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강상우,Gang, Sang-U 사단법인 한국당뇨협회 2007 당뇨 Vol.212 No.-
전국민의 약 8%가 당뇨병을 앓고 있으나 환자 절반 정도가 치료를 받지 않고 있는 등 당뇨관리의 총체적 부실을 드러내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대한당뇨병학회가 발표한 '당뇨병 전국표본조사' 분석결과 당뇨병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인구는 모두 296만4000명으로 전국민의 7.75%에 해당되며, 이중 1년간 한 번이라도 진료를 받은 적이 있는 환자는 약 54%인 144만6000명에 그쳤다. 당뇨병환자로 확인됐더라도 질환 관리를 제대로 하지 못하는 등 허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당뇨병으로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가 1년 이내에 사망할 확률은 3.95%로 연간 5만7137명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체 인구의 사망률이 0.48%인 점을 고려하면 당뇨병환자의 1년 이내 사망률은 일반인의 3.11배나 된다. 2005년 당뇨로 처음 확인된 환자의 1년 이내 사망률이 7.56%로 이전부터 진료를 받고 있는 환자의 2배가 넘고 한국인 평균에 비해서는 7.47배가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조기진단을 받으면 사망률을 절반 이상 떨어뜨릴 수 있다는 결과로 풀이된다. 이와 함께 전체 건강보험 진료비 가운데 당뇨병환자 몫이 20%에 달하는 등 보험 재정에 막대한 부담을 안겨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당뇨병이라는 진단을 받고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해 사망하는 사람이 증가하고 있는 상태에서 우리나라 당뇨관리 실태는 어떠하고, 앞으로 개선해야 할 점이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자.
당뇨일기: 천사의 당뇨일기 두번째 이야기 -먹을 것이 넘쳤던 오늘의 유혹
사단법인 한국당뇨협회 사단법인 한국당뇨협회 2011 당뇨 Vol.255 No.-
인터넷 블로그를 통해 매일 당뇨일기를 작성하고 있는 문진순 님(53세)은 임신성 당뇨를 진단받은 후 지금까지 당뇨병과 동거동락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인슐린으로 혈당관리를 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8단위에서 4단위로 무리없이 운동과 식사조절을 통해 인슐린 용량을 줄여 나가고 있습니다. 문진순 님도 한 때 혈당관리를 잘 못해 혈당이 500~600mg/dl 까지 오를 정도로 당뇨관리에 어려움을 겪으신 분입니다. 그동안의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나름의 방식을 터득해 혈당관리를 잘하고 있습니다.
특집_의료진과 함께 한 제 12회 성인당뇨캠프 - 강의노트-체육학 교수가 전한 당뇨정보 - 당뇨병과 운동
사단법인한국당뇨협회 사단법인 한국당뇨협회 2009 당뇨 Vol.239 No.-
당뇨병의 치료와 관리에 있어 운동은 보약과 같다. 혈당을 내려주고 체중을 조절해줘 비만을 방지해주며 고혈압, 고지혈증, 심장병, 골다골증 등을 예방해주는 효과가 있다. 운동은 당뇨병 치료로서 전부가 아니라 의학적인 차원에서도 반드시 필요하다.
사단법인 한국당뇨협회 사단법인 한국당뇨협회 2011 당뇨 Vol.255 No.-
당뇨병성 신증은 망막증, 신경 합병증과 함께 당뇨병의 대표적인 3대 합병증 증 하나로 신장이 받아야 한다는것 때문에 당뇨병환자로서는 제일 두려운 합병증 중 하나이다. 그러나 두려워만 하기에 앞서 당뇨병성 신증의 본질을 잘 알고 각 단계별로 잘 대처하고 차분히 마음가짐을 다져가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당뇨병성 신증의 각 단계에서 대처해야 할 일들을 짚어보자.
특집: 운동으로 당뇨를 이긴 사람들 -운동으로 당뇨를 극복한 사람들 IV
사단법인 한국당뇨협회 사단법인 한국당뇨협회 2011 당뇨 Vol.257 No.-
언론인이며 추리소설 작가로 유명한 이상우(74세) 씨는 "당뇨병은 완치할 수 있는 병"이라고 자신 있게 말한다. 당뇨관리 시작 70일만에 약이나 인슐린 없이 걷기와 식이요법으로 혈당수치를 정상으로 되돌린 것이다. 담당 주치의 역시 처음에는 그의 말을 믿지 않았다. 당뇨병 완치가 불가능하다는 이유에서였다. 그가 운영하고 있는 블로그 '홈즈네집' 한 켠에는 "당뇨병완치"라는 폴더가 자리하고 있다. 걷기를 통해 당뇨병을 극복한 경험을 사람들에게 알리고 싶어서다. 이메일을 통해 그를 인터뷰 해봤다.
특집 : 올바른 신장합병증 관리를 위해 - 예방과 조기발견이 최선 - 당뇨병성 신증 어떻게 진단하나
사단법인 한국당뇨협회 사단법인 한국당뇨협회 2011 당뇨 Vol.261 No.-
당뇨병성 신증은 당뇨병의 제 3대 합병증 중 하나로 당뇨병환자가 사망하게 되는 주요 원인중 하나이다. 신장합병증의 경우 당뇨병환자의 약 30%에게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발생 후 말기신부전증까지 진행이 되면 투석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환자들이 두려워하는 합병증 중 하나이며, 삶의 질적인 면에서도 손상이 커 혈당조절이 안정적으로 관리해서 신장합병증에 걸리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당뇨합병증: 당뇨와 간질환 C형 간염, 알코올 지방간 주의해야
사단법인 한국당뇨협회 사단법인 한국당뇨협회 2011 당뇨 Vol.257 No.-
당뇨병과 간은 상관관계가 없는 것 같지만 그동안 당뇨병과 간에 대한 연구가 여러 차례 진행돼 왔다. 우리나라에서 2001년 연구한 바에 따르면 제 2형 당뇨병에서 C형 간염의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당뇨병환자에서 비알콜성 지방간이 흔하게 관찰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반면 간 질환자에서 당뇨병 발생빈도가 10~30%로 매우 높게 나타나 당뇨병과 간이 밀접한 연관성이 있음을 짐직할 수 있다.
약물요법 - 혈당조절과 약물복용법 _종합비타민, 당뇨병엔 효과 없다?
사단법인 한국당뇨협회 사단법인 한국당뇨협회 2011 당뇨 Vol.256 No.-
당뇨병환자에서 혈당조절과 합병증 예방에 비타민과 무기질 보충제를 복용하는 것이 도움이 될까? 당뇨병을 완전히 극복하고 싶은 바람에 적지 않은 사람들이 여러 가지 약물에 의존하고 있다. 비타민은 당뇨병에 어떻게 작용하는 지 알아보자.
사단법인 한국당뇨협회 사단법인 한국당뇨협회 2007 당뇨 Vol.212 No.-
당뇨병환자는 혈당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망막증, 신장합병증, 대혈관합병증, 족부합병증 등 다양한 질환에 걸릴 위험이 높다. 또 당뇨병이 생긴지 오래된 환자, 혈당수치가 불규칙한 환자 등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식이요법과 운동, 약물요법으로 혈당을 안정적으로 잡아주는 것이 합병증 예방의 지름길이다. 또한 혈당관리가 꾸준하게 관리되고 있더라도 최소 1년의 한번씩은 합병증 검사를 받아 자신의 질병 유무를 판단해야 더욱 건강한 삶을 오랫동안 누릴 수 있다. 그렇다면 당뇨병환자에게 흔히 생기는 합병증 유무를 판단하려면 무슨 검사를 해야 할까? 본 코너에서는 초보 당뇨병환자나 아직 합병증 검사를 한 번도 받지 않은 환자들을 위해 앞으로 해야 할 합병증 검사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