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수종 Acrylic Resin 치아와 의치상 Resin과의 결합강도 비교

        박지희,홍순호 慶北大學校 齒科大學 1993 慶北齒大論文集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ensile bonding strength of one standard acrylic resin tooth and three types of abrasion-resistant teeth to heat-cured and self-cured denture base resins. The resins were processed into cylinders against denture teeth milled to a diameter of 6mm in the region of the tooth-resin interface and thermocycled. All-Bond 2 system was introduced between abrasionresistant teeth and self-cured denture resin. Specimens were then subjected to tensile loading until fracture. Statistical analysis(p 0.05) showed that the strongest bond was achieved between the heat-cured and standard acrylic resin tooth(Trubyte Biotone^R), whereas the lowest strength was measured with the self-cured resin to abrasion-resistant tooth (SR-Orthosit_R^R). All-Bond 2 system showed questionable effect to increase the bonding strength.

      • KCI등재

        강한 교합력과 과도한 마모를 보이는 환자의 전악수복 증례

        박지희,방몽숙,양홍서,박상원,윤귀덕,임현필,Park, Ji-Hee,Vang, Mong-Sook,Yang, Hong-So,Park, Sang-Won,Yun, Kwi-Dug,Lim, Hyun-Pil 대한치과보철학회 2013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1 No.2

        과도한 마모를 보이는 환자는 광범위한 수복 치료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다. 마모의 원인은 주로 교모에 의해 발생하나 이외에도 여러 가지 유발 요인이 있으며 치료 계획은 이러한 마모의 양상과 병인 분석에서 가장 먼저 시작되어야 한다. 발달된 저작근과 치조돌기, 높은 교합력을 보이며 수축 상태와 안정 상태의 근육길이 차이가 적어 악간 간격이 많지 않은 환자는 수직 고경 상실에 대한 평가와 수복물의 설계가 더욱 신중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치아 길이의 감소는 그에 상응하는 치조골 높이 신장에 의해 보상될 수 있으며 수직고경의 항상성이 유지되는 것이므로, 이 경우 수직고경의 섣부른 증가는 근피로감, 치아의 압하 및 통증, 보철물의 파절등을 초래할 수 있다. 본증례의 환자는 다수 치아의 마모와 이 악물기 습관이 관찰된 환자로, 수직고경의 증가를 동반하여 상악 무치악 부위는 아말감을 삽입한 가철성 국소의치, 상하악 유치악 부위는 고정성 보철물로 수복을 하였으며, 이에 기능적인 면과 심미적인 면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치험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Many of the patients with extensive abrasion need comprehensive restorative treatment. The abrasion is usually caused by attrition, besides of it, there are many reasons for it. The plan of treatment should be started on assessment of the type of attrition and the etiologic analysis. Patient with well-developed masticatory muscle, alveolar process, and high occlusal force and also with little muscle length difference between the stable and the contracted state should be carefully assessed for the vertical dimensional loss and the restoration should be carefully designed. Decrease of tooth length can be compensated by the growth of the alveolar bone height; therefore, consistency of the occlusal vertical dimension is maintained. Accordingly, a careless increase of the vertical dimension can produce muscle fatigue, depressed tooth and pain, and fracture of the restoration. In this case, the patient with multiple tooth abrasion and clenching habit, the edentulous maxillary area is restored with amalgam inserted RPD, and the dentulous area of the maxilla and mandible are treated with fixed restoration accompanying with the increase of vertical dimension. Consequently, we are going to report about the satisfying result in both functional and esthetic aspects.

      • KCI등재

        Dextran-like Exopolysaccharide-producing Leuconostoc and Weissella from Kimchi and Its Ingredients

        박지희,안효주,김성건,정장호 한국식품과학회 2013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Vol.22 No.4

        Dextran-like exopolysaccharide (EPS)-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were isolated from kimchi and its ingredients. Analysis of 16S rRNA genes (500-600 bp) of 158 isolates revealed that dextran-like EPS-producing strains were most similar to either Leuconostoc or Weissella. The gene sequence analysis of the strains revealed a similarity to Leuconostoc mesenteroides and Weissella confusa in the samples. The molecular masses of dextranlike polymers from the most isolated Leuconostoc and Weissella strains were 1,176 and 1,158 kDa, respectively. Fourier transform infrared analysis of these polymers showed a similarity to the structure of commercial dextran from Leu. mesenteroides B-512F.

      • KCI등재

        수도권 개발제한구역의 환경평가등급 재평가에 관한 연구

        박지희 국토지리학회 2020 국토지리학회지 Vol.54 No.3

        The green belt in Korea introduced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System between 1998 and 1999 and conducted reasonable adjustment for the lifting of the green belt. The re-evaluation of environmental assessment grade was conducted between 2014 and 2015, and the possibility of changes in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grade of green belt was appeare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rocess of designation of green belt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as first examined, and the background and what has been discussed during the re-evaluation of environmental assessment grades was verified by comparing before and after the re-evaluation. Next, based on 2014, when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grade was re-evaluated, the changes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 green belt’s environmental assessment grades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nto two periods, 1999-2014 and 2014-2019. While most of the 1st and 2nd grade areas increased between 1999 and 2014, the decline in the 3rd and 5th grade areas was noticeable.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marked decrease in the number of 2nd grade areas and an increase in 3rd grade areas between 2014 and 2019, after the revaluation of environmental assessment grades in green belt. 우리나라 개발제한구역은 1998년∼1999년 「환경평가」제도를 도입, 해제를 위한 합리적인 조정을 진행하였다. 이후2014년∼2015년에 환경평가등급 재평가가 시행되었고 개발제한구역 환경평가등급의 변화 가능성이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환경평가등급 재평가에 대한 시행배경과 내용을 재평가가 시행되기 이전과 이후를 비교하여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환경평가등급 재평가가 이루어진 2014년을 기준으로 서울시 개발제한구역 환경평가등급을 1999년∼2014년, 2014년∼2019년으로 구분하여 그 변화를 분석하였다. 1999년∼2014년에는 1-2등급지의 경우 대부분 증가 양상을, 3-5등급지의 경우는 감소추세가 두드러진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개발제한구역 환경평가등급 재평가 이후인 2014년∼2019년에는 반대로 2등급지의 뚜렷한 감소와 3등급지의 증가 양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사과 과수화상병 예찰을 위한 데이터 증강에 따른 사과꽃 생육단계 분류 비교

        박지희,하영서,정윤주,이영학,심재창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23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Vol.26 No.3

        Smart farms have brought great progress to agriculture. Automated facilities and convenient systems have increased yields. However,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preventing plant diseases so far. Apple blossoms suffer from fruit burn. Fruit burn disease takes the form of burnt stems, leaves, flowers, etc., and apple blossoms cannot bear fruit when caught in this disease. In order to prevent fruit burn disease,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identify the flowering period among the growth stages of apple blossoms. Water burn can be prevented by spraying pesticides during the flowering period after identification. This paper focuses on preventing fruit burn disease by identifying the flowering period by classifying the growth stages of apple blossoms. The class imbalance problem was improved by directly taking images of apple blossom growth stages and using augmentation for insufficient classes. Train several deep learning models and compare and analyze their performance. As a result of comparison, YOLOX showed the highest performance.

      • KCI등재

        공감(empathy)과 동정(sympathy) - 두 개념 대한 비교 고찰

        박지희 한국수사학회 2015 수사학 Vol.0 No.24

        공감에 대한 연구는 크게 “타인이 생각하고 느끼는 것을 어떻게 아는가?”라는 질문과 “무엇인 타인의 고통에 반응하여 그들을 돕고자 하는 행동으로 이끄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제시하는 것으로 나눠 볼 수 있다. 첫 번째 질문에 관계된 연구에서 공감은 본질적으로 타인이 느끼고 생각하는 것을 이해하는 양식이다. 따라서 공감이 반드시 타인에 대해 걱정하는 감정을 포함하거나 그러한 감정으로 결과 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측면에서 공감과 동정의 분리가 강조된다. 또한 타인의 고통을 이해한다고 해서 반드시 타인을 돕는 어떤 행동을 해야 한다는 결론에 이르지는 않기 때문에 공감의 영역과 도덕의 영역이 분리된다. 한편 두 번째 질문에 관계된 연구에서 공감은 동정과 혼용된다. 공감을 통해 타인을 이해하게 되면 타인에 대해서 걱정하는 감정이 생기고, 결국 그 사람을 돕고자 한다는 것이다. 또한 공감적인 것은 도덕적으로 좋은 것이며, 공감을 결여하는 것은 도덕적으로 결함이 있는 것으로 보게 된다. 두 질문 각각에 천착하여 답을 찾는 과정에서 공감에 대한 정의와 그 이론이 서로 다르게 제시되는 것은 그리 놀라운 일은 아니다. 두 질문이 서로 다른 것이라 할지라도 전혀 무관한 것은 아니다. 항상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우리가 다른 사람에게 공감하게 되면 그에 대해 걱정하게 되고 돕고자 하며 또 그러기를 바란다. 이렇게 볼 때, 타인의 감정과 생각을 알게 되는 것에 대한 질문으로부터 타인을 돕고자 하는 행동에 대한 질문으로 나아가면서 공감이라는 개념은 동정의 의미를 갖고 또 이타적인 행동과 관계된다. 이것은 공감에 대한 연구가 특정의 어떤 학문, 예를 들어 철학이나 심리학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학문, 예를 들어 의료윤리, 미학, 사회학 등과 연계되어 그 논의를 더욱 풍부히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Empathy, a translation of the German word Einfühlung has been an important concept in contemporary society. Although the notion of empathy has a wide-ranging application, it has marked by ambiguity and elusiveness. There is no concensus on the definition of empathy among scholars. Moreover, the two distinct concepts of empathy and sympathy are often taken to be interchangeable. This practice has allowed for a confusion in our understanding of empathy. The purpose of this article, therefore, is to try to clarify these two concepts. Briefly, empathy refers to the attempt of oneself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another self. Sympathy refers to an awareness of the sufferings of another person as something to be alleviated. In essence empathy is a way of “knowing”. Sympathy is a way of “relating”. I will summarize the histories of sympathy and empathy and draw some distinctions between them. By strengthening the distinctions between empathy and sympathy, I hope to encourage the study of what is truly empath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