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자청소년의 음주의도에 관한 연구: 계획된 행동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의 적용

        박재은,정슬기,서진환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2 학교사회복지 Vol.- No.23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test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in examining female adolescents' drinking intentions. The three components of the theory, namely, attitude toward drinking,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 control were examined in relation to one's drinking intentions. Data from a total of 604 female adolescents from 5 different junior high and high schools in Seoul were collected. Results fro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dicated that all paths from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to drinking intentions were significant, rendering the theory applicable for explaining female adolescents' drinking intentions. Among three paths, attitude toward drinking was found to be the most influential. Within subjective norm, siblings' norm was most influential in participants' subjective norms. Lastly, permissive environment was most influential for female adolescents'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Several meaningful implications for prevention programs in the school setting are discussed. 본 연구는 계획된 행동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을 적용하여 음주에 대한 태도, 개인이 인식한 주관적 준거, 인지된 행동통제가 여자청소년의 음주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파악하여, 여자청소년 음주의도를 예측할 수 있는 변수를 밝히고 여자청소년 음주에 대한 체계적이고 차별화된 개입 및 음주예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서울시 중고등학교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604명을 분석대상으로 포함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결과 음주행동에 대한 태도, 음주에 대한 주관적 규범, 인지된 행동통제가 음주의도에 이르는 경로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이 증명되었으며, 계획된 행동이론이 여자청소년의 음주의도를 설명하기에 적합하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세 가지 경로 중 음주행동에 대한 태도가 가장 큰 영향력을 보여주었으며, 태도를 측정한 문항별로 영향력을 살펴보면 ‘현명함, 바람직함, 가치있음’과 관련된 문항이 중요한 요인임이 발견되었다. 주관적 규범에 관련된 문항을 각각 분석한 결과 형제자매가 여자청소년들의 음주규범에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인지된 행동통제를 측정한 3개의 문항 중 주변상황을 고려할 때 술 마시기 쉬운 환경이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자청소년들이 자신의 음주를 통제할 때 주변 음주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고 해석할 수 있으며, 향후 음주환경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이뤄져야 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여자청소년들의 음주의도에 대한 이론적 기반을 확인했으며, 음주예방프로그램 혹은 금주프로그램에서 중요하게 다뤄야 할 요소들을 제시하는데 기여하였다.

      • KCI등재

        On the Use of the Token Yeah in ESL Learners’ Discourse

        박재은 한국영어교육학회 2009 ENGLISH TEACHING(영어교육) Vol.64 No.4

        Informed by Conversation Analysis (CA), this paper examines the use of the token yeah observed in adult ESL learners’ discourse by analyzing video-recorded small group interaction data collected from an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ESL) class. The analysis results are discussed in two parts. The first part addresses how yeah is used to close down a turn constructional unit (TCU) before a possible completion in a way that surrenders, withdraws an action invoked, or adumbrates a stance displayed. It is speculated that this recurrent turn constructional pattern lies in learners’ lack of ability to retrieve a word(s) or overuse of certain lexical items. The second part discusses how yeah is used to mark the completion of a possibly complete turn, and frequently that of an extended turn, in the absence of a substantial uptake from a recipient. Based on this observation, I explore the possibility that ESL learners draw on interactional resources that are available to them, which may deviate from native speakers’ choice of resources in a comparable situation. Overall, this research shows that yeah is utilized as a strategic resource for dealing with various interactional exigencies, which often arise from learners’ linguistic difficulties. This line of research provides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teaching English for interactional skills.

      • KCI등재

        다양한 약물과 영양제가 장내세균에 미치는 영향

        박재은,이도경,하남주,송영천,Park, Jae Eun,Lee, Do Kyung,Ha, Nam Joo,Song, Young Cheon 한국미생물학회 2015 미생물학회지 Vol.51 No.1

        최근 우리나라는 서구화된 식생활과 생활양식의 변화로 다양한 대사성 질환과 만성 질환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질환들은 지속적으로 약물을 복용해야 한다. 또한 많은 사람들이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해 건강기능식품과 각종 비타민, 영양제를 복용한다. 하지만 복용하는 약물들이 장내 세균에는 어떠한 영향을 주는 지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흔하게 사용되며 장기간 복용하는 약이 항균활성시험으로 위장 관련 박테리아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비타민 및 미네랄,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들이 장내 세균과 유산균에 대해 항균력을 나타냈으며, 그 중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는 약 중 항현훈제의 dexibuprofen는 장내 유익균 인 Lactobacillus casei과 Lactobacillus rhamnosus와 장내 유해균 인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해 항균력이 높게 작용하였다. 또한 심혈관계, 조혈기계에 작용하는 약 중 항이뇨제 의 fenofibric acid는 장내 유익균인 Lactobacillus casei에 대해 항균력이 나타났다. 비타민 및 미네랄은 대부분의 장내 균에서 항균력을 보이지만, 특히 Vitamin B-Complex/with C와 vitamin C가 유익균인 Bifidobacterium infantis과 장내 유해균 인 Escherichia coli, Enterobacter aerogenes, Shigella flexneri, Salmonella Typhimurium, Staphylococcus aureus에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장내 유해균과 유익균에 다양하게 복용되는 약들이 대체적으로 항균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Recently, change of Western pattern diet and lifestyle is caused by various metabolic disorders and chronic diseases. These diseases need to take medicine regularly. Also, many people take health functional food, various vitamins and nutritional supplements in order to maintain a healthy life. But, there was no study about affects taking medicines against bacteria with gastrointestinal relevance. This study was performed by antibacterial activity test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a long time or commonly used medication. As a result, medicines of Vitamins & Minerals or Central nervous system show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beneficial enteric bacteria and harmful enteric bacteria. Dexibuprofen of the Anti-inflammatory Drugs that acts on the central nervous system has shown high antibacterial activity at beneficial enteric bacteria strains (Lactobacillus casei, Lactobacillus rhamnosus) and harmful enteric bacteria (Staphylococcus aureus). Also, fenofibric acid of the antilipemic agents that acts on the Cardiovascular & Hematopoietic system has shown high antibacterial activity at beneficial enteric bacteria strains (Lactobacillus casei). Vitamins & Minerals appeared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most intestinal bacteria. Vitamin B-Complex/with C and vitamin C were especially high with beneficial enteric bacteria strains (Bifidobacterium infantis) and harmful enteric bacteria (E. coli, E. aerogenes, S. flexneri, S. Typhimurium, S. aureus). Therefor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variously taking medicines have generally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harmful enteric bacteria strains and beneficial enteric bacteria strains.

      • KCI등재

        Attention in Second Language Interaction

        박재은 한국응용언어학회 2012 응용 언어학 Vol.28 No.2

        While attention is typically understood as an individual’s cognitive activity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SLA) research, it is conceived as publicly visible, sequentially traceable, and interactionally constituted as a two-party phenomenon in a micro-interactional approach. By drawing on this interactional view of attention, this paper explores how attention comes into play in second language (L2) interaction by examining a segment containing a negotiation event. The data segment was drawn from a one hour long conversation between a native speaker and a non-native speaker of English. Analysis results suggest that the learner attends to the local context where an unknown word is situated, and, more importantly, that her major attention is not merely given to her lack of lexical knowledge but to resolving a communicative breakdown. How a fine-detailed analysis of participants’ conduct in interaction can supplement our understanding of attention in L2 interaction will be discussed.

      • KCI등재

        정책네트워크모형에 의한 경기도 혁신학교 정책변동 분석

        박재은,박대권,양성관 한국교육행정학회 2020 敎育行政學硏究 Vol.38 No.3

        This study analyzed the Gyeonggi-do Innovative School Policy based on the offical documents, such as Innovative School Promotion Plan and Innovative School Operation Plan, delivered to schools from 2009 to 2018. This content analysis divides the policy into three stages: introduction(2009-2011), settlement(2012-2014), and generalization stage(2015-present). Each stage can be Also various policy networks constructed in each phase were identifed through some policy actors’own authoring books and in-depth interviews. A policy network model was adopted to present policy trends of innovative schools in Gyeonggi-d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licy networks can be summed up as followings. First, the status of policy actors interchanged informal/formal, inofficial/official, and individual/organizational; the change was viable and active. Policy actors' interactions coexist strong and weak cooperative relations. The relationship structure of the policy actor was repeating concentration/closure and distribution/open structures. The implications of policy network analysis on the change of innovative school policy are that policy objectives must be accurate and consistent in order to implement policies even in classrooms. It needs an open framework for policy-makers to participate in policy decisions. 본 연구는 혁신학교 추진계획과 혁신학교 운영계획을 바탕으로 2009학년도부터 2018학년도까지 경기도 혁신학교 정책변동과정을 시기별로 구분하고, 정책행위자의 저서와 심층면담 내용을 바탕으로 시기별로 형성된 정책네트워크를 분석하였다. 2009~2011학년도까지를 제1단계인 혁신학교 ‘도입기’로, 2012~2014학년도까지를 제2단계 혁신학교 ‘정착기’로, 2015~현재까지의 시기를 제3단계 혁신학교 ‘일반화기’로 구분하였다. 도입기의 공식적 정책행위자는 교육감과 도교육청 전담팀, 비공식적 정책행위자는 스쿨디자인21과 좋은교사운동이었다. 교육감과 더불어 혁신학교 추진위원회가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한 정책행위자였고, 교육감과 혁신학교 추진위원회, 혁신학교 추진위원회와 스쿨디자인21이 강한 협력 관계가 있었고, 정책의 결정이 일부 행위자에 집중된 폐쇄형 구조였다. 혁신학교 정착기의 공식적 행위자는 경기도교육청, 비공식적 행위자는 새로운학교네트워크, 스쿨디자인21, 좋은교사운동, 참여소통 교육모임이었으며, 서로 강하거나 약한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혁신학교 일반화기의 공식적 행위자는 경기도교육청의 교육감과 학교정책과, 혁신교육지원센터, 비공식적 행위자는 새로운학교경기네트워크와 좋은교사운동, 참여소통 교육모임인데 새로운학교경기네트워크와는 약한 협력을 유지하지만, 좋은교사운동과 참여소통 교육모임과는 소원한 관계가 되었다. 경기도 혁신학교 정책변화과정의 정책네트워크 특징은 단계별로 행위자의 공식적, 비공식적 지위 변화, 강한 협력과 약한 협력의 상호작용 공존, 집중/폐쇄 구조, 분산/개방 구조의 관계구조 반복 등이다.

      • KCI등재후보

        헤르만 바빙크와 동성애: 질서(orde)를 중심으로

        박재은 개혁신학회 2022 개혁논총 Vol.62 No.-

        Herman Bavinck thought that theology should not be a speculative and ideological superficial science, but rather has a mission and a vocation to penetrate into all areas of life and restore distorted areas. The same is true of homosexuality. Bavinck, of course, does not specifically address the issue of homosexuality in his writings. But throughout his writings, we can find theological ‘insights’ into how to look at the issue of homosexuality.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comprehensively look at Bavinck’s writings and to estimate what kind of teachings Bavinck would have given us if he had lived in the current era of homosexuality. The issue of homosexuality is getting worse day by day. There is a lot of debate and research on the pros and cons.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fundamental theological ‘principles’ that Bavinck pursued, and seek to rethink the theological issues of homosexuality. The procedure of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cultivate a fundamental perspective on the issue of homosexuality, Bavinck’s position on the order(orde) revealed in Gereformeerde Dogmatiek(Reformed Dogmatics) will be looked at. After that, focusing on Bavinck’s Het Christelijk Huisgezin(The Christian Family), which dealt with family life, the principles necessary to deal with the issue of homosexuality will be examined in the four major principles: gender distinction, divine origin, a marriage between a man and a woman, and the order of diversity in unity within the context of marriage, childbearing and raising children. Finally, after identifying practical points of consideration, the study will be concluded by summarizing it. 은혜가 자연을 회복한다(grace restores nature)라는 모토를 기치로 삼고 있는 신칼뱅주의 전통에 속해 있었던 헤르만 바빙크는 “가정, 학교, 교회, 교회 정치, 국가, 사회, 예술, 학문 등 모든 영역들은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일하고 발전되어야만 한다”라는 말을 남기며 신학의 ‘확장성’을 강조했다. 신학은 사변적이고도 관념적인 피상적 학문이 되서는 안 되며 오히려 삶의 모든 영역 속으로 파고 들어가 왜곡된 영역들을 회복시켜야 할 사명과 소명을 가지고 있다고 바빙크는 생각했다. 동성애 문제도 마찬가지이다. 물론 바빙크는 자신의 저술들 가운데서 동성애 문제를 구체적으로 다루고 있지는 않다. 하지만 그의 저술들 도처에서 동성애 사안을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지에 대한 신학적 혜안(慧眼)을 발견할 수 있다. 본고의 목적이 바로 이것이다. 본고의 목적은 바빙크의 저술들을 포괄적으로 조망하며 만약 동성애가 창궐하고 있는 현재에 바빙크가 살았더라면 과연 어떤 가르침을 우리에게 주었을까를 가늠해 보는 것이다. 동성애 문제가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 이에 대한 찬반 논쟁 및 연구도 즐비하다. 본고는 바빙크가 추구했던 근본적인 신학 ‘원리’에 주목하며 동성애 사안에 대한 신학적 재고를 도모할 것이다. 근본적인 원리를 다시금 발견하고 그 원리들을 주춧돌로 삼아 복잡미묘한 현대 이슈들을 바라보는 것이 포스트모더니즘의 상대성 강조의 맹습 아래 살고 있는 우리에게 여전히 유효한 방법임을 믿는다. 본고의 진행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동성애 사안을 바라보는 근본적인 시각을 기르기 위해 바빙크의 『개혁교의학』(Gereformeerde Dogmatiek)에 드러난 ‘질서’(orde)에 대한 바빙크의 입장을 조망할 것이다. 그 후 가정생활에 대해 다룬 바빙크의 『기독교 가정』(Het Christelijk Huisgezin)을 중심으로 동성애 문제를 다룰 때 필요한 원리들을 크게 네 가지로, 즉 성적 구별성, 신적 기원성, 한 남자와 한 여자 사이의 결혼, 자녀 출산과 양육의 맥락 하에서 살펴볼 수 있는 원리인 통일성 속의 다양성의 순서대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마지막으로 실천적 고찰 지점을 파악한 후 총정리하며 본고를 마무리 짓도록 하겠다.

      • KCI등재

        갈애의 발생과 소멸에 관한 일고찰 - 빠알리(Pāli) 문헌을 중심으로 -

        박재은 한국불교학회 2021 韓國佛敎學 Vol.99 No.-

        This study aims to identify performative status by examining the meaning and nature of craving (渴愛), which is the main cause of suffering (苦), and exploring the conditions under which it arises (生起) and how to make it disappear. Since craving is the source of all suffering, the cessation of craving means Nirvana as the end of suffering. To the extent that it can be said that the Buddhist method of practice is concentrated in the direction to extinguish craving, craving is regarded as a key element that must be purified. Craving is usually divided into three types: craving for sensual pleasures, craving for being (bhava, 有), and craving for nothingness (vibhava, 無有). This goes beyond a mere formal and schematic classification and becomes a condition for craving each. Craving for being refers to obsession with sang-gyeon (常見), the view that the self (我) and the world (界) persist. Craving for nothingness is the obsession with dan-gyeon (斷見), the view that everything is destroyed after death. Some believe that these two cravings should be understood only as a response to sensation (受) for pleasure (樂) and suffering (苦), which are its foundations. However, in Pāli literature including the nikāyas, craving for the dhamma (法) is specified as the object of the faculty of mind (意根). Affirmation is given that craving is related to acts of the sixfold sense bases, the five aggregates, and the whole subject. Nevertheless, if the explicit meaning of craving is limited only to the response of the sensual, there is a problem that its comprehensive character will be reduced. Despite the function and importance of craving in the practice of Buddhism, systematic discussions have not been held in earnest in academia until now.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serve as an opportunity to broaden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of craving and draw attention to the performative status. 본고는 고(苦)의 주요 원인인 갈애(渴愛)의 의미와 기능을 살펴보고, 그것이 생기하는 조건과 사라지게 하는 방법을 탐구함으로써 그 수행적 위상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갈애는 모든 괴로움의 뿌리이므로 갈애의 소멸은 괴로움의 종식으로서 열반을 의미한다. 불교 수행의 방법론은 갈애를 소멸하기 위한 방향으로 수렴된다고 보아도 좋을 정도로 반드시 정화해야 할 핵심적인 요소로서 중요시된다. 갈애의 종류는 보통 그것을 일으키는 대상을 기준으로 ‘감각적 즐거움(kāma)에 대한 갈애’, ‘유(有, bhava)에 대한 갈애’, ‘무유(無有, vibhava)에 대한 갈애’ 이렇게 세 가지로 구분한다. 여기에서 ‘유에 대한 갈애’는 자아(我)와 세상(界)이 존속한다는 견해인 상견(常見)에 의지하는 것이고, ‘무유에 대한 갈애’는 사후에 모든 것이 파괴된다는 견해인 단견(斷見)에 의지하는 것이다. 그런데, 일각에선 ‘유에 대한 갈애’와 ‘무유에 대한 갈애’를 그 토대가 되는 신체적 낙(樂)과 고(苦)에 대한 감수[受]로만 설명되어야 한다고 보는 시각이 있다. 하지만 니까야(Nikāya)를 비롯한 빠알리(Pāli) 문헌을 살펴보면 갈애가 육근, 오온의 행위 및 대상 전체와 관련된다는 경증을 발견할 수 있다. 만일 신체적 감수로만 그 외연을 한정한다면 본래의 포괄적 성격이 제한될 우려가 있다. 수행에 있어서 갈애의 기능과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학계에서 체계적인 논의는 본격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갈애에 대한 개념적 이해의 지평을 넓히고 그 수행적 위상에 주의를 환기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