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교사들의 장애학생 고등교육 정책에 대한 인식 비교

        정동영 한국특수교육학회 2006 특수교육학연구 Vol.41 No.3

        Pre-service Teachers' Recognition about Policies of Higher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의 현행 장애학생 고등교육 정책에 대한 인식의 정도를 비교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 양성과정과 중등학교 교사 양성과정의 일반교육 예비교사와 특수교육 예비교사 179명을 대상으로 현행 장애학생 고등교육 정책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이원변량분석을 통해 전공학교과정간, 전공교육분야간 차이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예비교사들은 현행 고등교육 정책을 형평성, 적절성, 효율성, 시급성으로 순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이 중등학교 예비교사들보다, 특수교육 교사들이 일반교육 교사들보다 대체로 현행 장애학생 고등교육 정책의 형평성, 적절성, 효율성, 시급성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예비교사들은 전공학교과정과 전공교육분야에 따라 어느 정도 차이를 나타내지만, 대체로 현행 장애학생 고등교육 정책을 형평성이 높은 정책이나 그렇게 시급하지 않은 정책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주제어> 고등교육, 장애학생 고등교육, 대학입학특별전형, 장애학생차별금지, 특수교육정책, 특수교육

      • KCI등재후보

        한국의 청각장애인 진로・직업교육 변천과정 고찰

        정동영,이효자 국립특수교육원 2009 특수교육연구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hanges of process for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in since 1909 when the education for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s started in Korea. This study analyzes the policy reports and statistical data of government and the school magazines of schools for the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 institution for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of person with hearing impairments is centered on the schools for the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until late 1980s, but welfare and rehabilitation institutions started to share the its function in early 1990, and in 2000, it is extended to the institution for higher educations. Second, the contents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of people with hearings impairment are started with the subject needed for self-reliance in living in 1910s, and it had included the contents which are relevant with occupation in 1930s, and added the contents required for self-reliance in living in case of middle schools and the contents related with occupation in case of high schools in 1980s. And in late 1990s, it has changed to choose the contents according to the individual needs of students. Third, even if the method for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of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s had been started with instruction within the school boundary of schools for the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it was changed to the form of commissioned education to each companies after Korea`s 1945 liberation. Furthermore it introduced the concept of career education in late 1980s and adapted the concept of transition. Therefore we can found that the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of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s in Korea has been progressed from educating them with the contents that are required for self-reliance in living in a way of instruction on school-ground at the schools for the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to offering them contents that is related with occupation by collaboration of institution of education, rehabilitation, and welfare facilities, and so on for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s. 본 연구는 한국에서 청각장애인의 교육이 시작된 1909년부터 현재까지 이들의 진로・직업교육 변천과정을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정부의 정책자료와 통계자료 및 청각장애학교의 교지 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청각장애인의 진로・직업교육 기관은 1910년대부터 1980년대 말까지 청각장애학교들이 중심이 되었으나, 1990년대 초부터는 복지기관과 재활기관으로 확대되었고, 2000년대에는 고등교육기관에까지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청각장애인의 진로・직업교육 내용은 1910년대에 생활 자립에 필요한 내용으로 시작하여 1930년대에 직업과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였으며, 1980년대에 중학교의 경우 생활 자립에 필요한 내용을, 고등학교의 경우 직업과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는 체계를 확립하였고, 1990년대 말에 개인의 요구에 따라 내용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변천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청각장애인의 진로・직업교육 방법은 1910년대부터 학교의 교내지도로 이루어지다 광복 이후에 사업체별 위탁지도의 형태로 전환된 후 1960년대 말에 다시 교내지도로 전환되었고, 1980년대 말에 진로교육의 개념을 도입하였으며, 1990년대 말에 전환의 개념을 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한국의 청각장애인 진로・직업교육은 처음에 청각장애학교에서 생활 자립에 필요한 내용을 교내에서 지도하던 방식에서 현재는 직업과 관련된 내용을 교육기관, 재활기관, 복지기관 등이 협력하여 제공하는 방식으로 진전하였다고 할 수 있다.

      • 이동로봇의 자율주행을 위한 실시간 퍼지신경망 제어

        정동영,김종수,한성현 한국공작기계학회 2003 한국공작기계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03 No.-

        We propose a new technique for the cruise control system design of a mobile robot with three drive wheel. The proposed control scheme uses a Gaussian function as a unit function in the fuzzy neural network, and back propagation algorithm to train the fuzzy neural network controller in the framework of the specialized learning architecture. It is proposed a learning controller consisting of two neural network-fuzzy based on independent reasoning and a connection net with fixed weights to simply the neural networks-fuzzy.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controller is shown by performing the computer simulation for trajectory tracking of the speed and azimuth of a mobile robot driven by three independent wheels.

      • Rescorla-Wagner 모형을 활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개인화된 연상 서비스 방법론

        정동영,권오병 한국경영과학회 2009 한국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5

        u-공장이나 u-물류와 같은 유비쿼터스 지능공간에서의 서비스 선택 및 제공을 위해서는 자연스러운 인터페이스가 중요하다. 자연스러운 인터페이스의 실현을 위한 유력한 방법으로 증강현실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증강현실은 가상현실과 다르게 실제 환경 위에 가상객체를 증강시켜 제공해주는 기술이다. 증강현실을 이용하면 사용자에게 정보를 직관적이고 협력적으로 제공해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현재 유비쿼터스 지능공간에서 구동될 전자상거래 도메인에서 활용되는 증강현실 기술은 거의 존재하지 않으며, 있더라도 등록된 마커에 해당하는 사전 정의된 정보와 서비스를 정적으로 제공하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사용자의 동적 상황을 고려한 증강현실형 전자상거래 방법론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인지심리학 모형인 Rescorla-Wagner Model을 기반으로 한 연상 알고리즘을 개발하였으며 개인의 상황에 따라 연상된 서비스와 이미지가 증강현실을 통해 동적으로 제공되도록 하였다.

      • KCI등재

        장애학생의 지역사회 참여를 위한 전환전략 탐색

        정동영 국립특수교육원 1998 특수교육연구 Vol.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factors needed for studentsfocused plan, contextual learning, family involvement, interagency collaboration in community for the handicapped students' transition from schools to the society through investigation of the literature and then to search for the specific practical strategies for the efficient trans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evelopment of student-focused plan should focus on development of life skills, assessment and intervention, and development of support strate- gies. Transition education is not the concept which attaches great importance only to employment but the concept that includes the acquisition of functional life skills, the adjustment to the environment, needed modification, planning of the support, and preparation of the related services. To per form this process, Individual Transition Plan should be attached to Individual Educational Program for the students from the age of 14 in the united States. Second, instruction for employment and contextual learning should be taught through instruction of skills for employment, community based instruction and constructed work experience. Instruction of skills for employment demands job specific skills and general occupational skills, appropriate behavior and skills for work. Community based skills demands various skills related to occupational duty in integrated environment. Constructed work experience demands direct work experience provided by both school based activity and work based activity. Therefore schools should provide instruction for employment through the liking of schools and companies in the integrated community setting. Third, family involvement needs family empowerment and family education to make and deliver the transition plan. Accordingly, family should join the assessment of the students, program evaluation, the process of educational program delivery to facilitate self-determination, be trained for self-advocacy, support and legislation related issues and also trained to get support and cooperation from the agencies. Fourth, interagency collaboration focus on communication through discussion and participation in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and educational program. Therefore transition education demands the building of cooperative body of related agencies for policy formulation, policy implementation and service delivery. The body might be consisted of central government level transition team, municipal and provincial level transition team which is in charge of implementation of the policy, community and school level transition team which should provide services and individual level transition team. It can be concluded that transition education for the student with disabilities integration from schools to the society demands various components such as functional life skill based ITP development, employment instruction through the liking of school based activity and work based activity, contextual learning, active family involvement, and the building of the interagency collaboration body which is responsible for plan and implementation of policy and delivery of serv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