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요양병원 노인의 죽음불안, 사회적지지가 임종치료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정지훈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요양병원 노인의 죽음불안, 사회적지지가 임종치료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본 연구는 D광역시 요양병원 2개 곳에서 입원중인 노인 15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23년 1월 9일부터 3월 9일까지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7.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 t-test, ANOV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요양병원 노인의 죽음불안과 사회적지지 및 임종치료선호도 정도를 분석한 결과 죽음불안 3.15±0.43점, 사회적지지 3.19±0.45점, 임종치료선호도 3.11±0.30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치료선호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요양병원 관련특성에서는 월평균소득(F=3.63, p=.029), 입원 전 동거여부(t=2.87, p=.005), 현 요양병원 입원기간(F=6.84, p=.001), 중환자실 입원 경험(t=3.24, p=.002)에 차이가 있었다. 건강관련 특성에서는 건강 상태 지각(F=4.26, p=.016)과 일상생활능력(F=3.16, p=.045) 및 질병 중증도(F=4.81, p=.003)는 임종치료선호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양병원 노인의 죽음불안과 사회적지지 및 임종치료선호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죽음불안과 사회적지지(r=0.14, p=.090)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나 죽음불안과 임종치료선호도(r=0.32, p<.001)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사회적지지와 임종치료선호도(r=0.30, p<.001)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임종치료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죽음불안(β=.23, p=.002), 사회적지지(β=.22, p=.003), 중환자실 입원경험(β=.18, p=.022) 및 질병중증도(β=.16, p=.033)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22.4%이다. 그 중 죽음불안이 임종치료선호도에 가장 유의한 영향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요양병원 노인의 임종치료선호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죽음불안감소하고 사회적지지를 높여 주는 간호중재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요양병원 노인은 사회적지지에서 큰 도움을 받고 의지를 하기 때문에 면회환경을 적극적으로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야 한다. 또한 중환자실 입원경험이 임종치료선호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중환자실 입원 경험이 있거나 질병중증도가 높은 노인은 죽음에 대해 고민하고 임종치료선호도를 명확하게 밝힐 수 있으므로 중환자실 재원 환자와 중증질환으로 자주 병원입원이나 수술을 경험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임종치료선호도를 표현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야한다. 요양병원 노인의 임종치료선호도를 개인의 특성에 맞게 잘 선택할 수 있도록 방법을 모색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eath anxiety and social support on the end-of-life care preferences in elderly residents of nursing hom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155 elderly individuals who stayed at long-term care(LTC) hospitals in D Cit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Jan. 9, 2023, to Mar. 9, 2023.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7.0 program,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OVA,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death anxiety, social support, and end-of-life treatment preferences in elderly residents of LTC hospitals were 3.15±0.43, 3.19±0.45, and 3.11±0.30.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nd-of-life treatment preferences by monthly income(F=3.63, p=.029), cohabitation status before admission (t=2.87, p=.005), current duration of stay in the LTC hospitals(F=6.84, p=.001), and previous experience of intensive care unit(ICU) admission(t=3.24, p=.002), perceived health status(F=4.26, p=.016), activities of daily living(F=3.16, p=.045), and severity of illness(F=4.81, p=.003).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death anxiety and end-of-life treatment preferences (r=0.32, p<.001) also between social support and end-of-life treatment preferences (r=0.30, p<.001). The factors influencing end-of-life treatment preferences were shown as death anxiety(β=.23, p=.002), social support(β=.22, p=.003), previous experience of ICU admission(β=.18, p=.022), and severity of illness(β=.16, p=.033), with a model's explanatory power of 22.4%.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development of a nursing intervention education program aimed at reducing death anxiety and enhancing social support is required to influence the end-of-life treatment preferences among elderly nursing home residents. Since nursing home residents greatly rely on social support and derive comfort from it, efforts should be made to actively promote an environment conducive to visitation. Targeting patients with ICU admissions and those who frequently experience hospitalizations or surgeries due to severe illnesses is crucial to establish the end-of-life treatment preferences expressed. Consequently, ongoing research is needed to explore methods that enable elderly LTC residents to suggest the appropriate end-of-life treatment preferences based on their individual characteristics.

      • 노인의 죽음 준비 교육을 위한 목회상담학적 고찰

        정경수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생애 주기의 마지막 단계인 노년기는 자아 통합과 생의 업적을 정리하는 가장 중요한 시기임에도 많은 노인들이 결정적인 죽음의 순간이 오기 전부터 그동안 이루어 놓은 삶의 업적과 영향권으로부터 벗어나고 사랑하는 사람들과의 격리로 누구도 함께 할 수 없는 깊은 고독을 느끼며 살고 있다. 더구나 죽음 이후에 대한 불안과 공포로 편안한 죽음을 맞이하지 못하고 심한 스트레스 속에 살고 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고령화 사회 속에 살아가고 있는 노인들의 죽음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죽음 준비 교육의 필요성 및 죽음 준비 교육 방법들을 제시하여 노인이 다가올 죽음에 적절히 대비하여 좋은 죽음을 맞이하고 죽음 앞에서 의미 있는 풍성하고 성숙한 삶을 살도록 목회적인 돌봄에 적용하고자 한다. 노인의 죽음 준비 교육을 위한 목회상담학적 고찰을 위해 이 논문은 아래와 같이 6장으로 나누어진다. 제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서론으로 문제의 제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그리고 연구의 방법과 내용에 대해 밝혔다. 제Ⅱ장에서는 죽음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죽음의 개념과 의학적, 심리학적, 사회 문화적 관점에서의 죽음의 이해와 한국 전통 종교에서의 죽음과 성서에 나타난 죽음의 의미를 비교하였다. 죽음 수용의 5단계에 대해 논하였는데 임종자의 이러한 심리적 반응을 잘 파악하고 이해하는 것은 죽음 준비교육을 하는데 필요한 상담과 목회적 돌봄을 제공하는데 아주 중요한 요소이다. 제Ⅲ장에서는 노년기와 죽음에 대해 살펴보았다. 인생주기 속에서의 노년기의여러 가지 특성과 발달 단계에 따른 죽음에 대한 인식, 사회적 지지와 노인의 죽음 불안과의 관계, 긍정적 죽음을 위한 종교의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았고 노인이 생각하는 좋은 죽음에 대해서도 서술하였다. 제Ⅳ장에서는 죽음 준비 교육에 대해 논하였다. 죽음 준비 교육의 필요성과 목표, 대상, 내용 등에 대해 서술하였다. 제Ⅴ장에서는 죽음 준비 교육을 위한 목회상담의 역할에 대해 논하였다. 죽음 불안을 위한 영적 대처능력에 대해 알아보았고, 죽음 준비 교육을 위한 목회 상담학적 접근과 임종자를 돕는 일, 유가족을 돕는 일, 교회안의 자원을 활용한 죽음 준비 교육의 방법 및 내용에 대해 알아보았다. 제Ⅵ장에서는 논문의 결론을 맺었다. 죽음 준비 교육을 위해서는 노인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있어야 하고 노인 자신도 스스로에 대한 올바른 자아인식이 있어야하며 죽음 준비 교육은 전 생애에 걸쳐서 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전문적으로 준비된 노인 사역자가 필요하고 소그룹을 대상으로 한 목회 상담학적 접근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e last stage of lifetime, senescence, is a significant time for unifying one's self-image and for concluding one's lifetime achievement. During this important phase of life, until the time of final death, many people feel loneliness from being isolated from the loved ones, and leaving all the achievements behind them. Also, they are stressed with fear and anxiety about life after death. This dissertation is divided into six chapters studying about the educational program for preparing death for the old. In chapter Ⅰ, I have presented the questions, the purpose and the need for this study, and contents and methods. In chapter Ⅱ, I studied death theoretically including the concept of death, and how death is viewed differently from medical, psychological, social points of view. In addition, I compared the different meanings of death in the Bible and in the traditional religion of Korea. I also discussed the five steps in accepting death, which is helpful to understand those preparing death and is essential in providing pastoral care. In chapter Ⅲ, I observed the senescence and death carefully. The study includes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old, perception of death according to each step of develop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support and anxiety of death, and the importance of religionin viewing and accepting death optimistically. Also I described what the old think of good death. In chapter Ⅳ, I discussed about the actual program in educating the preparation of death. This chapter explains the need for this education, the purpose, and what kind of people it is aimed for. The role of church for the death-preparing education is discussed in chapter Ⅴ. I have researched about spiritual power in facing the fear of death, the pastoral approach in helping the old, and family members, and various methods supporting the program using the sources in the church. In the last chapter Ⅵ, I have concluded the dissertation with the summary and a proposal. The understanding of the old is important as well as the old having self-recognition. The death-preparing educational program needs to be done throughout the lifetime, and for this, what we need are professionally trained counselors especially for old people as well as the small-group-based pastoral counseling approach.

      •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죽음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박선애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인간은 인생의 여정을 시작하는 순간부터 종착역인 죽음을 향하여 나아가는 존재이고 죽음에 대한 깊은 성찰을 통해 진정한 자신의 실체를 발견하여 보다 의미 있고 긍정적인 삶의 태도를 갖게 된다. 특히 인생의 마지막 단계를 살아가고 있는 노인이 죽음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느냐에 따라 현재 삶에 대한 태도 및 대처방식이 달라지므로 가까이 다가온 죽음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적응은 노년기의 삶의 질에 핵심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노인이 죽음을 어떠한 의미로 받아들이는지에 대한 ‘죽음태도’를 살펴보고 죽음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서 인구사회학적 요인, 심리사회적 요인, 사회적활동 요인 등을 설정하여 제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자는 서울을 중심으로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60세 이상의 재가노인으로서 노인종합복지관, 경로당, 교회, 문화센터를 이용하는 인지능력 및 언어장애가 없으며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협조하는 자로 제한하였다. 연구대상자의 표집방법은 편의표집방법으로 선택하였으며 면접조사를 통해 총 250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죽음태도 수준은 4점 만점에서 평균 2.32로 중간보다 약간 높은 정도의 부정적 죽음태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대상자의 죽음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인들을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설명력은 35.4%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대상자의 죽음태도에 대하여 자아 통합감, 종교 활동, 성별, 교육 수준, 월 소득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연령, 배우자 유무, 가족 유형, 건강 상태, 한 달 용돈, 사회적 지지, 우울 정도, 여가 활동 등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 측면에서의 실천적 제언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 통합을 성취한 노인은 절망에 맞서서 긍정적 죽음태도를 갖고 자신이 살아온 인생을 받아들이며 현재 삶에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두려움 없이 죽음을 직면할 수 있게 되므로 자아 통합감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천이 요구된다. 둘째, 각 종교기관에서는 노인의 종교적 신앙심을 고취시키고 인간관계를 돈독히 할 수 있는 작은 모임들을 조직해서 노인이 정기적 및 적극적으로 종교 활동에 참여하도록 권장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종교기관 내 노인을 위한 전담부서를 설치하고 사회복지를 전공한 전담사역자를 배치하여 전문적인 노인복지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셋째, 사회복지기관으로 한정된 죽음준비교육을 종교기관으로 확대하여 전국적으로 죽음준비교육을 확산시키고 죽음준비교육에 대한 전문사회복지사를 육성하고 충원하며 노인의 욕구가 반영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죽음에 대한 교육을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실시해야 할 것이다. 넷째,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긍정적 죽음태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하며 특히 사별 여성노인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현재 일부 노인종합복지관에서 죽음준비교육을 진행하고 있지만 여러 가지 측면에서 제한점이 많으므로 다음의 실천전략이 요구된다. 첫째, 정부는 죽음에 대한 제도나 정책을 마련하여 사회전반에 죽음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며 노인교육으로부터 시작해서 향후 초등교과과정에 이르기까지 죽음준비교육을 순차적으로 확대하도록 한다. 둘째, 죽음준비교육의 효과적 추진을 위해서 일관성 있는 전달체계를 구축하고 사회복지기관들의 상호연계 및 정보전달 등에 노력하도록 한다. 셋째, 사회복지사는 죽음 관련 인식의 제고와 전문성을 강화하여서 효율적 및 효과적인 죽음준비교육을 실시하도록 한다. 다섯째, 경제수준 및 교육수준이 높은 노인이 긍정적 죽음태도를 형성하도록 돕기 위해 문헌연구와 실증조사를 토대로 죽음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함의를 도출해내어 보다 실질적인 지원 방안을 마련해서 체계적으로 실천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노인이 죽음에 대해서 가족, 친지, 친구들로부터 도움을 받지 못하고 개인적으로 직면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노인복지 실천현장에서 사회적 지지에 관련한 연구가 보다 활성화되어 실제적인 지원이 이뤄져야 할 것이다. 일곱째, 우리나라 노인에게 적합한 죽음태도의 측정도구가 매우 미흡한 실정이므로 노인의 죽음태도를 정확히 측정하기 위한 척도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죽음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함으로써 죽음과 관련하여 개선되어야 할 노인의 환경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 연구 결과는 향후 지역사회 거주 재가노인이 노년기의 중요한 적응 과제 중의 하나인 죽음에 대하여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자신의 삶을 재평가 및 재정립함으로써 의미 있는 노후 생활을 영위하도록 하며 죽음과 관련해서 발생할 From the very moment of our birth, all humans take on a journey that is headed to the final stage of our lives faced with death. It is argued that people would have meaningful and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life when they discover who they truly are by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death. Particularly, how the elderly, who are living in the last stage of their lives, interpret their own death come to determine their attitudes toward the life and the way they prepare death.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them to have appropriate interpretations of death and to adapt proper attitudes toward it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current lives.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attitudes that the elderly have toward the death and showed how the elderly view the meaning of death. This study examined demographic factors, psychosocial factors, and social activity factors as variables that might influence the attitudes toward the death. This research also examined to identify any interactions these variables might have.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are people who are 60 years of age or older. They live in and around the capital city of Seoul and are regular users of facilities, 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churches, and cultural centers. They have no known difficulties with their cognitive and language abilities. Their participation was voluntary. The sample was collec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After an interview, 250 copies of the survey were included in the data analysi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12.0. This study performed the following analyse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ANOVA(t-test & one-way 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the average point from a 4-point-scale for the attitudes toward the death was 2.32 reaching the middle level. Second,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in order to determine the variances that influence the attitudes toward the death. The results yielded 35.4% of explanatory power. Third, the results showed that such factors as participants’ ego integrity, religious activities, sex, educational background, and monthly income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ttitudes toward the death. However, the following factors did not show a significant effect: age, the existence of a spouse, family type, health condition, monthly allowance, social support, severity of depression, and leisure activities. Based on these findings, I propose that the following suggestions should be developed and practiced for social welfare. First, there is a need for a promotion program for ego integrity among the elderly. The need for an ego integrity promotion program is rooted in the belief that people who have achieved ego integrity have positive attitudes against despair. They are also accepting of the lives they have lived and can face death without fear. Second, it is highly recommended that religious groups accommodate the elderly in small groups through which they can reinforce their faith and buil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or this, religious groups are encouraged to have a specialized department for the elderly and to assign professional social workers who can provide services. Third, death education, which has been provided only by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thus far, should be extended to religious organizations throughout the country. It is also necessary to educate professional social workers who are specialized in death education and to provide regular and organized education on death through the various of programs that reflect the needs of the elderly. Fourth, research that helps elderly women to develop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death is encouraged. Special attention should be given to widowed women. Though some welfare organizations provide education on death preparation, there have been limitations in many respects. Therefore, I propose the following strategies that would help improve the current situation. First, the government should create and institutionalize policies to enhance death awareness. These policies could be implemented in elderly education initially, and can be extended to the elementary school education eventually. Second, consistent education systems should be created in order to effectively provide death preparation education. Furthermore,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re encouraged to communicate and share information with one another. Third, social workers need to provide effective death preparation education that focuses on improving death-related awareness and professionalism. Fifth, literature reviews and fact-driven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discover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attitudes toward the death. This line of research is particularly for promoting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death among the elderly with high economic and educational backgrounds. This kind of research should also encourage systematic administration of practical support programs. Sixth, practical supports need to be provided to the elderly, who face death alone without help from their families, relatives, or friends. The supports need to concur with dedicated field research on social supports for the well-being of the elderly persons. Finally, appropriate measuring instruments that examine the attitudes the elderly have toward the death is in great demand. Developing suitable test instruments is highly recommended. In this study, I provided the areas that call for improvement in the education of the elderly on death education. My suggestions are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ttitudes toward the death. Death is something that the elderly have to cope with. Based on this general line, this study aimed to help the elderly to live meaningful lives, which can be achieved by developing positive attitude

      • 죽음을 통해 본 황순원 단편소설의 현실인식

        김윤화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MA Thesis Visioning Reality thru Death in Short Story by Hwang Soon Won Kim, Yoon Hwa Department of Korean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Yeungnam University (Advised by Professor Park, Jong Hong) Abstract Hwang Soon Won had gone thru from Japanese colonial era to Korea's Liberation, Korean War and Industralization. And what he had seen was Korean's phychological wound driven from the problems they face in real world. Critics have agreed that his core interpretation to the essence of life had focal point to the phychology of each characters. However Hwang listened to the wound and carefully portrayed in his works. These wounds emerge in various ways throughout his works. These various aspects of death are not only limited to the matter of death itself, but also shows the problems we may face in our lives relating to death. Depending on the era, death shows each different characters. His earlier works were written during the time of liberation of Korea which quite didn't allow him to express freely under social restrictions and pressure. Under Japanese collonial time Hwang was not able to express real life but the restriction from the Japanese collonial time and the Enlightenment era mixed together creating chaos led to the suicide scene and gloomy plot to portray the time. After the liberation, Hwang started to write his view towards matierlism related to losing and returning to homeland new ownership of land that were liberated from colonial time in his works. Hwang wanted to show that these extreme materialism can deteriorate people's mentality. After the Korean War and Industralization, death in Hwang's works showed different aspect. Destructive violation from the Korean War made people flat to the death of others. On the other hand, Death became the struggle portray for livging in the bloody time of war. After the 1960's industralization, death started to change aspects in the modern life. Individualism surged and rapid modification in society starte to change the value system. Death is not suicide nor homicide anymore nor that it shows willingness for living. Not only to negatively focus on the problems of society, Hwang allows us to look at the problems objectively so that we can apply these aspects to our lives. The real life if the era is closely portrayed in Hwang Soon Won's short stories. This might not appear apparently but the story itself shouts its word itself to the world thru many scenes of death and by analysis of death in his stories and how they reflect reality directly into the story.

      • 독거노인의 죽음 태도에 관한 질적 연구

        김경아 동아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죽음은 누구에게나 찾아오는 생의 과업이며 보편적으로 노인들만의 전유물은 아님에도 불구하고 인간 발달의 단계로 볼 때 노년기에는 임박해 있는 죽음에 가장 가까이 접해 있으며 피할 길 또한 없는 것이 기정사실이다. 가족제도의 핵가족화와 가족생활규범이 변화되면서 독거노인가구는 증가하고 자식세대의 번영만을 위해 한평생을 살아온 노인세대들은 노후를 준비하지 못한 채 독거노인으로 전락하는 예가 많아졌다. 특히 독거노인이 홀로 맞는 죽음이라는 가까운 미래 다가올 상황들이 삶에 대한 태도는 물런이고 죽음을 받아들이는 태도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독거노인이 죽음 현실을 어떻게 조망하고 있는지 재가 독거노인 1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과 참여관찰법에 의한 죽음에 대한 태도를 살펴보고 이를 유형화하였다. 또한 각기 다른 양상을 나타내는 죽음 태도를 독거노인의 생애사적 특성과 죽음 준비에 따라 어떠한 관계를 보이는지를 기술하였다. 질적 연구에 의한 독거노인들의 죽음에 대한 태도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번째, 부정적 해방의 죽음 태도의 독거노인은 생애사적 특성으로 ① 고달픈 삶 ② 원만하지 못한 자녀관계 ③ 질병으로부터의 해방 ④ 고독 ⑤ 약한 사회적 지원을 보였고 죽음에 대한 준비로 ① 죽음을 공유할 사람의 부재 ② 자손 번창을 위한 장지 마련 ③ 자식에게 남기고 싶은 유산으로 나타났다. 두번째, 부정적 체념의 죽음 태도의 독거노인은 생애사적 특성으로 ① 힘들었던 삶 ② 단절된 자녀관계 ③ 질병으로부터 오는 체념 ④ 고독 ⑤ 약한 사회적 지원을 보였고 죽음에 대한 준비로는 ① 죽음을 공유할 사람의 부재 ② 장묘에 대한 담담함 ③ 가치없는 유언을 특징 지었다. 세번째, 소극적 긍정의 죽음 태도의 독거노인은 생애사적 특성으로 ① 평탄한 삶 ② 단절된 자녀관계 ③ 질병에 대한 관심 ④ 고독 ⑤ 깊이없는 신앙심을 보였고 죽음에 대한 준비로는 ① 죽음을 공유할 사람이 존재 ② 화장을 선호 ③ 생의 정리 ④ 가치없는 유언을 보였다. 네번째, 적극적 긍정의 죽음 태도의 독거노인은 생애사적 특성으로 ① 수긍할 줄 아는 삶 ② 원만한 자녀관계 ③ 고독 ④ 신앙생활 ⑤ 원만한 사회 활동을 보였고 죽음에 대한 준비로는 ① 죽음을 준비할 대상이 존재 ② 매장 선호 ③ 의미있는 유언 ④ 생의 정리 ⑤ 수의 준비를 보였다. 다섯번째, 긍정도 부정도 아닌 양가적 죽음태도의 독거노인은 생애사적 특성으로 ① 자수성가하여 원점으로 돌아간 삶 ② 단절된 자녀관계 ③ 질병 ④ 고독 ⑤ 단절된 사회관계를 보였고 죽음에 대한 준비로는 ① 죽음을 준비할 대상이 존재 ② 화장 선호 ③ 수의 준비를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죽음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는 긍정의 태도가 가장 이상적인 죽음 태도라 제시되었고 독거노인이 바람직한 죽음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전문화된 사전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학습이 필요하며 무연고 독거노인을 위한 상주나 조문객 대행, 장례 예식 진행 등 상·장례의 지원 체계가 강화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re will be nobody who does not know death is one of processes of life which calls on everybody in the world. Definitely, it can be said that death is never exclusive belongings of older people. Seeing from phase of development of human being it is a settled matter that, in the old age, death is gradually and inevitably imminent to the elders. These days, as we experience in our daily life, lots of changes have been socially brought about in our country. Among them, trend toward the nuclear family of family system, variation of principle of family life, etc. can be referred to as typical examples. As time passes, it looks like phenomenon of variation is deeper and deeper. accordingly in connection with this social phenomenon, the population of the elder who live alone shows increasing tendency. Briefly summarizing the characteristic of lots of the elders of the present age, they show they fell into a circumstance living lonely without any provision for their old age, because they devoted their life to work only for the sake of prosperity of their children. At this point, especially, it can be felt that the situation of the near future to come near that is called death seriously have influence not only on the posture to their living but also on the posture to accept death. In this research, at first, 15 old peoples who live alone were chosen as an object of research and researcher investigated their posture to living and the posture to death they received, using depth-interview method and participation observation method, and analysed how the characteristics of career in lifetime and the provision against death were from the view of the posture to death.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Firstly, among the elders who live alone, in the case of the elders whose posture to death was negative liberation, their characteristics of career in lifetime were ① exhausted living, ② not amicable relation to their offspring, ③ liberation from diseases, ④ loneliness, ⑤ weak social support. Their provisions for death were that ① there were not a few who owned death together, ② preparation of burial ground which is believed to be a apparatus to make flourish of posterity, ③ they hoped to leave some inheritance to offspring. Secondly, in the case of the elders whose posture to death was negative renunciation, their characteristics of career in lifetime were ① hard living, ② relation severed from their offspring, ③ severance due to disease, ④ loneliness, ⑤ weak social support. Their provisions for death were that ① there were not a few who own death together, ② oppressive opinion to burial ground, ③ worthless testament left. Thirdly, in the case of the elders whose posture to death was half-hearted affirmation, their characteristics of career in lifetime were ① placid living, ② relation severed from their offspring, ③ interest in diseases, ④ loneliness, ⑤ not deep passion to faith. Their provisions for death were that ① they had close people who own death together, ② they prefer cremation to burial, ③ arrangement of whole living, ④ worthless testament left. Fourthly, in the case of the elders whose posture to death was positive affirmation, their characteristics of career in lifetime were ① affirmative living, ② amicable relationship to children, ③ loneliness, ④ religious life, ⑤ amicable social activity. Their provisions for death were that ① there were objects which help to arrange death, ② they prefer burial to cremation, ③ they left significant testament, ④ they arranged their whole living, ⑤ They showed interest in preparation of garment for the dead. Fifthly, in the case of the elders whose posture to death was not affirmative and also not negative, their characteristics of career in lifetime were ① a living in which they returned to the origin after making their fortune by their own efforts from naught, ② relation severed from their offspring, ③ experience of pain due to diseases, ④ loneliness, ⑤ relation severed from society. Their provisions for death were that ① there were objects which help to arrange death, ② they preferred cremation to burial, ③ They showed interest in preparation of garment for the dead. From the results mentioned above,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drawn. Among various postures, affirmative posture which received death positively was most desirable from the every point. Therefore, it was thought that, in order that the elders who lived alone could have this desirable posture, not only development of specialized program and its education but also vicarious execution of principal mourner and/or caller for condolence for the elders who live alone and reinforcement of support system for funeral are required.

      • 죽음의 질에 대한 인식 향상 활동 세 가지 국외사례

        이슬기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배경 및 목적 웰다잉(Well-Dying)의 구현을 위해서 질 높은 죽음의 의미를 아는 것은 중요하고 의미가 있으며, 이러한 죽음의 질을 확보하는 것은 죽음의 질에 대한 인식 수준을 바르게 알고,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평가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그러나 국내에서 죽음의 질, 또는 죽음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대한 고찰한 연구 외에, 죽음의 질 수준 자체를 다룬 연구는 찾기가 어렵다. 영국의 시사주간지 이코노미스트 연구소(Economist Intelligence Unit, EIU)에서는 2010과 2015년에 걸쳐 나라별 죽음의 질 지수를 지표화함으로 죽음의 질을 객관적으로 측정한 바가 있으며, 한국은 이 지표에서 2015년 18위를 차지하였는데 완화 및 의료환경, 인적자원, 돌봄의 경제성, 의료의 질에 비해 특히 완화의료에 대한 대중의 인식이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다른 지표들에 비해 완화의료에 대한 인식이 충분치 못하고, 지역사회로 파급되지 못하였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이루어진 죽음의 질에 대한 논의 현황을 조사하고, 밀접하게 관련된 호스피스·완화의료에서 죽음의 질적 측면이 어떻게 논의되어왔는가를 찾아보고자 한다. 또한 죽음의 질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은 영국, 호주, 대만의 대표적인 세 가지 사례를 토대로 우리나라 국민의 죽음의 질 인식 향상을 위한 인식 향상 활동의 필요성과 성공 요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질적 연구인 사례분석 연구로, Yin(2003)의 연구 목적에 따른 분류유형에 따라 기술적 사례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국내 죽음의 질에 대한 논의를 통해 죽음의 질 수준과 호스피스·완화의료의 현황을 기재하였다. 또한 죽음의 질에 대한 인식 향상 활동에 있어 영국, 호주, 대만 사례를 조사하여 비교·분석한‘복수 사례연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Yin(1994)의 사례모형을 구체화하여 죽음의 질 인식 향상 활동 세 가지 사례에 대한 분석틀을 인식 개선 활동 사례에 대해 ‘주체, 범위, 재정, 활동전략’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인식 개선 활동 사례는 지식 전달, 인지, 태도의 변화뿐만 아니라, 문제 해결을 위한 서비스 전달 체계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투자를 이끌어 내기 위한 활동까지 포함하여 배경과 사례를 소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어드보커시(Advocacy),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사회적 동원(Social Mobilization)을 포함한 ACSM 모형을 기준으로 영국의 다잉 매터스(Dying Matters), 호주의 다잉 투 노우 데이(Dying To Know Day), 대만의 인생역참(人生驛站, Life Station) 캠페인을 사례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죽음의 질에 대한 인식 향상 활동의 세 가지 국외 사례를 분석하였을 때 영국 다잉 매터스(Dying Matters)는 전국적인 범위에서 민관의 협력 하에 죽음에 대한 낙인을 깨고 선입견을 없애며, 문화를 바꾸고, 국회와 정책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대중의 의견을 수렴하고 행동하게 한 첫 번째 국가인식 및 행동 변화 캠페인이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호주 다잉 투 노우 데이(Dying To Know Day)는 비영리 민간조직인 그라운드스웰 프로젝트 호주(The GroundSwell Project Australia)가 전국 및 지역적인 범위에서 죽음과 임종에 대한 사회·문화적 변화를 위한 인식 향상 활동을 지역사회와 협력하여 진행하였다. 인식 향상 활동의 구체적인 내용으로는 계획적인 임종을 위한 생애 말기 계획(End of Life Planning)의 작성을 지원하고, 죽음에 대한 문해력(Death Literacy Index, DLI)을 활동에 적용하여 죽음에 대해 능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지식과 실용적인 기술을 측정하고 배울 수 있도록 도왔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대만 인생역참(人生驛站, Life Station) 캠페인은 대만 호스피스 재단(Hospice Foundation of Taiwan, HFT)이 전국적인 범위에서 범국민적 캠페인 홍보 활동을 통해 대중의 죽음의 질에 대한 인식 향상을 이끌어왔으며, 다양한 미디어 커뮤니케이션을 이용하여 대중이 사전의료계획에 대해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도록 하여 국민이 좋은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도왔다. 각국의 죽음의 질 인식 향상 활동을 통한 인식개선 성공 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죽음의 질에 대한 인식개선을 위한 인식 향상 활동과 함께 좋은 죽음을 구현할 수 있는 법적 기반을 마련해왔다. 둘째, 죽음의 질을 확보하기 위해 공공서비스와 지역사회 및 민간단체의 대응이 함께 이루어졌다. 셋째, 어드보커시(Advocacy), 의사소통(Communication), 사회적 동원(Social Mobilization)을 활용한 ACSM 활동이 다차원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결론 우리나라에서 아직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를 받는 것이 죽음과 동일하다고 생각하는 인식이 높다. 죽음의 질의 인식 향상을 위해서는 외국의 사례와 같이 제도 안에 적용되는 죽음의 범위가 확장되어야 하며,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과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의 이용이 좋은 죽음을 보장하는 제도임을 적극적으로 홍보하여야 한다. 또한 죽음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함께 죽음을 삶의 과정으로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인식 향상을 위한 교육과 활동이 정부 차원에서 시작되어 민간단체와 지역사회의 참여로 이어져야 한다. 영국 다잉 매터스(Dying Matters), 호주 다잉 투 노우 데이(Dying To Know Day), 대만 인생역참(人生驛站, Life Station) 캠페인의 국외 세 가지 사례로 보았을 때 그들 역시 죽음에 대해 대화하는 것을 금기시하는 문화가 있었으나 인식 개선 활동과 캠페인을 통해 사회 변화를 이루어 왔음이 확인되었으므로, 국내에서도 이러한 사례들을 활용하되 국내 실정에 맞는 적극적인 캠페인과 커뮤니케이션이 시도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죽음과 장묘에 대한 노인의 인식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복지관 이용 대상자를 중심으로

        장하영 강남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대사회에서 노인문제가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늘고, 해를 거듭할수록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대부분의 노력들은 평균수명이 높아지면서 노인에게 주어진 연장된 삶을 편안하고 안정되게 하려는 등의 삶 에 관한 것이고, 반면에 죽음에 관해서는 최근까지도 드러내어 논의되지 않고 있었다. 이처럼 죽음에 대한 언급을 꺼려하던 사회분위기가 최근 들어 죽음을 하나의 학문으로 인정하고자 죽음학 을 연구하는 학계의 움직임이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의 죽음 역시 노인문제에 있어서도 하나의 이슈가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죽음에 관한 문제에 그치지 않고 사후(死後)에 치르게 되는 장례절차와 전통적으로 이어져 내려오고 있는 사후(死後)관리 등 장묘문화에 대한 노인들의 인식을 알아보고, 이들에게 이에 관련된 서비스 마련이 요구된다고 설명하고자 하였다. 자칫 죽음과 장묘를 분리하여 생각하면 각각 별개의 주제를 떠올릴 수 있을지도 모르겠으나, 장묘란 어차피 죽음을 얘기하지 않고는 설명할 수 없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들을 한 선상에서 보고, 사회복지 분야의 개입 역시 동시에 요구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먼저 노인의 죽음에 대한 전반 내용을 통하여 죽음을 준비하는 것에 대한 필요성을 설명한다. 둘째, 죽음을 준비하는데 있어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장묘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노인들의 인식을 알아본다. 셋째, 마지막으로, 위의 문제점에 관한 개선방안으로써 제시되고 있는 화장(火葬)의 권장을 비롯하여, 우리나라 장묘문화의 개선과 보완을 위해서 사회복지 가 개입되어야 할 부분과 역할의 중요성에 대하여 강조한다. 위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미국, 영국, 일본 등의 장묘문화를 알아보고, 이러한 선진국들의 장묘문화와 비교했을 시에 우리나라 장묘문화에 나타나는 문제점에 대해 지적하였다. 또한, 현재 서울의 복지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장묘관련 서비스 현황을 인터넷과 전화문의, 기관방문을 통해 조사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서울시에 위치한 노인복지관및 종합사회복지관 6곳을 선정하여, 노인들이 생각하는 죽음과 장묘에 관한 인식 및 현 장묘문화의 문제점 등을 노인들의 시각에서 알아보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특히, 복지관 이용자를 조사대상으로 함으로써 죽음과 장묘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복지관의 연계성과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으며, 복지관의 장묘서비스 사항에 관한 질문을 포함시키기도 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정보를 분석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들이 죽음에 대하여 가깝게 생각하는 가장 큰 이유는 건강악화를 들 수 있으며, 그 외에 경제적 어려움과 심리적 외로움도 죽음을 생각하게 되는 원인으로 작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죽음에 대한 준비를 미리하고 있는 노인들과 그렇지 않은 노인들의 비중은 거의 같았으며, 이는 종교, 연령대 등에 영향을 받고 있었다. 둘째, 노인들은 장묘형태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매장보다 화장을 더 많이 선호하고 있었다. 그렇지만 아직까지 전통적인 사상 때문에 화장을 꺼리고 매장을 원하는 노인들도 상당수 있었다. 더불어 화장시설을 설치하는데 있어서의 의견은 본인이 화장을 선호하더라도 자신의 거주지와 가까운 곳에 설치하는 데에는 강하게 부정하는 태도를 보였다. 그러나 화장시설의 확충과 이를 장려하는 데에는 적극적으로 찬성함으로써 화장에 대한 큰 관심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접근하고자 하는 사회복지의 개입에 관해서는 장묘관련 교육을 실시하기에 가장 적절한 기관으로 사회복지기관을 꼽았으며, 노인들 스스로 이러한 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자 하였다. 또한, 사회복지기관에서 장묘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이용하고자 하는 욕구도 상당히 높게 조사되었다. 이처럼 연구의 바탕이 되는 이론적 사항과 설문조사 결과에 비추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노인들에게 장묘문화를 중심으로, 죽음에 대한 준비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국가와 개인을 함께 고려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장묘문화를 새롭게 구축해야 한다. 셋째, 장묘문화 개선과 발전을 위하여 사회복지분야의 개입이 요구된다. In the current society, the aged man problem is getting more serious and the efforts to resolve it are being actively progressed as the time goes on. These efforts are mostly about "life" like making the prolonged life of the aged men peaceful and st able, there are however few public discussions about death until now. T he social atmosphere avoiding mentioning on death has changed into a movement of the academic world studying a "thanatology" which acknowledges death as a science. Therefore, the death of the aged men has also become an is sue about the aged men problem. This research studied the recognition of the aged men about the funeral culture like the funeral procedure after death, the management after death which is traditionally inherited, and so forth, as well as the problems of the aged men's death, and the research tried to explain to them that the preparation for the service related to this is required. Though you may hit upon a separate theme when you think separat ely of the death and the funeral, the funeral culture cannot be explained without death. Therefore, the two should be regarded in the same aspect, in addition the intervention into the social welfare field should be required at the same time. Thus,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ly, the thesis explains the necessity about preparing death through the whole content of the aged men's death. Secondly, grasps the actual situation and problems of the funeral culture which holds the highest position in preparing for a death, and look around the recognition of the aged men. Thirdly, finally, emphasizes the part in which "the social welfare" should intervene and the importance of its role to improve and compensate the funeral culture of our country as well as the recommendation of cremation suggested as an improvement plan for the above problems.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the thesis investigated the funeral culture of America, England, Japanese and so forth as well as our country, and pointed out the problems of our funeral culture in comparison with the funeral culture of the developed countries. In addition, the thesis analyzed the services related to the funeral culture which are being performed in welfare facilities located in Seoul through internet, telephoning and visiting. And, finally, selecting 6 of the aged men welfare facilities and general social welfare facilities, it studied with a questionnaire about the their own recognition of the death and the funeral, the problems of the current funeral culture and so forth so as to see in view of the aged men/women. Especially, the thesis tried to emphasize the connection and necessity of the welfare facilities in the process of preparing the death and funeral by selecting the interviewee as the welfare facilities users, and cont ained the question about the funeral service of the welfare facilities. The main analysis result of the gathered data is as follows. Firstly, the most important reason that the aged men think they are near the death is the health aggravation, and the economic difficulty and the psychological isolation react as the cause that they think of a death. In addition the percentage of the aged men who are preparing for the death and the percentage of the aged men who are not are almost same, and this was affected by a religion, age and so forth. Secondly, they prefer cremation to burial in selecting the form of the funeral rite. however there are still lots of aged men who avoid cremation and prefer burial due to the traditional idea. They showed a strong denial about establishing a cremation facilities near the place of their residence though the prefer a cremation . But they also showed a high int erest about cremation by actively assenting to the expansion and encouragement of cremation facilities. Finally, they selected the social welfare facilities as the most proper facilities to perform the education related to the funeral and the burial in relation to the intervention of social welfare to which this research intended to approach, and they are willing to join these education by themselves. and it was investigat ed that the desire to user the funeral service is very high when it is provided by the social welfare facilities. According to the theoretical matters and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this research suggests as follows. Firstly, the education to prepare for a death should be done to the aged men, focused on the funeral and burial culture. Secondly, considering both the nation and the individual, we should construct a new funeral and burial culture suit ed to our realities. Thirdly, the intervention of the social welfare field is required in order to improve and develop the funeral and burial culture.

      • 노인요양시설 근무 요양보호사의 임종간호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보람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에 근무 중인 요양보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 정신건강 및 임종간호태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임종간호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요양보호사의 임종간호에 대한 태도를 개선할 수 있는 중재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자는 인천광역시와 부천시에 위치한 7개 요양원에서 근무하는 근무경력이 3개월 이상인 요양보호사 105명이었고 2013년 4월 11일부터 4월 30일까지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 하였다. 대상자들의 죽음인식 측정을 위해 김분한, 김흥규와 탁영란(1997)이 개발하고 김미애(2006)가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정신건강을 측정하기 위해 고성희(1989)가 개발하고 이화인과 최화숙(2003)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임종간호태도 측정을 위해 Frommelt (1991)가 개발하고 조혜진(2004)이 수정·보완한 임종간호태도 측정 도구를 본 연구자가 요양보호사에게 적합하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평균과 표준편차, t-test와 ANOVA, Scheffé의 사후검정, Pearson 상관계수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요양보호사의 죽음인식에 대한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17(±12.86)점으로 죽음을 앞둔 노인을 돌보는 요양보호사들의 죽음에 대한 인식은 다소 긍정적이라고 할 수 있었다. 정신건강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66(±8.16)점으로 정신건강이 비교적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임종간호태도는 4점 만점에 평균 2.75(±5.26)점으로 임종간호에 대해 다소 긍정적인 태도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2) 요양보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죽음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죽음인식은 종교의 유무(t=4.86, p=.030)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정신건강의 경우에는 사고사, 노화, 질병사 등의 가족과 친구의 죽음을 경험한 군(F=3.17, p=.028)과 가족과 친구의 죽음을 경험하지 않은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종간호태도는 배우자가 있는 사람(t=5.24, p=.024)과 배우자가 없는 사람(미혼, 이혼, 별거, 사별) 사이에, 본인의 건강에 대한 인식을 ‘좋다’고 인식한 사람(t=4.80, p=.031)과 ‘보통이나 나쁘다’고 인식한 사람 사이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죽음인식, 정신건강, 임종간호태도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분석에서 죽음인식과 정신건강(r=0.22, p=.028), 죽음인식과 임종간호태도(r=0.48, p<0.001)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4) 요양보호사의 임종간호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은 죽음인식으로 임종간호태도 변량의 21.8%의 설명력이 있었다. 요양보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이 임종간호태도에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요양원 거주 노인들에 대한 요양보호사들의 더욱 긍정적인 임종간호태도를 위해 죽음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한 교육이 실시될 필요가 있겠다. 본 연구의 주요 제한점은 첫째,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임종간호태도 측정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α는 .61로 낮았다. 따라서 임종간호태도를 측정하는 신뢰도 높은 도구를 개발하여 임종간호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의 자료수집 지역은 인천광역시와 부천시로 한정되어 있어 본 연구의 결과를 모집단으로 일반화하는데 제한이 있으므로 자료수집 지역을 확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주요어: 요양보호사, 죽음인식, 정신건강, 임종간호태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