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Voriconazole Therapeutic Drug Monitoring is Necessary for Children with Invasive Fungal Infection

        강현미,강수영,조은영,유경상,이지원,강형진,박경덕,신희영,안효섭,이현주,최은화,이환종,Kang, Hyun Mi,Kang, Soo Young,Cho, Eun Young,Yu, Kyung-Sang,Lee, Ji Won,Kang, Hyoung Jin,Park, Kyung Duk,Shin, Hee Young,Ahn, Hyo Seop,Lee, Hyunju,Choi, The Korean Society of Pediatric Infectious Disease 2014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21 No.1

        목적: 본 연구는 소아 환자들에서 voriconazole 치료적 약물 농도 모니터링의 임상적 의의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0년 7월부터 2012년 6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에 입원한 18세 이하의 소아 환자들 중, 침습성 진균감염증에 대해 voriconazole 치료를 받은 증례를 후향적 의무기록 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포함된 총 28명의 환자 중 14명이 약물 농도 모니터링을 받았으며, 143개의 혈중 농도 측정 값을 분석하였다. 모든 환자들에게서 치료 효과 및 독성 증상 발현 여부를 파악하였다. 결과: 143개의 혈중 농도 측정 값 중 53.1%에서 치료적 범위(1.0-5.5 mg/L) 내에 들었고, 같은 용법으로 치료받았더라도 높은 혈중 농도 변동성(high variability)을 보였다. 약물 농도 모니터링을 받았던 군(TDM 군)과 받지 않았던 군(non-TDM 군)에서 각각 14명 중 9명(64.3%)이 독성 증상을 나타냈는데, TDM 군에서 신경학적 증상(n=2, 14.3%) 및 간기능 장애(n=8, 57.1%)는 높은 voriconazole 혈중 농도(>5.5 mg/L)를 보인 환자들에게서 나타났다. 반면, 시각 장애는 혈중 농도가 치료적 범위 내에 있을 때 발현하였다(1.18 mg/L, 3.9 mg/L). TDM 군에서 non-TDM 군에 비하여 독성 증상으로 인하여 약물을 중단했던 빈도가 낮았다(0.0% vs. 18.2%, P =0.481). 치료 시작 6주 후 치료 효과를 분석해본 결과 TDM 군의 57.2%에서 치료에 대한 반응을 보였으나, non-TDM 군에서는 14.3%에서 치료 반응을 보였다(P =0.055). 최종 치료효과 분석에서는 TDM 군의 21.4%에서 치료 반응을 보였으나, non-TDM 군의 14.3%에서 치료 반응을 보였다(P =0.664). TDM 군에서 치료 시작 첫 6주 동안 혈중 약물 농도를 분석했을 때 67.0% 이상에서 치료적 범위 내에 들었으나, 치료 기간 전체를 봤을 때에는 45.5%에서 치료적 범위 내에 들었다. 결론: 소아에서 voriconazole 사용 시 치료적 약물 농도 모니터링을 통하여 치료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고, 독성이 나타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Purpose: To determine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voriconazole therapeutic drug monitoring (TDM) in the pediatric population. Methods: Twenty-eight patients with invasive fungal infections administered with voriconazole from July 2010 to June 2012 were investigated retrospectively. Fourteen received TDM, and 143 trough concentrations were analyzed. All 28 patients were assessed for adverse events and treatment response six weeks into treatment, and at the end. Results: Out of 143 samples, 53.1% were within therapeutic range (1.0-5.5 mg/L). Patients administered with the same loading (6 mg/kg/dose) and maintenance (4 mg/kg/dose) dosages prior to initial TDM showed highly variable drug levels. Adverse events occurred in 9 of 14 patients (64.3%) in both the TDM and non-TDM group. In the TDM group, voriconazole-related encephalopathy (n=2, 14.3%) and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or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elevation (n=8, 57.1 %) occurred with serum levels in the toxic range (>5.5 mg/L), whereas blurred-vision (n=2, 14.3%) occurred within the therapeutic range (1.18 mg/L and 3.9 mg/L). The frequency of voriconazole discontinuation due to adverse events was lower in the TDM group (0.0% vs. 18.2%, P =0.481). Overall, 57.2% of the patients in the TDM group versus 14.3% in the non-TDM group showed clinical response after 6 weeks (P =0.055), whereas 21.4% in the TDM group versus 14.3% in the non-TDM group showed response at final outcome (P =0.664). In the TDM group, >67.0% of the serum levels were within therapeutic range for the first 6 weeks; however 45.5% were within therapeutic range for the entire duration. Conclusion: Routine TDM is recommended for optimizing the therapeutic effects of voriconazole.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기본심리욕구와 인성이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

        강현미,박소윤,Kang, Hyun Mi,Park, So Yun 한국보육지원학회 2017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3 No.5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in order to increase the flourish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by examining pre-service teacher's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characteristics on flourish.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200 pre-service teacher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Busan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Results: First, the level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characteristics and flourish of pre-service teachers was above average a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characteristics and flourish.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pre-service teachers were relatively more influential on flourish than basic psychological needs. Conclusion/Implications: The main variables predicting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flourish are characteristics and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as characteristics and basic psychological needs of pre-service teachers are promoted, the flourish of pre-service teachers is increased.

      • SCOPUSKCI등재

        가자(Terminaliae chebula) 추출물의 젖소 유방염 주요 원인체 및 메치실린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에 대한 항균효과

        강현미,문진산,장금찬,김종만,송민동,양시용,Kang, Hyun-Mi,Moon, Jin-San,Jang, Gum-Chan,Kim, Jong-Man,Song, Min-Dong,Yang, Si-Yong 대한수의학회 2005 大韓獸醫學會誌 Vol.45 No.1

        Resistance to antibiotics is a problem all over the world, and this problem also is so extended in veterinary field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antibacterial substances from natural medicinal herbs against bovine mastitis pathogens, especially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Among seventy two medicinal herbs, Terminaliae chebula extract showed antimicrobial effect against MRSA isolated from mastitis milk in cow and patient in human. However, Terminaliae chebula extract didn't show antibacterial effects on various strains including other contagious and environmental pathogens related with mastitis of dairy cows.

      • 해충 카운팅을 위한 딥러닝 모델 성능 비교

        이재현(Jae-Hyeon Lee),홍은하(Eun-Ha Hong),손창환(Chang-Hwan Son),이휘종(Hwijong Yi) 한국정보기술학회 2021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21 No.11

        해충은 농작물에 해를 가하여 품질 저하와 생산성 저하를 수반한다. 따라서 해충의 발생량을 자동으로 파악하여 조기 방제를 적기에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트랩에서 촬영된 해충 이미지로부터 해충의 개수를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는 딥 러닝 기반의 해충 카운팅 기술 성능을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객체 검출 기반, 밀도 맵 추정 기반, 전이학습 기반의 최첨단 해충 카운팅 딥 러닝 모델을 구현하고 성능 비교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조기 해충 예찰 및 해충 발생량에 따른 농약을 최소로 살포하는 자동 해충 예찰 및 방제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Insects harm crops, resulting in reduced quality and reduced productivit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automatically detect the occurrence of pests and implement early control in a timely manner. In this paper, we intend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a deep learning-based pest counting technology that can automatically determine the number of pests from pest images taken from digital traps. In particular, we intend to implement a state-of-the-art pest counting deep learning model based on object detection, density map estimation, and transfer learning and conduct performance comparison. Through this, it is intended to establish an automatic pest prevention and control system that minimizes the application of pesticid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pests generated and early detection of pests.

      • KCI등재

        유아교사의 다문화 감수성, 다문화교육이해가 다문화교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강현미 ( Kang Hyunmi ),서현아 ( Seo Hyunah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6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육이해가 다문화교육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근무 중인 유아교사 600명이었다. 연구결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PASW 21.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한 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 다문화교육이해, 다문화교육태도에 대한 인식 정도는 보통보다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 다문화교육이해, 다문화교육태도 전체와 하위요인 간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다문화 감수성, 다문화교육이해, 다문화교육태도를 알아본 결과 다문화수업 수강경험에 따라 다문화교육이해, 다문화교육태도가 다문화연수경험 및 다문화유아를 교육한 경험에 따라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육태도가, 기관유형에 따라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육이해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문화감수성 하위요인의 상대적인 설명력은 문화차이존중도, 상호작용참여도, 상호작용주의도, 상호작용향유도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다문화교육이해는 다문화교육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다문화감수성의 하위요인과 다문화교육이해가 다문화교육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문화차이존중도, 다문화교육이해, 상호작용참여도, 상호작용주의도, 상호작용향유도의 순으로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한 태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육이해를 증진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 related to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understanding on their multicultural attitude from multidimensional perspectiv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600 early childhood teachers in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located in Busa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considered the level of their own multicultural sensitivity, multicultural understanding and multicultural attitude to be above average.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eir total scores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multicultural understanding and multicultural attitude. Second,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for early childhood teacher multicultural experiential variables such as their multicultural class experience, multicultural training experience, experience teaching multicultural children and daycare center type in their total multicultural sensitivity, multicultural understanding and mulicultural attitude. Third, the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understanding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exert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multicultural attitude.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가 학과만족도와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강현미(Kang hyun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0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학과만족도와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행복플로리시로 선정하여 예비유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에 대한 중요성을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3년 4월 부산, 경남 지역에 소재한 예비유아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한 뒤, 평균, 표준편차, Pearson 적률상관계수, 독립표본 t-검증과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응답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 학과만족도, 자아탄력성의 각 변인은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행복플로리시 상하수준에 따라 학과만족도와 자아탄력성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비유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 중 의미와 긍정적 정서는 학과만족도를 20%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 행복플로리시, 의미, 긍정적 정서는 자아탄력성을 47%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예비유아교사의 학과만족도와 자아탄력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예비유아교사의 의미, 긍정적 정서, 전반적 행복플로리시를 포함한 행복플로리시를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Department Satisfaction and Ego-resilience on the Flourish in pre-service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0 pre-service teachers of university located in B city. Statistical analysis of this study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department satisfaction, ego-resilience, and flourish were significant. Second, high-flourish group felt more powerful correlations between department satisfaction and ego-resilience than did the low-group. Third, the meaning and positive emotion of pre-service teachers were relatively more influential on department satisfaction and the overall wellbeing, meaning and positive emotion of pre-service teachers were relatively more influential on ego-resilience.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the efforts to improve the flourish including the meaning, positive emotion, and overall flourish in order to improve the ego-resilience of teacher applicants and the Department Satisfaction.

      • KCI등재

        “바람, 물, 땅”의 생태여성적 삼위일체 하나님 모델: 풍수우주론으로부터 생태여성주의적 시각에서 재해석한 삼위일체론

        강현미(Kang Hyun Mi)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7 신학사상 Vol.0 No.179

        본 논문은 현대 한국교회 저변에 만연한 성차별(sexism) 의식과 자연, 생태, 생명 인식의 결여로(eco-antipathy) 억압받는 여성과 자연의 해방을 도모하는 생태여성적(eco-feminist) 삼위일체 하나님 모델을 풍수우주론으로부터 제시한다. 한국 토착적 시각으로부터의 삼위일체 하나님 모델의 제시는 가부장적 남성중심주의와 인간중심적 기독교가 여성과 자연을 소외시키고 억압했다는 비판에 대한 새로운 신학적 해결책으로, 풍수우주론으로부터 은유의 상징 언어를 통해 생태여성신학(eco-feminism)적 접근을 시도한다. 이 삼위일체 하나님 모델은 전통적 기독교 언어의 해석학적 신학의 범주를 넘어 한국의 토착적이며 생태여성신학의 시각에서 새로운 재해석을 통해 탈가부장적 기독교 신학의 재구성을 시도한다. “은유”(metaphor)는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한 해석학적 도구로 사용되며, 역(IChing)을 기반으로 한 풍수우주론의 음양론과 기론을 바탕으로 한국교회 여성들의 경험을 포함하는 생태여성적 삼위일체 하나님 모델을 제시한다. 새롭게 제시되는 삼위일체 하나님 모델의 세 위격(hypostasis)은 풍수(風水)의 어원적 속성과 여성적 속성을 가진 은유, 즉 ‘풍(바람/기)’을 해방의 성령으로, ‘수(물)’를 구원의 그리스도로, ‘땅’을 창조주 어머니로 재해석한다. 풍수우주론으로부터 재해석된 우주론적이며 포괄적인 생태여성적 삼위일체 하나님 모델은, 이원론적 사고를 기반으로 한 가부장적 기독교의 남성적 언어와 해석학의 범위를 넘어 패러다임의 전이를 통해 일원론적, 비위계적 사유로의 재해석으로부터 억압받고 소외되어 온 여성과 자연의 해방을 이루게 할 것이다. This research presents an eco-feminist Triune God model from Feng Shui cosmology, which promotes to free women and nature from the oppression perpetrated against them by contemporary Korean churches, where sexism and eco-antipathy are at its heart. The presentation of the Triune God model from Asian perspective envisions a new way for how this can be an eco-feminist theological solution to the critique of patriarchies and anthropocentricism alienating and suppressing women and nature from non-trinitarian symbols and metaphorical languages from Feng Shui cosmology. The suggestion of this Triune God model goes beyond the hermeneutics of the traditional Christian language and attempts to reconstruct the de-patriarchal Christian theology through a new reinterpretation from the ecofeminist’s perspective. The “metaphor” is used as a hermeneutical tool for reinterpreting the Trinity of God, and an eco-feminist Triune God model is metaphorically presented based on Feng Shui cosmology that is grounded on the principle of yin-yang and Chi from IChing. Each hypostasis of the newly presented Triune God model is reinterpreted from the etymological origin of the name of Feng Shui (Wind and Water), which carries the qualities of feminine nature. This way the ‘Wind’ is metaphorically reinterpreted as Holy Spirit, ‘Water’ as the savior Jesus Christ and ‘Land’ as the Creator Mother in theological language respectively. This eco-feminine Triune God model reinterpreted from Feng Shui cosmology overcome the limits of patriarchal and masculine image of God grounded on the dualistic thinking system of Christianity. And more, Asian thinking system, which is monistic and non-hierarchical, can be employed as an eco-feminist hermeneutical tool to mediate the true meaning of the Christianity, which is inclusive and cosmological.

      • KCI등재

        은유분석을 통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영아교사에 대한 인식

        강현미(Hyun Mi Ka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은유분석을 통하여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영아교사에 대한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부산·경남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1-4학년 예비유아교사 18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은유 분석결과 큰 범주로는 영아교사의 역할, 자질, 직업으로 분류되었으며, 유형은 양육자, 제 2의 엄마, 책임과 인내, 교수자, 만능역할자, 장래희망, 고진감래, 필수존재 등 총 8가지 유형으로 범주화 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예비유아교사가 가지고 있는 영아교사에 대한 다양한 실재를 발견했을 뿐만 아니라 대학 양성과정에서 영아교사 관련 교과내용 및 영아교사에 대한 전문성에 대한 인식을 높일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infant care teachers are perceived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y analyzing their associated conceptual metaphors. The methods of the questionnaires study were performed on 200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rom which 184 metaphors were drawn. Two researchers analyzed the data through progressive comparison and and contrast and also quantified the data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metaphor analysis yielded eight categories representing the prospective teachers`` perceptions of infant care teacher. The resulting categories, and their prevalence among the respondents, included Caregiver(30.4%), Second mom(29.9%), Responsibility and patience(9.8%), Instructor(7.6%), Future dream(7.1%), All-purpose role(6.0%), No pain, no gain(5.4%), Protector(4.9%), and Essential existence(3.7%). As an attempt to investigat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infant care teachers, this study is significant for enabling an exploration of their beliefs and offering implications for enhancing the professionalism of infant care teachers.

      • KCI등재

        뷰티 인플루언서 특성이 구매 및 공유의도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강현미 ( Hyunmi Ka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스마트폰의 확산으로 인해 소셜미디어 이용자가 늘어남에 따라 다양한 콘텐츠가 폭발적으로 제작 및 유통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업에게는 다양한 마케팅 전략이 요구되는 현실이다. 이에 기업은 인플루언서와 협업을 통해 다양한 마케팅 전략을 펼치는 등 여러 노력을 강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뷰티 인플루언서 특성이 구매 및 공유의도와 브랜드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증 연구하였다. 그 결과, 뷰티 인플루언서의 특성 중 매력성은 만족도와 신뢰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만족도와 신뢰도가 구매의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주지만 공유의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SNS 중 유튜브 채널만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으며, 향후 좀 더 다양한 콘텐츠를 표본으로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가 기업의 유튜브 마케팅 전략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As the number of social media users increases due to the proliferation of smartphones, various contents are created and distributed explosively. In this situation, it is a reality that companies require various marketing strategies. Accordingly, companies are making various efforts, such as implementing various marketing strategies through collaboration with influencers. In this study, the effect of beauty influencer characteristics on purchase and sharing intention and brand attitude was empirically studied using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As a result, it was analyzed that attractiveness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a beauty influencer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satisfaction and reliability, and satisfaction and relia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bu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sharing intention.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it conducted research on only YouTube channels among SNS, and in the future, we intend to conduct research by setting more diverse contents as sample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useful data for companies’ YouTube marketing strateg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