계를 이루는 중요한 심리사회적 발달단계이다. 그러나 많은 대학생들이 인간관계에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다. 이 연구는 대학생들의 인간관계능력을 개발하기 위해 개설된 인간관계개발론 교과목을 액션러닝 방법으로 운영한 구체적인 전략과 학습효과를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학습자들은 팀을 나누어 실제과제를 해결하였고, 실제과제를 해결한 후 자신들이 학습하고 경험한 내용을 성찰저널에 작성하였다. 학습자들의 성찰저널 분석결과, 학생들은 좋은 인간관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행동을 반성하고, 상대방을 수용하며, 관계개선을 위한 구체적인 행동을 하고, 적극적으로 대화해야 한다는 것을 배웠다고 하였다. 또 향후에는 상대방을 대하는 태도, 대화방법, 행동에서 학습한 것을 실천하겠다고 다짐하였다. 따라서 액션러닝은 대학생들의 인간관계 역량을 개발하는데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임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조직몰입과 직무동기의 다차원 관계 : 자기결정감에 의한 접근

        고수일,한주희 한국산업경제학회 2009 산업경제연구 Vol.22 No.3

        몰입과 동기는 모두 조직의 유효성과 깊은 관련을 가진 개념으로서 많은 연구자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지만 이들 두 개념이 어떤 관계를 가지는지에 대한 실증 연구는 미흡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의 연구 목적을 가지고 진행되었다. 첫째, 직무동기간에 자기결정성에 따른 위계적 구조가 나타날 것인가? 둘째, 조직몰입유형에 따라 직무동기가 달라질 것인가?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러 학자들이 꾸준히 제기해온 다차원적 동기의 존재성을 재입증하였다. 내재적동기와 외재적동기로의 이원화된 구조에 동일시동기 및 규범적동기 및 무동기가 부가적으로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조직몰입의 유형, 즉 감정적 몰입, 규범적 몰입 및 계속적 몰입에 대한 확인적 요인부석을 실시한 결과 조직몰입 변수에 대한 측정모델은 타당하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셋째, 감정적 조직몰입은 내재적 직무동기및 동일시 동기를 모두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감정적 조직몰입은 무동기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규범적 조직몰입은 규범적 직무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 무동기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계속적 조직몰입은 외재적 직무동기를 증가시키는 동시에 무동기에도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볼 때 조직에 대한 몰입의 형태에 따라 구성원의 직무동기에 미치는 영향력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aims to find the following two objectives. First, is there a hierarchical structure, in terms of self-determination theory, among job motivations? Second, are there any relationships among type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s and job motivations? The research findings are: First,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revealed that job motivation was composed of intrinsic, identified, introjected, extrinsic and amotivation elements while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composed of affective, normative, and transactional elements. Second, affective commitment increases intrinsic and identified motivations while it decreases amotivation. Normative commitment increases introjected motivation while it does not affect amotivation. Third, transactional commitment increases extrinsic motivation and amotivation. Theses results show some implications that effects of job motivations vary across type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 KCI등재

        자율성, 성과-보상 연계성, 경쟁성이 내재적 동기에 미치는 영향 : 목표지향성의 매개역할

        고수일 한국경영교육학회 2011 경영교육연구 Vol.26 No.5

        In this paper, the effects of performance-contingent rewards, competition, achievement orientation and feedback on intrinsic motivation were examined. A direct effect revealed that performance-contingent rewards and positive feedback significantly enhanced task interest. In addition, achievement orientation positively affected interest, but the effect of competition was not found. Mediational analyses identified competence valuation as mediator of performance-contingent rewards, and achievement orientation on intrinsic motivation. It was also found that perceived competence was affected by feedback and achievement orientation, and had a positive causal impact on subsequent intrinsic motivation. 이 논문의 초점은 내재적 동기에 대한 자율성, 성과-보상 연계성, 경쟁성의 효과를 목표지향성의 매개과정을 통해 설명하는 데에 있다. 연구 결과, 자율성뿐만 아니라 성과-보상 연계성, 경쟁성은 내재적 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매개회귀분석결과, 내재적 동기에 대한 자율성의 효과는 학습목표에 의해 부분적으로 매개되며, 자율성과 성과-보상 연계성은 성과접근목표를 매개로 내재적 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경쟁은 성과접근목표와 성과회피목표 모두에 정적인 효과를 보여주는데, 성과접근목표는 내재적 동기를 촉진하지만, 성과회피목표는 유의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 KCI등재
      •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서번트 리더십의 효과 - 내재적 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고수일,김은경 전북대학교 산업경제연구소 2010 아태경상저널 Vol.2 No.3

        이 연구는 사회복지기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들을 대상으로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상사의 서번트 리더십의 효과를 내재적 동기를 매개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서번트 리더십은 내재적 동기에 대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번트 리 더십은 조직시민행동의 하위 변수인 이타성, 시민정신, 스포츠맨십에 대해서도 각각 정(+)의 효과를 가 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번트 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내재적 동기의 매개효과에 대한 검 증 결과, 내재적 동기는 이타성, 시민정신, 스포츠맨십 등에 대한 서번트 리더십의 효과를 완전 매개하 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로써 서번트 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간의 관계에서 내재적 동기가 가지는 매개 효과에 관한 가설이 입증되었다. This research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servant leadership, intrinsic motivati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with 171 employees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 The present research found that (1) servant leadership was positively related to intrinsic motivation, (2) servant leadership was positively related to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3) intrinsic motiva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vant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