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등학교에서의 아동의 실제적 지능에 대한 아동과 교사의 구성요인 비교

        강영심,임영화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03 敎育硏究 Vol.13 No.1

        지능은 인간의 정신능력을 대표하는 구성개념으로, 연구하는 학자에 따라, 시대에 따라, 또한 사회와 문화에 따라 서로 다르게 정의된다. 이러한 인간 정신능력의 포괄성과 지능 정의의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 지능은 심리측정학적 접근 방식의 표준화 지능검사 결과를 토대로 설명되어져 왔다. 이러한 전통적 지능은 학습잠재력에 대한 적절한 지표가 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강영심, 1998). 학업성취 외의 실생활이나 직무수행 능력을 잘 예측하지 못하고 있다(Sternberg, 1985, 1997a).

      • KCI등재
      • KCI등재

        생활원예 직업교육연수가 고등학교 특수학급교사의 직업교육 효능감과 준비도에 미치는 효과

        강영심,손성화,정현지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4 No.1

        본 연구는 생활원예 직업교육연수가 고등학교 특수학급교사의 직업교육 효능감과 준비도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U도시의 고등학교 특수학급교사 11명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15시간의 생활원예와 관련된 직업교육 직무연수를 실시하였다. 연수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용된 도구는 직업교육 효능감 24문항과 준비도 20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이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와 사전-사후 간 Wilcoxon 검증을 통한 비모수통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고등학교 특수학급교사의 직업교육 효능감이 생활원예 직업교육연수를 받기 전보다 받은 후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직업교육 효능감의 2가지 하위영역에 대해서 살펴본 결과, 개인적 효능감이 일반적 효능감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고등학교 특수학급교사의 직업교육 준비도 역시 연수 전보다 연수 후에 유의미하게 높게 향상되었다. 직업교육 준비도의 3가지 하위영역에 대해서 살펴본 결과, 지식과 실천, 책임감이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지식 영역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생활원예 직업교육연수는 고등학교 특수학급교사의 직업교육 효능감과 준비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예비특수교사의 반성적 사고 증진을 위한 저널쓰기 활용 방안

        강영심,박창언 한국학습장애학회 2010 학습장애연구 Vol.7 No.3

        As society is changing rapidly, school in the process of educational reform necessarily demands the reflective thinking of teachers for performing teaching activities as a exper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important role and meaning of reflective thinking in teacher education and to examine the use of journal writing for improving special education preteachers' reflective thinking. The conduct of this study comes from a literature review the personal education and resend arch experience of using journal writing for special education preteacher’reflective thinking. Journal has various types and formats such as literature logs, reflective journal, and dialogue journals. Procedures how to apply a journal writing in special teacher education were reviewed in this paper. The development of personal meanings attached to journals should be encouraged. Once a learning community is created, journal writers should be prepared possess the attitudes of openmindedness, responsibility, and wholeheartedness. In the writing phase, a systematic guideline for writing journals can be provided. The process and the content of journal writing were explained in detail. Journal writing helps special education preteachers to develop reflective thinking and shared meanings, construct personalized theory, and promote critical thinking. Journal writing is certainly a time consuming activity. Even though journal writing is not free from its limitation, it is a very useful learning and teaching tool in special teacher education. It is especially a economic tool for assisting preteachers in becoming better thinker and reflective practitioner. 본 연구는 교사 양성 대학의 교육과정 속에서 예비특수교사의 반성적 사고를 증진시켜 주기 위한 교사 교육 전략을 모색하고자 시도되었다. 구체적으로 사범대학 특수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수업을 하거나 연구를 수행한 실제적인 경험을 토대로 반성적인 사고가와 실천가로서의 유능한 특수교사를 양성하는데 유용한 저널쓰기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교사교육에 있어서 반성적 사고가 중요한 이유와 저널쓰기가 반성적 사고에 미치는 효과성과 유용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저널쓰기를 활용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과 유의점을 중심으로 다음의 7가지 사항을 제안하고 있다 : 1) 개방적이고 수용적인 학습공동체를 만들어야 한다. 2) 저널쓰기에 대한 내적인 동기를 유발시킨다. 3) 저널쓰기에 대한 기본적인 지침을 제공한다. 4) 저널에 대한 적절한 피드백이 주어져야 한다. 5) 저널쓰기를 위한 다양한 교육경험을 개발하여 제공해야 한다. 6) 저널쓰기 활동 과정이나 결과를 성적 평가의 일부로 활용한다. 7) 저널의 내용을 공유하는 학습문화를 조성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이 새롭게 제정되면서 교육 전반에 걸쳐 큰 변화가 예고되는 현실에서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특수교사를 양성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장애유아평가 관련 자질의 습득도에 대한 유아특수교육기관 교사의 인식

        강영심,박은주 부산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교육혁신연구 Vol.23 No.1

        본 연구는 유아특수교육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가 장애유아평가 관련 자질을 어느 정도 갖추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교사의 장애유아평가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장애유아평가 관련 자질의 전반적인 습득도와 교사변인에 따른 장애유아평가 관련 자질의 습득도에 대한 유아특수교육기관 교사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부산, 경남, 울산의 유아특수교육기관 교사 113명이며,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연구를 수행하였다. 자료처리와 분석은 SPSS 18.0 Windows용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처리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특수교육기관 교사는 장애유아평가 관련 자질의 습득도에 대하여 ‘보통’ 수준 이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습득도에 대한 인식을 교사변인별로 살펴본 결과, 교육경력이 높은 교사, 특수학급에서 근무하는 교사, 4년제 대학과 대학원 과정에서 특수교육을 전공한 교사, 유아특수교사 자격증을 소지한 교사가 장애유아평가 관련 자질의 습득도가 높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현재 유아특수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교사를 대상으로 장애유아평가 관련 자질을 신장시키는 구체적인 방안을 강구하여 유아특수교육의 질을 제고할 것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teachers in charge of disabled preschooler evaluation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institutions about the importance of teacher qualifications related to disabled preschooler evalua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13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in public special schools, private special schools, special classes in public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for disabled preschoolers only in Busan, South Gyeongsang Province and Ulsan. A survey was conduct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WIN 18.0.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teachers who worked in th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institutions gave a lot of weight to the qualifications in general. It’s concluded that the teachers who worked in th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institutions were well cognizant of the importance of teacher qualifications related to disabled preschooler evaluation. It indicated that the teachers were well aware of the necessity of the six kinds of qualifications related to disabled preschooler evaluation. To boost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related to disabled preschooler evaluation, the preparation of systematic disabled preschooler evaluation criteria and the establishment of an efficient evaluation system are mandatory.

      • KCI등재후보

        특수학급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안에 대한 예비특수교사의 인식

        강영심 한국통합교육학회 2011 통합교육연구 Vol.6 No.1

        This study was one attempt to build up preservice teacher's realistic teacher identity through understanding occupational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of special class teachers. The subjects were 10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of College of Education at P University. They had an opportunity to interview special class teacher while taking the course 'special education teacher'. Based on these experiences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rote an independent reflective journal. The journals were analyzed with triangulation method and classified according to occupational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of special class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m.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d that special class teachers were experiencing occupational stress deriving from negative attitude toward special education, unfair teacher evaluation and promotion system, interpersonal conflict with school staff members et al. Second,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d that special class teachers reduce stress by solving the problem directly, engaging in recreation and religion, sharing the stress with intimate social supporter et al. This experience made special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have a realistic perception about special education teacher. The results suggested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foster preservice teachers' healthy and realistic teacher identity. 본 연구는 예비특수교사에게 특수학급교사가 교직생활 속에서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안에 대하여 살펴보는 기회를 제공하여 특수교사로서의 현실적 정체성을 함양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 P대학교 특수교육과에 재학 중인 1학년 예비특수교사 10명이며, 이들은 전공필수 과목인 ‘특수교육교사론’ 강좌를 수강하면서 특수학급교사들과 면담하였다. 면담은 주로 특수교사가 어떻게 교직에 적응하였으며 적응과정에 어떠한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어떻게 대처하였는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예비특수교사는 면담을 통하여 얻은 내용과 그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저널로 작성하였다. 저널의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특수학급교사는 장애학생과 특수교사에 대한 부정적 인식, 비합리적이고 불공평한 일반학교 행정체계, 장애아동 문제행동에 대한 대처능력의 한계, 학교구성원들과 갈등, 학부모의 비협조와 무리한 요구, 과도한 행정업무 등에서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이러한 스트레스에 대해서 직접적인 문제해결, 교육활동에 몰입, 친밀한 동료와 스트레스 공유, 개인적 취미활동이나 종교생활 등으로 다양하게 대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예비특수교사는 외로운 특수학급교사에 대한 안타까운 마음, 예상치 못한 비전문적인 업무에 대한 당혹감과 실망감, 통합교육 현장의 문제에 대한 현실적 지각과 불안감, 미래 특수교사로서의 사명감과 긍정적 태도 등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현장교사와의 만남이 예비특수교사로 하여금 특수학급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안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이해하고 예비교사시절부터 현실적인 특수교사상을 갖고 스트레스에 대처할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계기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 유치원장이 지각한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실태와 인식

        강영심,황순영,오미옥 한국통합교육학회 2008 통합교육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장애유아 통합교육을 운영하고 있는 91명 통합유치원장을 대상으로 이들이 지각한 통합교육의 실태와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통합 유치원장들은 지각한 통합교육의 실태로는 첫째, 통합된 유치원의 장애유아의 장애영역 중 정신지체 유아와 경도 장애유아의 비율이 가장 높앗다. 장애유아가 통합되어 있는 학급 수는 1학급이 가장 많았고, 장애유를 학급에 배치 할 때에는 '동일연령 학급'에 장애유아를 배치하고 있었다. 둘째, 장애유아를 지도 할 때에 필요한 활동은 원만한 교우관계를 위한 노력에 힘쓰는 것이라고 높은 응답을 보였고, 장애유아를 담임하는 통합교사에 관련한 원장의 배려는 보조교사의 배치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한편, 유치원에서의 장애유아 통합교육 가능성에 대해 '조건을 갖춘 유치원부터 선택적으로 실시하여야 한다'에 가장 많이 응답하면서, 장애유아 통합교육정책에 대한 정부에서의 정기적인 지원을 가장 우선으로 해결해야할 문제라고 응답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e of inclusive education for disabled young children in kindergarten and inclusive kindergarten directors' perception on inclusive education in order to improve inclusive education for disabled young children and, for this purpose, conducted a qusetionnaire survey of 91 private kindergartens (listed in the annual report of special education in 2003) throughout the country that were executing inclusive. The current state of inclusive education for disabled young children and kindergarten directors' perception on inclusive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institutionalize standards for the facilities and equipment of inclusive kindergarten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school life, and to plan specific methods to get supports from the community. Second, in order to execute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s(IEP) inkindergarten, preschool teachers need to have training on special education for developing IEP, and various teaching tools and materials as well as specialists' continuous cooperation are required. Third, for disabled young children, active promotion and education should be made in order to turn peoples' perception on disabled young children positive and to persuade disabled young children's parents to send their young children to inclusive kindergartens. Fifth, inclusive kindergartens should be supplied with a sufficient number of preschool teachers for special education. Moreover, all preschool teachers nedd to have training on inclusive education.

      • KCI등재

        비장애대학생의 장애대학생 수용태도가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강영심,손성화,한민정 한국통합교육학회 2020 통합교육연구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non-disabled university students' attitudes toward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on the sense of community. 173 non-disabled university students in B city were asked to complete the surve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nduct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e post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attitudes toward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sense of community of non-disabled university students were high. The grade, major, and current integration status affected the attitudes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sense of commun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gender, grade and major. Second, non-disabled university students’ attitudes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s a relationship with their sense of community and their behavioral attitudes, cognitive attitudes, and emotional attitudes. Behavior and emotional attitudes of non-disabled university students having a static relationship with the sense of commun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education methods should be considered to foster community awareness among non-disabled university students. 본 연구는 비장애대학생의 장애대학생 수용태도가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B시에 소재한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비장애대학생 173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독립표본 t-test, one-way ANOVA, Scheffe 사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장애대학생의 장애대학생 수용태도와 공동체의식은 보통 이상이었으며 학년과 전공, 현재 통합 유무는 비장애대학생의 장애대학생 수용태도에 영향을 미쳤다. 비장애대학생의 공동체의식은 성별과 학년, 전공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비장애대학생의 장애대학생 수용태도 하위영역 중 행동적 태도와 인지적 태도, 감정적 태도는 공동체의식과 정적 상관이 있고, 행동적 태도와 감정적 태도는 비장애대학생의 공동체의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통해 비장애대학생의 공동체의식 함양을 위해 고려되어야 할 교육 방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