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안교육의 사상적 기반으로서 이찬갑의 교육사상에 대한 연구

        강영택 한국교육개발원 2010 한국교육 Vol.37 No.4

        This study is on the educational thoughts of Lee Chan Gap, founder of the Poolmoo School. Lee, a graduate of Osan School, had been significantly influenced by Yi Sung Hun, Grundtvig, and Kim Gyo Shin. He believed "awakening" to be an educational aim and emphasized common people as educational objects who had not been given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a long time. He also thought that teaching language and history was the most important task of schooling. A village, he believed, can be a place of schooling and it can be improved through schooling. These ideas were implemented by the Poolmoo School, and are now being carried out there. Lee's educational thoughts have been an important educational basis of alternative education. This study on Lee Chan Gap could contribute to establishing a new direction to overcome the confusion in our education today. 본 논문은 풀무학교의 설립자인 이찬갑의 교육사상에 대한 연구논문이다. 오산학교 출신인 이찬갑은 이승훈, 그룬트비히, 김교신의 영향을 받아 정신적 각성을 교육의 목표로 생각하였고, 오랫동안 교육으로부터 소외되어왔던 평민들을 교육의 대상으로 생각하였다. 그리고 우리 말과 역사를 가르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교육의 내용이라 생각하였다. 학교는 지역공동체와 함께 해야 한다는 신념하에 마을을 교육의 장으로, 교육을 통해 마을을 건설하는 것을 중요한 교육적 과제로 생각하였다. 이러한 그의 교육사상은 풀무학교를 통해 구현되었고, 지금도 시도되고 있다. 이찬갑의 교육사상은 우리나라 대안교육의 중요한 사상적 기반이 되었으며, 이찬갑에 대한 본 연구는 목표의 혼란으로 어려움에 처해있는 우리교육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새롭게 설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 KCI등재

        OECD가 제시한 미래역량교육에 대한 기독교적 이해의 한 시도

        강영택 기독교학문연구회 2023 신앙과 학문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ain contents of future education presented by the ‘OECD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2030’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 intends to help Christian education institutions plan and practice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the future, and furthermore, find the right direction for future education to prepare for the future for all of us living in an era of uncertainty. It seems to get a good implication on the way toward future.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in this paper, it is important to present the work of creating a frame of reference necessary to understand and analyze future education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And, using this frame of reference, we examined whether the key elements of future education presented by the OECD, such as 'student agency', 'competency' and 'transformative competencies', correspond to the Christian perspective. The results show that in many cases the explanations offered by the OECD are not very different from the Christian perspective. However, it was emphasized again that the optimistic attitude toward human beings and the individualistic tendencies that Western societies had traditionally brought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from a Christian point of view. 본 연구는 OECD의 교육 2030 프로젝트에서 제시하는 미래교육의 주요 내용들을 기독교적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을 주 내용으로 삼는다. 이 연구를 통해 본 연구자가 의도하는 바는 기독교 교육기관들이 미래를 대비하여 미래교육을 계획하고 실천하는데 도움을 받고자 하며 나아가 불확실성의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 모두에게 미래를 준비하는 미래교육의 올바른 방향을 찾아 가는데 좋은 시사점을 얻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목표를 얻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미래교육을 기독교적 관점으로 이해하고 분석하는데 필요한 준거틀을 만드는 작업을 중요하게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 준거틀을 이용하여 OECD가 제시한 미래교육의 핵심 요소인 ‘학생 행위주체성’, ‘역량‘ ’변혁적 역량‘ 등의 특징들이 기독교적 관점에 부합하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많은 경우 OECD에서 제시하는 설명들이 기독교적 관점과 크게 다르지 않음을 보여준다. 단지 서구사회가 전통적으로 가져왔던 인간에 대한 낙관적 태도라든지 개인주의적 성향 등은 기독교적 관점에서는 주의해야할 사항임을 다시 강조하였다.

      • KCI등재

        기독교학교에서 종교교육의 방안에 대한 고찰

        강영택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1 기독교교육논총 Vol.27 No.-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earch for desirable ways of religious education in Christian schools within a Korean school context. This study on the religious education was discussed in three aspects. First, I found through a historical review of religious education that Christian schools needed to respond appropriately to the institutional, legal regulatory as well as to get the inner and external recognition by operating faithfully the contents of the religious education in schools. Second, I found through a review of laws relating to religious education that it is crucial to reconcile the students’ religious freedom and the schools’ freedom of religious education. Third, I proposed, through theoretical discussion about the types of religious education, a new classification scheme, which distinguished religious education as faith education and religious education as spiritual education by considering the essential nature of education. The existing classification system includes sectarian education in religious education and liberal education in religious education. Religious education in Christian schools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school, based on the investigation in three aspects of religious education. However, regardless of the type of school, for religious education in Christian schools to become more active, religious education curriculum should be developed and more diverse, and the quality and contents of religion teacher training should be improved. Since the issue of college entrance exam tends to be an obstacle to religious education in Korea, religious education would be wither if it cannot help solve the problem of college entrance exam. Substantial religious education in Christian schools could make the existential life of individual students healthy as well as overcome the crisis of our society resulted from the loss of morality and spirituality. 본 논문은 우리나라의 학교 상황에서 기독교학교에서의 종교교육이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지 그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종교교육에 대해 세 가지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첫째, 종교교육에 대한 역사적 고찰을 통해서 기독교학교는 제도적, 법적 규제에 적절하게 대응할 뿐 아니라 내적으로 종교교육의 내용을 충실하게 운영함으로 학교 내ㆍ외적 인정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살펴보았다. 둘째, 종교교육과 관련된 법규에 대한 고찰을 통해 기독교학교에서 학생의 종교적 자유와 학교의 종교교육적 자유를 조화시키는 것이 관건임을 알 수 있다. 셋째, 종교교육의 유형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통해서는 종파교육적 종교교육과 교양교육적 종교교육으로 구분하는 기존의 분류방식에서 교육이 갖는 본질적인 성격을 고려하여 신앙교육적 종교교육과 영성교육을 위한 종교적 교육으로 구분하는 분류방식을 제안하였다. 종교교육에 대한 세 측면에서의 고찰을 토대로 기독교학교에서의 종교교육은 학교의 유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학교의 유형에 관계없이 종교교육이 기독교학교에서 보다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종교교육에 대한 교육과정이 보다 다양하게 개발되어야 하고, 종교교사 양성의 내용과 질이 향상되어야 함을 지적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입시문제는 종교교육에 대해서도 큰 걸림돌이 되기 때문에 종교교육이 입시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지 못하면 종교교육은 위축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말하였다. 기독교학교에서 내실 있는 종교교육의 실시는 학생 개인의 실존적 삶을 건강하게 할 뿐 아니라 도덕성과 영성의 상실로 맞이하고 있는 우리사회의 위기를 극복하는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