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선형 증폭된 육상이동 위성채널에서 디지털 전왜곡기의 성능

        강우석,이상진,서종수 한국통신학회 1999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24 No.6

        In this paper, two kinds of digital predistorters are proposed and their performances are analyzed in order to minimize ACI and SNR degradation caused by nonlinearly amplified TC-16QAM signal and to transmit high speed data in power and bandwidth limited land mobile satellite channel. Our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LUT predistorter reduces the out-of-band ACI more efficiently as compared to intersymbol interpolated predistorter. Regarding the reduction of in-band SNR and total power intersymbol interpolated predistorter outperforms LUT predistorter. In the simulation mobile satellite channel and nonlinear HPA are modeled by Rician channel and Fujitsu SSPA, respectively. 본 논문은 전력 및 대역폭 제한적인 육상이동 위성통신 채널에서 고속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TC(Trellis-Coded)-16QAM 신호를 비선형 증폭할 때 발생하는 인접 채널간 간섭과 SNR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두가지 방식의 디지털 전왜곡기를 제안하고 그 성능을 분석하였다. 전산모의실험 결과 이동위성 채널을 Rician 채널로 모델링하고 Fujitsu사의 SSPA(Solid-State Power Amplifier)를 비선형 HPA(High Power Amplifier)로 사용한 경우, LUT(Look-Up Table) 전왜곡기는 심벌간 보간 전왜곡기보다 대역의 인접 채널간섭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대역내 SNR 손실과 총전력 손실에서는 심벌간 보간 전왜곡기가 보다 우수함을 보였다.

      • KCI등재

        역동성 개념을 대입한 링크 공간 유형과 사례 분석 및 방향 연구

        강우석,박영목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1

        (Background and Purpose) Standardized space has become a mainstream idea aiming for more efficient and rational space, resulting in regulations based on unity and stability in modern society. However, in an attempt to escape it from the existing systems and stereotyped views, new spatial and architectural concepts tend to embody the relatively complex and multifactorial shapes of space through trials of changes to atypical and dynamic spaces with vitality. In other words, contemporary space should be transformed into a four-dimensional shape that is consistently changed by groups such as the spatial elements and users in the place. Corresponding to the recent dynamic trend, link space, which is a transitional space that connects multiple places, needs to be studied using the dynamics concep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ynamic link space and represent the possibilities of creating a self-flexible and self-organic space. In addition, it also aims for the importance of the connection space to provide people the experimental diversity by passing one to another. Consequently, this study shows the applicability of interactive connecting space to adapt freely to environments, geography, humans, and other elements. (Method) The study first analyzes the concepts of stickiness and dynamics through theoretical speculation and a case study after examining the contemporary aspects of dynamic space. Second, following a literature review on the topic, link space was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connection, overlap, unity, and outside)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s between nodes and links by means of a mathematical set. Fi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nk space and the dynamics concept were identified as fusing with each other, which allowed us to suggest a new definition of dynamic link space with the final case analysis of each type. (Results) Each type of link space with dynamic concepts appeared to be dynamic in different ways: structures, functions, entertainment, and so on. Thus, they were classified into degrees of dynamics and interaction: negative dynamics, positive dynamics, passive interaction, and active interaction. (Conclusions) This study established practicality values using spatial and functional methods extracted from dynamic link spaces. It also pointed out the limitation of borrowing only the appearance of dynamic properties in the modern period and then emphasized that space needs to change and adjust by self-moving through interactions with the surroundings. Most importantly, this study presents modern directivity as a detailed solution for future spatial design with the possibility of applying it to various functional architectures and spaces in terms of meanings and values. (연구배경 및 목적) 근대 시대의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위해 정형화된 형태의 공간이 주류를 이루었고, 이에 따른모더니즘의 통일성과 안정성을 추구한 일련의 규칙을 중시해왔다. 현대 건축 및 공간 개념은 이러한 고정적 체계에서 벗어나 공간 자체가 생명력을 가지게 되어 비정형적이고 다이나믹한 공간으로 변화하려는 시도 들을 낳고, 이를 통해 상대적으로 복합적이고 다원적인 공간 형태를 구현한다. 다시 말해, 공간 내에 이루어진 공간요소, 공간을 향유하는 사용자 등의 집합체에 의하여지속적으로 변화하는 4차원적 공간으로 바뀌어야만 한다. 링크(Link) 공간은 복수의 공간을 연결하는 전이적 공간으로써 역동적인 현대 공간 변화 양상에 부합하여 작용한다. 따라서 링크 공간은 체험자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역동성의 개념을 가지고 디자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착성과 역동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사례 연구를 통해 역동적 공간의현대적 양상을 다루어 보고, 이후 링크 공간이 지닌 의미와 결부시켜 새로운 역동적 링크 공간을 정의함에 있다. 또한, 더욱 다양화된 공간과 공간 연결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이를 점유하고 행동하는 사람들의 체험적 다양성을 부여하여 능동적, 복합적으로공간 자체의 생명력을 불어넣는 유연한 공간 형태를 창출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줌에 목적을 둔다. 다시 말해서, 공간의 역동적 추세를 링크 공간의 연결성, 상호작용성과 대입하여 환경적, 인적, 지리적 요소 등의 관계에 스스로 반응하며 움직이는 인터랙티브 연결 공간의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첫째, 일반적 공간의 고착성과 역동성에 대한 이론적 개념과 공간 조형적 특징을 도출하여 현대의 시대적 변화 양상을 살펴본다. 둘째, 링크 공간이라는 구체적 공간의 문헌 조사를 확립한 뒤 분석한 링크 공간의 특성을 바탕으로 수학적 방정식을 활용하여 링크 공간의 유형을 도식화한다. 그리고 유형 분류에 따른 전반적인 사례를 분석한다. 셋째, 링크 공간과 역동성의 개념을 대입하여 두 특성 간 관계성을 도출하고. 역동적 링크 공간의 새로운 개념을 위해 진행했던 도식화 유형과 상응하는 사례 분석을 통해 역동적 링크 공간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결과) 역동성 개념을 대입한 각 링크 공간 유형은 구조, 기능, 유희성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역동성이 표현되었으며, 이들은 각 수동적, 능동적 역동과 소극적, 적극적 상호작용 정도로 분류하여 나타났다. (결론) 역동적 링크 공간의 유형으로부터 장소와 기능에 적합한 방식을 사용할 수 있는 실용 가치를 확립하였다. 또한 공간의 형태적 특성에 따른 역동적 외관만을 차용함에 있어 한계점을지적하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써 공간 자체에 생명력을 불어넣어 주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스스로 움직이며 지속적으로적응하고 변화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링크 공간의 이동성이 크고 가변적인 특성과 역동적 공간을 결부시켜 이동공간으로써의 단일 목적을 지나 의미와 가치를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고찰하는 현대의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 의의를 둔다.

      • KCI등재
      • 홀로세 중 한국의 식생사

        강우석 한국제4기학회 1994 제사기학회지 Vol.8 No.1

        The vegetational and environmental history of Korea during the Holocene period has reconstructed by the use of folral, palaeoclimatogical, archaeological data and written records. From 10,000 to 6,700 yeat B.P. in mid-eastern Korea, deciduous broadieaved trees gradually increased trees, notably at c.8,000 years B.P. From 6,700 to 4,500 years B.P., the vegetation remained dominated by Quercus and pinus(Diploxylon). Vegetational informations suggest the postglacial hypsithermal from c.8,000 to 4,500 years b.p. After 4,500 until 1,400 years B.P., the admixture of cryophilous trees in midland and thermophilous trees in south seems to imply the latitudinal divisions of vegetation and climate. The presence of cultivated rice pollen as well as non-arboreal pollen and spores indicates an increased rate of deforestation. From 1,400 years B.P., there was a sharp decrease in the representation of temperate trees, but the presence of the cryophilous genera Abies and pinus (Haploxylon) is noticea-ble and might be related to the occurrence of Little Ice Age. Fossil pollen diagram from western Korea and eastern Korea since 6,250 and 10,000 yeats B.P., respectively have enabled to compare vegetational dis-tribution patterns and changes in the Holocene period. In western Korea, Alnus- dominated vegetation continued from 6,250 to 1,500 years B.P., but pinus took over Alnus from 1,500 years B.P. In eastern Korea, however, Quercus and pinus dominated from 10,000 to 2,000 years B.P., but pinus be-came predominant from 2,000 years B.P. On a time- spatial basis, different vegetational distribution pattern can be recognised between western and east-ern Korea. The use of seven historical records which is unique to Korea also enabled to reconstruct the distributional pattern and temporal change of vegetation from 1425 to 1928. 홀로세 동안의 한반도 식생사와 환경변천사를 고식물상, 고기후, 고고학 고문헌등 다 양한 자료를 활용하여 복원하였다. 10,000년 전부터 6,700년전까지 중부 동해안 지방에는 온 대성 낙엽 활엽수가 점차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서늘한 기후를 선호하는 나무들은 8,000 년 전을 기점으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6,700년 전부터 4,500년 전에는 비교적 온난한 기후를 반영하는 참나무류와 잎이 2개인 소나무류등이 번성하여 약 8,000년전부터 4,500년전까지가 후빙기에 들어서 가장 따뜻했던 시기로 추측된다, 4,500년 전부터 1,400년 전까지 중부지방 에는 서늘한 기후를 선호하는 식물들이 그리고 남부 지방에는 온난한 기후를 좋아하는 식물 들이 각각 분포하여 식생과 기후의 남북차가 뚜렷했음을 알수 있다. 재배되는 벼의 화분과 초본식물의 꽃가루 및 포자의 출현은 인위적인 삼림 파괴가 커져감을 나타낸다. 1,400년 전 부터는 온대성 나무들이 급격히 감소하는 반면 서늘한 기후를 선호하는 전나무속이나 잎이 5개인 소나무 등이 출현하여 기후가 한랭해졌음을 나타내며 이는 아마도 소빙기의 출현과도 연관되어 있을것으로 본다. 한반도 중부 이남지방의 서해안과 동해안의 식생을 시, 공간적 측면에서 복원한 후 비교 검토하였다, 한반도 서해안의 경우 6,250년 전부터 1,500년 전까지 오리나무속이 우점하는 식생이 지속되었으나 1,500년 전부터는 소나무속이 이를 대치하였다 반면에 동해안에서는 10,000년 전에서 2,000년 전까지 참나무속과 소나무속이 주로 분포하여 으나 2,000년전부터는 소나무속이 우점하였다, 1425년 이래 기록된 고문헌들을 활용하여 역 사 시대 동안의 산지 식무과 재배 식물의 분포역 그리고 분포의 시대적 변천과정을 파악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