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저학년 놀이학습 자료의 활용

        김성자,윤영숙 한국수학교육학회 1999 수학교육논문집 Vol.8 No.-

        필자들은 제37회 교육자료전시회(1997)와 제38회 교육자료전시회(1998)에 작품을 출품하였다. 이들 교육자료전시회에 참가하게 된 동기는 다음과 같다. 입문기 아동의 수학교육은 학습내용에 대한 흥미를 가지도록 해야 하며 구체적인 조작활동을 통하여 수량에 대한 기초적인 개념과 원리, 그리고 법칙을 바르게 이해시켜 논리적 사고력을 기르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아동들을 목표수준에서 보면 만족스럽지 못하고, 시간이 지날수록 학습결손아가 늘고 있는 현실이다. 특히 오름길 학습지를 해결할 때는 우수한 아동에게도 조작활동을 시켜보면 뜻밖에 조작 활동을 제대로 못하고 당황하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이것은 개념 형성과 개인간의 차에 관심을 둔 지도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자기능력과 수준에 맞는 학습을 하지 못하고 다음 단계로 넘어가기 때문이라 판단하였다. 이에 필자들은 교과서에 예시한 활동이나 그림 자료들을 실제로 관찰하고 조작해 볼 수 있도록 구체적인 자료로 대체하여, 수학에서 요구하는 학습지도 원리에 적합하도록 하였다. 또 교실 수업에서 야기되는 개인차에 대한 학습지도상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한편, 급우간 인간관계에 바탕을 둔 소그룹 협동 학습을 위한 자료로 수와 가감산의 원리를 쉽게 체득 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 KCI등재

        역사 교육과정에서 절차적 지식 및 역사적 기능의 구현 양상 - 2015 개정 중학교 ‘역사’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김성자 전북사학회 2016 전북사학 Vol.0 No.48

        This article analyzes how the procedural knowledge and historical skills are reflected in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of history. In addition, it suggests how to improve the curriculum document system to realize the education of the procedural knowledge and historical skills. The necessity of learning about the procedural knowledge and historical skills is stated explicitly in the 'subject competencies', 'objectives' and ‘directions of teaching & learning and evaluation', but it is not stated clearly in the ‘content structure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history’. Therefore, it is considered to create the procedural knowledge & historical skills as a separate achievement standard that distinguish content achievement standards of history.

      • KCI등재

        중학생의 역사 교과서 어휘 이해 실태 –학생의 자기 평가를 중심으로

        김성자 한국역사교육학회 2018 역사교육연구 Vol.- No.32

        This paper examines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vocabulary used in current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s. This study used a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to construct questionnaires for students to evaluate their own understanding of textbook vocabularies and analyze them using statistical programs. This paper analyzed the vocabulary used in the three “small scale” articles in the middle school second grade history textbook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vocabulary understanding between national history unit and world history unit, between learning unit and non-learning unit, the correlation between Korean language grades and history grades and understanding of vocabulary,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terms and general vocabulary that students struggle with. 이 논문은 학생의 자기 평가에 기초하여 교과서에서 사용된 어휘에 대한 이해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의 이해도 점수는 10점 만점에 평균 8.04로 다소 높게 나타났다. 국사와 세계사 단원에서의 어휘 이해도 차이를 비교한 결과, 본문의 경우 국사 단원, 사료의 경우 세계사 단원의 어휘 이해도가 높았다. 본문과 사료를 비교하면, 국사 단원에서는 본문, 세계사 단원에서는 사료의 어휘 이해도가 높았다. 이는 어휘의 난이도라는 측면에만 한정할 경우, 학생들에게 어려운 특정한 영역이 있다기 보다는 지문의 주제가 무엇이며 이를 설명하기 위해 집필자가 사용한 어휘가 무엇인가에 따라 텍스트 난이도가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학습의 측면에서 살펴보았을 때, 학습 단원의 점수가 비학습 단원에 비해 높기는 하였으나 그 차이는 0.29점으로 매우 작아, 어휘 능력의 향상이라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학습의 효과가 기대만큼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다만 ‘주요 학습 용어’의 경우, 학습 국사, 비학습 국사, 비학습 세계사 순으로 이해도 점수가 높으며, 각각의 점수 차이도 큰 것으로 볼 때, 일반어휘나 광의의 역사용어에 비해 ‘주요 학습 용어’에서 학습의 효과가 보다 크게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어휘의 종류에 따른 이해도 차이를 비교해 보면, 일반어휘, 광의의 역사용어, 협의의 역사용어 순으로 어휘 이해도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학생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것은 세계사 협의의 역사용어이며, 일반 어휘의 경우 일상 생활에서 잘 사용되지 않는 한자어에 대한 이해도 점수가 현저히 낮았다.

      • KCI등재

        컬러에너지를 활용한 단기해결 중심 상담이 알코올 의존증 환자의 병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성자 한국미술치료학회 2011 美術治療硏究 Vol.1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short version of problem-solving counseling have an positive effect on adaption for alcohol-dependent patients in long hospitalization. Most patients who were in the alcohol facility had been hospitalized by force of family or not having been adapted to hospitalization because of the loss of self and depression. A total of 13 sessions were progressed and each of them was 90 minutes. We used KHD scale (life style in a hospital) to know how the patients adapt to hospital life along with observing their behaviors. Furthermore, patients' drawing test was examined at two times (pre and post test) to get to know color-energy using. The result of this study is following: A short version of problem-solving counseling made progress for the alcohol-dependent patients to increase color energy activation. Also, increased color energy had an effect on adapting to long hospitalization, following doctor's instruction. In an initial session, the patients used color energy from short wavelength, but the energy becomes to be derived from long wavelength which means being outgoing and adapting in societ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ounseling using color energy was effective in long hospitaliz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컬러에너지를 활용한 단기해결중심 상담이 알코올 의존증 환자의 병원생활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의 OO 정신병원에 입원한 알코올 의존증 환자로 대부분 자기상실감과 우울로 병원생활에 적응을 하지 못하고 있는 환자이다. 총 13회기를 진행하였으며 회기별 90분이 소요되었다. 측정도구는 병원생활 적응정도를 살펴 보기위하여 KHD(병원생활화)와 회기별 행동관찰을 하였으며, 환자의 에너지 활력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사후 그림검사를 통해 컬러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컬러에너지를 활용한 단기해결중심 상담이 약물치료가 필요한 알코올 의존증 환자의 에너지 활력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컬러에너지를 활용한 단기해결중심 상담이 알코올 의존 환자의 병원 생활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대상자들은 치료 초기 주로 짧은 파장의 에너지인 정신 내적 심리를 많이 사용하였지만, 치료중기 스스로 건강한 자신을 만들어서 사회에 적응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면서 긴 파장의 에너지인 외향적, 행동적인 에너지로 움직였다. 이러한 에너지 이동은 주변사람들과의 관계형성은 물론 생활의 활력을 통해 병원생활에 잘 적응하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컬러에너지를 활용한 단기해결 중심 상담이 알코올 의존증 환자의 병원생활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 유아기의 조기영어교육에 관한 조사 연구

        이은상,김성자 안양대학교 人文科學硏究所 1997 人文科學硏究 Vol.5 No.1

        ABSTRACT Keeping pace with the world wide reformation for internationalization, most Korean college graduates face the chronic problem of the language barrier that they have tried to master English for about ten years at schools, where English has been taught to communicate with foreigners. It is true that we can't speak and write well enough to communicate with Americans. That is why the Government decides to instruct English at elementary schools from the year of 1997. It is shown that speaking and listening are crucial to English instruction, especially in the ages under thirteen years old in which LAD (Language Aquisition Device) is very active to get the mother tongue. Also this fact is proved and accepted generally. So it is necessary to take some measures to overcome that problem. Now Korean pre-schoolers and elementary students can learn English at their institutions, but there are the other problems happened to them. Most students at institutions are apt to be taught English without enough preparations and researches. In that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odel instruction guide which fits each level of children.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ories and references on early English education. It also performed the opinion poll about the early English education and analyzed the results about it, and the followings are the examined subjects for this pre-schoolers' English learning 1. How is the present situation of English education for them ? 2. What do teachers and parents think of early English education ? 3. What is the method for that education ? 4. What is the programs for it ? To proceed this projects, the questionnaires were sent to 105 kindergartens and lOlquestionnaires were returned. The first questions are whether each kindergarten is now teaching English or not, and what the purpose of teaching English is, and if not, what the reasons are. First, answers explain as the following : the most of them is now teaching English ; they teach English at home and at the institutions, and with private tutors for the ages of 5, 6, and 7 years old. Second, the opinions for the purpose of teaching at institutions and homes are various ". for the effectiveness of the early age learning ; for the early acquisition of the colloquial English ; for the advantage of widening the sensibility toward the world ; for the benefit of studying in advance for the elementary school.In the other side, as for the reasons against teaching English, there are different views ; of thinking much of the mother tongue rather than English ; of worrying over a wrong instruction without well-trained teachers ; of being afraid of the confusion of the language developing system with children, they contend that they are not ready to learn English. Third, as for the teaching methods, they point out the reasons ; teaching English in their school hours, by English teachers, using games, songs and dances, picture cards to provocate their interest homes. The methods are mainly plays so they can not teach English individually. At homes, parents can teach their children at their leisure time. Some say that they play English videos for children, and some let substitute teachers work with them with institution test materials. Fourth, as for the education contents at institutions, listening and speaking are mainly used in the class. For supplementary materials, audio tapes, video tapes, and picture books are employed. Meanwhile, at homes, speaking and listening are mostly used for English education : parents also take advantage of tape recorder(45,5%i), and imitating the teachers' pronunciations, and imitating the pronunciations of native speakers at language institutes. Considering the examined facts above, I would like to suggest the effective ways for pre-schoolers English education. To keep pace with glottalization education, English should be included in the kindergarten's curriculum and continue to research for better instruction for pre-schoolers. Then, it is necessary for the government to support for the kindergarten's language education because the pre-schoolers can learn more than on language at that early age. Thus, English teaching should be started from first grade at the elementary schools so that pre-schoolers may continue to learn English. It is very urgent not only to create English texts for pre-schoolers and elementary students, but also it is necessary for English teachers to have training courses.

      • KCI등재

        뉴질랜드 2022 역사 교육과정의 문서 체제와 내용 구성의 특징

        김성자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23 사회과교육연구 Vol.30 No.1

        This study analyzed the 2022 history curriculum in New Zeal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Zealand 2022 history curriculum are as follows. First of all, 2022 history curriculum introduced ‘Understand, Know, Do framework’ and ‘progressions models’ to clearly present important contents to learn and the progress of learning that students should reach. Second, substantial knowledge and procedural knowledge are balanced by presenting substantial knowledge in ‘Understand’ and ‘Know’, and procedural knowledge in ‘Do’. Third, the 2022 history curriculum was developed as a separate document from the social science curriculum, but it is clear that history is part of the social science curriculum and the goals and contents of history are linked to the social science learning area. 이 연구에서는 뉴질랜드 2022 역사 교육과정의 문서 체제와 내용 구성에 나타나는 특징을 분석하였다. 뉴질랜드 2022 역사 교육과정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해야 할 중요한 내용과 학생이 도달해야 할 학습의 진행결과를 명확하게 제시하기 위해 ‘이해하기・알기・하기 프레임’과 ‘진행 모델(progressions models)’을 도입하였다. 둘째, ‘이해하기’와 ‘알기’에서는 실질적 지식을, ‘하기’에서는 절차적 지식을 제시함으로써 실질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이 균형을 이루고 있다. 셋째, 뉴질랜드 2022 역사 교육과정은 사회과학 교육과정과 구분되는 별도의 문서로 개발되었으나, 역사는 사회과학 교육과정의 일부임을 분명히 하면서 역사의 목표 및 내용을 사회과학 학습영역과 연계하여 구성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