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중언어능력의 조선족 아동과 대학생의한자와 한글 단어, 문장 음독에 관한 연구

        윤혜경,박혜원,권오식 이중언어학회 2007 이중언어학 Vol.33 No.-

        Yoon HyekyungChoi Park HyewonKwon Ohseek. 2007. 2. A Study on the Oral Reading of Korean Hangul and Chinese Hanja Word, Sentence in Korean- Chinese Children and University Students. Bilingual Research 33, 121-140.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reading time of word and sentence reading in Korean script, Hangul and Chinese script Hanja. The Korean-Chinese subjects, 5th grade and University student were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because of his/her bilingual ability. The results of word reading task was that Hangul reading was faster than Hanja reading in both ages, which due to the orthographic depth hypothesis. The spelling-sound correspondence is more regular in Hangul than in Hanja, so the sound construction is more easier in Hangul than in Hanja. In the the result of the sentence reading task, we could see the Hangul sentence reading was also fast than Hanja sentence and mixed sentence (Hangul and Hanja). And in Mixed sentence, reading time was longer than other type sentence.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with the process of Hangul and Hanja reading in bilingual Korean-Chinese.(INJE University Uulsan UniversityINJE University)

      • KCI등재
      • KCI등재

        헤르페스뇌염의 자기공명영상소견

        윤혜경 대한영상의학회 1992 대한영상의학회지 Vol.28 No.3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MR findings of 12 patients with herpes simplex encephalitis (HSE) (8 months-64 years old). MR imaging was performed on either a 0.5T (6 patients) or 2.0T (6 patients) superconducting unit with spin echo pulse sequences. The most common and characterristic MR finding consisted of non-hemorrhgic lesions in the cortices of the temporal lobes (12), and insula(6), either bilateral (7) or unilateral (5). The frontal lobe and cingulate gyrus were involved in 4 and 2 patients respectively. Petechial hemorrhge was found in 3 patients. Non-hemorrhagic lesions were shown as high signal intensities on proton and T2WI, and iso-or low signal intensities on T1WI. In conclusion, MR imaging findings described above appear to be characteristic of HSE and were found to be extremely valuable in the diagnosis of HSE.

      • KCI등재

        장관골으 화농성 골수염 : 자기공명영상 소견

        윤혜경 대한영상의학회 1993 대한영상의학회지 Vol.29 No.3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MR in the osteomyelitis, we reviewed MR examinations of 14 patients with pyogenic osteomyelitis of the long bone. All 14 patients were confirmed to have osteomyelitis either surgically (13/14) or by aspiration (1/14) MRI was performed with 0.5T(n=8) or 2.0T(n=6) SE technique, and GD-DTPA enhanced T1W1 was obtained in 10 examinations. Anatomic location of lesions were femur (8/14) tibia (5/14) and fibula (1/14) The marrow cavity and soft tissue were involved in 13/14, 12/14 respectively. The signals of both intraosseous and extraosseous infected area were iso to low signal intensity to muscles on T1W1 and high signal intensity on PDWI & T2WI. Rim or diffuse enhancement of the marrow cavity and soft tissue were seen in all(10/10) cases. Sequestra, periosteal reaction. and cortical defect were found in 12/14, 10/14, 9/14. MR provided more accurate and detailed anatomic information including extent of disease and possible activity than bone scintigraphy, CT, or conventional radiography. We conclude that MR might be the choice of modality in the diagnosis of osteomyelitis of the long bone.

      • KCI등재

        Dual X-ray Absortiometry(DXA) in the Detection of Loosening in the Total Hip Replacement Arthroplasty : Preliminary Study

        윤혜경 대한영상의학회 1994 대한영상의학회지 Vol.30 No.2

        목 적 :이중에너지 X선골밀도측정장치(DXA)를 이용하여 고관절전치환술을 시행한 환자에서의 치환물주변 골밀도측정도 가능해졌으며, 최근에 개발된 orthopedic소프트웨어는 치환물 주변의 골밀도를 횡단분포도로 나타내어 골밀도의 상대적분포를 알 수 있게 되었다. 저자들은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치환물주변의 골밀도 횡단분포도의 분석이 치환물의 해리판정에 있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인가 알아보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총 32명의 환자(36개 고관절)를 대상으로 하였고 고관절전치환술과 DXA사이의 기간은 1년 7개월에서 15년까지였다. 횡단분포도소견에 따라 세가지 형으로 분류하였는데, 견고한 고정을 나타내는 I 형이 17예, 분명한 해리를 나타내는 II 형은 8예, 부분해리인 III 형은 총 11 예에서 있었다. 단순골촬영소견과 DXA를 이용한 횡단분포도를 비교하였고 수술을 시행한 14 예에서는 수술소견을같이 분석하였다.결 과: 비구측해리의 재성형을 위해 수술을 시행했던 14예중 5예에서 대퇴골측해리가 확인되었고, 나머지 9예에서는 대퇴골측 치환물의 견고한 고정을 확인하였다. 수술로 확인된 예에서 단순촬영및 DXA모두 민감도 100 %를 보였으며 특이도는 단순촬영과 DXA가 각각 88%, 77%로서 단순촬영이더 높았다. 결 론: 위의 결과를 토대로 DXA를 이용한 골밀도의 횡단분포도분석이 치환물해리를 평가하는데 단순촬영과 함께 어느 정도 유용하리라 예상되지만 임상적용을 위해서는 많은 증례를 대상으로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Purpose: Algorithms to get cross-sectional bone density pattern(transverse histogram) to predict the loosening of hip prosthesis using DXA(Dual X-ray Absorptiometry) have been developed. We performed this study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radiologic findings and densitometric pattern of the THRA(Total Hip Replacement Arthroplasty) patients.Materials and Methods . Thirty-six hips of 32 THRA patients were evaluated. The duration between THRA and DXA was from 1 year 7 months to IS years. On transverse histogram, the periprosthetic bone density patterns were classified as 3 types; type 1, rigid fixation in 17, type 11, definite loosening in 8, and type 111, partial loosening in 11 cases. Surgical findings, plain X-ray findnings and transverse histogram using DXA were correlated.Results: Among 14 cases performing revision for acetabular prosthesis loosening, 5 cases revealed loosening of femoral stems while 9 cases revealed rigid fixation of femoral stems. Sensitivity was 100% for either plain X-ray or DXA. Specificity was 88%, 77% for plain X-ray and DXA respectively.Conclusion : This preliminary study reveals that periprosthetic bone density pattern on transverse histogram on DXA may be useful in the evaluation of the loosening. However, further study will be needed for clinical application.

      • KCI등재
      • KCI등재

        정전기 유도에 대한 중학생의 시각적 표상 해석, 구성, 적용 능력

        윤혜경,조광희,조헌국 한국물리학회 2016 새물리 Vol.66 No.5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middle school students’ representational competence in electrostatic induction and at examining the relationship among the components of representational competence. In this study, 108 students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identifying their representational competence (interpretation,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after they had learned `electricity and magnetism' unit. As for interpretation, only 37.0\% of the students understood the symbols of electric charges. As for construction, more than half drew more charges on the leaves than on the plate of an electroscope. As for application, students tended to draw only one kind of charge when applying a charge distribution to a new situation. Less than one-third of the student ssucceeded in drawing the same amount of + and $-$ charges. The mean score for applicatio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it was for interpretation or construction, and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interpretation,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were found. For better understanding of science concepts and better reasoning skills, more attention must be given to the use of visual representations during instruction. 본 연구는 정전기 유도에 대한 중학생의 표상 능력을 조사하고, 표상 능력 세부 영역 간의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이에 정전기 유도에 관한 시각적 표상 능력(해석, 구성, 적용)을 묻는 설문 조사를 개발하고, 중학생 10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전자기 단원을 학습한 직후임에도 불구하고 중학생의 표상 해석, 구성, 적용 능력은 높지 않았으며 주어진 표상을 다른 상황에 적용하는 능력이 다른 영역보다 낮게 나타났다. 정전기 유도에 대한 표상 해석 능력에서 +, $-$ 기호의 의미를 올바르게 이해하는 학생은 37.0\%였고 표상 구성에서는 절반 정도의 학생이 금속판보다 금속 조각에 더 많은 전하를 그리거나 금속판에 아예 전하를 표시하지 않았다. 표상 적용에서 학생들은 주어진 표상을 다른 상황에 적용시키는 과정에서 한 종류의 전하만을 표시하거나 강조한 경우가 많았고, +전하와 –전하의 양을 같게 표시한 경우는 3분의 1이하로 적었다. 이러한 학생의 표상 해석, 구성, 적용 능력 사이에는 서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이는 세 가지 구인이 서로 연관되면서도 독립적인 능력임을 시사한다. 이는 학생의 개념 이해와 과학적 추론 능력 발달을 위해서 시각적 표상이 과학 교수 학습 과정에서 좀 더 적극적으로 활용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과학 수업 비디오에 기초한 반성 활동을 통한 초등 예비교사의 전문적 시각의 변화

        윤혜경,송영진,Yoon, Hye-Gyoung,Song, Youngjin 한국과학교육학회 2017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7 No.4

        이 연구에서는 초등 예비교사 8명을 대상으로 과학 수업 비디오에 기초한 개인적, 협동적 반성 활동이 예비교사의 전문적 시각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그 과정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데이터로는 예비교사와의 개별 면담 녹음 자료, 예비교사의 과학 수업 지도안, 과학수업 비디오, 연구자가 수업 참관 시 작성한 현장 노트, 연구 일지, 예비교사가 작성한 이벤트 맵 등이 활용되었다. 예비교사의 전문적 시각은 '선택적 주목'과 '교육적 추론'의 두 가지 범주로 분석하였다. 선택적 주목은 1) 수업 운영과 통제, 2) 교사의 지도, 3) 학생의 사고와 학습 4) 내용 지식 5) 평가의 다섯 측면으로 구분하였고 교육적 추론수준은 증거의 수, 증거의 영역, 유형에 따라 6 수준으로 구분하였다. 연구 결과 수업 비디오에 기초한 개인적 반성은 '수업 운영과 통제'에 대한 주목을 줄이고 '교사의 지도'에 대해 좀 더 주목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었다. '학생의 사고나 학습'에 대한 주목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수업 비디오에 대한 개인적 반성 활동만으로는 그 효과가 충분하지 않고 협동적 반성 활동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적 추론수준은 개인적 반성과 협동적 반성을 거치며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 학생의 사고나 학습에 대한 주장에서 하나의 증거보다는 여러 증거를 사용하게 되었고 증거의 영역과 유형도 좀 더 다양해졌다. 그러나 증거 형태는 직접적인 관찰에 의한 것이 대부분이었고, 교육이론에 기초한 증거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교사교육 과정에서 수업 비디오의 활용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rofessional visions through video-based reflection on science teaching with focus on their attention and pedagogical reasoning about student learning. Specifically, we compared two reflection cycles before and afte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ent through the collaborative video-based reflection process in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he primary data were collected from eight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nd included their science lesson plans, videotaped lessons, video-reflection papers, and transcripts from the interviews.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ttention was categorized in five aspects: classroom management & control, teacher's instruction, students' thinking & learning, subject knowledge, and assessment. The level of their pedagogical reasoning about student thinking and learning was determined with six levels based on the number of evidence, evidence area, and evidence type. The findings revealed that 1) individual reflection is not enough - collaborative reflection is essential to change their attention toward students learning and thinking 2) pedagogical reasoning levels increase gradually throughout the individual and collaborative video-based reflection processes. The participants not only attributed student learning solely to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but also connected it with their own instruction or science content knowledge and used different types of evidences as they went through two reflection cycles. Implications for using video in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사진을 활용한 은유적 표현활동에 관한 연구

        윤혜경,최연철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17 한국유아교육연구 Vol.19 No.2

        본 논문에서는 사진에서 나타난 유아의 은유적 표현에 대해 알아보았다. 유아가 유치원과 가정에서 찍은 사진을 활용하여 이야기 나누기를 하는 동안 새로운 사고가 표출되었으며 다양한 은유적 표현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유아의 은유는, 자신의 경험에 기반을 둔 은유적 표현, 유아의 적극적인 사진 읽기와 은유적 표현, 함께 나누며 더해지는 은유적 표현으로 유목화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young children’s metaphorical expressions during photography activities. Twenty six young children wer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pictures taken by children in both kindergarten and house were freely chosen to be discussed. During conversation period various metaphorical expressions were expres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 showed metaphorical expressions based on their experiences. Second, young children actively interpreted the pictures in various metaphorical ways. Third, children’s metaphorical expressions were expanded during conversation period.

      • KCI등재

        사후적 개념으로서의 포스트-시네마 : 1980년대 미디어 환경의 변화와 전통 관객성의 해체

        윤혜경 한국미학회 2022 美學 Vol.88 No.3

        본 연구는 2010년대 초반 영화의 위기 담론과 함께 대두된 포스트-시네마라는 용어가 사후적 개념임을 주장하며, 1980년대 미디어 환경 속에서 나타난 영화 현상이 포스트-시네마 담론의 전조로서 새로운 관객성 논의를 촉발했음을 밝힌다. 먼저 영화의 위기에 대한 상반된 두 시각을 설명하고, 포스트-시네마가 20세기의 지배적인 영화 이해와는 거리를 두며 미디어 환경의 변화와 관련된다는 것을 논증한다. 이어서 포스트-시네마 현상의 전조로서 1980년대 변화된 영상 미디어 환경과 함께 새로운 관객성의 양태가 대두되었음을 제시한다. 20세기 고전영화의 미라화된 관객성은 미술관 속으로 이주한 실험영화 및 영화 미디어와 텔레비전 미디어의 이질적 협력과 함께 포스트모던 문화 맥락 속에서 부활한 산보자로서의 지각 양태에 점진적으로 후퇴했다. 1980년대 전자 미디어로의 전환은 전통 영화 관습을 해체하고 영상 미디어 환경을 확대하면서 확장된 영화 연구를 촉구하는 포스트-시네마 시대를 예고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