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도서관의 근로운영방식에 따른 근로학생 구전(口傳)마케팅 효과의 실증적 연구

        최윤희,김기영 한국문헌정보학회 2014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8 No.3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근로경험에 따른 도서관 마케팅효과에 대한 연구(최윤희 2012)의 후속 연구로서, 대학도서관의 근로학생 운영 특성을 조직구조와 조직커뮤니케이션의 특성으로 구분하였을 때, 각 집단에 속한 근로경험자의 충성도 차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근로학생의 행동적 충성도로 나타나는 구전마케팅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근로경험자 지인의 충성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대학도서관의 근로학생 운영이 대학 내 학생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한 마케팅 활동으로서 가지는 의의를 논의하였다. As a follow-up of the study on the marketing effect of undergraduates’ work experience in university libraries(Choi 2012), this study aims to identify differences in the library loyalty of student employees by the managerial characteristics of student employees and analyzes the loyalty of the acquaintances of the student employees to identify the word-of-mouth marketing effect by behavioral loyalty of student employee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analyses, we discuss the possibility of the management of student employees as a marketing activities in university libraries to the whole undergraduate student.

      • KCI등재

        드라마 “나의 해방일지”에서 ‘해방’과 ‘추앙’ 의미 고찰

        최윤희,김태완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A Study on the Meaning of ‘Liberation’ and ‘Worship’in the Drama My Liberation NotesYunhea Choi & Taewan Kim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MZ generation that appeared in the main characters’ lives by examining the meaning of “liberation” and “worship” in the drama My Liberation Notes and the reason why the “liberation” process was possib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flect on the way modern people live struggling in the era of uncertainty. First, Yeom Mi-jung’s ‘worship’ is the acquisition of continuity of existence. Second, the meaning of ‘liberation’ is to discover me. Third, the latent space called ‘Mr. Koo’ made creative life possible for ‘worship’ and ‘liberation’. Therefore, modern people, including the MZ generation in the age of uncertainty will be encouraged by “worship”, a full support for failure and frustration, and if there is a “liberation” moment to find themselves, they will be able to live a creative and vivid life in a potential space. Key Words: Liberation, Worship, My Liberation Notes, MZ Generation, Winnicott 드라마 “나의 해방일지”에서 ‘해방’과 ‘추앙’ 의미 고찰최 윤 희*ㆍ김 태 완** 연구 목적: 이 연구는 드라마 ‘나의 해방일지’에 나오는 ‘해방’과 ‘추앙’의 의미와 ‘해방’과정이 가능했던 이유를 위니캇의 이론으로 살펴봄으로써, 주인공들의 삶에서 나타난 MZ세대의 심리적 상태를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이로써 불확실한 시대의 현대인 존재 방식을 반추하는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정신분석가인 위니캇 이론의 문헌 연구를 통해 ‘해방’과 ‘추앙’의 의미를 밝히고 MZ세대의 심리·정서적 의미를 정신분석적 관점으로 접근하였다. 연구 내용: 문헌 연구결과, ‘추앙’은 위니캇의 ‘일차적 모성몰두’ 욕구를 반영을 의미함과, ‘해방’은 위니캇의 ‘홀로있음’과 ‘참자기 발견’, ‘잠재 공간’ 안에서 창조적 과정을 의미함을 고찰하였다. 결론 및 제언: 첫째, 연구에서 ‘추앙’의 의미는 존재의 연속성 획득이다. 둘째, ‘해방’의 의미는 참자기를 발견하는 것이다. 셋째, ‘추앙’과 ‘해방’을 위해서 부모님의 안아주는 공간이 창조적 삶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므로 불확정성 시대를 살아가는 MZ세대를 포함한 현대인은 실패와 좌절에도 전적인 응원인 ‘추앙’으로 격려받고, 자신을 발견하는 ‘해방’의 순간이 있다면 다양한 잠재적 공간 안에서 창조적이고 생생한 삶을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핵심어: 해방, 추앙, 나의 해방일지, MZ세대, 위니캇 □ 접수일: 2022년 8월 14일, 수정일: 2022년 9월 15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0일* 주저자, 한신대학교 심리학과 박사과정(First Author, Doctoral Course, Hanshin Univ., Email: yuninara@hs.ac.kr)** 교신저자, 한신대학교 정신분석대학원 조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Hanshin Univ., Email: honesty376@hs.ac.kr)

      • KCI등재

        보육교사의 팀티칭 경험에 따른 교사효능감 및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실행 수준 분석

        최윤희,김현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4 No.5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팀티칭 경험 유무와 기타 팀티칭 관련 경험적, 운영적 특성의 하위수준에 따른 교사효능감 및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실행(권리보육)에서의 차이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 지역의 어린이집에서 담임교사로 근무하는 보육교사 23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연구가 진행된 해당 보육년도에 팀티칭 운영 경험이 있는 교사, 당해 팀티칭을 운영하지 않았지만 이전 팀티칭 경험이 있는 교사, 팀티칭 경험이 전무한 교사 집단 간 교사효능감과 권리보육 수준을 비교한 결과, 교사효능감에서는 팀티칭 운영 집단이 팀티칭 경험 전무 집단보다, 권리보육에서는 팀티칭 운영 집단이 나머지 두 팀티칭 미운영 집단보다 더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팀티칭 관련 기타 경험적, 운영적 특성에 있어서는, 팀티칭 경력이 높고 팀 교사와 교수 신념 및 접근법이 유사할수록, 그리고 역할분담이 분명하고 정기적인 회의 시간을 가진 경우 교사효능감과 권리보육이 더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는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실행에 있어 팀티칭이 기능적일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으며, 효율적인 팀티칭 운영 방향에 대한 유용한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different levels of teacher efficacy and childcare practice (rights-securing childcare) depending on preschool teacher’s team teaching (TT) experiences and related experiential and procedural variables. Survey included 230 preschool teachers working at preschools in Seoul and Gyeonggi-do areas. The study found that teachers with TT experiences during the given curriculum year scored higher on teacher efficacy than those with no TT experience and also scored higher on rights-securing childcare than those currently non-participating in TT but having prior experience as well as those with no TT experience. The study also found that levels of teacher efficacy and rights-securing childcare were generally higher with more experience in TT, with similar teaching beliefs and approaches among TT teachers, with clearly defined and assigned roles among TT teachers, and with regular meetings. These results suggest the potential efficacy of TT on preschool teacher’s teacher efficacy and childcare practice respecting children’s rights, and offer practical tips for effective operation of TT system in preschool settings.

      • KCI등재

        영재 교육 현장경험을 통해 얻은 과학 교사들의 효과적 영재 교수방법에 대한 인식 탐색

        최윤희,이현주 韓國英才學會 2016 영재교육연구 Vol.26 No.2

        본 연구는 교육청 부설 영재 교육 기관에서 과학 영재 학생들을 수년간 가르쳐온 12명의 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이들이 현장경험을 통해 어떠한 교수방법을 효과적으로 인식하고 있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년~11년의 영재 교육 경력을 지닌 교사들을 섭외하여, 이들과 2회에 걸쳐 개별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영재 담당 교사들은 영재 교육 활동을 통해서 과학 영재들의 특성에 대한 일부 선입견이나 부정적 편견이 줄어들었으며, 영재 학생들이 일반 학생들과 다른 점에 대해 주목하기 시작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참여 교사들은 영재 학생들을 똑똑하기 보다는 잠재적 성장과 발전의 가능성을 지닌 학생들로 인지하였으며, 학생들의 지적 호기심이나 수행의지, 과제 집중력, 창의성 등의 특성이 발휘될 수 있는 수업을 구상하기 위해 노력해왔음이 드러났다. 이러한 관점에서 연구 참여 교사들은 탐구하는 과정과 방법에 대한 경험의 제공, 모둠 활동을 통한 리더십과 의사소통, 배려하는 능력의 함양,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사고방식을 키우고 나아가 이공계 진로 진출을 고려한 진로 탐색의 기회를 주는 교수를 효과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영재 교육 초임교사나 새로운 교수법을 모색하는 교사들에게 많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study was to explore scienc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on teaching the gifted in science; namely, what kinds of instructional methods did they perceive as effective approaches based on their teaching experience with the gifted? Twelve science teachers who had 4-11 years of teaching experiences with the gifted students at the gifted center under the local educational office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data source included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with the teachers. In results, the teachers became more aware of the academic potential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and had made efforts to develop their instructional methods more fitt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the gifted. They emphasized four instructional aspects: 1) experience of authentic inquiry process and methods, 2) group activities focusing on leadership,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and empathetic attitudes, 3) tasks promoting creative and convergent thinking, and 4) career awareness in the field of science, technology, and engineering.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provides more practical implications and insights for novice science teachers in the gifted education.

      • 인공지능기반 기계번역기와 영어교육에 대한 문헌 고찰

        최윤희 總神大學校 2021 總神大論叢 Vol.41 No.-

        이 논문은 최근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외국어 교육에서 큰 관심을 받고 있는 기계번역기와 외국어 특히 영어 교육에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분석하고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영어교육에서 기계번역기 사용은 이제 피하기만은 할 수 없는 사회적 흐름과 필요일 수 있어서 관련 연구들의 주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최근 10년 이내 게재된 국내외 저명 학술지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국내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등재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으로 국한하고, 국외 연구들은 SSCI 및 SCOPUS에 등재된 저명한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으로 제한하였다. ‘machine translator’, ‘google translate’, ‘기계/자동번역기’ 및 ‘English learning/teaching’ 등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선행연구들을 수집 후 여러 차례의 내용 분석(content analysis) 과정을 거쳐 선행연구들의 주요 주제들을 도출하였다. 선행연구들의 주요 주제들은 ‘기계 번역기의 정확성’, ‘기계 번역기에 대한 사용자 및 학습자의 인식 및 태도’, ‘기계 번역기의 영어 교수 방법에 활용 및 적용’, 및 ‘기계 번역기 활용이 영어 교육에 미치는 영향 및 효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과학 기술적 진보로 우리 생활에 가깝게 다가올 기계 번역기에 대한 이해 및 영어교육에의 활용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교수자 교육에 많은 교육적 의의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