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체험형 전시와 Tangible User Interface(TUI) - 인터랙티브 디스플레이 미디어의 수용자 형태 태도를 중심으로 -

        신은경,오영재 한국영상학회 2016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4 No.4

        디지털 미디어의 발달에 힘입어 오늘날은 여러 미디어들이 서로 통합되는 ‘미디어 컨버전스(Media Convergence)'의 시대로 접어들게 되었다. 이러한 미디어 환경에서 여러 미디어 플랫폼을 자유롭게 넘나드는 융합적 형태의 미디어에 대한 새로운 해석 방식으로 등장한 실감 미디어(Tangible Media)는 인간의 오감 인식 기술과 접목되어 차세대 영상 미디어로 각광을 받고 있다. 시각적 측면뿐만 아니라 실제 대상을 만지는 듯한 촉각적 체험을 가능케 하는 실감 미디어는‘Tangible User Interface(실감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하 TUI)'와 조우하면서 미래의 혁신기술로 평가되고 있으며 그 활용 방식에 있어서도 많은 변화를 겪고 있다. 1990년대 초를 기점으로 지속적으로 발전해 온 TUI는 단순히 평면 스크린 안에서 대상을 제어하던 시대를 지나 수용자가 여러 형태의 실감형 미디어를 통해 전달되는 갖가지 디지털 신호를 인지하며 이를 원하는 방향으로 조작할 수 있는 단계에 이르렀다. 이러한 현 시점에서 향후 TUI의 효과적인 적용과 이의 추가적인 개발과 발전을 위하여 이를 체험하는 수용자들이 인터페이스의 외적 형태나 사용 동선에 대하여 어떠한 태도를 취하는지를 파악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유용한 연구가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오늘날의 발전된 미디어 기술 환경에서 직접적인 콘텐츠 체험 도구로서 TUI를 사용하는 수용자들의 태도가 어떻게 형성되는지 파악하기 위한 연구목적으로 분석연구를 진행하였다. 각 각의 미디어에 대하여 그 외적 형태와 전달 방식을 달리하고 있는 TUI의 수용자 태도 연구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최근의 체험형 전시장을 대상으로 하여 기존의 TUI 매체들을 조작 방식별로 분류하고 그 사례들에 대하여 면밀하게 조사 분석하였다. 이후 경험론에 근거한 수용자 경험 속성을 바탕으로 분류된 TUI의 태도 항목들을 설정하여 체험형 전시장에서의 TUI에 대한 수용자들의 체험 반응에 대하여 설문연구를 통해 분석, 고찰하였다. The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is such that it can serve as a platform for all types of media. Hence, the transference of media is now possible, leading to the phenomenon of ‘media convergence'. Tangible media, which was appeared as a new interpretive method pertaining to media in an integrated form among all media in the current environment, is in the limelight as the images and media of the next generation. Tangible media, which offers tangible experiences such as the touching of objects in addition to visual experiences, is undergoing many changes with regard to its application methods. It is also considered to be a renovation technique of the future. TUIs, which have been growing consistently, started in the early 1990s. They allow users to recognize several digital media signals and control the directions of the signals through tangible media in several forms, as compared to the generation of users which controlled digital signals on only flat screens. At this point, an understanding of audience attitudes with regard to the external form and flow when experiencing the interface will be meaningful research for developing effective applications and for the additional development of TU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audience attitudes with regard to TUIs and to understand how they can become a new method of experience in the currently developed technical environment. In this study, existing TUI types of media are classified as an operation system targeting the latest hands-on exhibitions, and examples are analyzed carefully with regard to audience attitudes toward TUIs given their different means of delivery. We then establish attitude categories for TUIs based on the audience experience attributes.

      • KCI등재

        장애인의 생활기능과 사회적 장벽이 낙인감에 미치는 영향 : WHODAS-Ⅱ활용

        신은경,탁순자,신형익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4 Crisisonomy Vol.10 No.3

        본 연구는 WHO의 ICF를 기반으로 제정된 WHODAS-Ⅱ를 활용하여 장애인의 생활기능과 사회적 장벽이 장애인 낙인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주요변수로는 장애인의 생활기능에 해당하는 이해와 의사소통, 돌아다니기, 자기관리, 타인과 어울리기, 일상생활, 사회활동참여와 환경요인에 해당하는 사회적 장벽, 즉 장애인들이 지역사회에서 경험하는 사회 환경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고, 인구사회학적 특성 가운데 연령, 성별, 장애등급, 손상기간을 통제변수로 하여, 종속변수인 장애인의 낙인감과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조사대상은 전국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의 외부신체기능장애인 421명이고, 연구방법은 주요변수의 특성파악을 위해 기술분석과 pearson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장애인 낙인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검증을 위해서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인의 낙인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통제변수 중에서 연령이었으며, 생활기능 중 이해와 의사소통은 감각장애인의 낙인감에, 타인과 어울리기는 신체장애인의 낙인감에, 일상생활은 감각장애인과 외부신체기능 장애인의 낙인감에, 사회활동참여는 외부신체기능장애인과 신체장애인의 낙인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로, 장애인이 사회적 위기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낙인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요인과 환경요인을 모두 포괄하는 정책적, 실천적 방안모색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functioning and social barriers of the disabled on perceived stigma using WHODAS-Ⅱas an assessment instrument based on ICF by WHO. In individual perspective, functioning of the disabled-understanding and communicating, moving and getting around, self-care, getting along, life activities, and participation-was regarded as independent variables. For another independent variable, in environmental perspective, there was the social environment for the disabled to experience in their community. Having control over characteristics of socio-demographic and impairment related information,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dependent variables on perceived stigma of the disabled as a dependent variable. 421 persons with external body functioning disability over 18 selected as subjects of this study. As for method of research, descriptive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and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on perceived stigma of persons with external body functioning disability.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As a result of examining, functioning such as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ng had an influence on perceived stigma of persons with sensory disorder, functioning such as get along had an influence on perceived stigma of the physically disabled. Also life activities affected perceived stigma of persons with sensory disorder and of persons with external body functioning disability, and participation affected perceived stigma of persons with external body functioning disability and of the physically disabled. In accordance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trategies of policy and practice in social welfare for the disabled can be suggested to include all that factors, between individual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decreasing perceived stigma

      • KCI등재

        시민사회 발전과 장애인 인권: 아시아태평양 장애인 10년 행동계획을 중심으로

        신은경,이익섭 한국동북아학회 2009 한국동북아논총 Vol.14 No.3

        The issue of the human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has changed from awareness to action, Recently,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he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was legislated and have held effective fulfillment.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d the contents and implications of the Agenda for Action of the Decade of Asian and Pacific Decade of Disabled Persons. And this paper aimed to examine persons with disabilities' recognition and experiences of the discrimination factor - public awareness, accessability and communication, education, training and employ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he parents of mental retardation and autism. The Focus Group Study and In-depth Interview exercised for contents analysis. This study found that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discrimination takes very serious complexion for all that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he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was legislated. The negative public awareness against persons with disabilities has prevailed, therefore, we have need of the systematic training for understanding disability. There are also lots of limitations and restrictions of the accessability and communication. These results in the discriminations of education, employment, culture and leisure activities. And for the prohibition of education, training and employment, we have to approach by the social policy. Finally we have to deliberate device for effective fulfillment of "the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장애인 인권에 관한 문제를 인식에서 실천으로 촉구하고, 『장애인 권리협약』과 『장애인 차별금지법』이 국제협약과 국내법으로 효력을 발휘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흘렀다. 장애인의 인권문제는 타 인권운동과 같이 시민사회의 발전과 함께 한다는 범사회적 보편성을 가지고, 동시에 장애문제라는 자체의 고유성을 지닌다. 본 연구는 국제협약과 국내법이 동시에 적용되는 현 시점에서, 장애인 인권문헌에 영향을 미친 “아시아태평양 장애인 10년 행동계획” 의 내용과 의의를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아시아태평양 장애인 10년 행동계획”과 『장애인 차별금지법』에서 공통적으로 언급하는 문제영역-이해증진, 접근성과 의사소통, 교육, 훈련 및 고용 영역-에 대한 국내 장애인이 경험하는 차별에 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장애인 당사자 및 그 부모를 대상으로 한 초점집단 연구(Focus Group Study)와 심층면접(In-depth Interview)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해 본 결과, 장애인 차별의 상황들은 여전히 심각했다. 장애인에 대한 비장애인들의 편견은 다양한 매체를 통해 사회에 만연되어 있었고, 체계화된 인식개선교육의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접근성은 제한이 많았으며, 정보접근과 의사소통을 지원하는 체계의 제약으로 교육, 고용, 문화여가활동에 차별을 경험하고 있었다. 또한 교육과 훈련 및 고용영역은 차별금지를 위해서 국가적 차원의 지원과 거시적 접근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장애인이 인식하는 차별을 줄여나가기 위해서는 『장애인 차별금지법』이 실효성을 가질 수 있도록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장애인의 일상생활 · 취업준비 · 일자리에서 지각된 차별경험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신은경,곽지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5 장애와 고용 Vol.25 No.3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actual conditions of perceived disability discrimination and its influence factors. In order to understand the perceived disability discrimination in daily living, job search, and workplace, this study examined relevant variables from the 6th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2013). The study used the 6th year(2013) data by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applying 4,161 cases, as with dependent variables, job seekers 3,385 cases and the employed 1,707 cases for this analysis. The descriptive analysis, Chi-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were conducted to examine using SPSS 21.0. The results suggested that age, gender, marital status, degree of disability, health conditions, level of English proficiency, interpersonal skills, and the state of employment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he probability of the experience of the perceived disability discrimination. In case of the job search, marital status, degree of disability, level of English proficiency, and interpersonal skills were found as significant variables. In workplace, age, degree of disability, level of English proficiency, and interpersonal skills were significantly affecting factors. Based on these finding, it was confirmed that Human capital affected the perceived disability discrimination in daily living, job search, and workplace. In addition,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evere realities of the multiple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with disabilities and the unemployed.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당사자의 지각된 차별경험의 실태와 그 영향요인에 관하여 고찰하는 것이다. 특히 장애인의 일상생활, 취업준비, 일자리에서 지각된 차별경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분석 자료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서 구축한 6차년도 장애인고용패널조사의 응답자인 4,161명이었으며, 종속변수에 따라 비취업자3,385명, 취업자 1,707명으로 나뉘어 분석하였다. 주요변수는 일상생활, 취업준비, 일자리에 따른 지각된 차별경험과 장애인의 인구사회학적요인, 장애관련요인, 인적자본요인이었으며, 분석방법은 기술통계와 Chi-square 검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일상생활 차별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연령, 성별, 배우자의 유무, 장애정도, 건강상태, 영어능력, 대인관계능력, 취업유무인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준비시의 차별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배우자의 유무, 장애정도, 영어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자리에서의 차별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연령, 장애정도, 영어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장애인의 일상생활, 취업준비, 일자리에서의 지각된 차별경험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인적자본의 영향을 고찰하였다는 점과 특히 장애여성과 같이 다중차별에 처하여 있거나 비취업장애인에게 심각한 차별경험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국내 성인대상 무형식학습 연구 동향: 1997~2017년 국내 학술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신은경,김선화,현영섭 한국인력개발학회 2018 HRD연구 Vol.20 No.1

        Informal learning itself was a learning method also it was used in formal and nonformal education intentionally and unintentionally. And with emphasizing knowledge-creating and sharing in organizations, the importance of informal learning had been increased. According to this trend many researchers in HRD had explored the constructs, facilitators, and consequences of informal learning. As long as the various studies about informal learning were published, it had been difficult to identify a big picture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So we investigated the research trends of informal learning in the field of HRD and lifelong education in Korea. We constructed a frameworks for trends analyses based on theoretical reviews. And 120 articles published in 45 Korean journal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our frameworks which contained characteristics of articles, research methods & topics, etc. We performed frequency analysis and social network analysis for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s. The results wore in the followings: First, many articles used the definitions of informal learning focused on intention, planning, self-directedness and interaction with others. And workplace learning and HRD were a main field in which a lot of studies about informal learning had been published. Second, many studies collected research data from 20-40 and 40-60 year old workers. Third, main topics of the studies were the practices of informal learning, results of informal learning and learning transfer.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무형식학습은 그 자체로서 또는 형식교육이나 비형식교육과 연계하여 성인의 주요지식획득 방법으로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그만큼 무형식학습에 대한 HRD 및 성인교육분야의 관심도 커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무형식학습을 다룬 국내 학술지 게재논문을 수집하여 무형식학습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분석대상논문을 수집하기 위하여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DB를 활용하였다. 최종적으로 45개 학술지에서 수집된 120개 논문이 분석에 활용되었다. 그리고 이론적 검토를 통하여도출된 연구물 특성, 연구방법, 연구내용 등의 분석영역으로 분석틀을 마련하였다. 분석틀에 따라 빈도분석과 사회연결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10년 동안 무형식학습 연구가 크게 증가하였으며, 의도성, 계획성, 자기주도성, 타인과 상호작용의 관점에서 무형식학습을 정의하는 경향이 강하였다. 또한 일터학습 또는 인적자원개발 관련 연구가 증가 추세를 이끌었다. 둘째, 연구대상은 성인전기와 중기가 대부분이었고, 직장인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다수였다. 셋째, 주요 연구주제는 무형식학습의 방법, 무형식학습의 결과, 학습전이였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논의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외국인 학부생을 대상으로 한 토픽(TOPIK) 쓰기 수업 사례 연구

        신은경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인문과학연구 Vol.0 No.60

        본 연구는 토픽 작문 쓰기를 중심으로 읽기, 말하기 그리고 번역하기를 연계해 통합 교육한 사례 연구이며, 좀더 나은 수업 개선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강의계획서, 쓰기자료, 학생 기초조사 자료, 학습자 만족도 조사자료, 인터뷰, 수업 녹화, 수업 모니터링 자가진단표를 연구 자료로 삼았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토픽쓰기(53번, 54번)를 중심으로 읽기, 말하기를 연계하여 가르친 통합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읽기 번역자료 공유화를 목적으로 실시한 번역하기 활동에 대해 학생들은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하지만 교수자가 학습자의 모어가 원활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루어진 번역하기 즉, B(목표어)→A(모국어) 방식은 교수자가 학습자의 쓰기오류를 수정해 줄 수 없어 A→B방식 또는 B→A→B 방식으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더불어 학습자 만족도 조사, 학습자들이 제시한 수업 개선안, 강의평가 결과 및 12주동안 실시한 교수자의 자가진단표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좀더 나은 수업이 되도록 개선해 나갈 것이다. This paper is a case study on integrated education of reading, speaking and translating focused on TOPIK Writing, and the purpose is to make improvement on the course. Course syllabus, writing materials, basic survey data of students, satisfaction data of learners, interview, recording of lectures, and self-diagnosed course checklist were used as study data. According to the results, students showed high satisfaction about integrated education that taught reading and speaking in relation to TOPIK Writing (Items 53 and 54). In addition, showed positive responses to the translation activity, which was a part of the efforts to share reading translation data. However, there was a room for improvement to the A → B or B→A→B method because the B(target language) → A(native language) method implemented when instructors had low proficiency in the native language of learners did not allow instructors to correct writing errors of learners. Furthermore, the course can be improved based on the results of satisfaction survey on learners, directions for improvement suggested by learners, lecture evaluations and self-diagnosed lecture checklist of instructors analyzed for 12 week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유아발레교육 프로그램 개발

        신은경,탁지현,이지혜 한국무용교육학회 2019 韓國舞踊敎育學會誌 Vol.30 No.2

        With today’s enhanced importance of arts education based on humanistic thinking ability and creativity, there are constant needs of development of integrated educational program improving imagination, creativity, expression capacity and power of delivery.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integrated pre-ballet program based on diverse forms and content of children’s stories capable of inspiring preschool children aged 6-7, attracting their attention and arousing their interests. For the purpose of this, the present program intended to consider developmental features of children and educate in connection with their real life, in order to encourage children to have an open mind and stimulate their curiosity and inquiring mind based on the motif of fanciful, lyrical and didactic features of children’s stories imbued with innocence of children. First, the purpose of this program lies in encouraging children to experience the land of children’s stories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through dancing, after considering thre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implications of ‘space’, ‘encounter’ and ‘hope’ based on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by means of children’s story, and constituting the areas of writing (movement and composition), speaking (creation and expression) and reading (presentation and appreciation) with body. Second, teaching-learning plan is composed of 14 sessions and is conducted in order of 1) warming up – expressing with body, 2) understanding the children’s stories, 3) experience– expressing through dance, 4) performance– explaining and 5) communication. In other words, this program contributes to giving children spirit of challenge and courage towards a new future, by writing with body in the space, communicating with friends while talking about their feelings and ideas, making a presentation of dance based on a newly created story and giving them some reflective time.

      • KCI등재

        척수손상 장애인의 사회참여에 관한 자아 효능감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검증

        신은경,이익섭,이한나 한국건강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3 No.3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family function on the spinal cord injuries' social participa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mail and telephone survey nationally. Data from 427 spinal cord injuries was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sobel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model fitness shows reasonable fit(TLI: .839, CFI: .943, RMSEA: .066). Second, Family function of the spinal cord injuries statistically significant affects self-efficacy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Third, Perceived social support have a mediating effect between family function and social participation. Fourth, Perceived social support have an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This findings suggest that social work service should give micro and macro intervention all at once. As it is, in order to increase the spinal cord injuries' social participation should support psycho-social intervention, and should develop substantial support system. Through further researches, we should verify interrelated relevance among various factors for the discussion in the context of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척수손상 장애인의 사회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가족기능, 자아효능감,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전국의 척수손상 장애인 427명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의 분석 과정은 기술통계분석과 연구모형검증, 그리고 매개효과 검증의 과정을 거쳤다. 연구모형의 검증을 위해서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분석방법으로 사용하였으며 매개효과 검증은 Sobel test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의 모형 적합도는 괜찮은 적합도(reasonable fit)로 나타났다(TLI: .918, CFI: .943, RMSEA: .068). 변수간의 관련성은 가족기능은 자아효능감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며, 지각된 사회적 지지를 매개로 사회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지각된 사회적 지지는 자아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척수손상 장애인의 사회참여를 고취시키기 위한 사회 심리적 개입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것이며, 사회적 지지체계의 마련에 있어서 미시적인 방법과 거시적인 접근방법을 동시에 사용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좀 더 다양한 사회참여의 영향요인을 검증하도록 후속연구에 관한 제언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