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기술 교육프로그램의 진단과 활성화 방안 연구 - 국립중앙과학관 중심으로 -

        최유현,박기문,이정균,김동하,홍주환 한국기술교육학회 2010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0 No.1

        The study is focused on facilitating science & technology education program and the resulting development of practical education program of the National Science Museum, the leading model institution as Korea's central science center and the focal point of study, dissemination and spread of understanding of the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history. The study result is as follows:First, the study considered 4 points: learners' level, level of educational value of science and technology, level of differentiated program and educational capacity of the National Science Museum. And the study suggested ways to evaluate periodic and continuos education program of science and technology. Second, as a result of evaluating overall educational program of the National Science Museum and its detailed educational program, it seems that paradigm shift is desperately needed about educational program of science and technology. Selection of educational program, its management and evaluation, the resulting feedback and instructors' management should go hand in hand under the systematic process. Also, the study suggested that educational programs which are not consistent with the educational objects of the National Science Museum should be abolished through the current evaluation of educational program. Third, the National Science Museum should nurture creative human resources for the future generations, develop innovative educational program and fulfill its mission as the central communicator of Network. To do this, basic educational goals and strategies of educational program of science and technology are needed. Thus, the study suggests "3C". Fourth, educational program of science and technology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basic plan of the National Science Museum is future-oriented. Also, national educational program of the National Science Museum, "YE!Science" which is affiliated with science study infrastructure of Daedeok Innopolis was developed. 우리나라 중앙과학관으로서의 선도 모델기관이자 국가과학기술사의 연구의 연구․보급 및 이해 확산의 과학중심기관인 국립중앙과학관의 과학기술 교육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과 이에 따른 실천적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 차원, 과학기술 교육적 가치 차원, 차별화된 특성화 프로그램 가능성차원, 국립중앙과학관의 교육 역량 차원의 4가지를 고려하여 주기적이고 지속적인 과학기술 교육프로그램을 진단하도록 제안하였다. 둘째, 국립중앙과학관의 전반적인 교육프로그램과 세부적인 각 교육프로그램을 평가한 결과, 과학기술 교육프로그램의 대한 패러다임(paradigm)의 전환이 절실히 필요하다. 교육프로그램 선정과 관리 및 평가, 이에 따른 피드백(feedback)과 강사의 운영이 체계적 절차에 이루어져야 하며 현 운용중인 교육프로그램의 진단을 통해 국립중앙과학관의 교육목표와 부합되지 않는 교육프로그램은 과감히 폐지하도록 제시하였다. 셋째, 국립중앙과학관은 미래 세대를 위한 창조적 인재를 격려하며 이를 위한 혁신적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네트워크의 중심적 커뮤니케이터의 미션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과학기술 교육프로그램의 기본교육 목표와 전략이 필요하다. 이에 "3C"를 제안하였다. 넷째, 국립중앙과학관의 기본계획에 부합되는 과학기술 교육프로그램은 미래 지향적이며, 대덕특구의 과학연구 인프라와 연계한 국립중앙과학관의 전국 단위 프로그램인 "YE!Science"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 KCI등재

        이주민을 위한 가족센터 교육 프로그램 현황과 미래 방향: 학술지 연구(2013-2022년)를 바탕으로

        오정미,문희진,김영순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23 다문화와 평화 Vol.17 No.1

        Based on 10 years of research on family centers (formerly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this study reviewed educational programs offered at the centers and suggests future directions as an educational institution for migrants. With changes in the level of learners and the social environment, Family Centers should modify the education they provide. In this end, this study examined educational program by regional centers and cases through research on family centers between 2013 and 2022.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are few educational programs that reflect the local environment and characteristics of each center, and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s at the elementary and intermediate levels were dominant. This confirmed the state by educational cases that call for the diversification of educational programs along with non-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s. The following is the direction for future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he trends. First, advanced level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he current programs at family centers are largely focused on beginner and intermediate levels. Given that it has been more than 10 years since Korea became a multicultural society, there are many migrants with advanced Korean language skills, and this necessitates modifications to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s offered at family centers. Second, intercultural education programs that promote mutual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 diversity and universality of nations and ethnic groups should be developed. There is a need for intercultural education that brings together residents and migrants, and a place for such exchanges should be provided as an educational programs at family centers. Lastly, educational programs that intently collect the opinions of migrants should be built. In the past, these programs were developed with the input of educators and experts, but today’s programs should actively reflect the voices of migrants as learners. By developing diverse educational programs at family centers, which serve as schools to migrants, by taking into account social changes and the views of learners, it becomes possible to look forward to a bright future not only for family centers, but also for Korea’s multicultural society. 이 논문은 10년 동안 축적되어 온 가족센터(구: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검토하고 이주민을 위한 교육기관으로서의 미래 교육 방향을 제시하는 연구이다. 학습자의 수준과 사회환경의 변화에 따라 가족센터는 교육 변화를 도모해야 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해 2013년부터 2022년까지의 가족센터 연구를 통해 지역 센터별과 교육 사례별로 교육 프로그램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지역별 환경과 특성을 반영한 각 센터의 변별적 교육 프로그램이 거의 제공되지 않는 점, 그리고 초・중급 수준의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이 큰 비중을 차지하며 비한국어교육 프로그램과 함께 교육 프로그램의 다변화가 필요하다는 교육 사례별 현황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육 프로그램 동향을 통해 제시한 미래의 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급 수준의 한국어교육 프로그램 개발이다. 현재 가족센터의 한국어교육은 초・중급에 집중되어 있다. 그러나 다문화사회가 된 지 10년이 넘은 현재에는 고급 수준의 한국어 능력을 갖춘 이주민이 많은 점을 고려해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의 변화가 필요하다. 둘째, 국가나 민족이 가진 문화적 다양성과 보편성을 서로 이해하는 상호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이다. 정주민과 이주민이 함께 하는 상호문화교육이 필요하고, 그 교류의 장을 가족센터에서 교육 프로그램으로서 제공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주민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다. 과거에는 교육자와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해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면, 이제 학습자인 이주민의 목소리가 적극적으로 교육 프로그램에 반영되어야 한다. 이주민에게는 학교와 같은 가족센터에서 사회 변화와 학습자의 의견을 수렴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할 때, 가족센터의 미래뿐 아니라 한국의 밝은 다문화사회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전라북도 6급 교육행정공무원 장기교육프로그램 개발

        조동헌,김현주,김민영,임상호 산업진흥원 2022 산업진흥연구 Vol.7 No.3

        Local education autonomy aim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local residents and to realize education considering local characteristics.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competency of local education administrative officials. This study intends to derive the competency of level 6 public officials who should play a central role in local education administrative officials, and to devise the subjects cluster and subjects of the long-term education progra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a basic plan so that the education program for level 6 educational administrative officials can be developed in the future. For this study, an expert panel was composed of 20 people including education administrative officials and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experts. In addition, the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hree times to obtain opinions on the competency of level 6 educational administrative officials and the subjects cluster and subjects of the long-term education program. For the competency of level 6 educational administrative officials, the validity of the survey data was evaluated in the Delphi 1st survey and the validity of the revised data in the 2nd Delphi survey was conducted. And for the subjects cluster and subjects of the long-term education program for level 6 educational administrative officials, the validity of basic data was evaluated in the Delphi 2nd survey and the validity of the revised data in the 3rd Delphi survey was conducted. As a result, the competencies of level 6 educational administrative officials were extracted into nine competencies including coordination and integration competencies. And the long-term education program for level 6 educational administrative officials was developed with 13 subjects cluster and 43 subjects. And the relationship model between the competency of level 6 educational administrative officials and the subjects cluster and subjects of the long-term education program was deriv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proposed to operate a flexible curriculum for a long-term education program. In addition,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system that can reflect the educational training results in the actual educational field was suggested. 지방교육자치는 지역 주민의 삶에 대한 질을 높이고 지역 특성에 맞도록 교육 실현과 함께 지방 교육행정공무원의 역량 강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 연구는 지방 교육행정공무원의 중심 역할을 해야 하는 6급 공무원의 역량을 도출하고 장기교육프로그램 의 교과군과 교과목을 구안하여 추후 6급 교육행정공무원 장기교육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할 수 있도록 기초 안을 마련하는데 그 목 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수 대상의 특수성을 고려해 교육행정공무원, 교육프로그램 개발 전문가 등 20명으로 전문가 패널을 구성하 고, 6급 교육행정공무원의 역량, 장기교육프로그램의 교과군과 교과목에 대한 의견을 구하기 위해 3차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실시 하였다. 6급 교육행정공무원의 역량은 델파이 1차 조사에서 기초자료의 타당도 평가와 델파이 2차 조사에서 수정 자료의 타당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6급 교육행정공무원 장기교육프로그램의 교과군과 교과목은 델파이 2차 조사와 델파이 3차 조사에서 수 정 자료의 타당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6급 교육행정공무원의 역량은 조정통합역량을 포함하여 9개의 역량으로 추출되었고 6급 교육행정공무원 장기교육프로그램은 13개 교과군과 43개 교과목으로 구안할 수 있었다. 그리고 6급 교육행정공무원의 역량과 장기교육프로그램의 교과군과 교과목의 관계 모형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장기교육프로그램의 유연한 교 육과정 운영과 연수 결과물을 실제 교육현장에 반영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특수교사의 교육연극 활용 수업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 국어과를 중심으로

        옥혜숙,강영심 한국특수교육학회 2023 특수교육학연구 Vol.5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ment a program for enhancing special teachers’ competency to use educational drama in Korean Language class; the design is based on basic processes including analysis, design, development, execution, and evaluation of the ADDIE model. In the analysis phase, factors of competency to use educational drama in Korean Language class were derived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accordingly, the educational purpose and goal of the program were established. In addition, in order to reflect the needs of incumbent teacher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incumbent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is was then followed by a questionnaire survey of 109 incumbent special education teachers. By reflecting the need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llected through in the design phase, the educational purpose and goal of a program for enhancing competency to utilize educational drama in Korean Language class was clearly implemented based on the theoretical basis. In the development phase, the contents of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educational evaluation, and operation methods were decided; from this, a program plan was derived. The program plan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twice through content validity review by 10 experts; based on this, a program plan for each two types of session number was developed. In the implementation phase, based on the program plan for each session numbers, programs of 15 sessions with 30 hours were administered for five special education teachers currently working for schools. In the evaluation phase, along with the changes that occurre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plan, the self-evaluation was conducted during the process. This study confirmed the necessity of Korean Language classes using educational drama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Furthermore, based on this, this study presented a program model to comprehensively enhance the teaching competenc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연극 활용에 필요한 역량을 이해하고, 특수교사가 교육 현장에서 교육연극을 활용한 수업을 실행할 수 있는 수업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교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일반적인 교수체제설계 ADDIE의 기본과정에 기초를 두고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분석(Analysis) 단계에서는 선행연구 및 문헌 고찰을 통해 국어과 중심 교육연극 활용 수업역량의 요소를 도출하였다. 더불어 현직 교사의 요구도를 반영하기 위해 프로그램 현재 재직 중인 특수교사 6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고, 이후 10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근거를 마련하였다. 설계(Design) 단계에서는 문헌조사에서 도출한 내용과 요구조사를 통해 살펴본 특수교사의 요구를 반영하여 이론적 근거를 토대로 프로그램의 교육 목적 및 목표를 정확히 구현하였다. 개발(Development) 단계에서는 교수학습 방법, 교육내용, 교육평가, 운영 방법을 선정하고 구성하여 프로그램 초안을 도출하였다. 구성된 프로그램 초안은 전문가 10인의 내용타당도 검토를 통해 2번의 수정, 보완단계를 거쳐 최종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실행(Implementation) 단계에서는 전문가들에게 검증받은 회기별 프로그램을 현재 학교에서 근무하는 특수교사 5명을 대상으로 15회기, 30시간의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평가(Evaluation) 단계에서는 프로그램 시행 후 나타난 변화와 프로그램 회기별 평가자료를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단순히 교육연극을 경험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특수교육 교육과정 국어과 성취기준에 기초하여 특수교사가 교육연극 지식, 교육연극 기술, 교육연극 태도 역량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국어과를 중심으로 특수교사의 수업역량을 종합적으로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델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대학 우등교양교육 프로그램(general education honors program)의 특징과 의의

        김지현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교양교육연구 Vol.6 No.3

        This paper investigate the various types and its characteristics of honors programs for general education. Korean universities are facing currently with respect to students’ serious gap in readiness for learning and achievement. Low-achieving students have been traditionally subject to various initiatives, However, the educational needs of high-achieving students have not been paid sufficient attention to in terms of developing and implementing responsive educational programs. This paper proposes the 'Principle of Level Adjustment for Educational Interaction' that the intellectual level of each student should be respected and addressed by offering subtly challenging tasks to students through attentively designed curricula, especially in general education.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how this principle is expressed in diverse academic settings by distinguishing types of relatively well-known and successful honors programs in U.S. universities. The types of honors general education programs examined in the paper are: the ‘honors college’ type (honors college for general education, honors colleges for the first year education, special general education cluster as one of the honors college curriculum) ‘honors program’ type (freshman honors program, special honors program for 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general education honors curriculum) and informal type (special exclusive programs for high achieving freshman, best teachers program, honors degree). Each type of honors program pronounces its own and unique educational aims, credit system, curriculum, special courses, and class interactions. Nonetheless, there are common features of excellence which can be discerned across programs: honor program director's autonomy in decision making, university-wide support(scholarship, professor, curriculum development and course implementation, housing, etc) early initiation to intensive approach to honors general education from freshman; continuous duration of educational impact through undergraduate period; comprehensive organization of the honors curriculum; emphasis on liberal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f courses-writing and discussion, students’ ability to create knowledge, critical thinking. The very existence of hundreds of honors programs cases should be considered the realization of the 'Principle of Level Adjustment for Educational Interaction for high achieving students' in higher education, which can thus provide examples to Korean universities wishing to pursue this principle. 최근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수업 준비도 수준차이가 커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부분 노력은 낮은 성취도와 낮은 준비수준 학생들을 위한 프로그램에 집중되어 있다. 이로 인해 평균보다 높은 준비도와 성취수준을 보이는 학생들은 대학교육의 과정에서 소외된다. 이러한 문제는 교양교육에서 더 심각하다. 학생들에게 현재 수준에서 보다 도전적이고 흥미로운 단계의 지식을 제시하여 발전하도록 해야하는 ‘교육적 상호작용을 위한 수준조절의 원리’는 우수한 성취를 보이는 학생들에게도 적용되어야 한다. 우수한 학생들을 위한 교양교육이 어떠한 인식적 실천적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를 미국대학 우등프로그램의 사례들을 통해 살펴보았다. ‘우등대학’을 운영하는 경우에는 ‘교양교육 중심의 우등대학’, ‘우등대학 내 1학년교육’, ‘우등대학교과목으로 인정하는 특별교양교육과정’으로 우수학생을 위한 교양교육 유형을 나눌 수 있다. 우등대학 없이 일반우등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경우는 ‘1학년 우등프로그램’, ‘교과영역별 우등프로그램’, ‘우등교양교과과정’ 유형을 보인다. 앞의 두 경우와 달리 비형식적 유형의 우등교양교육프로그램으로는 ‘선별특화 교양교과과정’, ‘우수강의’, ‘우등졸업’의 방식을 활용한다. 우등교양교육프로그램은 신입생때부터 적용하는 ‘조기성’, 일시적 결과보다 지속적으로 유의미한 경험을 가지도록 하는 ‘과정성’, 단일 교과목이 아니라 영역이나 수준에 있어서 폭넓은 수월성을 지향하는 ‘통합성’, 글쓰기와 토론, 학문적 지식의 생성능력, 비판적 사유자로의 성장 등을 장려하는 우등강좌의 특성으로서 ‘교양성’ 등의 공통점을 가진다. 우리나라 대학들도 각 대학의 여건과 목적, 학생의 특징 등을 고려하여 전 대학 차원에서 협력하는 우등교육을 실현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초등학교 정원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혜령,최지연,이건남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20 實科敎育硏究 Vol.2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unique educational meaning of the garden through a philosophical study of the garden, and to develop a program that can be realized in the educational field based on this. To this end, the concept and educational meaning of the garden were examined, and studies and cases using the garden as an education were analyzed, and the garden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s was developed based on the analyzed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examine the concept and educational meaning of the garden, the concept of the garden was expanded and examined from various perspectives such as the dictionary's dictionary, academic, and etymological meanings. As a result, the garden helps learners to perceive everyday life aesthetically and form an ecological relationship with nature, and the act of creating a garden recognizes and expresses itself by creating another nature that projects itself. It was meant to enable self-objectification. By re-lighting the garden from an educational philosophical point of view, it was found that the garden is one of the elements of efficient education and at the same time a place that contains the meaning of fundamental education. Second, in order to develop a program that contains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e garden, research and cases in which the garden was used educationally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s a result,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four items of goal, content, method, and environment creation of garden education were drawn and used in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Finally, the elementary school garden education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developed. The contents of the developed program were constructed in consideration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linkage of the curriculum to help settle in the educational field. In addition, it was developed to focus on enjoying the garden as a culture by designing for learners to continuously cycle and practice the program in their lives. 이 연구의 목적은 정원에 대한 철학적 고찰을 통해 정원이 가진 고유한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현장에서 실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정원의 개념과 교육적 의미를 살펴보고, 정원을 교육적으로 활용한 연구와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교 정원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원의 개념과 교육적 의미를 살펴보기 위해 정원의 사전적, 학술적, 어원적 의미 등 다양한 관점에서 정원의 개념을 확대하여 살펴보았으며, 교육공간으로서 정원이 활용되어온 역사를 개관하여 정원의 고유한 교육적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그 결과, 정원은 학습자가 일상의 삶을 심미적으로 인식하고, 자연과의 생태주의적인 관계를 형성하도록 도우며, 정원을 조성하는 행위는 자신을 투영한 또 다른 자연을 창조해냄으로써 스스로를 인식하고 표현하는 자기대상화를 가능케 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교육 철학적인 관점으로 정원을 재조명해봄으로써, 정원은 효율적인 교육 요소의 하나이자 동시에 근본적인 교육의 의미를 담아내는 장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정원의 교육적 의미를 담은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정원을 교육적으로 활용한 연구와 사례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정원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 환경 조성의 4가지 항목에 대한 실제적인 시사점을 도출하여 프로그램의 개발에 활용하였다. 최종적으로 이 연구의 결과에 해당하는 초등학교 정원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내용은 교육과정의 수평적, 수직적 연계를 고려하여 구성되어 교육현장에서의 정착을 돕고자 하였다. 또한, 학습자가 삶 속에서 프로그램을 지속해서 순환 및 실천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 정원을 하나의 문화로 향유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어 개발하였다.

      • KCI등재후보

        문화재를 활용한 박물관 교육프로그램 연구 - 서울역사 박물관 청소년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송현정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2010 청소년 문화포럼 Vol.- No.24

        This study examined the educational functions of the museum and investigated the educational program, Museum School for Students, which is run by Seoul Museum of History. This study aims at proposing ways of more effective museum education.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examining the museum education as well as the definition and functions of a museum. Second, investigating museum educational programs, and specifically analyzing the educational program that Seoul Museum of History runs. Third, examining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the summer program, Reborn Kyonghi Palace, which was one of the programs offered by Seoul Museum of History. The followings are identified by this study as being effective ways of bettering museum education for students:First, a firm foothold for developing and administering the museum educational activities should be established. Professionals for museum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Also, cooperation with community schools and social educational institutions will be needed. Second, specialized museum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offered.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and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and a program connected with the curriculum of schools should be planned. Education utilizing a museum is useful to supplement the shortcomings of formal education. Remains exhibited in the museum provide students the opportunity to practically experience what they learn only through books. In short, the museum is a good place for practical educational experience. By participating in educational program utilizing cultural properties, students will be able to inherit their traditional cultures creatively and hand them down to descendants. 박물관은 전통적으로 다양한 유물과 전시품들을 수집, 보관, 관리, 전시하는 곳이다. 그러나 현대 박물관은 지역 사회 문화현상이나 예술 문화의 보급을 위한 대표적인 공간으로, 비정규 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는 사회교육기관으로 변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점차 박물관의 교육적 기능이 증대되고 있는 것이 일반적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들어 주목받고 있는 박물관의 교육적 기능에 대해 살펴보고, 청소년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던 서울역사박물관의 교육프로그램인 「청소년 박물관 교실」의 구체적인 분석을 하였다. 이를 통해 장차 문화재를 활용한 효과적인 청소년 박물관 교육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의 내용을 설정하였다. 첫째, 박물관의 정의 및 기능과 박물관 교육에 대해 알아보았다. 둘째,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에 대해 알아보고 그 사례로써 서울역사박물관의 교육프로그램의 사례를셋째, 서울역사박물관에서 실행된 「청소년 박물관 교실」의 하반기 프로그램인 <다시 태어난 경희궁>의 교육 활동을 분석하였다. 이 결과를 참고로 문화재를 활용한 박물관의 청소년교육프로그램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서도 생각해보았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알게 된 문화재를 활용한 효과적인 청소년 박물관 교육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박물관 교육 활동을 위한 운영기반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특성화된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은 문화재를 활용하여 무엇보다 학생들이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데 의의가 크다고 하겠다.

      • KCI등재

        라이프케어를 위한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교육의 필요성과 활성화 방안

        윤희(Hee Yoon)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0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4 No.7

        본 연구는 국내 전문대학의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에 관련된 교과과정의 필요성과 교육내용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하여 취업을 앞둔 대학생들의 면접지도와 예비 직장인에게 있어서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대학 교과과정의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교육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고, 이미지메이킹 교과목을 수강한 광주 · 전남지역 전문대학교 재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졸업 후 취업과 예비 직장인의 이미지 관리를 위해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교과과정이 필요하고, 이미지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을 위한 적합한 강의실은 일반 강의실, 시청각 및 멀티미디어실, 전용 강의실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교육내용의 중요도는 태도(행동), 예절 및 인사법, 표정, 화법, 대인 관계법, 의복, 헤어스타일, 메이크업 순으로 나타났고, 교육내용의 중요 요소는 표정, 메이크업, 헤어스타일, 태도(행동), 대인 관계법, 화법, 의복, 예절 및 인사법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교육의 영향력 정도는 취업에 미치는 영향력,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력, 생활에 미치는 영향력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교육 활성화 방안을 분석한 결과 적절한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교육시점은 2학년부터이고, 교육시간은 한 학기 주 1회, 교과과정 구분은 교양이나 교양선택 과정을 희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관련 교과내용은 예절 및 인사법, 메이크업 및 코디 방법, 취업 설명회, 기능 자격 취득을 위한 교육, 국내 기업체 연수 순으로 나타나 예절 및 인사법을 가장 희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관련 지도자는 전공교수를 희망하고, 교육방법은 시청각 및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매체를 희망한다.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관련 교육은 화법이나 목소리, 커뮤니케이션에 관해 분석하는 교육, 어울리는 헤어스타일 및 메이크업을 분석하고 실습할 수 있는 교육, 기업의 면접에 관한 교육, 워킹이나 자세교정에 관한 교육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본 연구는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교과과정의 활용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This study is aimed at exploring the current state, necessity and activation of curriculum related to image making program in domestic colleges. To achieve this, an empirical survey was carried out to college student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image making education program in the college curriculum as a measure to guide job interviews with them and improve interpersonal skills of employees-to-be.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arried out to 400 college students in Gwangju and Jeonnam areas. The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collected data using SPSS v. 21.0 through the process of data coding and data clean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ecessity of image making program curriculum showed that they needed the image making program in the college curriculum, the image making program curriculum to get a job and manage an image of employees-to-be after graduation, and other people’s help to figure out the images objectively. Second, the educational importance of image making program showed that attitude (behavior) was the highest, followed by manners & greeting, look, speech, relationship, clothes, hairstyle, and makeup. In terms of the important educational factors of image making program, look was the highest, followed by makeup, hairstyle, attitude (behavior), relationship, speech, clothes, and manners & greeting, which look was the most important. Third, the educational influence of image making program showed that the influence on employment was the highest, followed by the influence on relationship, and the influence on life. Fourth, the educational activation of image making program showed that the appropriate educational time for image making program they want was from the second year. Education hours they want were once a week for one semester. And the curriculum they want was liberal arts or an optional course of liberal arts. In terms of image making program-related curriculum contents, manner & greeting was the highest, followed by makeup & coordination, job fair, education to acquire a skill qualification, and training for domestic companies, which their biggest wish was manner & greeting. And image making program leaders they want were major professors. In terms of image making program-related education, speech or voice was the highest, followed by education to analyze communication, education to analyze and practice matching hairstyles and makeup, Education on corporate interviews, and education on walking or posture correction, which their biggest wish was speech or voice and education to analyze communication.

      • KCI등재

        전통교육기관 운영 현황 및 전통교육 프로그램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지준호,이승철 한국인격교육학회 2019 인격교육 Vol.13 No.3

        In this study, we will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the operation of traditional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Seowon and Hyanggyo, and discuss some meaningful details on how to improve traditional education programs through meetings with professors and staff who run them in these institutions. Not only do traditional educational institutions show many regional differences in the composition and diversity of traditional education programs they operate due to deviations in management and support, but they also differ in their requirements for improvement depending on the institutions. The measures for improving the operation of traditional education programs of traditional educational institutions presented in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upply and demand of professional administrative personnel is urgently requested. In the case of traditional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operating body of the educational institution and the managing body of the education programs often do not match because they cannot plan or operate them with the staff in charge. It can be seen that the lack of administrative personnel is a factor that undermines the expertise of traditional education. Second, continuous training is needed for operators of traditional education programs. In particular, understanding of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learners who usually complete education programs is recommended. Third, for traditional education programs for youth, the need for regional collaboration in planning and operation is raised. The traditional education programs of traditional educational institutions overlap many parts with those of other traditional education program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tively consider linking the education programs to the institutions directly under the local education offices, such as the support of faculty personnel, the renting of educational places, and the sharing of programs in the planning and operation of education programs. 본 연구에서는 서원 및 향교 등 전통교육기관 운영 현황을 분석하고, 이들 기관에서 전통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교수자 및 담당자들과의 면담을 통해 전통교육 프로그램의 개선방안에 대한 몇 가지 의미있는 시사를 다루고자 한다. 전통교육기관들은 관리와 지원의 편차로 인하여 운영하는 전통교육 프로그램의 구성과 다양성에서 지역적으로 많은 차별을 보일 뿐 아니라, 기관에 따라 개선을 요하는 사항 역시 상이하게 드러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전통교육기관의 전통교육 프로그램 운영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전문적인 행정인력의 수급이 절실하게 요청된다. 전통교육기관의 경우, 재직 인력으로 교육프로그램을 기획, 운영할 수 없기에 교육기관의 운영주체와 교육프로그램의 운영주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로부터 행정인력의 부족이 전통교육기관이 가진 전통교육에 관한 전문성을 저해하는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둘째, 전통교육 프로그램의 운영자들에 대한 지속적인 연수가 필요하다. 특히 교육프로그램을 주로 이수하는 초중등 학습자의 발달과 특성에 대한 이해가 우선적으로 요청된다. 셋째, 청소년 대상 전통교육 프로그램의 경우, 기획과 운영에서 지역적 협업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전통교육기관의 전통교육 프로그램은 여타의 전통교육 프로그램 운영기관과 많은 부분 중복되는 내용이 많다. 따라서 교육 프로그램의 기획과 운영에서 교수자 인력의 지원, 교육장소 대여, 프로그램의 공유 등 해당 지역 교육청의 직속기관과 연계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QFD와 벤치마킹을 활용한 엔젤 교육 프로그램 설계 연구

        이형주 ( Hyung Joo Lee ),황보윤 ( Yun Hwangbo ),은준엽 ( Joonyup Eun ) 한국생산성학회 2021 生産性論集 Vol.35 No.2

        In order to vitalize angel investments, the Government of South Korea has recently promoted the general public investments, regional investments and network reinforcement, deregulation, and tax support. There is an urgent need of educational programs to discover potential angels and enhance their investment capabilities to promote the general public investments. This study attempts to present the design direction of consumer-centered angel educational programs using the quality function deployment(QFD) and benchmarking. The ameliorated programs are expected to discover potential angels and improve their investment capabilities. This study identifies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job-oriented angel education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confirms the necessity of consumer-oriented Kano-QFD-based educational programs. Subsequently, attractive quality factors are derived from Kano-based demand surveys of 19 angels, 25 startup representatives, and 20 education consultants. Customer needs priorities and quality importance are also determined using the QFD. In addition, the angel educational programs of 7 domestic and foreign institutions are benchmarked. Based on this empirical research, we identify the design direction of angel educational programs as follows. First, the program needs to be customized in depth. Second, the program needs to inspire self-esteem by conferring qualified angel investment certificates upon completion of the required education. Third, the program needs to invigorate the community of trainees and graduates. Fourth, the program needs to be designed to establish a refresher education system for angels. Fifth, the program needs to be a blended delivery of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education centering on online non-face-to-face education. Sixth, according to the target audience, the program should incorporate quality importance and customer needs priorities. This research proposes the direction to improve angel educational programs. It is expected to study the design of segmented educational programs that consider angel investment experience, gender, and region for future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