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HMM(Hidden Markov Models) 방법을 이용한 얼굴인식

        고대영,김진영 전남대학교 전자통신기술연구소 2002 전자통신기술논문지 Vol.5 No.1

        This paper focuses onthe use of the 1 dimensional HMM(Hidden Markov Models) and the pseudo 2 dimensional HMM for face recognition, face feature vector extraction method boecd on the 2D-DCT coefficient is described, and the recognition results are compared with other face recognition approaches, the method represented in this paper compared with previous HMM based face recognition and the eigenfaces approaches. Experiments to evaluate the proposed approach are carried out on the Olivetti Research Laboratory(ORL) face database the pseudo 2 dimensional HMM the best result recognition performance is the 99.5% this method has better performance than previous methods.

      • 포스터 발표 - 에너지환경분과 / 화학공정분과 : 계면 조성이 결정성장에 미치는 영향

        고대영,안동준 ( Dai Young Goh,Dong June Ahn ) 한국공업화학회 1997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1990 No.3

        N/A The lifetime of micelles has been of a great academic interest in order to understand dynamic behavior of micelles in solution. However, the relevance of micellar lifetime to various technological processes such as foaming, bubble dynamics and emulsification has never been explored. In this study, systematic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to delineate the role of micellar lifetime on the dynamic processes in micellar solutions. The pressure-jump technique was used to measure the lifetime of sodium dodecyl sulfate (SDS) micell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st stable micelles were formed at 200mM SDS concentration and this most stable micellar solution resulted in the least foaming, the largest bubble size and the largest emulsion droplet size.

      • KCI등재

        u-health 웨어러블 기기 소비자 이용의향 결정요인 분석

        고대영,조현승,조윤아 한국산업경제학회 2011 산업경제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u-health 웨어러블 기기에 대한 소비자 이용의향 결정요인 분석을 통해 주요 수요층 특징을 정량적으로 식별하고, 향후 u-health 서비스 및 웨어러블 기기와 관련된 정책적 시사점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2010년 서울거주 500명(가구)을 대상으로 수행한 소비자 설문조사 자료를 사용하고, 5점 척도로 응답된 u-health 웨어러블 기기 이용의향에 대하여 기본적인 인구통계학적 특징, 최신 정보 통신기기 및 서비스 이용 실태, 병의원 이용 및 건강관리 실태, 원격의료서비스 및 u-health 웨어러블 기기에 대한 소비자 인지·인식 등이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가를 순서형 프로빗 모형(ordered probit model)을 적용하여 정량적으로 추정한다. 추정결과, u-health 웨어러블 기기의 주요 수요층과 관련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먼저 기본적인 인구통계학적 특징과 관련하여 고학력자, 고령층, 만성질환을 보유한 소비자들이 u-health 웨어러블 기기들에 대한 초기 주요 수요층이 될 가능성이 크며, 최신 정보통신기기 및 서비스들을 이용하고 있는 소비자들일수록 u-health 웨어러블 기기에 대한 이용의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병의원 이용행태와 관련해서는, 병의원을 자주 이용하거나 멀리 위치한 병의원을 이용하는 소비자, 병의원 이용료 지출이 많은 소비자, 짧은 시간에 진료를 완료 받는 소비자일수록 u-health 웨어 러블 기기 이용을 통해 얻는 혜택이 커 주요 수요층이 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determinants of consumers' intention to use u-health wearable devices. This study utilized survey data obtained from 500 Seoul residences regarding u-health wearable device to estimate determinants of consumers' intention to use by adopting ordered probit model. The survey included demographic factors, information on using IT products and services, information on visiting medical institutions, consumers' awareness of u-health services. According to the regression result, highly educated and aged people have higher intention to use for u-health wearable device. Further, consumers suffering chronical diseases also have higher intention to use. Regarding visiting behavior of medical institutions, consumers who visit medical institutions frequently and spend much time and money on visiting medical institutions are more likely to use wearable devices. Further, consumers whose traveling distances to medical institutions also have higher intention to use u-health wearable devices.

      • KCI등재

        캐스팅법에 의한 전기투석용 고내구성 Polyvinylidene Fluoride (PVDF)계 양이온 불균질 이온교환막 제조 및 탈염특성

        고대영,김인식,황택성 한국막학회 2016 멤브레인 Vol.26 No.2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epare a heterogeneous cation exchange membrane by mixing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commercial cation exchange resin and sulfonated poly(phenylene oxide)(SPPO) in order to propose an optimum condition for the preparation, and to compare its properties with commercial membran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ion exchange capacity and electrical resistance were outstanding when the ratio of polymer matrix was less than 30% comparing between PVDF-IER, PVDF-SPPO and PVDF-SPPO-IER. The tensile strength was confirmed that seemed a hard look was five times greater compared to the commercial heterogeneous membrane, despite the weak durability of PVDF resin. Therefore, when chem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are considered, the optimum mixing ratio between PVDF, IER and SPPO was 30 : 70, at which electric resistance was measured as 3~5 Ω⋅cm2, ion exchange capacity as 0.6~1.0 meq/g, while mechanical strength was in a range of 12~15 kgf/cm2. 본 연구는 양이온 불균질막을 제조하기 위해 PVDF matrix에 상용 양이온교환수지와 sulfonated poly(phenylene oxide)(SPPO)를 배합하여 제조, 이온 흡착 특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PVDF-IER 불균질막과 PVDF-SPPO 불균질막 PVDF-SPPO-IER과 비교하였을 때 고분자 매트릭스의 비율이 30% 이하일 경우 이온교환용량, 전기저항에서 우수한 물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장강도의 경우 PVDF resin의 약한 내구성에도 불구하고 상용화 불균질막과 비교하여 최대 5배 이상의 강인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화학적 특성과 기계적 특성을 고려했을 때PVDF와 이온교환분말과 SPPO의 혼합 최적 비율은 30 : 70이며 이때의 전기저항은 3~5 Ω⋅cm2, 이온교환 용량은 0.6~1.0 meq/g으로 측정되었고 기계적 강도는 12~15 kgf/cm2으로 측정되었다.

      • KCI등재

        남북한 로마자 표기법 통일 방안

        고대영 반교어문학회 2019 泮橋語文硏究 Vol.0 No.53

        Romanization of Korean language is confirmed from the 19th century. Starting in 1832 with Siebold's notation, approximately 27 notations were used. Various Roman notations were used, but the Roman notation of the Korean language was used by Murtham-Reishower (1939) until division. After the divis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Roman not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due to the change of the Korean language policy. At the request of ISO, however, unification of Roman notation between the two Koreas was attempted from 1985. The attempt, however, led to a consensus (1992) and ISO TR 11941 (1996), but failed to come up with a unification of the Roman notation.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propose a unification plan for the Roman notation of the two Koreas, which has undergone such changes and ups and downs. To this end, I first reviewed the changes in the Roman not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First of all, I reviewed the Roman notation of South Korea, ‘한글을 로오마자로 적는법(1948)’, ‘한글의 로마자 표기법(1959)’,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1984)’, and the current regulations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2000)'. Along the way, we also reviewed Murts-Riesshaw(1939), a traditional Roman notation that influenced these notations. On the other hand, I reviewed the Roman notation of North Korea,'외국 자모에 의한 조선어 표기법'(1956), '영어문자에 의한 조선어표기법(1969)', '전자법에 따른 로마자 표기법(1985)', and the Sixth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the Standardization of Geographical Names. In 1992, the notation of the 'Guideline to the Romanization of Korean' was submitted. In addition, the first agreement between the two Koreas, which was made in 1992 at the request of the ISO, and the ISO TR 11941, were written together as the two Koreas split up due to the disagreement between the two Koreas before the UN submission. This is because it is a notation that greatly influenced the current Roman notation of South Korea (2000) with the significance of the first agreement between the two Koreas. Through the review of the Roman notation of the two Koreas and the ISO,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Korean and Roman notation were specified by consonants and vowels, and a unification plan was proposed for each part. 국어의 로마자 표기는 19세기부터 확인된다. 1832년 지볼트(Siebold)의 표기법에서 시작하여 대략 27개의 표기법이 사용되었다. 이렇듯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은 여러 표기법이 혼용되었지만 분단 이전까지는 주로 머큔-라이샤워 표기법(1939)이 통용되었다. 분단 이후 남북의 어문 정책의 변화에 따라 로마자 표기법에서도 차이가 발생하였다. 그러던 중 ISO의 요청에 따라 1985년부터 남북한의 로마자 표기법의 통일이 시도되기도 하였다. 이 시도는 합의안(1992)을 거쳐 ISO TR 11941(1996)안을 도출하였으나 결국 결실을 맺지 못하고 사장되고 말았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이 여러 번의 변화와 부침이 있었던 남북한의 로마자 표기법의 통일안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남한과 북한의 로마자 표기법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남한의 로마자 표기법으로는 ‘한글을 로오마자로 적는법’(1948), ‘한글의 로마자 표기법’(1959),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1984), 그리고 현행 규정인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2000)을 검토하였다. 이와 함께 이들 표기에 영향을 준 전통적인 로마자 표기법인 머큔-라이샤워법(1939)도 함께 살펴보았다. 한편 북한의 로마자 표기법으로는 “조선어 외래어 표기법(1956)”에 함께 수록된 ‘외국 자모에 의한 조선어 표기법’의 제3장 로마 자모에 의한 조선어 표기에 관한 일반 규칙과 “외국문자에 의한 조선어표기법(1969)”의 ‘영어문자에 의한 조선어표기법’, 박재수(1999)에 소개된 전자법에 따른 로마자 표기법(1985), 지명 표준화를 위한 제6차 유엔회의(Sixth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the Standardization of Geographical Names. 1992)에 제출된 북측의 ‘조선어의 로마자 표기 지침’(Guideline to the Romanization of Korean)의 표기법을 검토하였다. 남북의 로마자 표기법의 통일안을 제안하기 위해서 남북의 로마자 표기법 외에도 ISO의 요청에 의해 1992년에 만들어졌던 남북한의 첫 번째 합의안과 이 합의안이 UN 제출 전에 남북한의 의견 차이로 인해 남북한의 안이 갈라지면서 두 개의 방안을 병기한 ISO TR 11941까지 함께 검토하였다. 이는 남북한의 최초의 합의안이라는 의의와 함께 이후 남한의 현행 로마자 표기법(2000)에 큰 영향을 준 표기법이기 때문이다. 남북한의 로마자 표기법과 ISO 안의 검토를 통해 남북 로마자 표기법의 차이를 자음과 모음으로 구분하여 명세화하고 각 부분에 대한 통일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얼굴인증 방법들의 조명변화에 대한 견인성 비교 연구

        고대영,김진영,나승유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12 No.1

        This paper focuses on the study of the face authentication system and the robustness of face authentication methods under illumination changes. Four different face authentication methods are tried. These methods are as follows;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 GMM(Gaussian Mixture Models), 1D HMM(1 Dimensional Hidden Markov Models), Pseudo 2D HMM(Pseudo 2 Dimensional Hidden Markov Models). Experiment results involving an artificial illumination change to face images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Face feature vector extraction based on the 2D DCT(2 Dimensional Discrete Cosine Transform) is used. Experiments to evaluate the above four different face authentication methods are carried out on the ORL(Olivetti Research Laboratory) face database. Experiment results show the EER(Equal Error Rate) performance degrade in all occasions for the varying δ. For the non-illumination changes, Pseudo 2D HMM is 2.54%, 1D HMM is 3.18%, PCA is 11.7%, GMM is 13.38%. The 1D HMM have the better performance than PCA where there is no illumination changes. But the 1D HMM have worse performance than PCA where there is large illumination changes(δ≥40). For the Pseudo 2D HMM, The best EER performance is observed regardless of the illumination changes. 본 논문은 얼굴인증 시스템 구현과 조명변화에 견인한 얼굴인증 방법들에 관한 연구에 초점을 둔다. 얼굴인증 시스템 구현을 위한 방법으로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 GMM(Gaussian Mixture Models), 1차원 HMM(1 Dimensional Hidden Markov Models), 준 2차원 HMM(Pseudo 2 Dimensional Hidden Markov Models) 방법을 이용한다. 네 가지 다른 얼굴인증 방법들의 조명변화에 대한 성능비교 실험을 수행한다. 조명변화실험을 위해 얼굴이미지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인공적인 조명효과(δ=0,40,60,80)를 준다. 얼굴특징벡터는 얼굴이미지에서 분할한 각 블록에 대한 2D DCT(2 Dimensional Discrete Cosine Transform) 계수를 이용하고 실험은 ORL(Olivetti Research Laboratory) 얼굴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한다. 실험결과 모든 경우 조명변화 값이 커질수록 성능저하가 발생한다. 또한 조명변화가 없는 경우(δ=0) 준 2차원 HMM이 2.54%, 1차원 HMM이 3.18%, PCA가 11.7%, GMM이 13.38%의 EER(Equal Error Rate) 성능을 나타낸다. 조명변화가 없는 경우(δ=0) 1차원 HMM 방법이 PCA 방법보다 좋은 성능을 나타내지만 조명변화 δ≥40일 때에는 반대로 PCA 방법이 더 좋은 성능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준 2차원 HMM의 경우 조명변화에 관계없이 가장 좋은 EER성능을 나타낸다.

      • KCI등재후보

        은퇴공무원의 부부관계 만족도와 사회적 관계망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고대영,임현승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15 한국사회복지교육 Vol.3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associated with living satisfaction among retired officials in government agencies. The sample consisted of 220 people ranging in age over 60 years in Kyonggi-do.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impact of married life and social network on living satisfaction among retired officials. The married life and social network were predictors of living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ed that these variable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living Satisfaction among people.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ed that married life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living Satisfaction among people. For retired officials, the size of contacts with family, and the size of personal conversation with family as well as friend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living satisfaction.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in terms of social work practices and social welfare policies. 본 연구의 목적은 은퇴공무원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고찰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은퇴공무원을 위한 임상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정책적 함의를 제공할 수 있는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만 60세 이상의 은퇴공무원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2013년 11월부터 2014년 2월까지 약 3달 동안 은퇴공무원을 대상으로 부적절한 설문지를 제외한 220부를 통계 처리하여 사용하였다.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생활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보면 은퇴 공무원들이 자신이 소유한 주택에 거주할수록,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결혼 상태를 유지할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은퇴공무원의 부부관계만족도의 하위 변인들 중 사회 심리적 동질감, 결혼생활에 대한 불만족과 부부관계의 불만족이 생활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은퇴공무원의 사회적 관계망의 하위변인들 중에서는 연락할 수 있는 가족 수, 사적인 대화를 할 수 있는 가족 수와 사적인대화를 나눌 수 있는 친구 수가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사회복지 실천적 함의 및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