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사회적 가치지향성과 친환경 태도가 사회적경제기업의 상품 및 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 연상의 조절된 매개효과

        주소현 ( Joo So-hyun ),홍미나 ( Hong Minah ),간기현 ( Kan Kihyun ) 한국소비자학회 2024 소비자학연구 Vol.35 No.2

        본 연구는 소비자의 사회적 가치지향성 및 친환경 태도가 구매의도를 통해 사회적경제기업이 제공하는 상품 및 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사회적경제기업에 대한 소비자의 연상에 따라 사회적 가치지향성 및 친환경 태도와 구매의도 간의 관계가 조절되는지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소비자의 사회적 가치지향성과 친환경 태도는 사회적경제기업의 상품 및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구매의도를 통해 사회적경제 소비 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관계에서 사회적 가치지향은 구매의도를 통해서 사회적경제기업의 상품 및 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직·간접효과가 유의하였으나, 친환경 태도는 구매의도를 통한 간접효과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경제기업에 대한 소비자의 연상은 소비자의 사회적 가치지향과 구매의도의 관계를 조절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사회적 가치지향성과 사회적경제기업에 대한 연상의 상호작용을 통해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는 감소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ESG 경영에 대한 기업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관심이 증가하는 추세에서 사회적경제가 추구하는 사회적 가치뿐만 아니라 친환경적 가치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높이고, 사회적경제기업의 사회적인 목적 실현과 더불어 품질이나 안전성 등에 대한 소비자 신뢰 제고를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social value orientation and environmental attitude through purchase intention, regarding their utilization of products and services provided by social economy enterprises. Furthermore, it investigated whether consumer perception towards social economy enterprises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value orientation, environmental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The result has shown that consumers' social value orientation and environmental attitude positively influence the intention to use products and services provided by social economy enterprises, thus increasing the likelihood of social economy consumption. Additionally, in this relationship, social value orientation demonstrated significant direct and indirect effects through purchase intention on the utilization of products and services offered by social economy enterprises. However, environmental attitude only showe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through purchase intention. Moreover, consumer association towards social economy enterprises was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value orientation and purchase intention. Specifically, as consumer association becomes more positive, the effect of social value orientation on purchase intention decreases. Given the increasing interest from both companies and consumers in ESG management, there should be efforts to enhance consumer awareness not only of the social values pursued by social economy but also of environmentally friendly values. This can be achieved by realizing the social purposes of products and services offered by social economy enterprises, alongside building consumer trust in aspects such as quality and safety, thereby enhancing competitiveness.

      • KCI등재

        아동의 다문화 수용성 증진을 위한 통합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조상미(Cho, Sang-Mi),전종설(Chun, Jong-Serl),남성희(Nam, Sung-Hee),간기현(Kan, Ki-Hyun),선미정(Seon, Mi-Jeong) 한국가족학회 2012 가족과 문화 Vol.24 No.4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들의 다문화 수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Kendall이 제시한 다섯 가지 다문화교육 목표를 기반으로 통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예비연구(pilot study)이다. 본 연구 목적을 위하여 다문화 가정의 아동 6명과 일반가정의 아동 6명이 매주 1시간, 6주 동안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다문화 인식, 개방성, 공감능력 점수를 살펴본 결과, 다문화 인식 점수와 다문화 개방성 점수는 프로그램 이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반면에 다문화 공감에 관련하여서는 평균점수는 향상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다문화사회로 급속도로 전환되고 있는 한국사회에서 선구적으로 다문화 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이 함께 참여하는 통합프로그램(integrated program)을 개발하고 적용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integrated group program for school-aged children from both multicultural families and non-multicultural families. This program was designed to promote children’s multicultural acceptance based on the Intercultural Sensitivity Theory and Kendall’s five primary goal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Six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6 children from non-multicultural families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once a week for six weeks.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levels of multicultural awareness, multicultural openness, and multicultural empathy were examined. Outcomes show that scores of multicultural awareness and multicultural opennes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herefore,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program which developed in this study is effective and should be applied in diverse settings where provide services for bot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non-multicultural families.

      • KCI등재
      • KCI등재

        사회복지 종사자들의 조직 다양성 인식과 경험은 어떠한가? : 포용과 배제의 경험을 중심으로

        조상미,조정화,안소영,간기현,조연지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22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관의 사회복지 종사자가 인식하는 독특한 다양성 요인과 포용과 배제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국의 지역사회복지관 종사자 20인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한 후, 주제별 분석법(Thematic analysis)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복지 종사자의 다양성 요인은 성별, 세대, 전공, 사회복지사 자격증, 출신지역, 출신학교 등 총 18가지 범주로 도출되었다. 다양성 요인에 근거한 포용과 배제 경험은 총 13가지 범주로 도출되었으며, 조직구성원의 다양성 특성에 따라 포용과 배제의 경험이 달리 나타났다. 특히, 남성 또는 지역민에 속할 경우, 고등교육을 받은 사람, 장기근속자, 사회복지학 전공자, 1급 자격증 소지자 등이 복지관의 주류로 인정받아 조직에 대한 소속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은 복지관의 조직문화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언급하였다. 이와 달리 외집단에 속하는 여성 혹은 지역 외부인, 임산부, 타학문 전공자, 2급 자격증 소지자 및 계약직 종사자는 복지관 내에서 소외감을 느끼거나, 차별과 배제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직 내에서 사회범주(인구 통계학적 특징), 정보 범주, 가치가 유사한 사람을 내집단으로, 상이한 사람을 외집단으로 범주화하려는 경향이 있고, 이러한 경향이 조직구성원들의 포용과 배제 인식에 영향을 미침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복지관 내 다양성 관리의 중요성, 포용적 조직문화 조성, 인적자원관리 측면에서 다양성 인식 시스템 확립 및 교육 확대, 다양성 특성으로 인한 차별 방지와 공정성 확보를 위한 노력, 다양한 조직 구성원들에게 맞춤형 수퍼비전 제공, 임파워먼트를 통한 조직개발 및 발전, 사회복지조직의 특수성에 근거한 인권 차원에서 의 다양성 존중 조직풍토 조성 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unique diversity factors in community welfare centers, and to understand inclusion-exclusion perceptions and experiences.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0 social welfare center workers nationwide. Thes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matic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diversity factors of social welfare workers derived into 18 categories total including gender, generation, and social worker qualification. Diversity experiences were derived into 13 categories total, and the experiences of inclusion and exclusion differed according to the diversity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al member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males or local residents, those with higher education, majors in social welfare, and those with first-class qualification were identified as being in the mainstream of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indicating a high sense of belonging to the organiza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majoring in other fields, females, holders of second-class qualification and contract workers felt alienated or experienced discrimination, unfairness, and exclusion within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This shows the tendency to classify similar people as in-groups and different people as out-groups in terms of three types of work group diversity, social category diversity, informational diversity and value diversity. Also, it was found that this tendency influences the perception of inclusion and exclusion of the organizational memb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e importance of managing diversity in community welfare welfare center be stressed, to create an inclusive organizational culture, to prevent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to secure fairness in the organization, to provide personalized supervision to employees, and to promote organizational development by empower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