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이드로젤 속 산-염기 반응을 이용한 느린 확산의 시각화 실험 개발

        하늘,양성호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22 현장과학교육 Vol.16 No.4

        Three kinds of school experiments have been developed using slow diffusion in a hydrogel and color change of indicators in the acid-base reaction.The counter ion in the solution diffused into a hydrogel containing an ion and indicator. The diffusion distance increased as a function of the ion concentration and diffusion rate decreased as the diffusion proceeded. Fick’s law was simply visualized through these phenomena. In the experiment exchanging acid and base in the medium,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hydrogen ion diffused fast than hydroxide ion, which indicates that hydrodynamic radius of hydrogen ion is smaller than that of hydroxide ion. In addition, a color change of various indicators was spatially visualized in a hydrogel, which is beneficial to understand continuous color change of indicators. 하이드로젤 내에서의 느린 확산과 산-염기 반응에 따른 지시약의 색 변화를 이용하여 세 가지 학교 실험을 개발하였다. 한 이온 물질과 지시약을 포함하고 있는 하이드로젤로 반대되는 이온을 확산시켰다. 수용액 속 이온의 농도가 높을수록 확산 거리가 증가하였고 확산이 진행됨에 따라 확산 속도는 감소하였다. 이를 통하여 픽의 법칙을 시각적으로 간단하게 보여주었다. 매질의 산과 염기 순서를 뒤바꿔보는 실험을 통해 수소 이온이 수산화 이온보다 빠르게 확산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수소 이온의 수화 반지름이 수산화 이온의 수화 반지름보다 작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지시약의 색 변화를 하이드로젤에 공간적으로 나타냄으로써, 지시약의 연속적 변색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조선시대 한성부 所志 題辭에 기재된 千字文 字號와 六房의 업무 분담

        하늘(Park, Ha-neul) 한국학중앙연구원 2020 장서각 Vol.0 No.43

        지방 관부의 제사와 달리 한성부에 제출된 입안신청 소지의 제사에는 천자문 자호 天, 地, 玄, 黃, 宇, 宙 중 한 글자가 기재되었다. 그런데 이 천자문 자호의 의미에 대해서는 이전까지 언급되거나 연구된 바가 없었다. 따라서 본고는 16세기에서 18세기 사이 한성부에 제출된 소지의 제사에 기재된 천자문 자호의 의미를 규명하는 데 의의를 두었다. 한성부 입안신청 소지를 검토한 결과 제사에 기재된 천자문 자호와 소지를 처분한 방장의 관직 사이에 한 가지 일정한 규칙성이 발견되었다. 특정한 시기, 동일한 방장이 처분한 소지의 제사에 같은 천자문 자호가 기재된 것이다. 이것은 한 명의 동일한 방장에게 하나의 천자문 자호가 부여되었음을 의미한다. 『경조부지』에 따르면 조선후기 한성부의 낭청은 관직의 품계 서열 순으로 6방의 장을 담당하였다. 그런데 16세기에서 18세기 사이 발급된 소지를 검토한 결과 방장의 관직 품계 서열이 높을수록 천자문 여섯 글자 중 앞쪽에 위치한 글자를, 서열이 낮을수록 뒤쪽에 위치한 글자를 기재하는 경향을 보였다. 더불어 한성부의 6방인 이방 · 호방 · 예방 · 병방 · 형방 · 공방을 각각 천 · 지 · 현 · 황 · 우 · 주로 간주하고, 여기에 방장의 관직을 낭청의 서열 순으로 대입해보면 소지에 기재된 한성부 낭청의 직제와 실제 한성부의 직제가 서로 상당히 부합한다. 결과적으로 한성부 소지의 제사에 기재된 천자문 자호는 입안 발급 업무를 담당한 부서, 즉 한성부 내 6방을 나타낸 것이다. Different from Jesa (題辭) of local government offices, those of Soji (所志) used to apply for Iban (立案) submitted to Hanseongbu (漢城府) contained one character among Jaho of the Thousand-Character Classic, such as Cheon (天), Ji (地), Hyeon (玄), Hwang (黃), U (宇) and Ju (宙). There have been no previous studies referring to or examining the meaning of Jaho. This study has an implication, in that it elucidates the meaning of Jaho of the Thousand-Character Classic (千字文), stated in Jesa of Soji used to apply for Iban submitted to Hanseongbu, from the 16th to the 18th century. By reviewing Soji used to apply for Iban submitted to Hanseongbu, which has been discovered, this study found that there was a consistent regularity between Jaho of the Thousand-Character Classic stated in Jesa of Hanseongbu between the official position of chief (房掌) who treated Soji. The same Jaho of the Thousand-Character Classic was stated in the Jesa of Soji treated by the same chief in a certain period. This means that a single Jaho of the Thousand- Character Classic was given to the same chief. According to Gyeongjobuji (京兆府誌), Nangcheong (郎廳) in Hanseongbu could serve as the heads of Six Rooms (六房) by their rankings of the official positions in the late Joseon. Soji issued from the 16th to 18th century were examined to show that relatively front characters tended to be stated, as chiefs’ rankings were higher, while relatively rear characters stated, as they were lower. Moreover, if Six Rooms in Hanseongbu, such as Ibang (吏房), Hobang (戶房), Yebang (禮房), Byeongbang (兵房), Hyeongbang (刑房) and Gongbang (工房) are regarded as Cheon, Ji, Hyeong, Hwang, U and Ju, respectively, the organization set up of Nangcheong in Hanseong (漢城) seems to be substantially consist with the actual one in Hanseong, when the official positions of chief are substituted by the order to Nangcheong’s rankings. In conclusion, Jaho of the Thousand- Character Classic stated in Jesa of Soji in Hanseongbu represented Six Rooms in it, which were responsible for issuing Iban.

      • 디지털 음악 산업 및 저작권 보호를 위한 ‘핑거프린팅 기술 및 포렌식마크 기술’에 대한 연구

        하늘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2013 Ewha Law Review Vol.3 No.1

        Digital Music contents are main part of music industry these days. According to this trend there is dramatic change in copyright field. Copyright industry becomes major industry in National industry fields, and it changes its focus from provider to users. DRM Free service is getteing bigger, therefore convenience of users can be increased but danger of‘copyright infringement’is also increased. To harmonize DRM Free service with protection of copyright, we need many kinds of mechanical protection methods and make standard guidelines for protecton methods. On this paper, I study fingerprint filtering technology and Forensic Watermarking technology for protecting digital music contents. In addition, this paper is a comparative study on current state of‘copyright infringement’and current development policies in many countries. After that, this paper shows effective ways of valuation basis for testing music filtering technology and Conformity Assessment policies. 2004년 이후의 디지털 콘텐츠는 음악시장의 주류로서 성장해 왔다. 이와 함께 디지털 이용에 따른 불법적 파일 공유는 전체 음악시장의 성장을 막는 큰 저해요인이 되었다. 21세기 이후 시작된 오프라인 음악시장의 축소, 디지털 음악을 기반으로 한 인터넷, 모바일 등 온라인 음악시장의 확장, 음악시장 가치 사슬의 변화 등은 한국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도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이와 맞물려 저작권 산업의 패러다임도 변화하였다. 저작권 산업은 국가의 중요사업으로 성장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시장의 중심이 공급자 위주에서 사용자 위주로 변화하고 있다. DRM free 서비스가 등장한 이래, 사용자의 편의성은 높아졌지만 저작물의 불법침해의 위험성이 커짐에 따라 권리자의 저작권 역시 침해의 위험에 더욱 노출되고 있다.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한 DRM free와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한 DRM 기술이라는 상반된 시장요구가 동시에 존재하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갈등 역시 증대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고 디지털저작물 시장의 성장을 위해선 여러 가지 기술적 보호조치와 관련된 표준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저작물 중에서도 음악산업과 관련하여 음악 특징기반 필터링 기술 및 음악 식별기술에 대해 연구한 뒤, 이에 관한 주요 국가의 음악 필터링 산업 및 정책 동향에 대하여 살펴 볼 것이다. 국내 및 해외 콘텐츠 저작권 피해 현황뿐만 아니라 법제도 및 정책적 측면에서의 요구사항 그리고 DRM free에 대응할 수 있는 음악 포렌식마크에 대하여도 살펴 볼 것이다. 본 논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표준 인터페이스 및 기술평가에 대한 적합성 평가방안은 기술개발 사업자와 권리자가 사업모델에 대하여 협의할 때에도 최신의 기술적 조치 범위를 쉽게 결정하도록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논문에서 다루어진 기술 평가의 객관적 방법론은 이미 시장에 공급된 기술적 보호조치의 현재시점에서의 기술 수준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며, 기술적 조치를 이행하지 않았을 시에 이러한 불이행 및 미이행으로 인한 과태료 수준을 객관적으로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도심 축제의 거리문화공연이 지역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하늘(Park Ha Neul),남문희(Nam Moon Hee),김주호(Kim Ju Ho),정강환(Jeong Gang Hoan) 한국상품학회 2016 商品學硏究 Vol.34 No.3

        90년대 중반 지방자치가 실시된 이후, 각 도시마다 도시의 정체성 확보와 소통을 위한 공간으로 다양한 문화를 접목한 거리공연을 마련하고 있다. 도시민에게 있어 ‘거리’는 삶의 공간이며 문화의 공간이다. 특히 이벤트 공간으로서 거리는 지역의 인지도를 높이는 도구이자 지역에 활력을 불어 넣어주는 기능을 한다. 또한 열린 공간에서 펼쳐지는 거리문화공연은 개방성과 대중성, 일탈성이라는 측면에서 지역의 마케팅 창구 역할을 하기도 한다. 최근 국내에서도 안산 국제거리극축제와 같이 예술공연이 공연장을 벗어나 거리로 나가 성공을 거둔 사례가 생겨나고 있으며, 부산 크리스마스축제, 광주 동구 추억의 7080 충장축제 등 거리에서 개최되는 축제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함께 각 지방자치단체 또는 지역사회의 단체가 중심이 되어 개최하는 거리문화공연이 지역의 상권 회복과 지역활성화에 기여하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어 주목을 끌고 있다. 본 연구는 거리문화공연이 지역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청주시 성안길 거리문화공연 지금 만나러 갑니다’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실증조사를 병행한 후, 청주시 성안길 지역상인과 거리문화공연 방문객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성안길 거리문화공연 지금 만나러 갑니다‘는 지역에 경제·문화이미지 효과와 사회·교육적인 효과를 가져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교통혼잡과 쓰레기양의 증가, 소음 등 일부 부정적인 영향이 감지되기는 하였으나 전체 검증항목 평균에 비해 값이 크지 않아 성안길 거리문화공연은 지역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개방성과 대중성, 일탈성 특성이 강한 거리문화공연은 지역의 상권 활성화와 지역의 이미지 제고, 지역민의 문화적 자긍심 향상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는데 실무적 측면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Since the beginning of regional self-government, each city is starting culture-based street performance as a means of a place to set city’s identity and a place to communicate. To a citizen, ‘street’ is a room for life and culture. Especially, as a room for an event, street acts as a means to escalate region’s awareness and bring vitality. Also, the street cultural performance on an open place acts as a regionalmarketing channel. Recently, cases of successful performances that left theater and went outside like Ansan street fest are found, and more and more street-based festivals are being introduced such as Busan Christmas festival and Gwang-ju 7080 Chung-jang festivals. Along with this, several cases of these festivals that contribute to region’s escalated commercial power and vitalization are attracting society’s interest. This research is focused on Chung-ju city’s ‘Meeting you now’ festival and its impact on regional vitalization of street cultural performance. In order to achieve research objective, documentary study and empirical study were done simultaneously, and proof analyzation was conducted to regional merchants and festival visitor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is verified that Chung-ju city’s ‘Meeting you now’ festival has brought positive impact of economic and cultural image boost and social educational effect. Though certain amount of traffic congestion and increase of litter has been detected, however, the effect was belowaverage of entire inspection, which leads to a conclusion that this street cultural performance is bringing positive effects to regional society. This research has practical meaning in that it has verified impact of street performances that shows strong openness, popular appeal and deviation on regional economic and image boost and escalating citizen’s cultural pride.

      • KCI등재

        호흡기 증상을 호소하는 소아에서 기침과 천명음의 객관적 평가를 위한 기침-홀터 모니터링의 유용성

        하늘,장원녕,남효경,강인순,서성철,Siegfried Bauer,최익선,정지태,유영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2012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Vol.22 No.4

        Purpose:Cough and wheezing are the most common respiratory symptoms in children. Recently, the cough-holter monitoring has been used to estimate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cough and wheezing, objectively. In this study, we aimed to evaluate the validity of cough-holter monitoring for the objective assessment of cough and wheezing in the hospitalized children with respiratory symptoms. Methods:Cough-holter monitoring was performed in 59 children who suffered from cough and/or wheezing. We obtained the information on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cough and wheezing from the parents, a pediatrician, and cough-holter monitoring. Visual Analogue Scale (VAS) scores were taken by parents, and the pediatrician estimated the wheezing score by using a stethoscope. We assessed a relationship between the VAS scores, wheezing score, and cough-holter monitoring data. Results:The frequencies and intensities of cough correlated positively with the VAS scores (r=0.301, P=0.032; and r=0.540, P=0.001, respectively) and the frequencies and intensities of wheezing also correlated positively with the Wheezing scores. (r=0.335, P=0.011; and r=0.457, P=0.001, respectively) The wheezing intensity did not correlate with the Wheezing score in wheezing children. (r=0.321, P=0.089)Conclusion:Cough-holter monitoring correlated positively with the VAS scores and the wheezing scores. Cough-holter monitoring appears to be a useful objective assessment tool for the children who have suffered from cough and/or wheezing. 목적:임상에서 기침, 천명에 대한 평가는 환자나 보호자가 호소하는 주관적인 증상과 의사의 신체 진찰을 통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들은 일회성이며 주관적인 측면이 있어 기침이나 천명음의 양적인 평가나 지속적인 모니터링에 제한점이 많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침-홀터 모니터에서 측정된 기침, 천명음의 빈도 및 강도와 호소하는 증상 및 청진 결과의 일치도를 평가하여 이에 따른 임상적 이용 가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기침이나 천명음을 주소로 2011년 2월 1일부터 2011년 10월 31일까지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소아청소년과 호흡기 알레르기 클리닉을 방문하여 입원한 59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대상 환아들은 야간에 약 12시간 동안 기침-홀터 모니터를 사용하여 기침과 천명음의 빈도 및 강도를 분석하였으며, 측정된 결과와 보호자에 의해 설문 작성된 VAS score, 소아청소년과 의사의 청진 상 wheezing score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결과:전체 대상군에서 기침-홀터는 VAS score와 기침의 빈도, 강도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고, wheezing score도 천명음의 빈도와 강도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 천명군과 비천명군 모두에서 기침-홀터는 기침 강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으나, 천명군에서 wheezing score와 천명음의 빈도 및 강도는 모두 유의한 상관 관계가 없었다. 결론:본 연구에서 기침-홀터로 측정한 기침, 천명음은 환자 또는 보호자가 호소하는 기침 증상 및 소아청소년과 의사의 청진을 통한 주관적 평가 결과와 유의하게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기침-홀터는 임상에서 급, 만성 호흡기 증상을 호소하는 소아를 평가하는 객관적 평가 도구의 하나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국제기능올림픽대회 헤어디자인 직종 연구에 관한 고찰

        하늘(Park, Ha Neul),권기형(Kwon, Gi Hy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3

        국가대표를 파견해 각국의 기량을 겨루는 대회로써 정보교류의 장이 되는 국제기능올림픽대회에서의 헤어디자인 직종은 미용 산업 분야의 뷰티 트렌드를 제시하는 매개체 역할을 하고 있으며 국제대회에서 선보인 헤어스타일들은 미용 산업 현장에 영감을 제공하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국제기능올림픽대회는 국제사회의 변화에 따른 세계 흐름을 반영하는 대회로 그동안 치러진 대회의 변화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세계적 트렌드 흐름을 유추할 수 있다. 이에 2013년 대회부터 최근 2017년 국제기능 올림픽대회까지 헤어디자인 직종 중 남성과제 분석을 통하여 과제의 요구사항 및 경기운영방식에 대한 국제대회의 변화와 추이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다음 국제기능올림픽대회를 준비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토대로 인재를 양성하며, 국내 각종 미용대회에 세계적인 트렌드를 알려 대회 방향성 확립에 기여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방법 및 범위로는 2013년부터 2017년 대회까지로 한정하였으며, 남성과제에 국한해 연구자가 직접 국제대회를 참관하여 과제의 자료 및 작품을 수집하고 국제기능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WSI)측으로부터 전달 받은 자료를 토대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3회에 걸쳐 치러진 남성과제 분석을 통해 예술적인 측면을 높게 평가하여 화려하고 아방가르드한 디자인을 연출한 작품을 우수하게 여긴 과거와 달리, 시간이 지날수록 예술적인 디자인보다 산업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실무적이고 실용적인 디자인의 추구로 방향성이 바뀜을 알 수 있었다. 또 결과중심의 평가방법에서 과정중심의 평가방법으로 변화해 디자인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작품을 시술하는 일련의 전 과정이 모두 평가대상임을 알 수 있었으며, 현실적이지 않은 작품과제는 삭제되고 실무현장에서 적용가능한 작품과제들이 출제됨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의 대회 방향성 또한 과정중심의, 현실적인, 커머셜한 살롱 디자인의 요구가 계속 이어질 것이라고 여겨지며 이에 따른 대회준비와 인재 양성이 필요해 보이며 또 국내대회가 세계적인 추세에 따를 수 있도록 방향성 확립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The hairdressing event of world skills competition where skill competitions and events for young people who represent on all levels all over the world and be a place and a platform for exchanging information plays a pivot role in providing beauty trends in the industry and the hair styles shown in the competitions also play important roles giving inspiration to the field of beauty industry. Through world skills competition which reflects the trends in accordance with global community’s change, it is possible to analogize world trends by analyzing the process of change in the previous competitions. A transition study of international competitions including competition module requirements, rules for competition was conducted via the analysis of modules for men’s hair of the hairdressing event of world skills competition held from 2013 to 2017. A research was conducted to contribute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next world skills competition preparation, cultivating future assets based on this valuable information, and building vision of domestic competitions by giving a shift of global community’s trends. A research method and scope was limited to the men’s hair modules of world skills competition that were held from 2013 to 2017.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by attending/witnessing the competitions and collecting competition modules/data from World Skills International(WSI). A conclusion has been identified a phenomenal change through 3 previous competitions from the past which set a high value of artistic works for splendid and avant-garde design to the current year that pursues for more practical than artistic design that can be applied to the beauty industry field. In addition, the evaluation method has been changed from resultoriented to process-oriented that evaluates the whole process from beginning to end. Unrealistic modules are removed from the competitions and best practice modules regarding industry are emerging. It is considered to consistently require processoriented, realistic, and commercial salon style in the future competitions. It looks like that there is a need to prepare for next world skills competitions and train our school-aged youth based on this research. I hope people in the industry find that this research be useful to build our vision in harmony with global community’s trends.

      • 해외 환경정책 인벤토리 구축 연구 : 환경평가 부문

        하늘 ( Haneul Park ),강유진 ( Eugene Kang ),지현 ( Ji Hyeon Park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6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기초연구보고서 Vol.2016 No.-

        환경문제는 그 원인이 다양하고 불확실성이 높은 사회문제 중 하나로, 환경영향을 예측하고 합리적인 정책결정을 위해서는 학제적 이론 탐색과 해외 사례 분석을 통한 벤치마킹이 필요하다. 그동안 환경평가(Environmental Assessment) 부문에서 수많은 연구와 사례 조사가 이루어졌지만, 해당 자료가 개별적으로 수집·관리되고 있기 때문에 정보로서 활용되는 사례가 적고 불필요한 추가 조사로 시간을 낭비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환경평가 부문 국외 정보관리 체계 마련을 위한 인벤토리 기초 설계를 통하여 관련 정보의 활용성을 높이고 정책 대안을 마련하기 위한 안정적인 정보 풀(Pool)을 확보 하려는 데 목적이 있다. 인벤토리는 자료를 축적하고 보관하는 동시에 공개적 이용을 목적으로 하는 정보관리 수단으로, 인벤토리를 구축하는 데 있어 <정보분류표>는 기본 틀과 방향을 제시하는 기능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와 문헌 분석을 통하여 환경평가 관련 이슈를 선별하고 개념을 정리하여 이를 정보분류표 설계에 활용하였다. <정보분류표(초안)>은 연구 초기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과 이슈트리(Issue Tree) 분석을 통하여 디자인되었고, 최종 자문회의 및 내부 의견 수렴 후 수정안으로 재구성하였다. 그 결과 총 21개의 하위 개념을 포함하는 <정보분류표 수정안>이 완성되었다. 정보분류표가 인벤토리가 다루는 정보들에 대한 `메뉴`로 기능한다고 볼 때, 각 메뉴에 포함되어야 할 자료의 범위와 내용을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 < DB카드 >는 인벤토리를 통하여 실질적으로 조사·축적·활용될 정보를 구체화하게 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정보분류표 수정안을 기준으로 일부 개념에 대한 DB카드를 시범 설계하였다. 또한 미국에 대한 예비조사를 통하여 연구진이 구상한 DB카드를 시범 작성해봄으로써 정보로서의 활용 가치를 진단해 보았다. 본 연구는 환경평가 부문에서 처음으로 시도되는 정보관리 체계의 기반 설계 작업이라는 데 연구적 의의가 있지만, 현재 구상된 정보분류표가 일반적인 이슈를 담고 있어 정책적 활용성이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정보분류표 내 대분류-중분류-소분류에서 활용된 용어와 개념, 분류 체계 설정 등에 대한 이견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일반적인 정보 이상의 신규 수요 정보(콘텐츠)를 새롭게 발굴하여 인벤토리가 다루려는 정보의 범위를 확장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어야 하며, 관계 전문가, 이해관계자의 의견 수렴을 통하여 정보분류표를 수정하고 보완하는 작업이 후속되어야 한다. 특히 환경평가제도가 정책문제 해결을 위한 수단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환경평가 관련 인벤토리는 정책결정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새롭게 발굴하고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중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정책결정자들이 원하는 정보가 무엇인지 확인하고 새로운 자료들을 수집하여 정보로 가공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자료 수집은 국가별 또는 이슈별로 구성된 전문가가 진행하여야 하며, 문헌이나 선행 연구자료 등 이차 자료가 아니라 방문 및 대면 조사 등을 통하여 얻는 일차 자료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인벤토리의 핵심은 정보를 제공하는 `실용성`에 있다는 데 주안점을 두고, 인벤토리 설계 과정에서 정보를 제공하고 관리할 수단(정보 전달 매체, 채널 운영방식 등)을 함께 검토해야 한다. 이때 고려할 사항은 정보를 제공받을 수요자가 일반인이냐 주요 이해관계자냐에 따라 제공될 정보가 어떠한 성격을 갖는지, 그 자료의 활용에 대한 법률적 고려 요인은 없는지 확인하여 그에 맞게 정보 공개 방식을 결정해야 한다는 점이다. 또한 정보제공 과정에서 구동될 채널의 구상에는 이용자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정보의 접근성, 명시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인벤토리 운영의 안정성, 지속성을 확보하기 위한 관리자 선정, 관련 예산확보, 자료 수집과 갱신, 분석과 처리 등에 대한 구체적 방안도 향후 검토되어야 한다. Environmental problems are one of the social issues with various causes and high uncertainties and thus, benchmarking through interdisciplinary theory search and overseas cases analysis is necessary for the accurate estimation of environmental impact and rational policy making. Until now, research and case studies have mostly focused on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system and the produced data have been collected and managed individually, resulting in the limited utilization of existing data and time wasted for unnecessary additional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 inventory for the establishment of an overseas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n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area and ultimately to produce a stable information pool for better utilization of relevant information and formulation of policy alternatives. Inventory is a means of managing information aimed at data accumulation and storage while ensuring public access. The “Information Classification Table” serves the function of presenting the basic framework and direction of the inventory. Issues related to environmental assessment were identified and concepts were defined through preliminary research and literature study in order to use them for designing the Information Classification Table. A draft of the “Information Classification Table” was produced with brainstorming and issue tree analysis in the initial stage of this research, and restructured into a revised version by reflecting the opinions of the final consultation meeting and related experts. As a result, the amended “Information Classification Table” incorporating a total of 21 sub-concepts was completed. Considering that the “Information Classification Table” functions as an information providing menu, the scope and content of information to be included in each menu item must be defined. “DB Card” is used to specify the information to be surveyed, accumulated and utilized with the inventory. In this study, a prototype of the “DB card” was produced for the selected concepts introduced in the amended "Information Classification Table". In addition, we demonstrated how the information can be utilized by producing a DB card based on a survey of the United Stat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first attempt in the area of environmental assessment made to lay the foundation for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However, it seems unlikely for the current version of the proposed Information Classification Table to be useful in policy decision-making process as it only deals with well-known and universal issues in the field of environmental assessment. There is also a possibility that disagreement may exist in regards to the terms and concepts used in the amended Information Classification Table and the classification system settings. In the future, we need to find new demands for information (contents) and expand the scope of information in the inventory. As follow-up to this research, the process of revising and supplementing the Information Classification Table must be ensued by listening to the opinions of experts and stakeholders. In particular, considering that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system is a means of implementation devised to address policy issues, it is necessary to seek and provide the information needed by policy makers. Thus, we must identify the information sought by policy makers with a mid- to long-term perspective and collect new data and process them as information. Here, the collected data should be primary data obtained from visits and interviews, not secondary data from literature or previous research data. The task should also be carried out by experts familiar with the country concerned or those knowledgeable about the issues involved. Given the fact that the main objective of the inventory is to serve a practical function of information provision, the means of providing and managing information (e.g. informational delivery media and channel operation methods) must also be reviewed in the inventory design process. In this proces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formation must be determined by considering whether the target user is the general public or major stakeholders, and whether there are any legal issued in using the information and select the appropriate information disclosure method. In addi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channel must be considered so that it is able to maximize the user convenience by taking the accessibility and clarity of information into account. Finally, a specific plan for data maintenance, budget procurement, data collection, update, analysis and processing must be reviewed to ensure the stability and sustainability of inventory operation.

      • 제도 홍보 및 성과확산을 위한 ‘환경영향평가 연차보고서’ 발간 기획연구

        하늘,최준규,이상윤,오진관 한국환경연구원 2013 수시연구보고서 Vol.2013 No.-

        국내 환경영향평가제도는 많은 시행착오와 제도 개선을 거치며 선진화률 모색해 왔다. 그동안 환경영향평가제도는 개별 개발 사업과 정책계획에 대한 의사결정에서 환경성을 포함하는 지속가능성을 중요한 고려요소로 인식하게 하는 데 결정적 기여를 해 왔지만 개별 개발 사업에 연관된 사회적 갈등 속에서 환경영향평가제도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개선되지 않고 있다. 환경부는 사회적 인식을 제고하고 환경영향평가제도 운영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차보고서(annual report) 발간을 계획하였고, 본 연구는 발행인 중심이 아닌 관련 독자 중심의 정책 간행물 제작을 도모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이론 연구, 문헌 분석, 이해관계자 수요 조사, 사례 조사 등 다양한 사회과학 방법론을 통해 연차보고서 제작 방향, 기본 프레임워크, 제작 콘셉트와 콘셉트 별 대안 등을 제시하였다. 연차보고서의 제작 방형을 제시하기 위하여 특정 개발사업과 정책계획 수립 결과에 영향을 받고 그 영향력에 대해 부분 또는 전부를 인지하고 있는 활동공중(active public)을 목표(대상)독자로 선정하였고, 제작 목표를 제도에 대한 일반론과 성과 중심의 사례 제시를 통한 정보 제공과 인식 제고로 설정하였다. 또한 보고서 제작 과정에 협의기관, 사업재 대행기관, 검토기관, 승인기관 등 제도 운영에 관계하는 이해당사자가 참여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연차보고서의 기본 구성 체계는 다른 정부 및 공공기관의 정책 간행물 발간 사례를 통해 확인된 공통적인 카테고리(발간사 일반 현황, 통계, 제도 및 성과 관련 실적 정보, 부록)를 적용하여 구상하였고, 제작 실무 과정에서 선택 적용할 수 있도록 제작 콘셉트와 기법을 달리한 세 개의 대안을 구상하여 대안별 제작 방향과 업무 실행 계획(안)을 제시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독자 친화적 간행물 제작에 기여할 젓으로 기대되지만, 한편으로 는 '연차보고서'라는 매체를 활용한 '성과 확산 가능에 대한 실효성', '연차보고서 제작의 지속가능성' 등에 대한 문제점이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예상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정책 홍보를 위한 중장기적 홍보 전략과 채널 개발, 인쇄물 외 다양한 유효 배포 방법론의 개발; 연차보고서 시범 발간 및 발간 주기에 대한 제고 등을 제안하였다. 향후 제작 실무 단계에서 본 기획연구가 제시한 제작 방향과 개발 대안, 정책적 제언 사항 등을 충분히 검토하고 추가적인 아이디어를 개발해 낼 수 있다면 '실수요자 중심의 정책 간행물' 제작 실현은 물론이고, 나아가 환경영향평가의 정보 제공 및 다양한 공중이해를 수렴하는 의사결정 가능을 실현할 수 있는 훌륭한 정책적 도구로서 실효성 있는 정책 간행물 제작이 가능할 젓으로 기대된다. The Korea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Program (hereafter referred to as the program) has been improved through many trial and errors and systematic remedies aimed at making the system more effective. So far, the program has made significant contributions in considering sustainability and other environmental aspects as one of the critical factors when making environmental decisions about individual projects and policy plans. Regardless of the above important contributions, conflicts among stakeholders in individual projects have continued to emerge, and the public has a misconception that such conflicts among stakeholders are caused by the program. Based on this misunderstanding, some even argue against maintaining the program. In order to enhance public perceptions of the program, the Ministry of Environment plans to publish an annual report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 to provide the public with necessary information about the program. Therefore, this study applies social science research methods to identify issues related to EIA, conduct a demand survey of involved parties (i.e. project proponents and approval agency), and analyze previous annual report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help he Ministry of Environment publish annual reports from the perspective of readers instead of publishers.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proposes directions for upcoming annual reports, basic frameworks, product concepts, and alternatives for each concept. First, the three important elements proposed for annual reports are: (1) why should this report be made?: (2) who should be interested in this report?: and (3) who should participate when making this report? To fulfill these objectives, this study suggests that reports should be made to enhance understanding of the actual process of EIA by providing information on general principles of the program and critical cases. In addition, this study designates the active public as the target audience. The active public refers to individuals not only affected by results from developing projects, policies, and plans, but also understanding (at least partially) of such impacts. Finally, in terms of the range of participants, this study ensures participation by direct stakeholders of the program such as project proponents, reporting agencies, the reviewing agency (Korea Environment Institute), consulting agency, and authorizing agency. As for the contents of the annual report, this study suggests including common elements identified through annual reports published by many governmental or public institutions, . The elements are (1) publisher, (2) background, (3) basic statistics, (4) program and achievement related information, and (5) appendices. Furthermore, in order to provide various alternatives when making this report, this study presents three different alternatives based on different concepts and publishing techniques, including detailed information on directions of the report and actual implementation plans. Some concerns, however, have been raised with respect to the making of annual reports, and they are (1) whether the report can have tangible impact in publicizing the program and disseminating accomplishments, and (2) whether the report can be sustained in the long term. In order to deal with these problem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ublisher should (1) develop long-term marketing strategies for program publicity, (2) explore various additional routes (i.e. the Internet) to disseminate such information, and (3) consider publishing a pilot annual report. If the publisher fully considers the proposed recommendations, such as product directions and alternatives, and develop additional ideas, it will be possible to produce a reader -oriented annual report. Moreover, in the future, if the report functions as a good policy tool by providing information and helping to make decisions based on the views of various stakeholders, can have substantial impact as a policy periodic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