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대안학교 특성화 교과과정 분석 연구: 인천한누리학교와 새날학교를 중심으로

        오영훈 ( Young Hun Oh ),방현희 ( Hyun Hee Bang ),정경희 ( Kyun Ghee Jung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5 다문화와 평화 Vol.9 No.3

        한국의 다문화사회를 주도하는 결혼이주자 가족의 증가는 중도입국자녀를 포함하는 다문화가정 자녀의 증가를 동반하며, 이들로 인해 사회적 문제 발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 부적응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일반학교 부적응 또는 진입 전 단계에 있는 학생들의 수용을 위하여 ‘인천한누리학교’와 같은 ‘기숙형 다문화 공립대안학교’가 설립되었다. 그러나 다문화대안학교의 수는 많지 않고, 더욱이 공립다문화대안학교의 수는 더욱 부족한 실정이며, 다문화대안학교의 교과과정은 상당 부분이 학교의 특성에 따라 다르다. 특히, 다문화 교과과정의 편성은 다문화대안학교의 교과과정에서 중점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학교 특성에 따른 다문화 교과과정의 분석은 다문화대안학교의 특성 파악과 대안학교의 대안교과과정 편성에 기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대안학교의 교과과정을 확인하고, 다문화대안학교들이 공통으로 채택할 수 있는 다문화 교과과정의 방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인천한누리학교와 새날학교의 교과과정을 분석하였다. 인천한누리학교와 새날학교의 교과과정의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이 대안교과과정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대안학교는 학생들의 상급학교 진입을 대비하여 학력 신장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둘째, 학교와 한국 사회적응을 위한 한국어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이중언어교육을 시행하여야 하겠다. 넷째, 진로교육과 함께 다문화가정 학생들의 생활적응을 위한 심리상담을 병행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curriculum of public multicultural alternative school Incheon Hannuri School and private multicultural alternative school Saenal School in order to examine the alternative curricula of multicultural alternative schools. The Incheon Hannuri School puts its efforts in complementing the basic curriculum including Korean education, and is also considerate of multicultural students`` adaptation in school and society. On the other hand, the Saenal School only categorizes Korean and Taekwondo within the alternative curriculum. As a public multicultural alternative school, the foundation purpose of the Incheon Hannuri School is the adaptation of multicultural students within Korean schools, while the Saenal School is a private multicultural alternative school which focuses on students`` adaptation to the Korean society as a whole. However, in spit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school``s founding purpose, the Hannuri School considers students`` adaptation to our society through native language education, counseling, and other means compared to the Saenal School, which only includes Korean and Taekwondo inside the alternative curriculum; there is a definite need for improvement in the proportion of class lesson.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on the curriculum of Incheon Hannuri School and Saenal School, we propose the following improvements in alternative (specified) curricula. First, multicultural alternative schools need to complement and educate basic subjects in order to prepare students for educational transition. Second, Korean education has to be reinforced. Especially, immigrated students are in need of systematic Korean education for the sake of adaptation to the Korean school and society. Third, bilingual education needs to be implemented through native language education. Native language education enables multicultural students to understand their mother``s country and establish identity, and moreover, their bilingual capacity will be greatly necessary in a multicultural society. Fourth, career education and psychology consultation needs to be carried out to prevent multicultural students`` maladjustment at school and help them plan their future, The purpose of multicultural alternative schools as a means of alternative education i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ublic schools within the multi-racial and multicultural society and foster global leaders. Through alternative education, equal education opportunities should be guaranteed to multicultural students in order for them to coexist with other Korean students and enable all students to grow as competent leaders of our society.

      • KCI등재

        다문화가정 자녀 관련 제도 및 정책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조사: 미디어의 영향 중심으로

        장안리 ( Ahnlee Jang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8 다문화와 평화 Vol.12 No.1

        본 논문에서는 대학생들이 다문화가정 자녀 관련 법적 제도 및 정책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인식 형성에 매체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서울과 충청권에 있는 13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다문화가정 자녀들에 대한 인식, 이들과 관련된 제도 및 정책들에 대한 의견, 인식 형성에 있어 매체의 영향 및 다문화공존에 대한 생각들 및 방향성을 소그룹 인터뷰(FGI)를 사용하여 진행하였다. 인터뷰 결과 다문화가정자녀들과 동시대에 살며 경쟁상대, 또래 집단으로 성장하고 있는 대학생들의 다문화가정 자녀들에 대한 인식은 상당부분 매체에 의한 영향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다문화가족 및 다문화가정 자녀들을 사회의 약자, 시혜의 대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다문화가족과 다문화가정 자녀를 동일시하였으며 다문화가정 자녀들은 한국에서 한국인으로 태어났기 때문에 법적인 권한이나 의무에 있어서 특별한 혜택 없이 선주민 자녀들과 동등한 대우를 받아야 한다고 하였다. 하지만 자신들과 “다름”에 의해 사회에서 주변화 되는 현상을 막기 위해 다양성이 존중되는 사회로 거듭나는 것이 시급하며 그 해결책의 일환으로 ‘사이문화’ 정책을 제안하였다. The current study examine ways in which native Korean college students perceive multicultural children, their legal rights, and government policies that effect them. Specifically, by conducting focus group interviews with 13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Chungcheong province, the study asked participants how they perceive multicultural children, policy and legal rights of multicultural children, and what they make meaning of Korea as a multicultural society. The findings show that college students have divided perception on multicultural children. They were found to perceive multicultural children socially marginalized minority and object of compassion because of the ways media has framed multicultural families, yet, at the same time, they were found to perceive them as their competitors because of competitive job market. In terms of perception on policy and legal rights, the participants believed that the multicultural children should have the same legal rights as Korean native children; equal responsibilities and benefits, no less and no more. In order to prevent multicultural children from becoming perpetual minority in Korea, participants suggested “in-between culture”, a combination of salad-bowl and melting-pot approach, which respects individual uniqueness and diversity.

      • KCI등재

        다문화 사회의 기독교 통일교육을 위한 제언

        조만준 ( Man-joon Cho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7 다문화와 평화 Vol.11 No.3

        한국 사회는 새로이 유입된 결혼이민자, 유학생, 이주 노동자, 북한이탈주민 등의 구성원들로 인해 다방면에서 사회통합과 사회 정의를 위한 다문화 정책을 요구하고 있다. 한국이 다문화라는 새로운 현실은 기존의 통일 담론에 대한 새로운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기독교인들의 통일의식이 갈수록 약화되는 즈음에 본 연구는 다문화 사회에서 기독교 통일교육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고 있다. 다문화 사회에서 사회통합을 이루는 통일 준비의 과정으로서 기독교 통일교육의 방안을 제시해보려 한다. 2장에서는 다문화 사회와 통일에 관한 선행 연구를 제시했다. 3장은 다문화 사회의 통일교육 담론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를 제시했다. 4장에서 기독교 통일교육의 현황과 분석을 통해 현주소를 진단했다. 5장은 기독교 통일교육의 대안을 제시했다. 다문화 사회를 준비하는 기독교 통일교육은 지금까지의 남북 간의 적대의식과 대결의식을 극복해야 한다. 새로운 시대를 향한 패러다임의 변화가 요구된다. 기독교 통일교육은 그동안 강조되었던 민족과 당위적인 측면에서 더 나아가 기독교의 본래의 사명을 감당할 수 있는 성경의 보편적 가치와 세계시민으로서의 역할, 사회적인 공감대와 사회통합을 이루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다문화 사회의 기독교 통일교육의 새로운 접근과 패러다임의 변화가 다가올 통일을 앞당기는 촉매제가 되길 기대한다. Due to the flow of immigrants including marriage migrants, foreign students and North Korean defectors, Korean society is facing an urgent call for multi-cultural policies aiming for social integration and social justice in many aspects. This new reality of Korea as a multi-cultural society requires a change in the previous discourse on unification. In the time when Christians' awareness on social unification is weakening, this study sought ways to vitalize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for a multi-cultural society. As a process that prepares social unification in a multi-cultural society, the writer suggested some practical ways to conduct Christian unification eduction. As for the structure of this paper, chapter 2 deals with the change in the previous discourse on unification as the society is becoming more multi-cultural. Chapter 3 discusses the current status of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with an analysis. Chapter 4 suggests an alternative for vitalizing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in a multi-cultural society. It should be directed toward a path overcoming the pre-existing confrontation and competition between the South and North Korea. A paradigm shift is necessary for this new era.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take a step further than the previous cause underlining ethnic ties; it should practice the universal value of the Bible, the Christians' role as a world citizen, forming a social consensus and integration. By doing so, the original callings for Christians will be achieved. It is hoped that this new approach and a paradigm shift in the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for a multi-cultural society serve as a stimuli advancing the upcoming 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 KCI등재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교육 자본화를 위한 다문화 범주화와 다문화 수용성에 대한 질적 연구

        김정희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9 다문화와 평화 Vol.13 No.1

        This study is performed for the multi-cultural household teenagers to know how they accept multi-culture, the level of their acceptance, and the ways of educationally developing them for educational capitalization. The study employed qualitative research with free writing technique, in-depth interview and observations in cultural area analysis. The result of the study is that the teenagers don't feel negative toward being categorized as multi-cultural, and the level of their accepting multi-culture is very high. To make the multi-cultural teenagers the efficient and effective educational capital, it had better to focus on their personal global links and potential assets supporting age-customized policies, instead of the present additional "multi-cultural" support, and to educate their parents with proper parental classes. At the same time it is essential to have programs for Koreans to make them global citizens to shy away from the stereotypical and one-side view against those from third countries.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출신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자신들이 다문화로 범주화 되는 것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지, 또 다문화에 대한 수용성은 어느 정도이며 이들을 인적 자원으로서 교육 자본화 할 방법이 무엇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은 질적 연구로서 문화영역분석의 자유기술 기법과 심층면담, 관찰을 통한 분석적 귀납이 차용되었다. 연구결과는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은 자신들을 ‘다문화’로 호칭하고 범주화 하는 것에 대하여 부정적이지 않았으며 다문화에 대한 수용성은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다문화 가정 청소년들의 다문화 역량 강화를 통한 교육 자본화를 위해서는 다문화에 초점을 맞춘 별도의 지원보다는 개개인이 가진 글로벌 연결고리들을 활용하고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나이에 맞는 정책적 지원과 함께 다문화 가정을 이룬 부모들에 대한 교육이 중요함을 도출하였다. 아울러 한국인 모두를 대상으로 지속적인 글로벌 시민교육이 진행되어 아직도 남아있는 출신 국에 따라 달리 바라보고 행동하는 편견과 고정관념이 사라지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다문화 정책학교의 다문화교육 접근법 분석: Banks의 다문화교육 접근법을 중심으로

        정영애,류영철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8 다문화와 평화 Vol.12 No.3

        본 연구는 우리 다문화교육의 현주소를 파악하기 위하여 Banks의 다문화교육 접근법을 분석틀로 하여 다문화 정책학교의 다문화교육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표준한국어」와 「디딤돌」에서는 기여적 접근법과 부가적 접근법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사회과 「스스로 배우는 교과 속 어휘」에서는 4가지 접근법이 모두 발견된다. 둘째, 교과 영역에서는 전체적으로 부가적 접근법이 많은 가운데, 중학교는 기여적 접근법이 더 많고, 초등 예비학교는 변혁적 접근법도 활용하고 있다. 사회실천적 접근법을 실천하는 학교는 하나도 없다. 셋째, 비교과 영역에서도 부가적 접근법이 가장 많다. 특히 초등 중점학교 와 중학교 예비학교가 그렇다. 초등학교는 변혁적 접근법과 사회실천적 접근법도 발견되나, 중학교는 교과 및 비교과 모든 영역에서 기여적 접근법과 부가적 접근법 활용에 그치고 있다. 일부 초등학교는 국어와 사회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변혁적 접근법을, 혁신학교인 행복학교는 PBL 또는 프로젝트 수업에서 캠페인 활동으로 사회실천적 접근법을 활용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현재 다문화교육은 단편적 문화요소를 가르치는 기여적 접근법과 문화를 단순 비교하는 부가적 접근법이 주를 이루고 있다. 주류집단의 관점을 지양하고, 편견과 차별을 넘어 평등교육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보다 더 변혁적 접근법과 사회실천적 접근법 활용이 요구된다. This paper analyzes the educational approaches taken by the Multicultural Prep Schools and Multicultrual Center Schools based on Banks’ four multicultrual approaches. After analyzing, this paper concludes the following: first, approach implemented by the multicultrual text books are the contribution approach and additive approach. Secon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Result Report, the curriculum of the Multicultural Prep School tend to adopt the additive approach, while that of the Multicultural Center Schools tend to adopt the contribution approach. None of the Schools have adopted the socal action approach. Third, in the extra-curriculum, the elementary-level Multicultural Center Schools as well as the Multicultrual Prep Schools implement the additive approach, while the Innovation Schools implement the socal action approach. Based on these,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Multicultural Prep Schools and Multicultural Center Schools implement more of the transformation and social action approaches in their multicultrual education to achieve equal education.

      • KCI등재

        민족정체성과 통일의식 간의 관계에서 다문화수용성의 매개효과: 한국거주 내국민과 미국거주 해외동포 기독교인을 중심으로

        이기영 ( Ki Young Lee ),최혜경 ( Hae Kyung Choi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8 다문화와 평화 Vol.12 No.1

        본 연구는 한국거주 내국민과 미국거주 해외동포의 민족정체성, 다문화수용성, 그리고 통일의 식의 수준을 비교한다. 구체적으로는 두 집단의 민족정체성이 다문화수용성과 통일의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 또한 민족정체성과 통일의식 간의 관계에서 다문화수용성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최종분석에 활용한 사례 수는 한국거주 내국민 195명과 미국거주 해외동포 177명으로 총 372명이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거주 내국민과 미국거주 해외동포들이 지각한 민족정체성은 다문화수용성과 통일의식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둘째, 한국거주 내국민들의 경우 자문화지향성이 민족정체성과 통일의식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였으며, 미국거주 해외동포의 경우 다문화지향성이 민족정체성과 통일의식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였다. 셋째, 두 집단 간의 평균을 비교하였을 때, 민족정체성에 있어서 미국거주 해외동포는 내국민 보다 높은 민족정체성 수준을 보였다. 다문화수용성에 있어서 한국거주 내국민의 경우 다문화지향성과 자문화지향성이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미국거주 해외동포의 경우 다문화지향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이들의 다문화지향성은 한국거주 내국민 보다 높았으며, 자문화지향성은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다. 통일의식에 있어서 두 집단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통일의식에 대한 민족정체성과 다문화수용성의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무엇보다 양자 간의 관계에서 다문화수용성의 중요성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compare ethnic identity,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awareness of national unification for the two population groups: South Koreans(Group 1, G1) and Korean Americans in the United States(Group 2, G2),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thnic identity and awareness of national unification. We found several significant results. First, G2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G1 in the mean values of the total of ethnic identity. Furthermore, G2 had significantly stronger exploration whereas Group 2 had weaker exploration. Second, G2 had significantly higher multicultural attitude and lower ethnocentric attitude than G1 in the mean value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However,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value of the awareness of national unification between G1 and G2. Third, ethnic identity had positive effects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awareness of national unification for both groups. Finally, we found differential mediating effects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thnic identity and awareness of national unification. Ethnocentric attitude played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G1, but multicultural attitude played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G2.

      • KCI등재

        단일민족의식이 다문화 한국사회의 인종계층화형성에 미치는 영향과 그 함의

        하진기 ( Jin Kee Ha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8 다문화와 평화 Vol.12 No.2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단일민족의식에 대한 개념정리를 통해 다문화사회에서 그 유효성을 살펴 보고 보편적 다문화주의개념에서 단일민족의식이 인종계층화형성에 미치는 요인 및 영향에 대한 검토를 통해 인종계층화형성이 갖고 있는 함의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함에 있다. 한국의 단일민족의식은 근대 역사과정 속에서 한민족 사상이나 계급, 지역적 이해관계를 초월하여 민족단결 및 민족정체성을 확립하게도 하였지만 한국사회의 다문화주의사회로의 발전을 방해하는 부정적인 인식의 중심에서 인종계층화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국이 주창하는 다문화 주의는 다문화주의의 본래 의미를 고려함이 없이 강제동화주의 이데올로기를 다양성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한국적 변형으로서 타자가 포용대상이 아니라 관리대상으로서 그리고 수동적인 객체로 전락하게 하면서 인종계층화형성에도 영향을 미쳤다. 본고에서 인종계층화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관련하여 문화적 요인으로 언어, 생활방식, 관습을 사회구조적 요인으로는 인종주의와 법적 제도를 제기하였다. 또한, 서구의 보편적 다문화주의관점에서 단일민족의식이 인종계층화형성이 갖는 함의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다문화 한국사회에서 단일민족의식이 여전히 강조되고 있는데 포용적 다문화주의 관점에서 개념 범위의 확대가 필요하다. 둘째는 한국사회는 타민족에 대한 인식을 평등관점에서 출발해야 하고 이들과 관련한 다문화정책들도 포용적인 동화주의관점에서 살펴보아야 한다. 셋째는 한국사회와 외국인 이주민집단 간의 평등적 관계에서 인종주의 및 법률 제도적 정비를 고려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ffectiveness of ethnically ho mogeneous nationalism in multicultural society by arranging Korean soc iety's concept of ethnically homogeneous nationalism and investigate impl ications of racial stratification by reviewing factors and effects of ethni cally homogeneous nationalism on racial stratification in the concept of universal multiculturalism. Ethnically homogeneous nationalism of Korea established national unity and ethnic identity beyond the Korean race's thought, class, and local interests in the course of modern history, but has had an effect on racial stratification in the center of negative perceptions that interferes with Korean society's development into multi cultural society. Multiculturalism that Korea advocate does not con sider the original meaning of multiculturalism and is just a Korean version which just used compulsory assimilation transformation as a term called diversity. In Korean multiculturalism, other persons are subject to contr ol, not the persons to embrace. And it had an effect on racial stratific ation as it became an passive object. In the study, the factors which have an effect on racial stratification were raised as follows: Cultural factors are languages, lifestyles, and customs and social structural factors are racism and legal systems. And from the viewpoint of Western multiculturalism, implications of racial stratification of ethnically homog eneous nationalism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thnically homo geneous nationalism has still been emphasized in multicultural Korean society. The scope of the concept needs to be enlarged from the view point of inclusive multiculturalism. Second, Korean society must start perceptions about other ethnic groups from the viewpoint of equality and multicultural policies related to them must be examined from the viewpoint of inclusive assimilation. Third, institutional reorganization of racism and laws must be considered in the equal relationship between Korean society and immigrant groups.

      • KCI등재

        중등학교 교사의 다문화 역량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이기용 ( Ki Yong Lee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5 다문화와 평화 Vol.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 교사의 다문화 역량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며, 개발된 척도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통한 향후 중등학교 교사의 다문화 역량 함양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분석 및 전문가 검토의 과정, 예비조사 및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특히, 본조사에서는 중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여 최종 확정된 430명을 분석하였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에서, 중등학교 교사의 다문화 역량 척도의 하위요인 및 설문문항은 다문화 기술(요인1, 9문항), 다문화 태도(요인2, 9문항), 다문화 지식(요인3, 6문항) 등의총 3개 하위요인과 24개 문항으로 최종 확정하였다. 둘째, 신뢰도 분석 결과에서, Cronbach’s  값이 .960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본 연구의 척도는 신뢰롭다고 볼 수 있다. 셋째,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에서 잠재변인과 측정변인 간 모든 경로계수가 p=.000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모든 C.R. 값도 1.965이상으로 적합하였다. 또한 확인적 요인분석 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RMSEA=.078, IFI=.904, TLI=.901, CFI=.904로서, 모든 값이 양호한 적합도 수준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는 중등학교 교사의 다문화 역량을 신뢰롭고 타당성 있게 측정할 수 있는 도구라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cale to measure secondary school teachers’ multicultural competency, and its significance is to provide basic data needed to cultivate secondary school teachers’ multicultural competency afterwards by verifying the developed scale’s reliability and validity. To attain the research goal, literature analysis, expert examination, and preliminary and main surveys were employed. Especially the main survey was conducted with 430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o gain detailed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using main component factor analysis and Varimax rotation, secondary school teachers’ multicultural competency scale’s subfactors and survey questions were finally fixed as total 3 subfactors and 24 questions: multicultural skills (factor 1, 9 questions), multicultural attitudes (factor 2, 9 questions), and multicultural knowledge (factor 3, 6 questions).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questions’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Cronbach’s value was found to be very high as .960, so the scale of this study can be regarded reliable.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ll the path coefficients between latent variables and measurement variable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level of p=.000, and all the C.R. values were found to be appropriate as higher than 1.965. Also, about the goodness-of-fit index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odel, RMSEA=.078, IFI=.904, TLI=.901, and CFI=.904, so all the values satisfy the goodness-of-fit level favorably. In other words, secondary school teachers’ multicultural competency scale developed here can be considered as a tool that can measure secondary school teachers’ multicultural competency reliably and validly.

      • KCI등재

        한국인 부와 외국인 모로 구성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 문화정체성이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유승희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20 다문화와 평화 Vol.14 No.1

        This article examines how self-esteem, self-resilience and cultural identity affect acculturative stress of mulicultural adolescents in South Korea. Data was collected from 1,197 multicultural students using the 5th wave (2015)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The results show that the higher self-esteem and self-resilience are, the lower acculturative stress is. The higher multicultural identity is, the lower acculturative stress is. On the other hand, having higher Korean culture oriented identity causes higher acculturative stres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recommends policy improvements to reduce acculturative stress of mulicultural adolescents.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 문화정체성이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MAPS) 5차 연도(2015) 학생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조사대상은 다문화가정 청소년 1,197명이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외국부모문화정체성과 한국문화정체성의 통합적 형태의 이중문화 수용태도 역시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보호요인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국가정체성은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높이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정책적 지원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다문화교육을 위한 학부 교양강좌 개설의 근거와 요건 탐색

        박희진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23 다문화와 평화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heoretical basis and practical requirements for designing undergraduate liberal arts courses based on the necess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as civic education in the multicultural era.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d the mission and direction of civic education in the context of the university's mission, and explored the conditions of undergraduate multicultural education. In addition, as a theoretical basis for the design of undergraduate multicultural education courses, discussions on global citizenship as the goal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citizenship in the multicultural era were examined. Next, by examining at what level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rea is understood and implemented, in terms of the system, the cognitive level(knowledge and information), the affective level(change of values ​​and attitudes through communication and reflection), and the practical level( solidarity and growth), a step-by-step approach model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terms of content, and a multicultural-friendly attitude of instructors and requirements for lecture culture in terms of oper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give implications for the design,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undergraduate liberal arts courses as civic education in the multicultural era.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시대 시민교육으로서 다문화교육의 필요성을 토대로 학부 교양강좌를 설계하기 위한 이론적 기반과 실제적 요건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학의 사명이라는 맥락에서 시민교육의 사명과 지향을 살펴보고, 다문화교육을 위한 학부강좌의 조건을 탐색해보았다. 또한 다문화교육을 위한 학부강좌 설계를 위한 이론적 기초로, 다문화교육의 목표로서의 세계시민성 논의와 다문화시대 시민성 논의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다문화교육의 영역이 어떠한 차원에서 이해되고 실행되는지 검토하여, 체계의 측면에서는 인지적 차원(지식과 정보), 정의적 차원(소통, 성찰을 통한 가치와 태도변화), 실천적 차원(연대와 성장)으로 구성된 모델을, 내용적 측면에서는 다문화교육을 위한 단계적 접근 모델을, 운영 측면에서는 다문화친화적 교수자의 태도와 강좌문화의 요건을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가 다문화시대 시민교육으로서 학부 교양강좌를 설계와 개설, 실행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