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미래사회와 교육환경의 변화, 그리고 초·중등 과학교육의 과제

        조헌국,Jho, Hunkoog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7 초등과학교육 Vol.36 No.3

        Nowadays, the public as well as science educators pays much attention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wonders what will happen to the societies in the future. Thus, this study aimed at predicting the education environment which will be brought from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suggesting the solutions or tasks to be investigated in science education.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categorized the major changes of future society into a wild fluctuation of job market, the shift from possession-based economy to sharing economy, post-urbanized and distributed system, and the crisis of dehumanization. According to the four major changes, this study predicted the future environment that will occur to the educational system. First, the students should the competences necessary for the future and the school curriculum will be changed in terms of width and depth. Second, sharing economy may bring about the open platform similar to MOOC (Massive Open Online Course) or TED. Third, the manifest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education will enable the individual and paced learning, and thanks to the change, the concept of distributed cognition will be more focused in education research. Fourth, the collaborative learning and character education should be more stressed to resist the dehumanization. This study suggests relevant tasks and issues that should be tackled for the successful change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 KCI등재

        과학 관련 사회적 쟁점을 다룬 국내 학술 논문에 대한 문헌 연구 : 의사결정을 중심으로

        조헌국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4 교과교육학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과학 관련 사회적 쟁점을 다룬 국내 연구의 문헌 조사를 통해 과학 관련 사회적 쟁점연구를 조망하고, 합리적 의사결정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국내 연구에서 나타나는 의사결정의 의미와 모형,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등을 탐색하였다. 이에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과학 관련 사회적 쟁점을 다룬 41건의 논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연구 논문은 논문의 출판연도, 논문의 연구 형태, 연구 대상, 연구 방법, 의사결정의 정의 등에 따라 범주화하여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의사결정의 의미와 활용된 모형을 살펴 본 결과 의사결정을 명시적으로 정의하는 경우는 드물었으며, 선형적이고 과정적인 모형을 주로 활용하였다. 선행 연구에서 활용한 의사결정 모형에 따른 학생들의 의사결정의 특징으로는 문제 인식은 대체로 나은 편이나 지식수준에 상관없이 정보 탐색에 어려움을 보였고, 준거 마련과 대안 탐색에서는 다양한 가치로 인한 충돌을 쉽게 해소하지 못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각 대안의 장단점을 함께 인식하기보다는 장점이나 단점만을 주로 인식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와 같은 의사결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과학의 본성과 과학 지식, 개인적 가치 등 다양한 요인들이 제시되었으나 충분한 근거가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학생들의 의사결정 능력을 함양을 위해서는 다양한 쟁점의 교수·학습에서의 활용, 자료 수집 방법에 대한 신중한 검토, 다양한 의사결정 모형의 탐색과 지도, 가치 중재를 위한 명시적 활동, 의사결정을 위한 이론적 분석틀 마련이 필요하다. This study,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ttempts to delineate the features of studies on socio-scientific issues (SSI), and to investigate decision making and the factors affecting decision making. Forty-one papers dealing with SSI, selected through the RISS database, were followed by content analysis: year of publication, type of research, research participants, research method, and so on. The results indicate that only a few of the studies articulated explicit definitions of decision making; although many of studies adapted sequential and descriptive models of decision making. Regarding the process of decision making, the students showed a fair understanding of problem identification while they had difficulties in searching for information and mediating differing values. As well, the students seemed only to be able to recognize the advantages or disadvantages of an alternative. As factors of the decision making process, the nature of science, content knowledge, personal values, and gender difference were investigated. This study suggests several ways to enhance students’ abilities of decision making: the introduction of diverse issues in the classroom, thoughtful consideration concerning data collection methods, exploration of various decision making models, explicit teaching of the mediation of incompatible values, and the development of a theoretical framework for making judgements about the quality of decision making.

      • KCI등재

        전류에 대한 중학생의 시각적 표상 능력 분석

        조헌국,조광희,윤혜경 한국물리학회 2017 새물리 Vol.67 No.6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students’ visual representation competences for electric current and their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the concept. Students’ visual representation competences were categorized into ‘interpretation’,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A total of 99 middle school students were asked to answer a questionnaire after having learned the electromagnetism unit. When interpreting the visual representation, the students could not use scientific terms appropriately. They had difficulties in expressing the movement of negative charges in the wire and tended to explain the current with newly created charges or only one kind of charges during the construction and the application of visual representation. Some of them confused electrodynamic conditions and electrostatic induction.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is paper discusses some pedagogical implications in terms of visual representations 본 연구에서는 전류에 관한 중학생의 시각적 표상 능력을 조사하고, 전류를 이해하는 데 있어 학생들이 가진 어려움을 진단하고자 하였다. 시각적 표상 능력은 해석, 구성, 적용의 세 영역으로 구분하였고 전기와 자기 단원 학습을 마친 직후에 중학생 9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시각적 표상 해석 과정에서 학생들은 과학적 용어를 적절히 사용하지 못하였으며 시각적 표상 구성과 적용에서는 특히 ($-$)전하의 이동 방향을 올바르게 표시하지 못하였다. 학생들은 전류가 흐르는 것을 전하가 새로 생성되거나 한 종류의 전하만 이동하는 것으로 설명하려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일부 학생들은 전류가 흐르는 상황에서의 전하 분포를 정전기적 현상에서 나타나는 전하 분포와 혼동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중학생의 전자기 학습에 대한 시사점을 시각적 표상의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 KCI등재

        물리학자의 연구 문제 발견 사례를 통한 과학적 탐구에 대한 시사점

        조헌국,이봉우 한국물리학회 2021 새물리 Vol.7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hysicists’ research problem identification process to obtain implications for inquiry teaching. For this purpose, 58 cases of the research problem identification process were collected from 19 physicists and analyzed based on the scientific inquiry process such as problem recognition, research design, conducting research, data analysis, conclusion and reasoning, and evaluation. After that, the focus group had interviews with 3 physicist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Physicists most often found research problems in the process of problem recognition, followed by cases derived from the result of conducting research. Physicists were more inclined to discover new research problems from experiences with and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rather than everyday experienc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 discussed,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student’s inquiry problem identification. 본 연구는 물리학자들의 연구 문제 발견 과정을 분석하여 학생의 탐구 지도에의 시사점을 얻는 것을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물리학자 19명으로부터 58개의 연구 문제 발견 과정 사례를 수집하여 문제인식, 연구 설계, 연구 수행, 자료 해석, 결론 및 추론, 평가 등의 과학적 탐구 과정 요소를 토대로 분석하고, 물리학자 3명과 함께 초점 집단 면담을 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물리학자들은 문제 인식과정에서 연구 문제를 찾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연구 수행 과정에서 나타난 결과로부터발견하는 경우였다. 물리학자들은 일상적 경험보다는 이전의 연구 수행의 경험과 결과로부터 새로운 연구문제를 발견하는 경향이 컸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물리 탐구 과정에서 탐구 문제 발견을 위한 효과적인 지도 방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머신러닝을 활용한 영재 학생들의 졸업논문 주제 경향 분석

        조헌국,이봉우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22 과학영재교육 Vol.14 No.1

        본 연구는 영재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의 졸업 연구 논문을 분석하여 연구주제의 경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에 S 영재학교에서 최근 5년간 제출한 292건의 졸업 연구 논문의 제목 및 초록을 수집하여 BERT를 기반으로 한 문서 요약 및 키워드 추출 기능을 활용하였고 그 결과를 K-Means 군집 분석을 통해 범주화하여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의 연구 주제는 문제 해결을 위한 시스템 개발, 알고리즘 및 모형⋅이론의 제안, 구성 요소 또는 성분의 분석, 선행연구 기반 문제 해결, 센서 및 도구를 활용한 문제 해결, 데이터 기반 분석 및 활용, 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방법 제안 등 7개의 범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자연어 처리를 활용한 머신러닝과 딥러닝의 방법은 과학영재 학생들의 과제연구 지도 및 평가 등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관련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상세 서지분석을 이용한 에너지 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조헌국,이봉우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2019 에너지기후변화교육 Vol.9 No.3

        이 연구는 에너지 교육과 관련된 국제 연구 동향을 서지분석을 통해 파악하고 이를 통해 국내 에너지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에 Clarivate Analytics의 웹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통해 에너지 교육과 관련된 과학교육 분야 연구 논문 107건을 추출하고 해당논문의 상세 서지정보를 토대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인 R-Studio를 활용해 서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에너지 교육과 관련된 연구는 1980년대 후반과 1990년대 중반 활성화되었다가 감소한 뒤 2000년대 중반 이후 증가하였다. 피인용 횟수가 높은 상위 10개 논문의 경우 평균 인용 횟수가 45회였으며, 연구자 간 네트워크는 크게 2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그러나 키워드를 중심으로 나타낸 주성분 분석 결과, 두 집단의 연구 주제는 서로 구분되지 않았다. 또한 약 30년 이상 연구가 수행된 바 있으나 에너지 교육의 대상과 주제는 주로 중 ․ 고등학생의 에너지 개념 인식에 편중되어 있었다. 에너지 교육의 전문성 및 다양성을 위해서는 초등학생이나 예비교사, 현직교사 등 다양한 대상을 중심으로 한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으며, 교사교육이나 에너지 교수학습 전략, 모형 개발, 에너지 실천 및 소양 등 에너지 교육 전반에 대한 집중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