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재의 사회적 책무성 도구 개발 및 타당화

        동심(金東心)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아시아교육연구 Vol.1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에게 요구되는 사회적 책무성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영재의 사회적 책무성의 개념을 정립하고, 리더십, 사회환원 및 공동체 의식을 하위요소로 구성한 초기 18문항을 선정하였다. 영재교육, 교육행정 및 교육공학 전문가에 의한 내용타당도 검증을 한 후, 탐색적 요인분석을 위해 경기도의 A영재교육원 학생 89명을 대상으로 사전조사를 실시하였다. 공통요인 부하량이 낮은 1문항을 제외한 17문항을 최종 도구로 선정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위해 경기도 교육청 산하 B, C, D, E의 영재교육원 196명을 대상으로 한 본 조사에서 모델 적합도가 모두 양호하여, 최종적으로 영재의 사회적 책무성 도구가 개발되었다. 전체 신뢰도인 Cronbach의 α는 .94이고, 하위요인간의 상관분석 실시 결과, 모두 .05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도구는 영재의 사회적 책무성을 측정하기에 타당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본 연구는 영재의 사회적 책무성과 관련된 연구 및 정책 등에 활용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scale to measure social responsibility for gifted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scale. Based on the results of a literature review, 18 items are developed. These 18 items were then reviewed by six experts. For the revised-item analysis, 89 gifted students were chosen for the survey.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EFA), one items were deleted. Finally, 17 items in 3 categories were developed based on EFA.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scal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was conducted with the 196 participants. The model fit of the scale was good. In addition, the factors were correlated with each other and their reliability was good. This study therefore suggests tha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cale was appropriate. This scale can help evaluate the social responsibility for gifted students.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무동기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동심 ( Dongsim Kim ),주경희 ( Kyonghee Ju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무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고, 진로무동기가 실제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자기평가, 스트레스, 진로효능감, 진로성숙, 진로무동기, 진로미결정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2019년에 조사된 한국고용정보원의 청년패널데이터를 사용하여, 1,049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평가와 스트레스는 진로효능감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자기평가와 스트레스는 진로성숙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진로효능감과 진로성숙은 진로무동기에 영향을 미쳤다. 넷째, 진로미결정에 진로무동기는 영향을 미쳤다. 자기평가와 스트레스가 진로효능감과 진로성숙을 매개로 진로무동기에 끼치는 영향력을 확인한 결과, 완전 매개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고등교육 차원에서의 지원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ariables affecting the career amotivation of university students and to confirm the effect of career amotivation on the actual career undecided. For this purpos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valuation, stress, career efficacy, career maturity, career amotivation, and career undecided was confirmed. Using the youth panel data of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surveyed in 2019, a study was conducted with 1,049 university student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elf-evaluation and stress affect career efficacy. Second, self-evaluation and stress affect career maturity. Third, career efficacy and career maturity affect career amotivation. Fourth, career amotivation affects career undecided. Lastly, confirming the effects of self-evaluation and stress on career amotivation through career efficacy and career maturity, complete mediation was found. Based on these results, a support plan for university students at the level of higher education was proposed.

      • KCI등재

        자유학기제 운영에 따른 교육성과 변화 분석 : 진로성숙도, 인지적·정의적·사회적 핵심역량,학교만족도를 중심으로

        동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0 No.3

        2016학년도 전국 중학교에 진로교육을 강화하고, 다양한 방식의 수업을 적용한 자유학기제가 전면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중학교 자유학기제 운영의 교육성과로 진로성숙도, 인지적·정의적·사회적 핵심역량 및 학교만족도를 선정하여, 자유학기제가 운영된 한학기 동안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측정오차를 통제하여 비교하는 잠재평균분석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2016학년도 2학기에 자유학기제를 운영한 남자 중학교 1개교와 여자 중학교 1개교를 편의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사용하여 변인들 간의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모형에서 집단별로 동일성 검증 절차를 거친 후, 잠재평균을 비교하였다. 잠재평균분석 결과, 자유학기제 운영에 따라 진로성숙도, 사회적 핵심역량 및 학교만족도가 유의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상대적인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Cohen의 효과크기를 확인한 결과, 진로성숙도와 학교만족도은 중간 수준의 효과크기, 사회적 핵심역량은 작은 수준의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자유학기제 운영 방향에 대한 시사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re allowed to spend a free learning semester without tests and assessment starting in 2016. It was designed to provide middle school students with a chance to search for their future career through various kinds of job-experience activities. In the free learning semester, students only take necessary subjects like Korean, mathematics and English, and use the rest of their curriculum time for career exploration, club activities, physical training and art education. The purpose of study was to invest performance(career maturity, cognitive/affective/sociocultural core competencies, school satisfaction) of free learning semester. For this research, surveys were administered with first grade students at two middle schools. A total of 522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ult of this study, career maturity, social-core competencies, and school satisfaction were the variables that make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free learning semester. Career maturity, social-core competencies, and school satisfaction latent mean after free learning semester were higher than that before. Career maturity and school satisfaction effect size were medium, social-core competencies effect size was small. This study proposed strategies for the successful free learning semester.

      • KCI등재

        노인에 대한 청소년의 연령주의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동심(Kim, Dongsim),주현(Kim, Juhyun),주경희(Ju, Kyonghee)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0 교육과학연구 Vol.51 No.1

        본 연구는 노인에 대한 청소년의 연령주의를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고정관념, 노화, 차별의 3가지 영역으로 구성된, 22개의 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문항은 교사, 청소년, 연령주의 전문가 등의 검토를 거쳐 수정되었다. 수정된 문항을 바탕으로 중학교 2개, 고등학교 4개 학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총 772명의 학생이 참여했으며, 교차타당화를 위해 무선으로 양분하였다. 231명은 탐색적 요인분석으로, 541명은 확인적 요인분석에 활용하였다. 기초통계분석과 상관분석을 통해서 6문항을 삭제하였으며,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3요인을 확인하고, 5문항을 삭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최종 11문항에 대한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최종 문항의 전체 Cronbach’s α가 .839이고, 하위 요인 간의 상관은 모두 유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도구는 노인에 대한 청소년의 연령주의를 측정하기에 타당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개발된 도구를 활용하여 노인에 대한 청소년의 연령주의 인식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세대이해를 기반으로 한 세대통합을 도울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이 논의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geism scales for adolescents. Through the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the study addressed stereotypes, aging, and discrimination based on 22 questions. The developed questions were examined by teachers, adolescents, and ageism specialists. Based on the revised questions, a questionnaire was given to a total of 772 students at 2 middle schools and 4 high schools. Participants were divided for cross-validation.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on 231 adolescents, whil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used for 541 adolescents. Through basic statistical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6 questions were deleted. 3 factors were confirm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5 questions were delete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the final 11 questions to ensure validity. The total Cronbach"s α in the final question was .839,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b-factor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Thus, developed scales throughout this study were validated for measuring ageism of adolescents. Using this developed scale, study researchers have identified meaningful basic materials that can be used to confirm the awareness of ageism and to discuss various methods that can help different generations to understand it.

      • KCI등재

        고등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유능성, 자율성, 관계성이 진로성숙도와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 연구 : 특성화고를 중심으로

        동심 ( Dongsim Kim ),윤미현 ( Meehyun Yoon ),정을호 ( Eulho Jung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社會科學論集 Vol.51 No.1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기본심리욕구가 청소년 발달과정에 있어서 요구되는 진로성 숙도와 생활의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생활만족도와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유능성, 자율성, 관계성, 진로성숙도, 학교생활만족도와의 관계를 경기도의 A특성화 고등학교의 198명을 편의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모델링 분석을 통해 연구가설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사용의 유능성은 진로성숙도와 학교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스마트폰 사용의 자율성은 진로성숙도와 학교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스마트폰 사용의 관계성은 진로성숙도와 학교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스마트폰 사용에 있어서 유능성과 자율성이 가지는 의미를 확인하였으며, 디지털리터러시 기반의 스스로 조절된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교육에서 시사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competence, autonomy, relatedness) based on basic needs theory for the use of smartphones on career maturit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in adolescents. For this purpose,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verified, based on data collected from 157 boy and girl students of vocational high school in Kore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As a result, first, competence for the use of smartphones predicted career maturit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Second, autonomy for the use of smartphones predicted career maturit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Third, relatedness for the use of smartphones did not predict career maturit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implications regarding school education and counseling, limitations and proposals for further research.

      • KCI등재

        대학생의 경제, 교육, 미래 불평등과 계층이동에 관한 인식 탐구

        동심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3

        대학생의 경제, 교육, 미래 불평등과 계층이동에 관한 인식 탐구김 동 심** 요약: 본 연구는 대학생이 인식하는 불평등과 계층이동을 살펴보기 위해, 불평등 순환모델(OED)모형에 따라 경제, 교육, 미래 변인을 선정하고, 이들간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A대학의 학생 379명을 편의표집하였다. OED모형에 따라 경제(소득분위, 용돈, 현재 SES, 부모의 SES), 교육(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학업적 자기효능감, 온라인 자기조절학습), 미래(미래직업 성공인식, 미래SES)의 변인을 선정하고, 이들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첫째, 경제불평등은 교육불평등을 예측하지 않았다. 미래직업성공인식에는 교육불평등요인, 미래SES는 현재SES가 예측하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계층이동 가능성에 대해서는 부모세대의 SES보다 미래 본인의 SES를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세대내 이동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불평등과 계층이동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핵심어: 불평등, OED모형, 고등교육, 계층이동, 대학생 □ 접수일: 2022년 5월 27일, 수정일: 2022년 6월 10일, 게재확정일: 2022년 6월 20일* 이 논문은 한신대학교 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 한신대학교 교수(Professor, Hanshin Univ., Email: southpaw61@hs.ac.kr) Exploring the Perceptions of University Students’ Economic,Educational, Future Inequality and Class MobilityDongsim Kim Abstract: In order to examine inequality and class mobility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selected economic, educational, and future variables based inequality cycle model (OED), and confi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in detail. For this purpose, a convenience sampling of 379 students from university A was conducted. Economy (income, pocket money, present SES, parent SES), education (career self-efficacy, academic self-efficacy, online self-regulated learning), future (recognition of future job success, future SES) variables were select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was confirmed. As a result, first, the economic factors did not predict the educational factors. but all educational variables affect future job success and family SES affects future SES. Second, with regard to the possibility of class mobility, future SES was perceived more positively than current SES. Also, the movement within generations was perceived positively. Based on the above results, implications are presented. Key Words: Inequality, OED, Higher Education, Class Mobility, University Student

      • KCI등재

        중고생과 대학생의 노인 인식

        동심,주현,주경희 한국청소년학회 2020 청소년학연구 Vol.27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perceptions of the elderly b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college students. We surveyed 797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500 college students who collected convenience sampling on the age of perception and image of elderly peopl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age perceived as elderly was 69.57 years, that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as 68.33 years, and that of college students was 71.53 years, a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mage of the elderly, the elderly were recognized as slow, stubborn, and conservative. Also, the difference in perceptions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college students was significant.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erceive a more positive image than college students, and college students perceive more negatively th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ird,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factors that predict the image of the elderly, it was confirmed that the level of opportunity to speak to the elderly is important, not the grandparents' experience. Based on the above results, we proposed that the method for promoting positive aged perception. 본 연구는 세대통합의 기초자료로서 중고생과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고, 노인 이미지를 예측하는 요인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 노인에 대한 인식은 노인 추정연령과 이미지로 살펴보았다. 중고생 797명과 대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노인 추정연령, 노인 이미지에 대한 중고생과 대학생의 차이를 t검정을 통해 분석하고, 단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노인 이미지에 대한 예측변인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생과 대학생이 인식하는 평균 노인 추정연령은 69.57세이며, 중고생 68.33세, 대학생 71.53세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노인 이미지를 살펴본 결과, 대표적으로 느리고, 고집스럽고, 보수적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중고생과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노인 긍정이미지에 대해 중고생이 대학생에 비해 더 긍정적으로, 부정이미지에 대해 대학생이 중고생보다 더 부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노인 이미지를 예측하는 변인을 확인한 결과, 조부모의 동거 경험이나 접촉정도 보다는 노인 자체에 대해 이야기 기회 정도가 중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중고생과 대학생이 노인의 긍정적 인식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모체 및 태아의 혈청Cholesterol의 양적차이에 대하여

        동심(DS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6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0 No.11

        The following results obtained by analyzing the total serum cholestrol and cholesterol ester level of the arbitrary selcted ten cases of normal non-pregnant women, another ten cases of normal pregnant women and twenty five cases of near term prognant women, ranging 20 to 30 year old. 1) The total serum cholesterol and the cholesterol ester level of the normal Korean women were 154.2mgdl+-15.5 and 98.2mg./dl 18.2 (63.7%) respectively, and revealed slight lower value compared with that of European women. 2) Comparing the total serum cholesterol level of both non-pregnant and pregnant women. the latter was higher than that of the former, but no difference was noted in the percentafe of cholesterol ester to the total serum cholesterol level. 3) Measuring the serum cholesterol lovel of 20 cases of mother and fetus after delivery by modified Carr`s method the level of mother was almost 3 times that of fetus, and no difference was noted in the percentage of cholesterol ester, but the percentage was little higher than that of non-pergnant women. 4)Comparing the total serum cholesterol of both male and female neonatal babies, amounting 20 case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5) The total serum cholesterol level of mother and fetus in case of twin delivery,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as in normal single delivery but the recentage of the cholesterol ester of the fetus was higher than that of mother.

      • KCI등재

        에코세대와 Z세대의 사회참여 비교 연구

        동심,한상윤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social participation of young people by dividing them into eco-generation and Z-generation. For this purpose, credentialism, political efficacy, happiness, and social participation were selected as variables and integrated verification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conducted. The data of the 2018 Youth Social and Economic Survey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were analyzed by 2,494 young people (1,880 Eco-generations and 614 Z-gener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redentialism, political efficacy and happiness of young generation throughout the eco generation and the Z-gener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participation. Second, the eco generation and the Z-generation. did not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redentialism, happiness, and social participation, but the political efficac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co generation than in the Z-generat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the intervention of youth policy and the design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curriculum are suggested. 본 연구는 청년을 에코세대와 Z세대로 구분하여 이들의 사회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검증하는 데 목적이있다. 이를 위해 학벌주의 인식, 정치효능감, 행복 및 사회참여를 변인으로 선정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한 통합적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자료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18년도 청년사회·경제실태조사 자료로, 청년 2,494명(에코세대 1,880명, Z세대는 614명)을 연구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에코세대와 Z세대를통틀어 청년세대의 학벌주의 인식, 정치효능감 및 행복은 사회참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에코세대와 Z세대는 학벌주의 인식, 행복, 사회참여에는 유의한 차이를 가지고 있지 않으나, 정치효능감은 에코세대가Z세대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청년 대상 정책의 개입 방안 및 정규 교육과정설계에 있어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에코세대와 Z세대 대학생의 취업환경 및 직업에 대한 인식 비교

        동심,주경희,주현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5

        In recent, the youth unemployment problem has been dealt with as a very serious national iss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mployment environment and occupational perception of eco-generation and Z-generation student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irection of youth unemployment policy.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s' Youth Panel Data selected total 1, 577 university students (670 Echo generation in 2007, 907 Z generation in 2016).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Eco-generation cited the lack of individual ability and high expectation as the main cause of the youth employment problem, while the Z-generation showed a referring to the lack of job creation in the enterprise. In addition, two generations the most commonly demand job-related experience as a youth support policy. Second, Z-generation students had a higher percentage of without the desired job than Eco-generation. As generation changed, the ratio of hopes for large enterprises decreased, while that of public institutions increased. The value of choosing a job was changing with generation. Echo generation was important about job stability, achievement, and economic compensation, while Z-generation mentioned the importance of job selection in the order of achievement, economic compensation, and job stabilit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direction of differentiated youth employment policy like Government-University cooperation and individual life culture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in the employment environment and occupational perception of the eco-generation and Z-generation. 최근 청년실업 문제는 국가차원의 매우 심각한 문제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실업정책방향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에코세대와 Z세대 대학생의 취업환경과 직업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청년패널데이터의 총 1,577명을 대상(2007년 에코세대 대학생 670명, 2016년 Z세대 대학생 907명)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청년취업문제의 주요 원인으로 에코세대는 개인의 능력부족과 눈높이를 언급하였으나, Z세대는 기업의 일자리 창출 부족을 언급하였다. 또한 두 세대는 공통적으로 청년지원정책으로 실제적인 직무관련 경험을 쌓을 수 있는 정책을 요구하였다. 둘째, Z세대가 에코세대에 비해 희망직업이 없는 학생비율이 높았다. 세대가 변화함에 따라서, 대기업 희망비율은 감소하고, 공공기관 희망비율은 증가하였다. 직업선택의 중요가치도 변화하였다. 에코세대는 직업안정, 성취, 경제적 보상 순이었다면, Z세대는 성취, 경제적 보상, 직업안정 순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에코세대와 Z세대의 취업환경 및 직업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 맞게 정부-대학간 협력, 개인 삶 존중문화 등과 같은 차별적 청년취업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